0% found this document useful (0 votes)
49 views213 pages

『주역 (周易) 』의 시중 (時中) 리더십 - 정병석교수제자 - 박사학위논문 - 보인다 - 특허관련좋은논문

Uploaded by

cho woon hyun
Copyright
© © All Rights Reserved
We take content rights seriously. If you suspect this is your content, claim it here.
Available Formats
Download as PDF, TXT or read online on Scribd
0% found this document useful (0 votes)
49 views213 pages

『주역 (周易) 』의 시중 (時中) 리더십 - 정병석교수제자 - 박사학위논문 - 보인다 - 특허관련좋은논문

Uploaded by

cho woon hyun
Copyright
© © All Rights Reserved
We take content rights seriously. If you suspect this is your content, claim it here.
Available Formats
Download as PDF, TXT or read online on Scribd
You are on page 1/ 213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

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博 士 學 位 論 文

『주역(周易)』의 시중(時中) 리더십

嶺南大學校 大學院

哲 學 科

東 洋 哲 學 專 攻

李 熙 永

指導敎授 鄭 炳 碩

2022年 8月
博 士 學 位 論 文

『주역(周易)』의 시중(時中) 리더십

指導敎授 鄭 炳 碩

이 論文을 博士學位 論文으로 提出함.

2022年 8月

嶺南大學校 大學院
哲 學 科 東洋哲學專攻

李 熙 永
감사의 글

모든 것이 불확실하기만 하던 젊은 날, 어렴풋이 가졌던 꿈 하나가 있었습니다. 우

주가 운행되는 이치와 인간이 살아가는 도리를 탐구하며 살고 싶다는 그런 꿈 하나.

하지만 제가 서 있던 그 자리를 둘러보며 용기가 나지 않았습니다. 아무도 저 길이

네가 걸어가야 할 길이라고, 걸어갈 수 있는 길이라고 일러주지 않던 그 길은 그렇게

가뭇없이 사라져 갔습니다. 나중에야 알았습니다. 삶의 비탈길에서 다시 저를 일으켜

세우려 애쓸 때 문득 잊은 줄 알았던 그 꿈이 제 가슴 속에 아직도 잔설처럼 남아

있다는 것을. 그렇지만 그 꿈이 하나의 몸짓이 되기까지는 또 많은 시간과 용기가 필

요했습니다. 입학원서를 내고 논문을 마무리하는 지금까지의 6년에 가까운 시간을 되

돌아봅니다. 그 동안 받은 배려와 가르침을 생각하니 그저 감사하고 행복할 따름입니

다. 좀 더 공부에 몰입하지 못한 것이 못내 아쉽지만, 그 아쉬움은 앞으로 더욱 더

정진하면서 덜어나갈 생각입니다.

한 편의 논문을 마무리하면서 많은 분들의 지도와 격려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습

니다. 논문 테마를 잡고, 목차를 정하고, 내용을 다듬는 매 순간순간마다 이끌어 주시

고 깨우쳐 주신 지도교수님이신 정병석 교수님께 먼저 깊이 머리 숙여 감사를 드립니

다. 제 논문은 지도교수님께서 그동안 이룩해 놓으신 저술과 논문의 토대 위에 제 성

글고 여물지 못한 견해 하나를 덧붙여 놓은 것에 지나지 않음을 고백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또한 더 나은 논문이 되도록 문장표현에서부터 논리전개에 이르기까지 세

심하게 조언을 해주신 최재목 심사위원장님, 최소인 교수님, 조수동 교수님, 그리고

권상우 교수님께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작은 보람 앞에서 저를 이 세상에 있게 해 주시고 여전히 저를 지탱해 주고 계시

는 분들에 대한 감사함을 생각합니다. 하늘에서도 책을 읽고 계실 아버지, 늘 일러주

시던 사람의 도리가 여전히 제 가슴에 울림으로 남아 있습니다. 홀로 긴 세월을 견디

시며 올해 구순을 맞이하신 어머니, 자식 위해 늘 노심초사하시던 그 세월이 있었기

에 오늘 제가 이렇게 서 있음을 잊지 않겠습니다. 큰 절 하옵고 이 논문을 두 분께


바칩니다. 지난 30년 동안 아내로서, 엄마로서, 며느리로서, 그리고 때로는 가장으로

서 늘 최선이었던 아내 정유미씨에게 말과 글로는 다 표현할 수 없는 감사한 마음을

전합니다. 그리고 이제는 어엿하게 자라 사회의 일익을 담당하고 있는 규언이와 규익

이에게도 고맙다는 말을 하고 싶습니다. 저의 버팀목이 되어 준 아내 그리고 두 아이

들과 이 작은 보람을 함께 나누고자 합니다.

2022년 8월

이 희 영
<목 차>

Ⅰ. 서론(序論) ·································································································· 1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 1
2. 선행연구의 검토 ······································································································ 3
3. 연구의 방법과 범위 ································································································ 5

Ⅱ. 『주역(周易)』의 기본 성격 ······································································· 7
1. 변역(變易) ················································································································· 7
1) 역(易) ··················································································································· 7
2) 변화(變化) ········································································································ 10
3) 변통(變通) ········································································································ 21
2. 시(時) ······················································································································ 22
1) 『주역』에 있어서 ‘시’의 의미 ······································································· 22
2) ‘상황(狀況)’을 의미하는 ‘시’ ········································································ 24
3. 중(中) ······················································································································ 35
1) 『주역』에 있어서 ‘중’의 의미 ······································································· 35
2) ‘중용(中庸)’을 의미하는 ‘중’ ········································································ 39
3) ‘합당(合當)함’을 의미하는 ‘중’ ···································································· 49

Ⅲ. 『주역(周易)』과 시중(時中)의 지혜 ······················································ 50


1. 시중적(時中的) 질서관(秩序觀) ·········································································· 53
1) 시중적 질서관 ································································································· 53
2) 통관(通觀) ········································································································ 57
3) 지기(知幾) ········································································································ 61

- i -
2. 수시변통(隨時變通) ······························································································· 65
1) 수시변통 ··········································································································· 65
2) 변통(變通)과 통변(通變) ················································································ 68
3. 시중(時中)과 우환의식(憂患意識) ······································································ 69
1) 내적 우환의식 ································································································· 73
2) 외적 우환의식 ································································································· 74

Ⅳ. 시중(時中) 리더십과 『주역(周易)』의 리더 ········································· 77


1. 시중 리더십 관련 선행연구 ················································································ 77
1) 이희영의 시중 리더십 연구 ·········································································· 77
2) 민건촉의 『주역』 리더십 모델 ······································································ 77
3) 피들러의 리더십 합상황 이론 ······································································ 82
4) 맨쯔의 셀프리더십 ·························································································· 83
5) 삼원적 교호모델 ······························································································ 87
2. 시중(時中) 리더십의 삼원적 교호 모델 ···························································· 89
1) 본 연구에 대한 선행연구의 함의(含意) ······················································ 89
2) 시중 리더십의 삼원적 교호 모델 ································································ 91
3. 『주역(周易)』의 리더 ····························································································· 94
1) 『주역』의 리더 유형(類型)에 대한 고찰(考察) ··········································· 94
2) 시중적(時中的) 리더의 전형(典型)인 『주역』의 성인(聖人) ····················· 99
3) 『주역』 속 리더의 영향력 행사 ·································································· 113

Ⅴ. 상응(相應) 관계에서 본 시중(時中) 리더십 ····································· 137


1. 구오(九五)와 육이(六二)의 상응에서 본 시중 리더십 ································· 137
1) 중정(中正)한 도로써 상응 ··········································································· 137
2) 천하의 대동(大同)을 위한 상응 ································································· 141

- ii -
3) 어려움 속에서의 상응 ·················································································· 142
4) 개혁(改革)을 위한 상응 ··············································································· 145
2. 육오(六五)와 구이(九二)의 상응에서 본 시중 리더십 ································· 146
1) 사제(師弟)로서의 상응 ················································································· 146
2) 전쟁(戰爭) 속에서의 상응 ··········································································· 147
3) 태평(泰平)한 시대의 상응 ··········································································· 149
4) 신뢰(信賴) 속에서의 상응 ··········································································· 150
5) 어려움 속에서의 상응 ·················································································· 152

Ⅵ. 합상황(合狀況) 관계에서 본 시중(時中) 리더십 ····························· 154


1. 자연운행에 따라 원칙적(原則的)인 변화(變化)를 하는 상황 ······················ 154
1) 건괘(乾卦)의 자연운행에 따르는 상황 ······················································ 154
2) 곤괘(坤卦)의 바르게 해야 하는 상황 ······················································· 158
2. 위기상황(危機狀況) ·························································································· 161
1) 어려운 상황 ··································································································· 161
2) 절제(節制)가 필요한 상황 ··········································································· 168
3) 믿음이 필요한 상황 ······················································································ 169
4) 제사(祭祀)를 지내는 상황 ··········································································· 170
5) 그침과 행함을 판단해야 하는 상황 ·························································· 171
6) 결단(決斷)하고 나아가야 하는 상황 ························································· 172
3. 화합(和合)해야 하는 상황 ················································································· 176
1) 포용(包容)해야 하는 상황 ··········································································· 176
2) 다른 사람들과 함께 하는 상황 ·································································· 177
3) 분배(分配)하는 상황 ····················································································· 180
4) 겸손(謙遜)해야 하는 상황 ··········································································· 181

- iii -
4. 진보(進步)하는 상황 ··························································································· 183
1) 일이 순조(順調)로운 상황 ··········································································· 183
2) 발전(發展)해 나가는 상황 ··········································································· 185
3) 계몽(啓蒙)하고 육성(育成)해야 하는 상황 ··············································· 187

Ⅶ. 결론(結論) ······························································································ 190

<참고문헌> ··································································································· 194

<영문초록> ··································································································· 200

- iv -
<표 목 차>

<표 Ⅱ-1> 『주역』에 있어서 ‘시’의 의미(1) ································································ 23


<표 Ⅱ-2> 『주역』에 있어서 ‘시’의 의미(2) ································································ 24
<표 Ⅱ-3> 『주역』에 있어서 ‘중’의 의미(1) ································································ 37
<표 Ⅱ-4> 『주역』에 있어서 ‘중’의 의미(2) ································································ 38
<표 Ⅳ-1> 리더십과 관련된 『주역』의 다양한 관점 ·················································· 78
<표 Ⅳ-2> 『주역』에 포함된 행위지침과 관련 괘 ····················································· 81
<표 Ⅳ-3> 『주역』의 리더와 출현빈도 ········································································· 95
<표 Ⅳ-4> 군자, 성인, 대인, 현인 간의 관계 ··························································· 97
<표 Ⅳ-5> 「대상전」의 성인 관련 표현 ······································································· 98
<표 Ⅳ-6> 구덕괘 ·········································································································· 124

- v -
<그림 목차>

<그림 Ⅳ-1> 『주역』의 리더십 모델 ············································································· 80

<그림 Ⅳ-2> 삼원적 교호 모델 ····················································································· 88

<그림 Ⅳ-3> 시중 리더십의 삼원적 교호 모델 ························································· 93

<그림 Ⅳ-4> 이간의 역할 ···························································································· 122

- vi -
Ⅰ. 서론(序論)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주역(周易)』을 관통하고 있는 핵심 개념 중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시중


(時中)’이다. 이와 관련하여 청나라의 경학자인 혜동(惠棟)은 “『역』의 도는 심오하다!
한마디로 말하면 ‘시중’이다”1)라고 말한다. 이처럼 시중은 『주역』이 함축하고 있는
심오하고도 핵심적인 지혜이다.
시중이란 ‘만물이 그 처한 상황(狀況)에 따라 합당(合當)함을 얻는 것’을 말한다. 글
로는 이렇듯 한 문장으로 표현할 수 있지만, 이것을 막상 실천하려고 들면 그렇게 간
단하지가 않다. 먼저 상황을 인식하는 것이 그렇다. 지금 내가 또는 우리 조직이 처
하고 있는 상황이 어떠한지 정확하게 파악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 일에 가깝다.
왜냐하면 우리는 기본적으로 시간과 정보의 한계 속에서 살아가기 때문이다. 상황을
어느 정도 파악했다 하더라도 그 상황 속에서 어떻게 행동하고 대처하는 것이 합당한
것인지를 판단하는 일 또한 난제가 아닐 수 없다. 행동하고 대처한다는 것은 많은 경
우에 상대가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나는 상황에 맞게 말하고 행동한다고 했지만
상대방은 내 의도와는 다르게 받아들일 여지는 얼마든지 있다. 기업의 경우에도 경쟁
업체의 마케팅 전략에 대응해서 새로운 마케팅 전략을 시장에 선보였지만 소비자들의
반응이 기대와 달리 시큰둥할 때가 있다. 이처럼 상황에 합당하게 대처한다는 것은
생각만큼 쉬운 일이 아니다.
시중을 실천하는 것이 어렵고도 어려운 일이라는 것은 유학사(儒學史)에서 시중을
제대로 실천했다고 일컬어지는 사람은 공자(孔子)가 유일하다는 사실에서도 알 수 있
다. 맹자(孟子)는 일찍이 공자를 ‘성지시자(聖之時者)’라고 일컬으면서 공자만이 시중
을 제대로 실천한 성인(聖人)이라고 말했다. 달리 말하면, 공자를 한 명의 성인이라고
말하면서 ‘시중’이라는 실천적 개념 혹은 경지(境地)를 통하여 정의하고 있다는 사실
은 그것이 유가철학 내에서 가지고 있는 중요성과 가치가 어느 정도인지를 충분히 가
늠해볼 수 있게 만든다. 공자의 시중은 곧 ‘시중 리더십’이다.

1) 嚴靈峯, 『無求備齋: 易經集成』 第119冊, 惠棟, 「易尙時中說」, 『易漢學』 卷7, 台北: 成文書
局, 1976, 177쪽.

- 1 -
시중은 『주역』을 관통하고 있는 핵심 개념일 뿐만 아니라, 유가사상(儒家思想) 전
반을 조망해 보았을 때도 역시 그 중심적인 위치에 놓여 있는 개념이다. 그것은 유가
(儒家)의 여러 경전에서 시중과 관련된 언급이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확인할 수 있
다. 예를 들어, 『서경(書經)』에 나오는 윤집궐중(允執厥中)2), 『서경』, 『논어(論語)』,
『맹자(孟子)』의 권도[權]3), 『중용(中庸)』의 시중(時中)과 치중화(致中和)4), 『순자(荀
子)』의 응변곡당(應變曲當)과 여시천사(與時遷徙)5) 등은 모두 시중이라는 말을 그대
로 사용하고 있거나 의미상 시중을 나타내고 있는 말들이다. 그 이외에도 유가의 경
전에서는 다양한 사례들을 통해 시중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이렇
듯 『주역』을 포함한 여러 유가 경전에서 시중의 중요성을 말하고 있지만, 『주역』의
시중과 여타 유가 경전에서의 시중 간에는 커다란 차이가 있다. 그것은 바로 『주역』
을 제외한 다른 유가 경전에서 언급되고 있는 시중은 어떤 체계 속에서 지속적으로
다양한 상황과 사례를 통하여 일관성 있게 논의되고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그
에 비해 『주역』은 64괘 384효라는 일정한 체계 안에서 음양의 변역을 통해 풍부한
사례를 만들어 내고, 그 사례들 각각에 있어서의 시중을 논하고 있다. 따라서 일정한
체계와 다양한 상황 속에서 언급되는 『주역』의 시중은 국가를 통치하거나 기업을 경
영하는데 있어 그 활용가능성이 그만큼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최고통치자나 최고경
영자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의사결정이며, 의사결정이란 어떤 상황 하에서 그에 가장
합당한 선택을 하는 것이다. 이처럼 상황에 합당한 선택을 통한 행동은 바로 ‘시중
리더십’이며, 그것을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이 바로 『주역』이다.

2) ‘진실로 그 중용의 도를 붙잡는다’는 뜻이다(『書經』 「大禹謨」: 人心惟危 道心惟微 惟精惟一


允執厥中).
3) ‘일의 경중을 헤아려 중을 잡는 저울질’, 즉 ‘상황에 맞게 융통성을 발휘하는 것’을 말한다
(『書經』 「周書ㆍ呂刑」: 上刑適輕下服 下刑適重上服 輕重諸罰有權 刑罰世輕世重 惟齊非齊
有倫有要; 『論語』 「微子」: 逸民 伯夷叔齊虞仲夷逸朱張柳下惠小連 子曰 不降其志 不辱其身
伯夷叔齊與 謂柳下惠小連 降志辱身矣 言中倫 行中慮 其斯而已矣 謂虞仲夷逸 隱居放言 身
中淸 廢中權 我則異於是 無可無不可; 『孟子』 「離婁上」 제17장: 男女授受不親 禮也 嫂溺
援之以手者 權也).
4) ‘중과 화에 도달하는 것’을 가리킨다. 여기에서 ‘중’은 희노애락이 아직 발동하지 않은 것이
고, 이 세상의 가장 큰 근본을 나타내며, 진리의 체로서 性命을 말한다. ‘화’는 이 세상에
두루 통하는 도이고, 성명이 구체적인 상황에서 발현되는 것이며, 용을 말한다. 종합하면
‘치중화’는 진리의 체로서의 중을 그 상황의 도리에 맞게 실행하는 인간의 행동을 말한다
(『中庸』 제1장: 喜怒哀樂之未發 謂之中, 發而皆中節 謂之和, 中也者 天下之大本也, 和也者
天下之達道也. 致中和 天地位焉 萬物育焉).
5) 응변곡당은 ‘변화에 대응하는 모든 것이 합당하다’는 뜻이고, 여시천사는 ‘상황에 맞게 행동
한다’는 의미이다(『荀子』 「儒效」 제12장: 其言有類 其行有禮 其擧事無悔 其持險應變曲當
與時遷徙 與世偃仰 千擧萬變 其道一也 是大儒之稽也).

- 2 -
본 연구의 모델인 ‘시중 리더십의 삼원적 교호(triadic reciprocality) 모델’6)에 의
거할 경우, 시중 리더십은 ‘리더가 합당한 행동을 하기 위해 상황 및 대상자(자신, 타
인)와 부단히 상호작용하는 과정’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정의
를 토대로 시중 리더십을 리더와 대상자 간의 상응 관계 및 리더와 대상자의 상황과
의 관계로 나누어 고찰하고자 한다.

2. 선행연구의 검토

『주역(周易)』을 시중(時中) 리더십 측면에서 고찰해 보고자 하는 본 연구와 연관되


는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희영은 『주역』 괘사(卦辭)에 나타나 있는 리더십의 지혜를 처음으로 ‘시중
리더십’이라 명명하고, 각 괘사의 상황을 8가지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7) 본 연구는
15년 전의 이 시론적(試論的) 논문에서 그 맹아(萌芽)가 싹튼 것이다.
민건촉(閔建蜀)의 ‘『주역』의 리더십 모델’에서는 궁극적으로 적절한 상태를 유지함
으로써 중화(中和)의 상태에 도달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8) 그렇게 하기 위해서
는 먼저 시(時)와 위(位)라는 상황을 제대로 파악해야 한다. 그리고 파악한 상황을 토
대로 그에 알맞은 음양 개념 및 행위지침을 발휘하여 결국 중화 및 적절함에 이를
수 있어야 한다. 여기에서 적절함을 유지한다는 것은 상황을 전제로 하는 것이니 곧
시중을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중화의 상태에 도달한다는 것은 곧 치중화(致中和)를
말하는데, 치중화는 시중의 다른 표현이다. 따라서 민건촉이 제시한 『주역』 리더십
모델의 궁극적인 지향점은 시중 리더십이다.
피들러(Fiedler)는 리더십에 대한 합상황 이론(contingency theory)을 통해 리더
의 유효성은 리더십 스타일이 상황에 어느 정도 적합하게 발휘되는가에 따라 결정된
다고 주장한다. 리더십 스타일은 과업 동기유발적 스타일과 관계 동기유발적 스타일
로 구분된다. 상황특성에는 리더-구성원 관계, 과업구조, 직위권력이 있다.9) 상황의

6) Ⅳ장 2절에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으며 리더, 대상자, 상황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7) 이희영, 「『주역』 괘사에서 만나는 시중 리더십」, 『숙명리더십연구』 제5집, 숙명리더십개발
원, 2007, 177-202쪽.
8) 閔建蜀, 『易經的領導智慧』, 北京: 生活ㆍ讀書ㆍ新知 三聯書店, 2013.
9) 박동수ㆍ이희영ㆍ정성한, 『조직행동』, 경세원, 2010, 466-469쪽 참조.

- 3 -
구체적인 내용은 본 연구와 다르지만, 리더십이 상황에 적합해야 한다는 것은 본 연
구의 시각과 기본적으로 일치한다.
맨쯔(Manz)는 개인, 행동, 환경이 교호적(交互的)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사회학습이
론(social learning theory)에 의거해 셀프리더십(self-leadership)이라는 개념을 제
시한다. 셀프리더십의 구성 요소에는 셀프매니지먼트(self-management), 자연보상
(natural reward), 사고적 셀프리더십(thought self-leadership)이 있다.10) 개인이
스스로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어간다는 셀프리더십의 기본 시각은 그 구체적인 방
법에서는 차이가 있지만 유가의 수신(修身)이나 수기(修己)와 맥락이 통한다.
사회인지이론(social cognitive theory)에 따르면, 인간은 내적 힘에 의해 움직이
는 것도, 외적 자극에 의해 자동적으로 반응하는 것도 아니다. 인간의 활동은 행동,
인지 및 기타 개인적 요인, 그리고 환경적 현상이 서로 상호작용한 결과이다. 이를
삼원적 교호(triadic reciprocality) 모델이라고 부른다.11) 본 연구의 모델인 ‘시중 리
더십의 삼원적 교호 모델’은 이 삼원적 교호 모델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구축된 것이
다.
이처럼 본 논문을 전개하는데 있어 참고할 만한 개념과 아이디어를 제공해준 선행
연구들과 본 연구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중 리더십에 대한 이희영의 2007
년 연구에서는 『주역』 괘사만을 대상으로 단편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에 비해 본
연구에서는 『역경(易經)』과 『역전(易傳)』 전체를 대상으로 리더와 대상자의 상응(相
應)에 따른 시중 리더십 및 상황(狀況)에 따른 시중 리더십을 고찰한다. 둘째, 민건촉
의 ‘『주역』의 리더십 모델’은 리더십과 관련된 『주역』의 주요 개념들을 포괄하고 있
다. 따라서 『주역』을 리더십 측면에서 다룬 하나의 개념적(槪念的) 모델로서는 의의
가 있으나, 이론적 분석을 위한 모델로서는 그 복잡성 때문에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
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사회인지이론에서 제시된 삼원적 교호 모델
을 활용하여 ‘시중 리더십의 삼원적 교호 모델’을 구축하였다. 이 모델의 세 축을 형
성하는 변수는 리더, 대상자, 상황이다. 셋째, 피들러의 합상황 이론에서는 일정한 과

10) Manz, C. C., The art of self-leadership: Strategies for personal effectiveness in
your life and work,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3; Manz, C. C.,
Self-leadership: Toward an expanded theory of self-influence processes in
organization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1, 1986. pp. 585-600; 이희영,
『셀프리더십과 개인성과의 관련성』, 영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6, 17-31쪽 참조.
11) Bandura, A., Social learning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1977;
Bandura, A., The self system in reciprocal determinism, American Psychologist,
37, 1978, pp. 344-358.

- 4 -
업을 수행하는 조직을 대상으로 리더-구성원 관계, 과업구조, 직위권력이라는 상황특
성을 제시하고 있다. 그에 비해 본 연구에서는 개인, 가정, 국가 등 다양한 수준에서
의 상황을 상정하고 그 각각의 상황에 합당한 리더십을 고찰한다. 그리고 합상황 이
론에서는 리더-구성원 관계를 상황변수로 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리더와 대상자
를 시중 리더십의 삼원적 교호모델의 두 축으로 삼아 연구를 진행한다. 넷째, 맨쯔가
제시한 셀프리더십은 개인이 스스로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어간다는 기본 시각을
갖고 있다. 이는 유가의 수신이나 수기와 맥락이 통한다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맨
쯔가 과업을 수행하는 조직을 상정하고 그런 조직에서 더 나은 개인성과를 산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셀프리더십을 제시하고 있는데 비해, 본 연구에서는 근본적이고 도
덕적인 측면에서의 자기관리를 상정한다.

3. 연구의 방법과 범위

본 연구는 문헌연구(文獻硏究)를 중심으로 진행된다. 『주역』에 나타나 있는 리더의


시중하는 모습을 천착함에 있어서는 유가철학적(儒家哲學的)인 방법과 아울러 사회인
지이론이나 리더십과 같은 사회과학적(社會科學的)인 연구와 개념을 활용한다. 또한 이
전해경(以傳解經)의 관점에 입각하여 『역전(易傳)』에 나타나 있는 리더의 시중하는 모
습을 토대로 『역전』뿐만 아니라 『역경(易經)』의 내용도 고찰한다. 『주역』의 경문과 전
문을 해석함에 있어서는 의리주역(義理周易)과 상수주역(象數周易)으로 대별되는 『주
역』의 연구방법 중에서 의리주역에 기본적으로 의거한다.
본 연구는 전체 7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Ⅰ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
선행연구의 검토, 연구의 방법과 범위에 대해 살펴본다. 제Ⅱ장에서는 『주역』의 기본
성격을 변역(變易), 시(時), 중(中)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고찰한다. 제Ⅲ장에서는
『주역』 속에 나타나 있는 시중의 지혜를 시중적(時中的) 질서관(秩序觀), 수시변통(隨
時變通), 우환의식(憂患意識)을 통해 살펴본다. 제Ⅳ장 시중 리더십과 『주역』의 리더
에서는 먼저 시중 리더십과 관련되는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그 선행연구를 토대로
‘시중 리더십에 대한 삼원적 교호 모델’을 구축한다. 그리고 시중 리더십의 중심적인
위치에 있는 『주역』 속의 리더에 대해 살펴본다. 제Ⅴ장에서는 시중 리더십을 리더와
대상자 간의 상응, 즉 오효와 이효 간의 상응 측면에서 살펴본다. 제Ⅵ장에서는 시중
리더십을 리더와 대상자의 상황과의 관계, 즉 합상황(合狀況) 측면에서 살펴본다. 끝

- 5 -
으로 제Ⅶ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연구의 시사점을 살펴본 뒤, 연구의 한계
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알아본다.

- 6 -
Ⅱ. 『주역(周易)』의 기본 성격

1. 변역(變易)

1) 역(易)

한대(漢代)의 정현(鄭玄)은 ‘역(易)’의 의미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말한다.

역이라는 이름에는 하나의 말에 세 가지 의미를 포함한다. 이간(易簡)이 그 하나이


며, 변역(變易)이 그 두 번째이며, 불역(不易)이 세 번째이다.12)

먼저 이간(易簡)은 쉽고 간명하다는 뜻이다. 「계사전」에 따르면, ‘역’은 번잡성 속


에서 간명성과 평이성을 본다. 변역(變易)은 변화와 전환을 뜻한다. 간명하고 항상된
것이 ‘역’ 속의 상(象)과 공식(公式)이지만, 상과 공식은 오로지 어떤 특정한 종류의
사물만 대입할 수 있는 것이 아닌 까닭에, ‘역’은 또한 고정적인 표준을 세울 수 없
고 오직 적절한 경우로 변화할 뿐이다. 불역(不易)은 불변성을 뜻한다. ‘역’은 변동
속에서 항상성을 본다.13) 이를 달리 설명하면, 이간(易簡)이란 하늘과 땅이 서로 영향
을 미쳐 만물을 생성케 하는 이법(理法)은 실로 단순하며, 그래서 알기 쉽고 따르기
쉽다는 뜻이다. 변역(變易)이란 천지간의 현상, 인간 사회의 모든 사행(事行)은 끊임
없이 변화한다는 뜻이다. 그리고 불역(不易)이란 이런 중에도 결코 변하지 않는 줄기
가 있으니 예컨대, 하늘은 높고 땅은 낮으며 해와 달이 갈마들어 밝히고 부모는 자애
를 베풀고 자식은 그를 받들어 모시는 것과 같다는 것이다.14) 역의 이러한 세 가지
뜻을 통칭하여 역삼의(易三義)라고 하며, 그 구체적인 내용은 「계사전(繫辭傳)」을 통
해 살펴볼 수 있다.

12) 鄭玄, 『易贊』; 林忠軍, 『周易鄭氏學闡微』, 손흥철ㆍ임해순 옮김, 『정현의 주역』, 예문서원,
2021, 127-128쪽.
13) 馮友蘭, 『中國哲學史新編』 Ⅱ, 北京: 人民出版社, 1986, 334쪽 참조.
1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3344.

- 7 -
하늘은 높아서 존귀하고 땅은 낮아서 비천하니, 건과 곤의 자리가 정해진다. 높고
낮음이 이로써 배열되니, 귀한 것과 천한 것이 자리를 잡는다. 움직이고 멈추는 것에
일정한 법칙이 있으니, 강한 것과 부드러운 것이 구분된다. 만물은 그 성향에 따라
같은 종류끼리 모이고, 무리를 지어 구분되니, 여기에서 길하고 흉한 것이 생겨난다.
하늘에 걸려 있는 것은 상이 되고, 땅에 있는 것은 형체가 되니, 여기에서 변과 화가
나타난다.15)

그러므로 강한 것과 부드러운 것이 서로 마찰하며, 팔괘가 서로 움직인다. 우레와


번개로 고무시키며, 바람과 비로 적신다. 해와 달이 운행하여, 한 번 추웠다 한 번
더웠다 한다. 건의 도가 남성이 되고, 곤의 도가 여성이 된다. 건은 큰 시작을 주관
하고, 곤은 만물을 이루어 낸다.16)

건은 쉬운 방식을 통하여 주관하는 작용을 하고, 곤은 간단한 방식으로 이루는 역


할을 한다. 쉬우면 알기 쉽고, 간단하면 따르기 쉽다. 알기 쉬우면 친숙해지고, 따르
기 쉬우면 공을 이룰 수 있다. 친숙함이 있으면 오래 유지될 수 있고, 이룬 공이 있
으면 커질 수 있다. 오래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은 어진 이의 덕이고, 커질 수 있다는
것은 어진 이의 사업이다. 쉽고 간단해서 천하의 이치를 파악하게 되니, 천하의 이치
를 파악하게 되면, 그 적합한 곳에 자리를 잡게 된다.17)

위의 인용문에서 첫째 예문은 불역을, 둘째 예문은 변역을, 셋째 예문은 이간을 설


명하고 있다. 여기에서 불역은 만물이 변화한다는 사실 그 자체가 절대로 불변함, 즉
변화의 항상성을 의미하며,18) 변역을 가능케 하는 근거가 된다.19) 그리고 불역과 변

15) 『周易』 「繫辭上傳」 제1장: 天尊地卑 乾坤定矣 卑高以陳 貴賤位矣 動靜有常 剛柔斷矣 方
以類聚 物以羣分 吉凶生矣 在天成象 在地成形 變化見矣; 『周易』의 원문은 朱熹의 『周易
本義』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원문의 발음은 『周易諺解』 宣祖本을 따랐음. 그리고 원문에
대한 번역은 정병석 역주, 『주역』 상ㆍ하(을유출판사, 2014, 2015)를 주로 참고하였으며,
그 이외에 이기동 역해, 『주역강설』 상ㆍ하(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97), 김석진, 『대산주역
강의』 1ㆍ2ㆍ3(한길사, 1999). 성백효 역주, 『주역전의』 상ㆍ하(전통문화연구회, 2001) 등
을 참고하였음.
16) 『周易』 「繫辭上傳」 제1장: 是故 剛柔相摩 八卦相盪 鼓之以雷霆 潤之以風雨 日月運行 一
寒一署 乾道成男 坤道成女 乾知大始 坤作成物.
17) 『周易』 「繫辭上傳」 제1장: 乾以易知 坤以簡能 易則易知 簡則易從 易知則有親 易從則有功
有親則可久 有功則可大 可久則賢人之德 可大則賢人之業 易簡而天下之理得矣 天下之理得
而成位乎其中矣.
18) 이시우, 「변역의 도와 우환의식의 관계 고찰」, 『동서철학연구』 제66호, 한국동서철학회,
2012, 96쪽 참조.
19) 이선경, 「선진유가에 있어서의 시중의 문제」, 『동양철학연구』 제55집, 동양철학연구회,
2008, 312쪽.

- 8 -
역은 체용(體用) 관계이며, 불역의 체와 변역의 용은 본질적으로 구별되는 별도의 것
이 아닌 체용불이(體用不二)의 관계이다.20) 그리고 이때의 체는 ‘무체(无體)’를 체로
삼는 것이며, 또 ‘무체의 체’에 어떠한 집착도 하지 않는 것이다.21) 이와 관련하여
「계사전」에서는 “천지의 신비한 운행변화는 고정된 방식이나 방향이 없고, 역도의 운
행 또한 고정된 형체나 형식이 없다.”22)라고 말한다. 따라서 불역이 아니면 변역이
없지만, 동시에 변역이 없이는 불역을 볼 수 없는 것이다.23)

체로 말미암아 작용을 이루는 것은 불역이면서 변역인 것이고, 작용하는 현장에서


체를 인식하는 것은 변역에서 불역을 보는 것이다.24)

변역은 일음일양(一陰一陽)으로 드러나는 도의 작용이며,25) 음양대대(陰陽對待)에


의한 균형과 조화이다.26) 또한 건곤음양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얻는 생명살림의 활동
이다.27) 이간은 인간의 도를 의미하며, 건곤음양의 도를 인간의 입장에서 해석하는
것이다. 건과 곤의 덕성은 이지(易知)와 간능(簡能)이다. 「계사전」에서는 이지와 간능
을 현인(賢人)의 덕(德)과 업(業)으로 설명하며, 이러한 이간의 반영으로서 덕ㆍ업을
성취하면 천하의 이치를 얻을 수 있다고 설명한다.
시중(時中)은 이러한 불역, 변역, 이간이 혼연하게 하나가 된 행동이다. 그런데, 그
것이 하나의 행동인 이상 그것이 드러나는 현장은 변역(變易)의 세계 속에서이다.28)
다시 말해 『주역』의 시중은 변화(變化)를 전제로 하며, 그 변화 속에서 진면목을 드
러낸다.

20) 이선경, 「선진유가에 있어서의 시중의 문제」, 『동양철학연구』 제55집, 동양철학연구회,


2008, 313-314쪽 참조.
21) 高悔民, 『先秦易學史』, 台北, 自行出版, 民國 79年, 292-293쪽.
22) 『周易』 「繫辭上傳」 제4장: 神无方而易无體.
23) 이선경, 「선진유가에 있어서의 시중의 문제」, 『동양철학연구』 제55집, 동양철학연구회,
2008, 314쪽 참조.
24) 熊十力, 『讀經示要』, 台北, 廣文書局, 1972, 54-55쪽: 由體成用 是不易而變易 卽用識體
是於變易而見不易.
25) 이선경, 「선진유가에 있어서의 시중의 문제」, 『동양철학연구』 제55집, 동양철학연구회,
2008, 319쪽.
26) 이시우, 「변역의 도와 우환의식의 관계 고찰」, 『동서철학연구』 제66호, 한국동서철학회,
2012, 95쪽 참조.
27) 이선경, 「선진유가에 있어서의 시중의 문제」, 『동양철학연구』 제55집, 동양철학연구회,
2008, 320쪽.
28) 이선경, 「선진유가에 있어서의 시중의 문제」, 『동양철학연구』 제55집, 동양철학연구회,
2008, 329쪽 참조.

- 9 -
2) 변화(變化)

“변화에 대한 인식, 여기에서부터 철학적(哲學的) 사유(思惟)가 시작된다.”29)는 말


이 있다. 『주역(周易)』은 바로 이러한 변화를 말하는 책(Book of Changes)이다. 그
렇지만 『역경(易經)』에는 변화라는 말이 나오지 않으며, 『역전(易傳)』에 이르러 비로
소 변화에 대한 언급이 등장하고 있다. 따라서 변화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역전』
이 저술된 시기에 정립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주역』은 『역전』이 성립됨으
로써 비로소 철학서(哲學書)로서의 면모를 갖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역전』에서 말
하는 변화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변화의 주체(主體)와 인과관계(因果關係)

먼저 『주역』에 나타나 있는 변화에 대한 정의(定義)부터 살펴본다. 『주역』에서는


변화에 대해 “한번 닫고 한번 여는 것”30) 또는 “바꾸어 적절하게 마름질하는 것”31)
이라고 말한다. 다시 말해 변화란 음과 양, 건과 곤, 하늘과 땅이 서로 교류하고 통
일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변화란 음양이 서로 전환하면서 제약하고 서로 대립하면서
통일하는 것을 말한다.

① 변화의 주체

이러한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주체는 무엇인가? 『주역』에서는 변화의 주체로 건도


(乾道), 강유(剛柔), 괘효(卦爻), 천지(天地), 사계절(四季節), 인간(人間) 등을 언급하고
있다.
먼저 건괘(乾卦) 「단전(彖傳)」에서는 “건도가 변화하여 성명(性命)을 바르게 한다
.”32)고 말한다. 건도가 변화의 주체라는 것이다. 건도는 천도(天道), 즉 자연의 운행
법칙을 말한다. 성명(性命)은 만물이 부여받은 본성(本性)과 하늘로부터 부여받은 명
(命)을 말한다.
「계사상전(繫辭上傳)」과 「계사하전(繫辭下傳)」에서는 “강과 유가 갈마들어 무궁한

29) 최영진, 「『주역』 – 주역의 도와 음양대대의 원리」, 네이버 지식백과.


30) 『周易』 「繫辭上傳」 제11장: 一闔一闢謂之變.
31) 『周易』 「繫辭上傳」 제12장: 化而裁之謂之變.
32) 『周易』 乾卦 「彖傳」: 乾道變化 各正性命.

- 10 -
변화가 생긴다”33)고 한다. 따라서 강과 유가 변화의 주체임을 알 수 있다.
「계사상전」에서는 “괘효의 변화가 나아감과 물러남의 상징”34)이고, “효사를 통해
효의 변화를 알 수 있다”35)고 함으로써 괘와 효가 변화의 주체임을 밝히고 있다.
곤괘(坤卦) 「문언전(文言傳)」에서는 “천지가 변화하면 초목이 번성한다”36)고 한다.
「계사상전」에서는 “천지가 변화하니 성인이 이것을 본받는다”37)고 하고, “하늘의 상
(象)과 땅의 형체(形體)에서 변화가 나타난다”38)고 말한다. 이러한 문장을 통해 천지
가 변화의 주체임을 알 수 있다.
항괘(恒卦) 「단전」에서는 “사계절이 변화하여 오랫동안 이룰 수 있다”39)고 하고,
비괘 「단전」에서는 “천문(天文)을 보아 사계절의 변화를 관찰한다”40)고 한다. 따라서
이때 변화의 주체는 사계절이다.
「계사상전」에서는 “견주어 헤아린 다음에 말하고, 따져본 다음에 움직이니, 견주고
따져서 그 변화를 이룬다”41)고 한다. 여기에서 견주고 따지는 주체는 인간이고, 그로
인한 변화의 주체도 인간이다. 다시 말해, 인간은 견주어 헤아린 다음에 말의 변화를
추구하고, 따져본 다음에 행동의 변화를 도모한다.
이처럼 변화의 주체로 거론된 것들 중에서 건도, 강유, 괘효는 추상적(抽象的)이고
관념적(觀念的)인 것이라면 천지, 사계절, 인간은 구체적(具體的)이고 현실적(現實的)
인 것이다. 건도, 강유, 괘효가 천지와 인간의 특성을 추상화(抽象化)한 것이라고 보
면 결국 현실 세계 속에서 변화를 주도하는 세력은 천지와 인간, 즉 삼재(三才)라고
할 수 있다.

② 변화의 인과관계

변화를 가져오는 원인(原因)과 그 변화로 인한 결과(結果)를 『주역』을 통해 살펴보


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계사하전」에서는 변화의 원인으로 궁함을 들고 있다. 궁색(窮塞)함에 이르러

33) 『周易』 「繫辭上傳」 제2장: 剛柔相推而生變化; 剛柔相推 變在其中矣.


34) 『周易』 「繫辭上傳」 제2장: 變化者 進退之象也.
35) 『周易』 「繫辭上傳」 제3장: 爻者 言乎變者也.
36) 『周易』 坤卦 「文言傳」: 天地變化 草木蕃.
37) 『周易』 「繫辭上傳」 제11장: 天地變化 聖人效之.
38) 『周易』 「繫辭上傳」 제1장: 在天成象 在地成形 變化見矣.
39) 『周易』 恒卦 「彖傳」: 四時變化而能久成.
40) 『周易』 賁卦 「彖傳」: 觀乎天文 以察時變.
41) 『周易』 「繫辭上傳」 제8장: 擬之而後言 議之而後動 擬議以成其變化.

- 11 -
서는 변화를 모색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한 변화 속에서 해결책이 생기고, 오래 지
속될 수 있는 토대가 만들어진다.42)
「계사상전」에서는 “강과 유가 갈마들어 무궁한 변화가 생긴다”43)고 한다. 음과 양,
낮과 밤이 교대하는 가운데 끝없는 변화가 일어나는 것이다.
「설괘전(說卦傳)」에서는 “산과 못의 기운이 통한 뒤에라야 변화할 수 있어서 만물
을 다 이룬다”44)고 한다. 만물을 구성하는 기본 요소들의 기운이 교류한 뒤에 변화가
일어나며, 그러한 변화를 통해 만물이 생성된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산과 못은 만물
의 대명사라고 할 수 있다. 산은 간괘(艮卦)로서 양을 상징하며, 못은 태괘(兌卦)로서
음을 상징한다. 그리고 만물을 추상하면 결국 음과 양이 남게 된다. 따라서 음과 양
이라는 두 기운이 교류함으로써 변화가 일어나고 만물이 생성되는 것이다. 좀 더 부
연하면, 우주의 기본적인 구성요소이면서 그 운행의 주체가 되는 것은 바로 음과 양
이라는 두 기운이다.45) 그러므로 만물의 생장소멸(生長消滅) 또한 이런 기의 이합집
산(離合集散)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46)
「계사상전」에서는 “견주어 헤아린 다음에 말하고, 따져본 다음에 움직이니, 견주고
따져서 그 변화를 이룬다”47)고 함으로써, 인간의 견주고 따져보는 행위가 변화를 가
져온다고 말한다.
이처럼 『주역』은 변화의 원인으로 궁함, 강유의 갈마듦, 음양이라는 두 기운의 통
함, 견주고 따짐 등을 제시한다.
변화의 결과와 관련하여 먼저 「계사하전」에서는 궁색함을 해소하기 위해 변화를
모색하면, 소통(疏通)의 길이 열리게 되고, 한번 소통이 되면 오래 지속될 수 있다고
말한다.48)
건도, 사계절, 천지 등 자연의 운행 법칙이 변화하면 성명(性命)이 바르게 되고, 그
러한 변화가 그침이 없이 오랫동안 이루어지면, 초목이 번성하게 된다. 그리고 성인
은 이러한 자연의 변화를 본받아서 인간을 교화한다.

건도가 변화하여 각각 성명을 바르게 한다.49)

42) 『周易』 「繫辭下傳」 제2장: 易 窮則變 變則通 通則久.


43) 『周易』 「繫辭上傳」 제2장: 剛柔相推而生變化.
44) 『周易』 「說卦傳」 제6장: 山澤通氣然後 能變化 旣成萬物也.
45) 윤상철, 『역경의 천인합일관 연구』, 성균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66쪽 참조.
46) 『周易』 「繫辭上傳」 제4장: 精氣爲物 游魂爲變.
47) 『周易』 「繫辭上傳」 제8장: 擬之而後言 議之而後動 擬議以成其變化.
48) 『周易』 「繫辭下傳」 제2장: 易 窮則變 變則通 通則久.

- 12 -
사계절이 변화하여 오랫동안 이룰 수 있다.50)
천지가 변화하면 초목이 번성한다.51)
천지가 변화하니 성인이 이것을 본받는다.52)

「설괘전(說卦傳)」에서는 “산과 못의 기운이 통한 뒤에라야 변화할 수 있어서 만물


을 다 이룬다”53)고 한다. 만물을 구성하는 기본 요소, 즉 음양의 교류를 통해 변화가
일어나고, 그러한 변화를 통해 만물이 생성된다는 것이다.
음양의 변화에 따라 행동하면 상서로움이 있게 되고, 괘효는 그 변하고 움직이는
것을 통해 이로움의 방책에 대해 말하며, 그러한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함에 따라서
공(功)과 업적(業績)이 나타난다.

변화하고 말하고 행동하는 가운데 길한 일에는 상서로움이 있다.54)


변하고 움직이는 것은 이로움으로써 말한다.55)
공과 업적은 변하는 데서 나타난다.56)

이처럼 『주역』은 변화로 인한 결과로 소통, 성명을 바르게 함, 오래 이룸, 초목이


번성함, 본받음, 만물을 이룸, 상서로움, 이로움, 공과 업적 등을 들고 있다.

③ 변화의 쓰임새

『주역』은 변화의 쓰임새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주역』에는 성인이 사용하는 네 가지 도가 갖추어져 있다. 『주역』을 토대로 말을 하


는 사람은 괘사와 효사를 숭상하고, 『주역』을 토대로 행동하는 사람은 그 변화를 숭
상하고, 『주역』을 토대로 기물을 만드는 사람은 괘상과 효상을 중시하고, 『주역』을
토대로 점서를 행하는 사람은 그 점치는 기능을 숭상한다.57)

49) 『周易』 乾卦 「彖傳」: 乾道變化 各正性命.


50) 『周易』 恒卦 「彖傳」: 四時變化而能久成.
51) 『周易』 坤卦 「文言傳」: 天地變化 草木蕃.
52) 『周易』 「說卦傳」 제6장: 天地變化 聖人效之.
53) 『周易』 「說卦傳」 제6장: 山澤通氣然後 能變化 旣成萬物也.
54) 『周易』 「繫辭下傳」 제12장: 變化云爲 吉事有祥.
55) 『周易』 「繫辭下傳」 제12장: 變動以利言.
56) 『周易』 「繫辭下傳」 제1장: 功業見乎變.
57) 『周易』 「繫辭上傳」 제10장: 易有聖人之道四焉 以言者尙其辭 以動者尙其變 以制器者尙其

- 13 -
군자는 평소에 편안하게 거처할 때는 괘효의 상징을 살펴보고 그 말이 가진 의미를
음미하며, 어떤 일이 있어 움직일 때는 괘효의 변하는 것을 관찰하여 길흉의 점단을
음미한다.58)

인간은 행동할 때 변화를 숭상한다. 변화를 살펴서 자신의 행동을 결정한다는 것이


다. 구체적으로, 괘와 효의 변화하는 모습을 관찰한 뒤, 길흉(吉凶)을 나타내는 점단
사(占斷辭)를 음미하고, 그 결과에 따라 행동을 결정한다. 따라서 인간이 『주역』을 참
고해서 어떤 행동을 할 때에는, 괘효의 변화 관찰 → 길흉의 점단사 음미 → 행동 결
정의 단계를 거치게 된다.

(2) 음양의 변화원리

앞에서 변화를 주도하는 세력은 결국 천지와 인간임을 알 수 있었다. 천지와 인간


은 더 근원적으로 올라가 추상(抽象)하면 음양이 된다. 다시 말해 이 우주를 구성하
고 운행하는 주체는 음양이라는 두 기운이다. 이처럼 역도(易道)는 음과 양이 갈마들
며 순환하는 원리에 입각해 있다. 낮과 밤이 갈마들어 하루가 되고, 사계절이 순환하
여 일 년이 이루어지듯이, 음과 양이 번갈아 변화하며 유전(流轉)하는 것이 역경철학
(易經哲學)의 원리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59)
이러한 음양의 변화원리는 곧 ‘음양대대(陰陽對待)’의 원리를 말한다. 이와 관련하
여 최영진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첫째, 대대라는 관계는 상반적(相反的)인 타자(他
者)를 적대적인 관계로 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존재성을 확보하기 위한 필수적 전
제로서 요구하는 관계이다. 둘째, 음양의 상반적 또는 상호모순적(相互矛盾的) 관계를
상호 배척적 관계로 보는 것이 아니라 상호성취의 관계, 더 나아가 추동력(推動力)의
근거로 본다는 점이다. 이것이 이른바 상반상성(相反相成)의 논리이다. 셋째, 대대관
계에 있는 양자는 대대관계에 있다는 그 자체로서 균형과 조화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규정하려는 경향이 강하다.60)
이제 『주역』을 통해 음양의 변화원리, 즉 음양대대의 원리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象 以卜筮者尙其占.
58) 『周易』 「繫辭上傳」 제2장: 君子居則觀其象而玩其辭 動則觀其變而玩其占.
59) 윤상철, 『역경의 천인합일관 연구』, 성균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81쪽 참조.
60) 최영진, 『역학사상의 철학적 연구』, 성균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9, 35-36쪽 참
조.

- 14 -
① 음양의 대대(對待)와 순환(循環)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음과 양은 상반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지만 그렇기 때문에 서


로가 갖지 못한 점을 보완해 주면서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 교류하고 감응
(感應)하는 그런 관계 속에 있다. 다시 말해, 음양은 상호 대립적이면서도 상호 보완
적인 대대의 성격을 갖고 만물을 생성하고 화육(化育)한다.61) 『주역』은 이러한 음양
을 최고의 유개념(類槪念)으로 삼아 만사만물을 분류하고 있다. 그리고 음양의 대대
가 우주 운행의 근본 원리이자 만물의 생성 원리라고 주창한다. 이런 『주역』의 성격
과 관련하여 장자(莊子)와 정이(程頤)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주역』은 음양의 변화를 서술한 것이다.62)

도는 한 번은 음하고 한 번은 양하는 것이다. 움직임과 고요함에는 끝이 없고, 음


과 양에는 시작이라는 것이 없으니, 도를 알지 못하는 사람이라면 누가 이를 알 수
있겠는가? 움직임과 고요함이 서로 원인이 되어서 변화를 이루는 것이다.63)

장자와 정이가 갈파한 것처럼, 『주역』은 음양의 변화를 서술하고 있으며, 음양의
갈마듦을 통해 변화가 일어난다고 말한다. 다시 말해 음양이라는 관점을 통해 세상을
바라보며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옛날 성인이 역을 지은 것은 장차 성명의 이치를 따르고자 한 것이다. 이 때문에


하늘의 도를 세워 음과 양이라 하고, 땅의 도를 세워 유(柔)와 강(剛)이라 하고, 사람
의 도를 세워 인(仁)과 의(義)라 한다.64)

한 번 음하고 한 번 양하는 것을 도라고 말하니, 이것을 이어받는 것이 선(善)이고,


이를 이룬 것이 성(性)이다.65)

61) 윤상철, 『역경의 천인합일관 연구』, 성균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65쪽.


62) 『莊子』, 「天下」 제3장: 易以道陰陽.
63) 『程氏經說』 卷一, 易說, 卦辭; 道者 一陰一陽也 動靜无端 陰陽无始 非知道者 孰能識之
動靜相因而成變化.
64) 『周易』 「說卦傳」 제3장: 昔者聖人之作易也 將以順性命之理 是以立天之道曰陰與陽 立地之
道曰柔與剛 立人之道曰仁與義.
65) 『周易』 「繫辭上傳」 제5장: 一陰一陽之謂道 繼之者善也 成之者性也.

- 15 -
해가 가면 달이 오고, 달이 가면 해가 와서, 해와 달이 갈마들어 밝음이 생긴다. 추
위가 가면 더위가 오고, 더위가 가면 추위가 와서, 추위와 더위가 갈마들어 한해가
이루어진다. 가는 것은 굽히는 것이고, 오는 것은 펴는 것이니, 굽히고 폄이 서로 교
감하여 이로움이 생긴다.66)

이와 관련하여 「설괘전(說卦傳)」에서는 천지인의 음양 관계를 음과 양, 강과 유, 인


과 의라는 대등한 쌍개념들의 조화관계로 설명하고 있다.67) 그리고 「계사상전」에서는
음과 양이 갈마드는 것을 역의 도라고 말하여, 음양의 교대가 『주역』이 주창하는 근
본 법칙임을 밝히고 있다. 또한 「계사하전」에서는 해와 달, 추위와 더위의 갈마듦을
통해 하루의 낮과 밤, 일 년의 사계절이 교대하고 순환하는 것 또한 음양의 갈마듦에
그 까닭이 있음을 말하고 있다.

움직이고 멈추는 것에 일정한 법칙이 있으니, 양의 강과 음의 유가 분명하게 구분


된다.68)
강과 유는 근본을 세우는 것이고, 변화와 소통은 때에 따르는 것이다.69)
강과 유가 갈마들어 무궁한 변화를 낳는다.70)
변하는 것과 화하는 것은 나아감과 물러남의 상징이고, 강효와 유효는 낮과 밤의 상
징이니, 육효(六爻)가 변동하는 것은 천지인 삼극(三極)의 도리이다.71)

우주변화의 근원인 음양의 동정(動靜)은 강과 유로 체현(體現)된다.72) 이러한 강과


유가 갈마들어 무궁한 변화가 일어난다. 그리고 강과 유의 변화와 소통은 상황의 필
요에 따라 일어난다.

② 천지의 감응(感應)

음양이 현실 세계 속에서 구체적으로 체현된 것이 천지이다.73) 『주역』은 이러한 천

66) 『周易』 「繫辭下傳」 제5장: 日往則月來 月往則日來 日月相推而明生焉 寒往則暑來 暑往則


寒來 寒暑相推而歲成焉 往者屈也 來者信也 屈信相感而利生焉.
67) 임채우, 「주역 음양 관계론의 정합성 문제: 음양대대와 부양억음의 논리적 상충 문제를 중
심으로」, 『동서철학연구』 제72호, 한국동서철학회, 2014, 47쪽.
68) 『周易』 「繫辭上傳」 제1장: 動靜有常 剛柔斷矣.
69) 『周易』 「繫辭下傳」 제1장: 剛柔者 立本者也 變通者 趣時者也.
70) 『周易』 「繫辭上傳」 제2장: 剛柔相推而生變化.
71) 『周易』 「繫辭上傳」 제2장: 變化者 進退之象也 剛柔者 晝夜之象也 六爻之動 三極之道也.
72) 윤상철, 『역경의 천인합일관 연구』, 성균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73쪽.

- 16 -
지의 도리를 준칙(準則)으로 삼는다. 따라서 만물이 본받아야 할 모범적인 모습으로
는 하늘과 땅보다 더한 것이 없다. 하늘의 형상과 땅의 형체를 통해 변과 화를 가늠
할 수 있다. 천지의 영허소식(盈虛消息), 즉 차고 비고 줄어들고 불어나는 그러한 변
화는 때와 더불어 일어난다.

『주역』을 지은 것은 천지의 도리를 준칙으로 삼았는데, 이 때문에 천지간의 모든


도리를 남김없이 포함하여 조리 있게 짜고 있다.74)
하늘과 땅이 자리를 베풀면 『주역』의 도리가 그 가운데에서 행해지니, 이루어진 본
성을 간직하고 간직하는 것이 도와 의에 들어가는 문이다.75)
본받을 만한 상으로는 하늘과 땅보다 더 큰 것이 없고, 변화하고 소통하는 것으로
는 사계절보다 더 큰 것이 없다.76)
하늘에 걸려 있는 것은 상이 되고, 땅에 있는 것은 형체가 되니, 여기에서 변과 화
가 나타난다.77)
해가 중천에 있으면 기울고, 달이 차면 줄어드니, 천지의 차고 비는 것도 때와 더
불어 줄어들고 불어난다.78)

이러한 천지가 있고 난 뒤에, 그리고 이러한 천지가 감응하고 교감함으로써 비로소


만물이 생겨난다. 천지가 바로 만물의 본원(本源)인 것이다. 천지는 만물을 생겨나게
할뿐만 아니라 또한 만물을 기르고 번성하게 한다. 천지의 조화와 상응은 『주역』이
제시하고 있는 존재 생성의 기본 관점인 것이다.79)

천지가 있고 난 뒤에 만물이 생겨난다.80)


천지가 감응하여 만물이 화생(化生)한다.81)
천지의 기운이 서로 얽혀 교감함에 만물이 변화를 일으켜 두텁게 엉키고, 남녀가
정기를 합침에 만물이 변화를 일으켜 생겨난다.82)

73) 윤상철, 『역경의 천인합일관 연구』, 성균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82쪽 참조.
74) 『周易』 「繫辭上傳」 제4장: 易 與天地準 故能彌綸天地之道.
75) 『周易』 「繫辭上傳」 제7장: 天地設位而易行乎其中矣 成性存存道義之門.
76) 『周易』 「繫辭上傳」 제11장: 法象莫大乎天地 變通莫大乎四時.
77) 『周易』 「繫辭上傳」 제1장: 在天成象 在地成形 變化見矣.
78) 『周易』 豐卦 「彖傳」: 日中則昃 月盈則食 天地盈虛 與時消息.
79) 최정묵, 「주역적 관점의 자연과 인간」, 『철학논총』 제51집 제1권, 새한철학회, 2008, 309
쪽.
80) 『周易』 「序卦傳」: 有天地然後 萬物生焉.
81) 『周易』 咸卦 「彖傳」: 天地感而萬物化生.
82) 『周易』 「繫辭下傳」 제5장: 天地絪縕 萬物化醇 男女構精 萬物化生.

- 17 -
천지가 만물을 기른다.83)
천지가 변화하면 초목이 번성하고, 천지가 막히면 어진 사람이 숨는다.84)
천지가 풀려서 우레가 치고 비가 온다. 우레가 치고 비가 오니, 수많은 과목과 초
목의 껍질이 모두 열려서 터진다.85)

천지는 기본적으로 상반된 특성을 지니고 있다. 천지를 닮은 남녀나 만물 또한 마


찬가지이다. 따라서 때로는 어긋나지만 궁극적으로 하고자 하는 일과 뜻은 다르지 않
다. 음양이 대대하고 상반상성하는 그 원리에서 천지가 벗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천지가 어긋나도 그 일은 같고, 남녀가 어긋나도 그 뜻은 통하며, 만물이 어긋나도


그 일은 비슷하다.86)

『주역』은 건괘(乾卦)와 곤괘(坤卦)로부터 시작되고, 나머지 62괘가 모두 이 두 괘의


변화에서 생겨난 것이므로, 건괘와 곤괘를 『주역』의 문(門)이라고 말한다. 건은 양의
성질을 대변하고, 곤은 음의 성질을 대변한다. 건괘와 곤괘가 성립됨에 따라 음과 양
의 덕이 어울려 강과 유라는 괘의 성격이 정해진다. 이로써 천지만물의 변화와 생명
현상을 드러낼 수 있고, 신명(神明)의 숨어 있는 작용과 이치에도 통달하게 된다.

건과 곤은 『주역』의 문인가? 건은 양의 물건이고, 곤은 음의 물건이다. 음과 양이


덕을 합해서, 강유가 형체를 갖게 된다. 이로써 천지의 일을 체현하고, 신명의 덕에
통달한다.87)

건곤은 역의 근본 바탕이 아닌가? 건곤이 (상하) 배열을 이루면 (천지의 변화인) 역


이 그 가운데에 성립되니 건곤이 없어지면 역을 볼 수 없고, 역을 볼 수 없으면 건곤
의 작용도 거의 그치게 될 것이다.88)

천지를 추상한 것이 건곤이다. 건은 만물을 시작하게 하고, 강건함으로 하늘을 통

83) 『周易』 頤卦 「彖傳」: 天地養萬物.


84) 『周易』 坤卦 六四 「文言傳」: 天地變化 草木蕃 天地閉 賢人隱.
85) 『周易』 解卦 「彖傳」: 天地解而雷雨作 雷雨作而百果草木皆甲拆.
86) 『周易』 睽卦 「彖傳」: 天地睽而其事同也 男女睽而其志通也 萬物睽而其事類也.
87) 『周易』 「繫辭下傳」 제6장: 乾坤其易之門耶 乾陽物也 坤陰物也 陰陽合德而剛柔有體 以體
天地之撰 以通神明之德.
88) 『周易』 「繫辭上傳」 제12장: 乾坤其易之縕邪 乾坤成列而易立乎其中矣 乾坤毁則无以見易
易不可見則乾坤或幾乎息矣.

- 18 -
괄하며, 만물을 성장시켜 형체를 갖추도록 한다. 또한 자연 운행의 변화를 통해 만물
이 각각 그 본성을 간직하도록 한다. 곤은 만물을 생겨나게 하고 유순함으로 하늘의
뜻을 이어받으며, 두터움으로 만물을 싣고 포용력으로 만물을 형통하게 한다. 건은
쉬운 방식으로 주관하고, 곤은 간단한 방식으로 이룬다. 건은 고요할 때는 한결같고
움직일 때는 곧아서 큰 것을 낳고, 곤은 고요할 때는 닫혀있고 움직일 때는 열려서
넓음이 생긴다. 넓음과 큼은 하늘과 땅보다 더한 것이 없고, 변화하고 소통하는 모습
은 사계절보다 더 뚜렷한 것이 없으며, 음과 양의 변화하는 법칙은 해와 달의 교대에
서 가장 분명하게 드러나니, 이 쉽고 간략함의 원리야말로 최고의 덕이라고 할 수 있
다. 문을 닫는 것을 곤이라 하고, 문을 여는 것을 건이라 하니, 변화는 이러한 건과
곤의 닫힘과 열림 속에서 일어난다.

위대하다, 건의 원이여! 만물이 이것을 바탕으로 하여 시작하니, 이에 하늘을 통괄


한다. 구름이 움직여 비가 내리니 만물이 형체를 갖춘다. ……건도가 변화하여 각각
성명을 바르게 한다.89)

지극하다, 곤의 원이여! 만물이 이것을 바탕으로 하여 생겨나니, 이에 유순하게 하


늘의 뜻을 이어받는다. 곤이 두터움으로 만물을 싣고 있는 것은 그 덕이 하늘의 끝없
는 덕에 합치한다. 땅의 포용력이 넓고 커서 만물이 다 형통하다.90)

건은 쉬운 방식을 통하여 주관하는 작용을 하고, 곤은 간단한 방식으로 이루는 기


능을 한다.91)
건의 도가 남성이 되고 곤의 도가 여성이 되니, 건은 큰 시작을 주관하고 곤은 만
물을 이루어 내는 일을 맡는다.92)
무릇 건은 굳세니 사람들에게 평이함으로써 보여주고, 곤은 순하니 사람들에게 간
략함으로써 보여준다.93)
건은 천하의 지극히 굳센 것이니, 덕행이 항상 쉬움으로써 험한 것을 안다. 곤은
천하의 지극히 유순한 것이니, 덕행이 항상 간략함으로써 막힌 것을 안다.94)

89) 『周易』 乾卦 「彖傳」: 大哉 乾元 萬物資始 乃統天 雲行雨施 品物流形 ……乾道變化 各正


性命.
90) 『周易』 坤卦 「彖傳」: 至哉 坤元 萬物資生 乃順承天 坤厚載物 德合无疆 含弘光大 品物咸亨.
91) 『周易』 「繫辭上傳」 제1장: 乾以易知 坤以簡能.
92) 『周易』 「繫辭上傳」 제1장: 乾道成男 坤道成女 乾知大始 坤作成物.
93) 『周易』 「繫辭下傳」 제1장: 夫乾確然 示人易矣 夫坤隤然 示人簡矣.
94) 『周易』 「繫辭下傳」 제12장: 夫乾 天下之至健也 德行恒易以知險 夫坤 天下之至順也 德行
恒簡以知阻.

- 19 -
건은 고요할 때는 한결같고 움직일 때는 곧으니 그리하여 큰 것을 낳는다. 곤은 고
요할 때는 닫혀있고 움직일 때는 열리니 그리하여 넓음이 생긴다. 넓음과 큼은 하늘
과 땅에 짝하고, 변화와 소통은 사계절에 짝하며, 음과 양의 변화하는 법칙은 해와
달에 짝하고, 쉽고 간략함의 좋은 원리는 지고의 덕에 짝한다.95)

문을 닫는 것을 곤이라 하고, 문을 여는 것을 건이라 한다. 한 번 닫고 한 번 여는


것을 변화라 이르고, 가고 오는 것이 다하지 않음을 소통이라 이른다.96)

이처럼 건은 자강불식(自彊不息)하며 만물을 낳고, 곤은 건의 운행에 따라 후덕재


물(厚德載物) 하면서 만물을 기르는 덕이 있으므로, 서로 덕을 합해서 만물의 부모(父
母)가 되고 근간(根幹)이 될 수 있다. 또한 건곤이 없으면 우주(宇宙)가 존재하지 못
하고, 우주가 존재하지 못하면 건곤도 존재하지 못한다. 건곤은 우주의 큰 틀이면서
동시에 우주의 부모가 되는 것이다.97)

③ 변화: 생명(生命)의 창조과정(創造過程)

『주역』은 변화를 생명의 창조과정으로 보고, 변화의 질서 그 자체를 ‘도(道)’로 규


정한다. 『주역』의 도는 바로 자연의 변화 법칙을 말한다.98) 음양, 천지, 강유, 그리고
건곤이라는 각각 상대되는 두 기운이 교대하고 순환하며, 교감하고 감응하는 가운데
우주만물은 낳고 낳는 생명의 창조 과정을 거듭한다.
하늘과 땅의 덕은 만사만물(萬事萬物)을 생성하는 원천(源泉)이자 역량(力量)이다.
생명현상이 발현하는 데 있어 하늘의 덕성(德性)은 그 본바탕이 되고 이에 따라 땅의
덕성은 그 기반을 이루는 것이다. 전자가 모든 존재의 시초(始初)라고 말한다면, 후자
는 모든 존재의 완성(完成)이라고 할 수 있다.99)

낳고 낳는 것을 역이라고 한다.100)

95) 『周易』 「繫辭上傳」 제6장: 夫乾 其靜也專 其動也直 是以大生焉 夫坤 其靜也翕 其動也闢


是以廣生焉 廣大配天地 變通配四時 陰陽之義配日月 易簡之善配至德.
96) 『周易』 「繫辭上傳」 제11장: 闔戶謂之坤 闢戶謂之乾 一闔一闢謂之變 往來不窮 謂之通.
97) 윤상철, 『역경의 천인합일관 연구』, 성균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85쪽.
98) 최영진, 「『주역』 – 『주역』의 도와 음양대대의 원리」, 네이버 지식백과.
99) 김연재, 「변화의 세계에 대한 주역의 조망과 창조적 소통」, 『유교사상문화연구』 제54집,
한국유교학회, 2013, 85-86쪽 참조.
100) 『周易』 「繫辭上傳」 제5장: 生生之謂易.

- 20 -
천지의 큰 덕을 낳는 것이라고 말한다.101)
한 번 음하고 한 번 양하는 것을 도라고 말한다.102)

‘역’은 천지, 즉 우주만물의 자연을 철학의 본체(本體)로 삼는 사상적 패러다임의


전환을 이루어냈다. 또 그 천지는 변화를 본질로 삼고, 그 변화는 음양과 강유의 원
리로 파악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도는 궁극적으로는 우주만물의 생명현상을 포착
해내고 있다.103)

3) 변통(變通)

『주역』은 만사만물의 부단한 변화를 말할 뿐만 아니라 그 변화 속에서 인간이 어


떻게 대처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말하고 있다. 그것은 바로 변통(變通)이다. 변통의
기본 개념에 대해 「계사전」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한 번 닫히고 한 번 열리는 것을 변이라 하고, 가고 오는 것이 다함이 없는 것을


통이라 한다.104)

“한 번 닫히고 한 번 열리는 것”은 문을 닫는 곤의 작용과 문을 여는 건의 작용이


상호 교류하거나 통일되는 것을 의미하고, “가고 오는 것이 다함이 없는 것”은 한번
가고 한번 오는 변화와 발전이 끝이 없음을 말한다.105) “한번 닫히고 한번 열리는”
변함은 시간의 성격을 지니는 반면에, “가고 오는 것이 다함이 없는” 통함은 공간의
성격을 지닌다. 따라서 세계에 대한 인간의 인식은 변함과 통함의 관계 속에서 시공
간적(時空間的) 연속 구조로 표현될 수 있는 것이다.106)

바꾸어 적절하게 마름질하는 것을 변이라 하고, 미루어 행하는 것을 통이라 한다.107)

101) 『周易』 「繫辭下傳」 제1장: 天地之大德曰生


102) 『周易』 「繫辭上傳」 제5장: 一陰一陽之謂道.
103) 윤상철, 『역경의 천인합일관 연구』, 성균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01쪽.
104) 『周易』 「繫辭上傳」 제11장: 一闔一闢 謂之變 往來不窮 謂之通.
105) 정병석 역주, 『주역』 하, 을유문화사, 2015, 582쪽 참조.
106) 김연재, 「변화의 세계에 대한 주역의 조망과 창조적 소통」, 『유교사상문화연구』 제54집,
한국유교학회, 2013, 85쪽 참조.
107) 『周易』 「繫辭上傳」 제12장: 化而裁之 謂之變 推而行之 謂之通.

- 21 -
“바꾸어 적절하게 마름질하는 것”은 음양이 교감화육(交感化育)하는 가운데 도에
따라서 적절하게 마름질하는 것108)을 말하고, “미루어 행하는 것”은 음양의 전환을
미루어 행하는 것을 뜻한다.109)
이처럼 변통은 변과 통이라는 두 낱말이 결합된 것이며, 이는 곧 변화와 소통을 말
한다.110) 즉, 변통이라는 말에는 변화와 소통의 이중적 본령(本領)이 담겨 있다. 변화
는 특정의 상황 혹은 단계로 전환되는 것을 가리키며, 소통은 대립이나 상충과 같은
막힘이 없이 서로 왕래할 수 있음을 가리킨다.111) 변통의 양상은 인간사회의 현상들
을 포함한 모든 자연계의 현실적 모습이다. 그것은 내용상 모든 존재의 양적(量的)인
측면과 질적(質的)인 측면을 담고 있다. 사물 혹은 사태는 어떠한 경우이든지 간에
점차적으로 진행되면서 양적인 측면에서 정점에 다다르면 어느 정도의 규제 혹은 통
제를 통해 질적인 측면으로 거듭 나아가야 한다.112)

2. 시(時)

1) 『주역』에 있어서 ‘시’의 의미

‘시(時)’는 ‘중(中)’과 더불어 『주역』을 관통하는 핵심적인 개념이다. 그렇지만 『역


경』에는 귀매괘(歸妹卦) 구사(九四)에 ‘유시(有時)’라는 표현이 단 한 차례 보일 뿐이
다. 그에 비해 『역전』에서는 ‘시’와 관련된 표현이 「단전(彖傳)」에 삼십여 차례 등장
하고 있고 「상전(象傳)」, 「문언전(文言傳)」, 「계사전(繫辭傳)」, 「잡괘전(雜卦傳)」 등에
도 이십여 차례 언급되고 있다(표 Ⅱ-1).

108) 정병석 역주, 『주역』 하, 을유문화사, 2015, 599쪽 참조.


109) 정병석 역주, 『주역』 하, 을유문화사, 2015, 599쪽 참조.
110) 곽신환, 「주역의 변통과 개혁사상」, 『유교사상연구』 제29집, 한국유교학회, 2007, 127쪽
참조.
111) 김연재, 「주역의 생태역학과 그 생명의식」, 『아태연구』 제18권 제3호, 경희대학교아태지
역연구원, 2011, 28쪽.
112) 呂紹綱, 『周易闡微』, 吉林: 吉林大學, 1990, 96쪽.

- 22 -
<표 Ⅱ-1> 『주역』에 있어서 ‘시’의 의미(1)

출전 표현 빈도 괘효, 장 의미(비고)
易經(1) 有時 1 歸妹 九四 적절한 때

時中 1 蒙 상황
時成 1 乾 사계절의 순서
時乘 1 乾 사계절의 순서
時行 2 大有, 艮 천시, 상황
四時 5 豫, 觀, 恒, 革, 節 계절
時義 5 豫, 隨, 遯, 姤, 旅 상황(12시괘)
隨時 1 隨 상황
時變 1 賁 사계절
彖傳(34) 時 4 頤, 大過, 解, 革 상황(12시괘)
時用 3 坎, 睽, 蹇 상황(12시괘)
與時行 2 遯, 小過 상황
有時 2 損(2) 적절한 때
與時偕行 2 損, 益 상황
時升 1 升 상황
時止 1 艮 상황
失其時 1 艮 상황
與時消息 1 豊 천시

時發 1 坤 六三 상황
對時 1 无妄 천시
時舍 1 井 初六 시운
象傳(6)
明時 1 革 사계절의 변화
失時 1 節 九二 상황
時 1 旣濟 九五 적절한 때
及時 1 乾 九四 상황
時舍 1 乾 상황
與時偕行 1 乾 사계절
與時偕極 1 乾 시운
文言傳(10) 時乘 1 乾 사계절의 순서
時 2 乾 九三 상황
四時 1 乾 사계절
天時 1 乾 자연의 규칙
時行 1 坤 상황
四時 3 上 6, 9, 11장 사계절
趣時 1 下 1장 상황
繫辭傳(6)
待時 1 下 5장 상황
時 1 下 9장 상황
雜卦傳(1) 時 1 大畜 시운

이러한 ‘시’의 의미와 관련하여 김승혜는 『역전』에 나오는 ‘시’의 의미를 세 가지로

- 23 -
분류하고 있다. 첫째, 사시(四時)에 빗대어 역사의 변화를 설명할 경우에는 시가 변화
와 순환의 때를 가리킨다. 혁괘(革卦)나 절괘(節卦)의 「단전」에서 쓰이는 시의 의미가
여기에 해당한다. 둘째, 천시(天時)를 가리킨다. 곤괘의 「문언전」이나 대유괘(大有卦),
돈괘(遯卦), 간괘의 「단전」에서 쓰이는 시가 이 경우이다. 셋째, 때를 알고 행하는 성
인의 지혜를 가리킨다. 몽괘(蒙卦) 「단전」에서 시중이라고 언급한 것이 그 예이다.113)
김승혜의 분류를 염두에 두면서 『주역』에 나오는 ‘시’의 의미를 살펴본 결과, 본
연구자는 ‘시’의 의미를 ① 적절한 때, ② 천시[자연규칙, 계절], ③ 시운(時運), ④ 상
황 등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표 Ⅱ-1, 표 Ⅱ-2). 이러한 네 가지 의미 중에서
본 연구의 주제인 시중 리더십과 관련하여 주목되는 것은 바로 ‘상황’을 의미하는
‘시’이다.

<표 Ⅱ-2> 『주역』에 있어서 ‘시’의 의미(2)

의미 표현
적절한 때 有時, 時
천시[자연규칙, 계절] 時成, 時乘, 時行, 四時, 時變, 對時, 明時, 與時偕行, 天時
시운 時舍, 與時偕極, 時
時中, 時義, 隨時, 時, 時用, 與時行, 與時偕行, 時升, 時止, 失其時,
상황
時發, 失時, 及時, 時舍, 時行, 趣時, 待時

2) ‘상황(狀況)’을 의미하는 ‘시’

「단전」에서 ‘시’를 강조하는 괘로는 12시괘가 있으며, 이 12시괘의 ‘시’는 모두 ‘상


황’을 의미하고 있다(표 Ⅱ-1). 따라서 먼저 12시괘를 살펴본 뒤, ‘상황’을 의미하는
‘시’를 포함하는 나머지 내용들도 살펴보기로 한다.

(1) 12시괘

12시괘는 시(時), 시의(時義), 시용(時用)을 강조하는 괘로 나누어진다.

① 시(時)를 강조하는 괘

시를 강조하는 괘로는 이(頤)ㆍ대과(大過)ㆍ해(解)ㆍ혁(革)괘가 있다.

113) 김승혜, 『유교의 시중과 그리스도교의 식별』, 성바오로딸, 2005, 120쪽 참조.

- 24 -
이(頤)는 바르게 해야 길하다는 것은 기르는 것이 올바르면 길하다는 것이다. 길러
주는 것을 보는 것은 그 기르는 바를 관찰하는 것이다. 스스로 입안을 채울 음식을
구하는 것은 스스로 기르는 것을 살피는 것이다. 천지가 만물을 기르면, 성인이 현인
을 길러서 만민에게 미친다. 이괘의 상황에 맞게 함이 크다.114)

먼저 이괘(頤卦) 「단전」에서는 천지가 만물을 기르고 성인이 현명한 인재를 길러서


만민이 혜택을 누리도록 함에 있어서는 상황에 맞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그리고 만물이나 현명한 인재가 스스로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필요하
다.

대과(大過)는 큰 것이 지나침이다. 마룻대가 휘는 것은 근본과 말단이 약하기 때문


이다. 강이 과하게 많아도 중에 있고, 공손과 기쁨으로 행한다. 가는 바가 있으면 이
로워 형통하다. 대과괘의 상황에 맞게 함이 크다.115)

대과괘(大過卦) 「단전」에서는 어려운 시기에는 조금은 지나친 점이 있더라도 과감


하게 행동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이것이 바로 상황에 맞게 하는 것이다. 과감
하게 하더라도 중도(中道)를 지키니 형통하다.

해(解)는 위험하여서 움직이니, 움직여서 위험을 벗어나는 것이 해이다. 해는 서남


으로 가면 이롭다는 것은 가서 무리를 얻는다는 것이다. 돌아옴이 길하다는 것은 이
에 중을 얻는 것이다. 갈 바가 있으면 일찍 가면 길하다는 것은 가서 공이 있음이다.
천지가 풀려서 우레가 치고 비가 온다. 우레가 치고 비가 오니 수많은 과목과 초목의
껍질이 모두 열려서 터진다. 해괘의 상황에 맞게 함이 크다.116)

해괘(解卦) 「단전」에서는 위험하고 어려울 때는 일단 중도를 지키며 기다리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하지만, 그 어려움이 해소될 수 있는 가능성이 보이면 신속하게
해결책을 마련해서 노력하여야 한다. 겨우내 얼어붙었던 천지가 풀리면 만물이 소생
(蘇生)하는 봄이 오게 마련이다. 어떤 위험이나 어려움도 상황에 맞게 대처함으로써

114) 『周易』 頤卦 「彖傳」: 頤貞吉 養正則吉也 觀頤 觀其所養也 自求口實 觀其自養也 天地養


萬物 聖人 養賢以及萬民 頤之時大矣哉.
115) 『周易』 大過卦 「彖傳」: 大過 大者過也 棟橈 本末弱也 剛過而中 巽而說行 利有攸往 乃亨
大過之時大矣哉.
116) 『周易』 解卦 「彖傳」: 解 險以動 動而免乎險 解 解利西南 往得衆也 其來復吉 乃得中也
有攸往夙吉 往有功也 天地解而雷雨作 雷雨作而百果草木皆甲拆 解之時大矣哉.

- 25 -
해소될 수 있는 것이다.

혁(革)은 물과 불이 서로 없애며, 두 여자가 같은 집에 동거하나, 그 뜻을 서로 얻


지 못함이 혁이다. 날이 이미 되어야 믿을 것이라는 것은, 고쳐서 믿게 된다는 것이
다. 밝음의 덕을 가지고 기뻐하여 바름으로써 크게 형통하다. 고쳐서 마땅하게 함에
그 뉘우침이 없어질 것이다. 천지가 변하여 사시가 이루어지며, 탕(湯)과 무(武)가 혁
명을 하여 하늘에 따르고 사람에게 응한다. 혁괘의 상황에 맞게 함이 크다.117)

혁괘(革卦) 「단전」에서는 개혁(改革)은 그 상황과 여건이 무르익었을 때 해야 한다


고 말한다. 또한 개혁은 천도에 순응하고 사람들의 뜻에 부응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② 시의(時義)를 강조하는 괘

시의를 강조하는 괘에는 예(豫)ㆍ수(隨)ㆍ돈(遯)ㆍ구(姤)ㆍ여(旅)괘가 있다.

예(豫)는 강에 응하여 뜻이 행해지고, 상황에 순응하여서 행동하는 것이 예이다. 예


는 상황에 순응하여서 움직이니, 천지도 이와 같은데 하물며 제후를 세우고 군대를
행사하는 데 있어서야! 천지가 때에 순응하여서 움직이는 까닭으로 해와 달이 뒤바뀌
어 나오지 않으니, 사계절이 어긋나지 않는다. 성인이 상황에 순응하여서 움직이니,
형벌이 분명하여 백성이 복종한다. 예괘의 상황에 맞게 하는 뜻이 크다.118)

먼저 예괘(豫卦) 「단전」에서는 천지자연이 자연의 질서를 어기지 않듯이 성인이 상


황에 맞게 국가를 경영하는 것에 대해 말한다.

수(隨)는 강한 것이 와서 부드러운 것에 낮추고, 움직이고 기뻐함이 수이다. 크게


형통하고 바르게 하여 허물이 없으니, 천하가 상황을 따른다. 상황에 따르는 뜻이 크
다.

수괘(隨卦) 「단전」에서는 모든 일은 상황에 따라서 할 때 형통하고 바르게 된다고

117) 『周易』 革卦 「彖傳」: 革 水火相息 二女同居 其志不相得曰革 已日乃孚 革而信之 文明以


說 大亨以正 革而當 其悔乃亡 天地革而四時成 湯武革命 順乎天而應乎人 革之時大矣哉.
118) 『周易』 豫卦 「彖傳」: 豫 剛應而志行 順以動 豫 豫順以動 故天地如之 而況建侯行師乎 天
地以順動 故日月不過而四時不忒 聖人以順動 則刑罰淸而民服 豫之時義大矣哉.

- 26 -
말한다. 때로는 강한 것이 부드러운 것에 순응하고 양보하는 것 또한 상황에 맞추는
것이다. 따라서 천하가 상황에 따르는 것이다.

돈(遯)이 형통한 것은 물러나서 형통한 것이다. 강은 자기 자리에서 응하니, 상황과


더불어 행한다. 바름을 지킴에 조금 유리하다는 것은 음이 점점 자라기 때문이다. 돈
괘의 상황에 맞게 하는 뜻이 크다.119)

돈괘(遯卦) 「단전」에서는 음이 점점 자라는 상황에서는 물러나 은둔(隱遁)하는 것이


형통하다고 말한다. 그럴수록 바름을 지켜 후일(後日)을 기약하여야 한다.

구(姤)는 만나는 것이니 유가 강을 만나는 것이다. 여자를 취하지 말라는 것은 함께


길게 갈 수는 없기 때문이다. 천지가 서로 만나니 만물이 모두 빛이 난다. 강이 중정
을 만나 천하에 크게 행해진다. 구괘의 상황에 맞게 하는 뜻이 크다.120)

구괘(姤卦) 「단전」에서는 천지가 서로 만나고 강과 유가 상응(相應)해야 만물이 화


생(化生)하고 발전할 수 있다고 말한다. 이러한 모든 것들이 상황에 맞추어 이루어져
야 한다.

여(旅)가 조금 형통하다는 것은 유가 밖에서 중을 얻고 강을 따르고, 그치고 밝음에


걸려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조금 형통하여 여행하는데 바르면 길할 것이다. 여괘
의 상황에 맞게 하는 뜻이 크다.121)

여괘(旅卦) 「단전」에서는 여행을 하거나 역경(逆境)에 처한 상황에서는 중도(中道)


를 지키고 바름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119) 『周易』 遯卦 「彖傳」: 遯亨 遯而亨也 剛當位而應 與時行也 小利貞 浸而長也 遯之時義大


矣哉
120) 『周易』 姤卦 「彖傳」: 姤 遇也 柔遇剛也 勿用取女 不可與長也 天地相遇 品物咸章也 剛遇
中正 天下大行也 姤之時義大矣哉.
121) 『周易』 旅卦 「彖傳」: 旅小亨 柔得中乎外而順乎剛 止而麗乎明 是以小亨旅貞吉也 旅之時
義大矣哉.

- 27 -
③ 시용(時用)을 강조하는 괘

시용을 강조하는 괘에는 감(坎)ㆍ규(睽)ㆍ건(蹇)괘가 있다.

습감(習坎)은 위험이 중첩되어 있는 것이다. 물은 흘러서 차지 않으며, 위험한 데


나아가도 그 진실함을 잃지 않는다. 그 마음이 형통하다는 것은 바로 강으로 중에 있
기 때문이다. 가면 가상함이 있을 것이라는 것은 가면 공이 있다는 것이다. 하늘의
험함은 오를 수 없고, 땅의 험함은 산천과 구릉이다. 왕공이 험한 것을 설치해서 자
기 나라를 지킨다. 험함의 상황에 맞게 하는 작용이 크다.122)

먼저 감괘(坎卦) 「단전」에서는 위험이 중첩된 상황에서는 강중(剛中)의 도로써 진실


함을 유지하면 성과를 낼 수 있다고 말한다. 국가의 리더는 천험(天險)의 넘어설 수
없음과 지험(地險)의 형태에 대한 학습을 토대로 인험(人險)을 설치하여 나라를 지킬
수 있어야 한다.

규(睽)는 불이 움직여 위로 향하고 못이 움직여 아래로 내려간다. 두 여자가 동거하


나 그 뜻이 한 가지로 향해 가지 않는다. 기뻐하여 밝음에 붙으며, 유가 나아가 위로
가서, 중을 얻어 강에 응한다. 이런 까닭에 작은 일은 길하다. 천지는 서로 어긋나도
그 일은 같고, 남녀는 어긋나도 그 뜻이 통하며, 만물은 어긋나지만 그 일은 비슷하
다. 규괘의 상황에 맞게 하는 작용이 크다.123)

규괘(睽卦) 「단전」에서는 천지, 남녀, 만물이 비록 상반된 성격을 갖고 있지만 또한


서로 의존하는 대대(對待)의 관계 속에 있다고 말한다. 따라서 상황에 따라 대립하는
가 하면 또 서로 협력한다.

건(蹇)은 어려움이고 험난한 것이 앞에 있다는 것이다. 험난함이 있는 것을 보고 멈


출 수 있으니 지혜롭다. 건은 서남이 이롭다는 것은 가서 중을 얻었기 때문이다. 동
북이 이롭지 않다는 것은 그 도가 궁하기 때문이다. 대인을 만나보는 것이 이롭다는
것은 가서 공이 있는 것이다. 자리가 마땅하고 바름을 지켜 길함으로써 나라를 올바

122) 『周易』 坎卦 「彖傳」: 習坎 重險也 水流而不盈 行險而不失其信 維心亨 乃以剛中也 行有


尙 往有功也 天險 不可升也 地險 山川丘陵也 王公設險 以守其國 險之時用大矣哉.
123) 『周易』 睽卦 「彖傳」: 睽 火動而上 澤動而下 二女同居 其志不同行 說而麗乎明 柔進而上
行 得中而應乎剛 是以小事吉 天地睽而其事同也 男女睽而其志通也 萬物睽而其事類也 睽
之時用大矣哉.

- 28 -
르게 한다. 건괘의 상황에 맞게 하는 작용이 크다.124)

건괘(蹇卦) 「단전」에서는 험난함이 앞에 있는 상황에서 멈출 수 있는 것은 지혜롭


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어려운 상황에서는 지극히 쉽고 합당한 방법을 강구하여야 한
다. 그리고 현인을 만나 조언을 듣는 것이 이롭다. 어려울수록 바름을 지켜야 길하다.

(2) 「단전(彖傳)」에서의 ‘시’

「단전」에서는 12시괘 이외에도 몽(蒙)ㆍ손(損)ㆍ익(益)ㆍ승(升)ㆍ간(艮)ㆍ소과(小過)


괘 등에서 ‘상황’을 의미하는 ‘시’를 찾아볼 수 있다.

몽(蒙)은 산 아래 위험이 있고, 위험하여 그친 것이 몽이다. 몽이 형통함은 형통한


것으로 행하니 상황에 들어맞기 때문이다. 내가 몽매한 어린아이에게 구하는 것이 아
니라 몽매한 어린아이가 나에게서 구한다는 것은 뜻이 응하기 때문이다. 처음 묻거든
깨우쳐준다는 것은 강중하기 때문이다. 두 번 세 번 하면 모독하는 것이고, 모독하면
깨우쳐주지 않는다는 것은 몽을 모독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몽매한 상태에서 올바름
을 기르는 것은 성인이 되는 방법이다.125)

먼저 몽괘(蒙卦) 「단전」에서는 몽매(蒙昧)한 상태에 있는 사람에 대해서는 그 사람


의 상황에 맞추어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몽매함을 일깨우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이럴 경우 스승이 몽매한 사람을 찾아가는 것이 아니라 몽매한 사람이 스승을 찾아와
가르침을 받아야 한다.

손(損)은 아래를 덜어서 위에 더해 주니, 그 도가 위로 행한다. 더는데 진실함이 있


으면, 크게 길하고, 허물이 없고, 바르게 할 수 있고, 가는 바를 두는 것이 이롭다.
어떻게 쓸 수 있겠는가? 대그릇 두 개를 써서 제사를 지낼 수 있다는 것은. 대그릇
두 개도 마땅히 때가 있으며, 강을 덜어 유에 더해 주는 것도 때가 있는 것이다. 덜
고 더하고 채우고 비우는 것은 상황과 더불어 함께 하는 것이다.126)

124) 『周易』 蹇卦 「彖傳」: 蹇 難也 險在前也 見險而能止 知矣哉 蹇利西南 往得中也 不利東北


其道窮也 利見大人 往有功也 當位貞吉 以正邦也 蹇之時用大矣哉.
125) 『周易』 蒙卦 「彖傳」: 蒙 山下有險 險而止 蒙 蒙亨 以亨行 時中也 匪我求童蒙童蒙求我
志應也 初筮告 以剛中也 再三瀆瀆則不告 瀆蒙也 蒙以養正 聖功也.
126) 『周易』 損卦 「彖傳」: 損 損下益上 其道上行 損而有孚 元吉 无咎 可貞 利有攸往 曷之用
二簋可用享 二簋應有時 損剛益柔有時.

- 29 -
손괘(損卦) 「단전」과 관련하여, 위를 덜어 아래에 더해 주는 것이 일반적인 경우라
면, 아래를 덜어 위에 더해 주는 것은 특수한 경우이다. 그럼에도 아래를 덜어 위에
더해 주는 것이 상황에 적합하고 진실함이 있으면 길하고 허물이 없고 이롭다. 이를
테면 지난 1997년 우리나라가 IMF 관리체제 하에 들어갔을 때 전 국민이 나서서 ‘금
모으기 운동’을 펼친 것은 바로 아래를 덜어 위에 더해 준 하나의 사례이다. 그리고
상황에 따라서는 대그릇 두 개로 간소하게 제사를 지내는 것도 무방하다. 이 모든 것
은 상황에 맞추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익(益)은 위를 덜어 아래에 더하니, 백성들의 기쁨이 한이 없고, 위로부터 아래로


내려오니 그 도가 크게 빛난다. 나아가는 바가 이롭다는 것은 중정(中正)하여 경사가
있는 것이다. 큰 내를 건너는데 이롭다는 것은 목도(木道)가 행해지는 것이다. 익은
움직이고 겸손하여 날로 나아감에 한계가 없다. 하늘은 베풀고 땅은 낳아서 그 유익
함이 무궁하다. 무릇 익의 도는 상황과 더불어 함께 하는 것이다.127)

익괘(益卦) 「단전」에서는 국가의 리더가 세입(歲入)으로 국민들에게 중정의 덕을 발


휘하여 골고루 혜택을 베푸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라고 말한다. 이는 하늘은 베풀고
땅은 낳는 천지의 이치와도 상통하는 것이다. 국가가 국민의 가계(家計)를 넉넉하게
하면 국민은 그것을 바탕으로 생산 활동을 펼쳐 이익을 창출한다. 이 또한 상황에 맞
추어 이루어져야 할 일이다.

유가 상황에 따라 올라가서, 겸손하면서 순하고, 강이 중에 있어 상응하니, 이런 까


닭으로 크게 형통하다. 대인을 보되 근심하지 말라는 것은 경사가 있다는 것이다. 남
쪽으로 나아가는 것이 길하다는 것은 뜻이 행해지는 것이다.128)

승괘(升卦) 「단전」에서는 부드러움이 필요한 상황에 그러한 미덕(美德)을 가진 사람


이 국가의 리더가 되어 국민들과 상응하니 형통하다고 말한다.

간(艮)은 그침이다. 상황이 그쳐야 할 경우에는 그치고, 상황이 행해야 할 경우에는


행하여, 움직임과 고요함이 그 상황을 잃지 않으니, 그 도가 밝다. 그칠 곳에 그침은

127) 『周易』 益卦 「彖傳」: 益 損上益下 民說无疆 自上下下 其道大光 利有攸往 中正有慶 利涉


大川 木道乃行 益動而巽 日進无疆 天施地生 其益无方 凡益之道與時偕行.
128) 『周易』 升卦 「彖傳」: 柔以時升 巽而順剛中而應 是以大亨 用見大人 勿恤有慶也 南征吉
志行也

- 30 -
그 그칠 곳에 그치는 것이다. 상하가 상응이 안 되어 서로 더불어 하지 못한다. 이
때문에 그 몸을 얻지 못하며, 그 뜰에 가도 그 사람을 보지 못하니, 허물이 없을 것
이라고 하는 것이다.129)

간괘(艮卦) 「단전」에서는 그쳐야 할 상황에서는 그치고, 행해야 할 상황에서는 행


하여, 그 움직임과 고요함이 상황을 잃지 않으니 그 도가 밝다고 말한다.

소과(小過)는 작은 것이 과하여 형통한 것이다. 과하되 올발라서 이롭다는 것은 상


황과 더불어 행하는 것이다. 유가 중을 얻었기 때문에 작은 일이 길한 것이다. 강이
자기 위치를 잃어 중하지 못하기 때문에 큰일은 할 수가 없다. 나는 새의 상이 있다.
나는 새가 공중에 소리를 남겼는데, 올라가서는 안 되고 내려오면 크게 길하다는 것
은, 위로 올라감은 역행하는 것이고 아래로 내려감은 순응하는 것이기 때문이다.130)

소과괘(小過卦) 「단전」에서는 조금 과하더라도 그것이 상황에 맞으면 올바르고 이


롭다고 말한다. 유가 중도를 얻으면 작은 일은 할 수 있고, 강이 중도를 잃으면 큰일
은 할 수 없다. 모든 일은 상황에 맞추어 순리대로 진행하여야 한다.

(3) 「상전(象傳)」에서의 ‘시’

「상전」의 경우, 곤괘(坤卦) 육삼(六三)과 절괘(節卦) 구이(九二)의 「상전」에서 ‘상황’


을 의미하는 ‘시’를 찾아볼 수 있다.

아름다움을 함축하여 늘 곧게 할 수 있으나, 상황에 따라 발휘하여야 한다. 혹 왕


의 일에 종사하는 것은 지혜가 빛이 나고 큰 것이다.131)

먼저 곤괘 육삼 「상전」에서는 내면에 함축하고 있는 아름다운 덕을 그 상황이 되


면 발휘하여야 한다고 말한다.

대문 안의 정원을 벗어나지 않아 흉하다는 것은 상황에 맞추지 못함이 심하다는 것

129) 『周易』 艮卦 「彖傳」: 艮 止也 時止則止 時行則行 動靜不失 其時其道光明.


130) 『周易』 小過卦 「彖傳」: 小過 小者過而亨也 過而利貞 與時行也 柔得中 是以小事吉也 剛
失位而不中 是以不可大事也 有飛鳥之象焉 飛鳥遺之音 不宜上 宜下大吉 上逆而下順也.
131) 『周易』 坤卦 「象傳」 六三: 含章可貞 以時發也 或從王事 知光大也.

- 31 -
이다.132)

절괘 구이 「상전」에서는 대문 밖으로 나아가야 하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대문 안


에 있다는 것은 상황에 맞추어 처신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4) 「문언전(文言傳)」에서의 ‘시’

건괘(乾卦)와 곤괘(坤卦)의 「문언전」에서 ‘상황’을 의미하는 ‘시’를 찾아볼 수 있다.


먼저 건괘 「문언전」의 해당되는 내용을 살펴본다.

나타난 용이 땅에 있다는 것은 아직 상황이 완전히 풀린 것이 아니다.133)

건괘 구이(九二)에서 “나타난 용이 땅 위에 있다는 것”은 이제 막 잠복(潛伏)과 은


둔(隱遁)을 벗어나 세상에 나타난 용의 모습을 말해 준다. 그렇지만 아직 자신의 역
량을 펼치기에는 상황이나 여건이 무르익지 않았다. 따라서 이런 상황에서는 덕과 능
력이 뛰어난 사람을 멘토(mentor)로 삼아 지도를 받는 등 자신의 능력과 덕성을 더
욱 연마하는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군자가 종일토록 힘써서 저녁까지도 여전히 두려운 듯이 하면 위태로우나 허물은


없을 것이라고 하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공자가 말하였다. 이것은 군자가 덕을
증진시키고 사업에 힘을 써야 하는데, 진심으로 미덥게 하여야 덕을 증진시킬 수 있
고, 말을 닦아 진실함을 굳건히 세워야 사업을 계속 지켜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데를 알아 이르므로 더불어 기미를 알 수 있고, 마칠 데를 알아서 마치니 더불어 의
로움을 보존할 수 있다. 이런 까닭에 윗자리에 있으면서도 교만하지 않고 아랫자리에
있으면서도 근심하지 않는다. 또한 이 때문에 힘쓰고 힘써 상황에 따라 두려워하면
비록 위태로우나 허물은 없다.134)

건괘 구삼(九三)에서는 조직 하층부의 제일 높은 자리에 올라왔으나 아직 상층부에

132) 『周易』 節卦 「象傳」 九二: 不出門庭凶 失時極也.


133) 『周易』 乾卦 「文言傳」 九二: 見龍在田時舍也.
134) 『周易』 乾卦 「文言傳」 九三: 君子終日乾乾夕惕若厲无咎何謂也 子曰 君子進德修業忠信所
以進德也 修辭立其誠所以居業也 知至至之可與幾也 知終終之可與存義也 是故居上位而不
驕在下位而不憂 故乾乾因其時而惕維危无咎矣.

- 32 -
는 오르지 못한 경우의 처신에 대해 말한다. 이럴 경우 더욱 힘써야 할 것은 덕을 진
전시키고 업무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를 데와 마칠 데를 알아 처신할 수 있어
야 한다. 그리고 윗자리에서 교만하지 않고 아랫자리에서 근심하지 않을 수 있어야
한다. 이렇게 종일을 노력하고도 상황에 따라 저녁에까지 두려워하고 삼가면 여전히
위태로우나 허물은 없을 것이라고 말한다.

강이 겹쳐 있으면서 중이 아니며, 위로는 하늘에 있지 않고 아래로는 밭에 있지 않


다. 그러므로 힘쓰고 힘써 상황에 따라 두려워하면 비록 위태로우나 허물은 없다.135)

또한 건괘 구삼은 강이 겹쳐 있지만 중의 자리에 있지는 않다. 위로는 최고위직인


구오(九五)에 이르지 못했고 아래로는 구이에서 한 단계 올라온 상황이다. 이런 상황
에서는 자신의 덕성과 업무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더욱 노력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매
사에 삼가 해서 상하의 신망(信望)을 얻어야 상위직으로 올라갈 수 있다.

혹 위로 뛰어오르거나 혹은 연못에 있으면 허물이 없을 것이라고 하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공자가 말하였다. 오르고 내림에 일정함이 없는 것은 사특함이 되는 것
은 아니다. 나아가고 물러남에 항상 됨이 없는 것은 같은 무리에서 벗어나 혼자 행하
려고 하는 것이 아니다. 군자가 덕을 증진시키고 사업에 힘을 쓰는 것은 상황에 미치
려고 하는 것이니, 그러므로 허물이 없다.136)

건괘 구사(九四)는 이제 막 상층부에 진입해서 의욕을 갖고 업무에 임하는 경우에


대해 말한다. 기업의 경우에는 이사에 해당하며, 최고경영층으로 나아가는 훈련을 본
격적으로 하는 시기이다. 따라서 이때는 자신의 덕성과 업무능력을 향상 시키는 노력
을 배가(倍加)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때로는 업무에 대한 참신한 아이디어나 개선책
을 제시하여 자신의 능력을 드러낼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자신의 위치가 어디까지나
대표이사를 보좌하는 데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
곤괘 「문언전」에서 ‘시’와 관련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곤은 지극히 부드럽지만 움직이는 것은 강하고, 지극히 고요하면서도 그 덕은 반듯

135) 『周易』 乾卦 「文言傳」 九三: 重剛而不中 上不在天下不在田 故乾乾因其時而惕維危无咎


矣.
136) 『周易』 乾卦 「文言傳」 九四: 或躍在淵无咎何謂也 子曰 上下无常非爲邪也 進退无恒非離
群也 君子進德修業欲及時也 故无咎.

- 33 -
하니, 뒤에 하면 얻어서 이로움을 주장하여 불변의 바른 도리가 있으며, 만물을 머금
어 화육시켜 주는 것이 광대하니, 곤의 도가 얼마나 유순한가! 하늘을 받들어 상황에
따라 행한다.137)

곤은 부드러우면서도 강하고, 고요하면서도 반듯하며, 뒷받침하여 이롭게 하는 불


변의 바른 도리가 있고, 만물을 포용해 화육시켜 주니 곤의 도는 유순하고도 광대하
다. 이 모든 것은 건의 뜻을 이어받아 상황에 따라 행하는 것이다. 조직에도 건과 곤
의 역할을 하는 사람이 있다. 이 둘이 잘 어우러질 때 조직은 순항할 수 있다.

(5) 「계사전(繫辭傳)」에서의 ‘시’

「계사전」에서 ‘상황’을 의미하는 ‘시’가 포함된 문장들을 찾아보면 다음과 같다.

길ㆍ흉ㆍ회ㆍ린은 움직이는 데서 생기는 것이다. 강과 유는 근본을 세우는 것이고,


변과 통은 상황에 따르는 것이다. 길과 흉의 원칙은 항상 이기는 것이고, 천지의 도
는 그 바르게 운행하는 도리를 항상 보이며, 일월의 도는 항상 바르게 만물을 밝히
고, 천하의 모든 움직임은 하나의 도리에 항상 따르는 것이다.138)

길흉회린(吉凶悔吝)은 인간의 행동이 정도(正道)를 지키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다. 변과 통은 상황에 따라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길흉, 천지, 일월, 그리고 천하
의 모든 움직임은 결국 하나의 도리에 귀착한다.

역(해괘 상육)에서 말하였다. 공이 높은 담장 위에서 새매를 쏘아서 잡으니 이롭지


않음이 없을 것이다. 공자가 말하였다. 매는 새이고, 활과 화살은 기구이며, 쏘는 것
은 사람이다. 군자가 기구를 몸에 지녔다가 상황을 기다려 행동하면 무슨 이롭지 않
음이 있겠는가? 움직이더라도 방해받지 않는다. 이 때문에 밖으로 나가서 수확이 있
는 것이니, 이는 기물을 먼저 이루고 난 뒤에 움직이는 것을 말한다.139)

137) 『周易』 坤卦 「文言傳」: 坤 至柔而動也剛 至靜而德方 後得主而有常 含萬物李化光 坤道其


順乎承天而時行.
138) 『周易』 「繫辭下傳」 제1장: 吉凶悔吝者生乎動者也 剛柔者立本者也 變通者趣時者也 吉凶
者貞勝者也 天地之道貞觀者也 日月之道貞明者也 天下之動貞夫一者也.
139) 『周易』 「繫辭下傳」 제5장: 易曰 公用射隼于高墉之上 獲之无不利 子曰 隼者禽也 弓矢者
器也 射之者人也 君子藏器於身 待時而動 何不利之有 動而不括 是以出而有獲 語成器而
動者也.

- 34 -
높은 자리에 있는 소인(小人)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모든 준비를 한 뒤에 상
황을 기다려 실행에 옮기는 것이 좋다.

『주역』이라는 책은 시작의 근원을 살펴 종극의 상태를 알려고 하는 것을 바탕으로


삼는다. 여섯 효가 서로 섞이는 것은 오직 그 상황과 각 효의 물상을 반영한다. 그
처음은 알기 어렵고, 그 끝은 알기 쉬우니, 본과 말이다. 처음의 효사는 빗대어서 마
침내 상효의 효사를 이룬다. 만약 물건을 뒤섞는 것과 덕을 가리는 것과 옳고 그름을
분변함 같은 것은 그 중효가 아니면 갖추지 못한다. 아! 또한 존망과 길흉을 요약하
면 분명히 알 수 있다. 지혜로운 자가 단사를 보면 반 이상 이해할 수 있을 것이
다.140)

여섯 효의 강유가 서로 섞여 있는 것은 그 처한 상황과 각 효의 물상(物象)을 반영


한다. 초효에서 중효, 그리고 상효에 이르기까지의 모습을 통해 근원(根源)과 종극(終
極)), 옳고 그름, 존망(存亡)과 길흉(吉凶)을 알 수 있다.
『주역』에 있어서 ‘시’의 의미를 살펴본 결과 적절한 때, 천시[자연규칙, 계절], 시
운, 상황 등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러한 네 가지 의미 중에서 본 연구의 주
제인 시중 리더십과 관련하여 주목되는 것은 바로 ‘상황’을 의미하는 ‘시’이다. ‘상황’
을 의미하는 ‘시’는 12시괘를 비롯하여, 「단전」, 「상전」, 「문언전」, 「계사전」 등에서
살펴볼 수 있었다.

3. 중(中)

1) 『주역』에 있어서 ‘중’의 의미

『역경』에서는 ‘중’과 관련된 표현이 열세 차례 정도 나오고 있다(표 Ⅱ-3). 그 의미


는 ‘가운데’, ‘집 안’, ‘중천(中天)’, ‘마음속’처럼 중의 일반적인 의미도 있고 ‘중용(中
庸)’, ‘중덕(中德)’, ‘중도(中道)’ 등 시중과 관련되는 것도 있다.
『역전』에서는 ‘중’과 관련된 표현이 「단전」에 사십여 차례, 「상전」에 육십 차례 나

140) 『周易』 「繫辭下傳」 제9장: 易之爲書也 原始要終以爲質也 六爻相雜唯其時物也 其初難知


其上易知本末也 初辭擬之卒成之終 若夫雜物撰德辨是與非則非其中爻不備 噫亦要存亡吉
凶則居可知矣 知者觀其彖辭則思過半矣.

- 35 -
오고 있으며 「문언전」, 「계사전」, 「설괘전」, 「서괘전」, 「잡괘전」 등에 이십여 차례 보
이고 있다(표 Ⅱ-3). 그 뜻은 크게 두 부류로 구분할 수 있다. 하나는 ‘가운데’, ‘속’,
‘사이’, ‘마음속’, ‘중천’, ‘중실(中實)’, ‘진실’, ‘중심’ 등의 기본적인 의미로 쓰이는 경
우이다. 또 다른 하나는 ‘합당(合當)함’, ‘중도’, ‘중용’, ‘공정(公正)’, ‘중덕’, ‘중정(中
正)’ 등 시중과 연결되는 의미를 내포하는 경우이다.
『주역』에서 중을 공간적으로 보면 2효와 5효처럼 상괘와 하괘의 가운데에 있는 경
우를 말하지만, 시간적인 변화의 측면에서 보면 384효 모두가 그 상황에 따른 가장
적절한 중을 포함하고 있다. 즉, 상황에 따라서는 과(過)나 불급(不及)도 중이 될 수
있는 것이다.141) 이와 관련하여 고회민(高懷民)은 중이란 “만물변화 속에서 시공에
따라 그 자연스러움을 얻어서 도와 어긋나지 않는 것”142)이라고 말한다.
<표 Ⅱ-3>에 나와 있는 중의 의미를 정리해 보면 ‘가운데’, ‘진실’, ‘중용’, ‘합당함’
등 크게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표 Ⅱ-4). ‘가운데’에는 ‘중’, ‘속’, ‘사이’, ‘중심’,
‘집 안’, ‘중천’, ‘마음속’ 등이 포함된다. ‘진실’에는 ‘중실’이 포함된다. ‘중용’으로 대
표되는 개념 안에는 ‘중정’, ‘중덕’, ‘중도’, ‘공정’ 등이 포함된다.
이들 네 가지 의미 중 시중 리더십과 관련되는 것은 ‘중용’과 ‘합당함’이다. 이제
이 두 개념에 대해 『주역』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141) 이상호, 「주역에서의 시중의 문제」, 『동양철학연구』 제39집, 동양철학연구회, 2004, 348
쪽 참조.
142) 高懷民, 정병석 역, 『주역철학의 이해』, 문예출판사, 2004, 358쪽.

- 36 -
<표 Ⅱ-3> 『주역』에 있어서 ‘중’의 의미(1)

출전 표현 빈도 괘효, 장 의미
中吉 2 訟, 師 九二 중용, 중덕
中行 5 泰 九二, 復 六四, 益 六 중도, 가운데, 중도, 중도
三ㆍ六四, 夬 九五
易經(13)
中 1 家人 六二 집 안
日中 4 豊(4) 중천
中孚 1 中孚 마음속
時中 1 蒙 합당함
中正 8 訟, 同人, 觀, 離, 益, 姤, 중도
巽, 節
中 2 大過, 未濟 중
險中 1 屯 가운데
剛中 9 蒙, 比, 臨, 无妄, 坎, 萃, 가운데 있음
困, 井, 兌
正中 1 需 가운데 자리함
中吉 1 訟 중용
得中 5 訟, 同人, 睽, 解, 鼎 중
彖傳(45) 地中 1 明夷 속
剛中正 1 履 가운데
大中 1 大有 사이
頤中 1 噬嗑 가운데
柔得中 5 噬嗑, 旅, 小過, 旣濟, 未 중

剛得中 2 漸, 節 중
中孚 2 中孚(2) 마음속
日中 2 豊(2) 중천
在中 1 渙 종묘 가운데
不中 1 小過 중
正中 1 乾 九二 중용
中正 1 乾 卦辭 중용
文言傳(7) 不中 2 乾 九三ㆍ九四 중
中 2 乾 九四, 坤 六五 가운데
黃中 1 坤 六五 중용
中 7 상 1ㆍ7ㆍ12장, 하 1장(4) 가운데

繫辭傳(10) 中爻 1 하 9장 가운데
柔中 1 하 9장 중
中心 1 하 12장 속

中男 1 10장 가운데
說卦傳(3)
中女 2 10장, 11장 가운데

- 37 -
출전 표현 빈도 괘효, 장 의미
正中 3 比 九五, 隨 九五, 巽 九 공정, 중용, 중도

中正 6 需 九五, 訟 九五, 豫 六 중도
二, 晋 六二, 姤 九五, 井
九五
在中 5 坤 六五, 需 九二, 小畜 가운데
九二, 震 六五, 歸妹 六五
履 九二, 泰 六五, 大有
中 21 九二, 豫 六五, 復 六五, 마음 속, 중도, 가운데, 중
大畜 九二, 坎 九二ㆍ九 용, 마음 속, 중용, 속, 중,
五, 恒 九二, 大壯 九二, 중용, 중용, 중용, 중도,
損 九二, 夬 九五, 萃 六 중정, 중용, 중용, 중, 중
二, 困 九二, 鼎 六五, 震 용, 중정, 중
上六, 艮 六五, 節 九五,
未濟 九二

象傳(62)
山中 1 大畜 가운데
日中 1 豊 九四 중천
中吉 1 師 九二 중덕
得中 1 巽 九二 중실(中實)
地中 5 師, 謙, 復, 明夷, 升 속
中行 4 師 六五, 泰 九二, 復 六 중도
四, 夬 九五
中心 3 泰 六四, 謙 六二 진실
中孚 九二
中直 2 同人 九五, 困 九五 중심, 중정
澤中 2 隨, 革 속
得中道 4 蠱 九二, 離 六二, 解 九 중용
二, 夬 九二
行中 1 臨 六五 중용
中節 1 蹇 九五 중정
中道 1 旣濟 六二 중정

<표 Ⅱ-4> 『주역』에 있어서 ‘중’의 의미(2)


의미 표현
中行, 險中, 剛中, 正中, 剛中正, 頤中, 在中, 山中, 中, 中爻, 中男,
가운데[중, 속, 사이, 중심, 집
中女, 得中, 柔中, 柔得中, 剛得中, 不中, 日中, 中孚, 地中, 澤中, 大
안, 중천, 마음속]
中, 中直, 中直
진실[중실] 中心, 得中
중용[중정, 중덕, 중도, 공정] 中吉, 中行, 中正, 正中, 中, 得中道, 行中, 中節, 中道, 黃中
합당함 時中

- 38 -
2) ‘중용(中庸)’을 의미하는 ‘중’

(1) 『역경(易經)』에서의 ‘중’

『역경』에서는 송(訟)ㆍ사(師)ㆍ태(泰)ㆍ익(益)ㆍ쾌(夬)괘 등에서 ‘중용’을 의미하는


‘중’을 만날 수 있다.

송사가 일어나는 상황이다. 마음속에 진실함을 가지고 있으나, 막혀서 두려워한다.


중용을 지켜야 길하고, 끝까지 밀고 나가면 흉하다. 대인을 봄이 이롭고, 큰 내를 건
너는 식의 큰일을 추진하기에는 불리하다.143)

송괘(訟卦) 괘사에서는 송사가 일어나는 상황에 대해 말한다. 이런 상황에서는 마


음속에 진실함을 가지고 있으나 막혀서 두려워하게 된다. 따라서 중용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구체적으로 쟁송(爭訟)을 끝까지 밀고 나가지 말아야 하고, 전문가의 조언
을 구해야 하며, 무리하게 큰일을 추진하지 말아야 한다. 쟁송을 벌이는 어려운 상황
에서는 늘 경계하고 삼가며 두려워하는 자세[戒愼恐懼]가 필요하다.

군을 통솔하는 자리에 있으면서 중용의 덕을 가지고 있으니, 길하여 허물이 없다.


왕이 세 번이나 상을 내리는 명령을 내렸다.144)

사괘(師卦) 구이는 유일한 양으로 중의 자리에 있으면서 다른 모든 음들이 믿고 따


르는 뛰어난 장수를 상징한다. 그리고 부정위(不正位)이지만 최고통치자인 육오와 상
응하고 있다. 이러한 구이에게 가장 필요한 덕은 바로 중용이다. 최고통치자의 신임
을 받는 장수가 중용의 덕까지 갖추면 길하여 허물이 없다. 최고통치자가 여러 차례
상을 내리는 것은 당연한 귀결이다.

거친 것을 포용하고, 맨몸으로 강물을 건너가는 것을 이용한다. 멀리 있는 것을 버


리지 않고, 붕당이 없으면, 중도를 행하는 사람과 짝을 이룰 수 있다.145)

143) 『周易』 訟卦 卦辭: 訟 有孚窒惕中吉終凶 利見大人不利涉大川.


144) 『周易』 師卦 九二 爻辭: 在師中吉无咎 王三錫命.
145) 『周易』 泰卦 九二 爻辭: 包荒 用馮河 不遐遺 朋亡 得尙于中行.

- 39 -
태괘(泰卦) 구이는 중위(中位)에 있으면서 주효(主爻)이니, 중도의 덕을 갖출 수 있
는 위치에 있고 또한 그러한 덕을 갖추어야 하는 자리에 있다. 구체적으로 중도의 덕
을 갖추기 위해서는 거친 것을 포용하고, 맨몸으로 강물을 건너가는 것을 이용하며,
멀리 있는 것을 버리지 않고, 붕당(朋黨)이 없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이마이 우사
부로(今井宇三郞)는 “더럽고 거친 것을 포용하는 도량을 근본으로 하고, 때로는 맨몸
으로 강물을 건너가는 과단성 있는 행동을 하고, 가까운 것은 말할 필요도 없이 멀리
있는 것도 잊어버리는 일이 없어야 하고, 붕당의 사심을 끊어야 한다. 이렇게 하면
중도에 합치할 수 있다”146)고 말한다. 또한 정이(程頤)는 이 네 가지가 태평한 시대
의 지도자의 덕목이라고 말한다.147)

더함을 흉사에 쓰면, 허물이 없다. 진실함을 가지고 중도를 행하여, 공에게 고할 때
규를 사용하여야 한다.148)

익괘(益卦) 육삼은 음으로서 양의 자리에 있으므로 스스로 더해 나가야 하는 경우


를 상징한다. 따라서 국가가 흉하고 어려움에 처했을 때 스스로 온몸을 던져 그 어려
움을 타개하려고 노력하면 허물이 없다. 어려울 때는 왕공(王公)인 육사에게 알려 도
움을 받아야 하는데, 알릴 때는 진실함을 상징하는 규(圭)를 예물로 삼아야 한다.

중도에 맞도록 행하여 공에게 고하여 따르도록 하니, 의지하여 도읍을 옮기는 것이
이롭다.149)

익괘 육사는 중의 위치에 있지 않으므로 군주(君主)인 구오의 재가를 받아 육삼에


게 더해 주어야 한다. 도읍을 옮기는 것과 같은 중차대한 일은 이웃 강대국의 도움을
받아 실행하는 것이 이롭다.

쇠비름을 결연하게 척결한다. 중도로 행하면 허물이 없다.150)

쾌괘(夬卦) 구오는 쇠비름을 잘라내는 것처럼 소인인 상육을 척결하는 경우를 상징

146) 이마이 우사부로(今井宇三郞), 『易經』 上, 明治書院, 1964, 320쪽.


147) 程頤 『伊川易傳』 泰卦 九二註: 包荒用馮河不遐遺朋亡四者 處泰之道也.
148) 『周易』 益卦 六三 爻辭: 益之用凶事无咎 有孚中行 告公用圭.
149) 『周易』 益卦 六四 爻辭: 中行告公從 利用爲依遷國.
150) 『周易』 夬卦 九五 爻辭: 莧陸夬夬 中行无咎.

- 40 -
한다. 강건중정(剛健中正)으로 존위(尊位)에 있는 구오는 상육을 척결함에 있어서 과
단성 있게 결단하면서도 중정의 도리를 지키므로 허물이 없다.

(2) 「단전(彖傳)」에서의 ‘중’

「단전」에서는 송(訟)ㆍ동인(同人)ㆍ관(觀)ㆍ이(離)ㆍ익(益)ㆍ구(姤)ㆍ손(巽)ㆍ절(節)괘
등에서 ‘중용’을 의미하는 ‘중’을 찾아볼 수 있다.

송(訟)은 위가 강하고 아래가 험하여 속은 음험하고 밖은 강건하니 송이라 한다. 송


은 마음속에 진실함을 가지고 있으나 막혀서 두려워하니, 중용을 지켜야 길하다는 것
은 강이 와서 중을 얻은 것이다. 끝까지 밀고 나가면 흉하다는 것은 쟁송이란 부득이
해서 하는 것이니 끝까지 밀고 나가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대인을 봄이 이롭다는 것
은 중정을 숭상하는 것이다. 큰 내를 건너는 식의 큰일을 추진하기에는 불리하다는
것은 더 깊은 물로 빠지는 것이기 때문이다.151)

송괘(訟卦)의 상괘인 건(乾)은 굳셈을, 하괘인 감(坎)은 험함을 상징한다. 내심(內心)


인 감은 음험하고 외표(外表)인 건은 강건하니 쟁송이 벌어지게 된다. 즉, 주효인 구
이가 중의 자리에서 있으면서 구오와 송사를 벌이고 있다. 그렇지만 쟁송은 부득이
해서 하는 것이니 끝까지 밀고 나가면 흉하다. 대인(大人)인 구오의 중정한 덕을 존
중하면 이롭다. 쟁송하는 중에 또 다른 큰일을 추진하는 것은 상황을 더 어렵게 만들
수 있다.

동인(同人)은 유가 자리를 얻고 중을 얻어서, 건과 상응하니, 동인이라고 한다. (동


인에서 말한다.) 들에서 사람들과 같이하면 형통하니, 큰 내를 건너는 것이 이롭다는
것은 건의 행함이다. 문명하면서 강건하고, 중정으로 응함은, 군자의 바름이다. 오직
군자라야 천하의 뜻과 통할 수 있다.152)

동인괘(同人卦)의 육이는 유일한 음효로서 주효이다. 유순하고 중정한 덕으로서 다


른 사람들과 함께 할 수 있는 조건을 구비하고 있다. 그렇지만 완전한 동인을 실현하

151) 『周易』 訟卦 「彖傳」: 訟 上剛下險 險而健 訟 訟 有孚窒惕中吉 剛來而得中也 終凶訟不可


成也 利見大人常中正也 不利涉大川入于淵也.
152) 『周易』 同人卦 「彖傳」: 同人 柔得位得中而應乎乾曰同人 同人曰 同人于野亨利涉大川乾行
也 文明以健中正而應君子正也. 唯君子爲能通天下之志.

- 41 -
기 위해서는 강건하고 중정한 덕을 가지고 있는 구오와 상응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처럼 상하가 상응해서 공평무사(公平無私)하게 합심하면 대사(大事)를 도모할 수 있
다. 육이와 구오가 상응한다는 것은 문명(文明), 강건, 중정의 덕을 겸비하는 것이니
진정한 대동사회(大同社會)를 구현할 수 있다.

크게 보이는 것으로 위에 있고, 순하고 겸손하며, 중정으로써 천하를 본다. 관은 손


을 씻고 아직 제수를 올리지 않았을 때처럼 하면, 백성들이 마음속에 진실한 마음을
가지고 우러러보리라는 것은, 아랫사람들이 보고 교화되는 것이다. 하늘의 신묘한 도
를 봄에, 사시에 어긋나지 않는다. 성인이 신도로써 가르침을 베풀어, 천하가 복종한
다.153)

관괘(觀卦)의 상괘는 겸손함을, 하괘는 유순함을 상징한다. 그리고 육이와 구오는


모두 중정한 덕을 갖추고 있다. 구오는 존위에 있으면서 강건중정한 덕으로 천하를
살피고, 육이를 포함한 백성들의 우러름을 받는다. 구오가 손을 씻고 제수(祭需)를 올
리지 않았을 때의 정성스러운 마음으로 백성을 대하니 백성 또한 진실한 마음으로 우
러러볼 것이라는 것은 백성들이 교화됨을 말한다. 하늘의 신묘한 자연법칙을 본받아
성인이 백성들을 교화하니 천하가 복종한다.

이(離)는 붙는 것이다. 해와 달이 하늘에 붙어있고, 백곡과 초목이 땅에 붙어있다.


거듭된 밝음으로 올바름에 붙어있어서, 천하를 변화시키고 이룬다. 유는 중정에 붙어
있기 때문에 형통하다. 그러므로 암소를 기르듯 길할 것이다.154)

이괘(離卦)는 거듭된 광명(光明)을 상징하고 육이가 중정에 붙어있어서, 천하를 변


화시키고 이룬다. 육이와 육오 모두 중의 자리에 있으니 형통하다. 마치 유순한 암소
를 기르듯 길하다.

익(益)은 위를 덜어 아래에 더하니, 백성들의 기쁨이 한이 없고, 위로부터 아래로


내려오니, 그 도가 크게 빛난다. 나아가는 것이 이롭다는 것은, 중정하여 경사가 있
는 것이다. 큰 내를 건너는데 이롭다는 것은, 목도가 행해지는 것이다. 익은 움직이

153) 『周易』 觀卦 「彖傳」: 大觀在上 順而巽 中正以觀天下 觀盥而不薦有孚顒若 下觀而化也 觀


天之神道而四時不忒 聖人以神道設敎而天下服矣.
154) 『周易』 離卦 「彖傳」: 離 麗也 日月麗乎天 百穀草木麗乎土 重明以麗乎正 乃化成天下 柔
麗乎中正 故亨 是以畜牝牛吉也.

- 42 -
고 겸손하여, 날로 나아감에 한계가 없다. 하늘은 베풀고 땅은 낳아서, 그 유익함이
무궁하다. 무릇 익의 도는 상황과 더불어 함께 하는 것이다.155)

익괘(益卦)는 위를 덜어서 아래에 더하는 것에 대해 말한다. 위를 덜어 아래에 더


하니 백성들의 기쁨이 크고 그 도가 빛난다. 구오와 육이가 상응하고 중정의 덕을 가
지고 있으면서 아래에 더해 주니 경사가 있다. 하괘의 움직임과 상괘의 겸손함으로
나아감에 한계가 없다. 위를 덜어서 아래에 더하는 것은 하늘은 베풀고 땅은 낳는 것
과 같은 이치이니, 그 유익함이 무궁하다. 이런 익괘의 도리는 상황과 더불어 행해져
야 한다.

구(姤)는 만나는 것이니 유가 강을 만나는 것이다. 여자를 취하지 말라는 것은 함께


길게 갈 수는 없기 때문이다. 천지가 서로 만나니 만물이 모두 빛이 난다. 강이 중정
을 만나 천하에 크게 행해진다. 구괘의 상황에 맞게 하는 뜻이 크다.156)

구괘(姤卦))는 하나의 음이 생겨나 양과 만나는 상황에 대해 말한다. 음이 점점 강


성해짐에 따라 양은 점차 쇠퇴하니, 음과 양은 함께 성장할 수가 없다. 그렇지만 음
과 양, 즉 천지가 서로 만나니 만물이 빛이 난다. 구이와 구오가 모두 중의 자리에
있으니 군자의 도가 천하에 크게 행해진다. 구괘의 상황에 맞추어 행하는 뜻이 크다.

거듭해서 겸손하니 거듭해서 명을 내린다. 강이 중정으로 겸손하고 뜻이 행해진다.


유가 모두 강에 순종해서, 이로써 조금 형통하니, 가는 바를 둠이 이롭고, 대인을 봄
이 이롭다.157)

손괘(巽卦)는 겸손함이 중첩되어 있다. 구이와 구오 모두 중의 자리에 있으며 겸손


하여 뜻이 행해진다. 상하괘의 유효가 모두 강효의 아래에 있으면서 순종하니, 형통
하고, 가는 바를 둠이 이롭고, 전문가의 조언을 받는 것이 이롭다.

155) 『周易』 益卦 「彖傳」: 益 損上益下 民說无疆 自上下下 其道大光 利有攸往 中正有慶 利涉


大川 木道乃行 益動而巽 日進无疆 天施地生 其益无方 凡益之道與時偕行.
156) 『周易』 姤卦 「彖傳」: 姤 遇也 柔遇剛也 勿用取女 不可與長也 天地相遇 品物咸章也 剛遇
中正 天下大行也 姤之時義大矣哉.
157) 『周易』 巽卦 「彖傳」: 重巽以申命 剛巽乎中正而志行 柔皆順乎剛 是以小亨 利有攸往 利見
大人.

- 43 -
절이 형통하다는 것은, 강유가 나뉘어 강이 중을 얻었기 때문이다. 괴로운 절제는
바름을 고수할 수 없다는 것은, 그 도가 궁하기 때문이다. 기뻐하여 험함에 행하고,
자리에 합당하게 절제하고, 중정을 지켜서 통한다. 천지에 절제함이 있어, 사시가 이
루어진다. 제도를 만들어 절제하도록 함으로써, 재물을 손상시키지 않으며, 백성을 해
치지 않는다.158)

절괘(節卦)는 강유가 상하로 나뉘어있고, 구이와 구오가 중의 위치에 있어 제어하


므로, 형통하다. 괴로운 절제는 중정의 도에 어긋나므로 지속될 수가 없다. 기뻐하면
서 험한 상황에서 행하고, 구오가 중정의 합당한 자리에서 절제하니 통함이 있다. 천
지의 운행에 절제함이 있어 사시의 순환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천지의 절제를 본받아
군주는 제도를 통해 백성들이 절제하도록 함으로써, 재물을 낭비하지 않도록 하며,
백성들을 해치지 않는다.

(3) 「상전(象傳)」에서의 ‘중’

① 구오(九五) 「상전」에서의 ‘중’

구오는 군주의 자리에 있으면서 강건중정(剛健中正)한 덕을 발휘해야 하는 위치에


있다. 따라서 「상전」에서는 다양한 상황에서 구오가 중정의 미덕을 발휘할 것을 요청
한다.
수괘(需卦) 구오 「상전」에서는 “술과 음식을 먹으면서 바르면 길하다는 것은 중정
하기 때문이다”159)라고 한다. 술과 음식을 먹으면서 기다린다는 것은 편안히 기다린
다는 것을 말하는데, 이럴 경우에도 중정의 도를 잃지 말아야 길할 수 있다.
송괘(訟卦) 구오 「상전」에서는 “쟁송하는데 크게 길하다는 것은 중정으로써 하기
때문이다”160)라고 한다. 쟁송을 벌이는 상황에서 송사를 판결하거나 중재하는 역할을
하는 구오가 강건중정한 덕으로 송사를 공정하게 처리하면 길하다.
비괘(比卦) 구오 「상전」에서는 “친밀하게 돕는 것을 공평무사하게 드러내니 길하다
는 것은, 자리가 바르고 공정하기 때문이다”161)라고 한다. 누군가를 친밀하게 도와야

158) 『周易』 節卦 九五 「彖傳」: 節亨 剛柔分而剛得中 苦節不可貞 其道窮也 說以行險 當位以


節 中正以通 天地節而四時成 節以制度 不傷財 不害民.
159) 『周易』 需卦 九五 「象傳」: 酒食貞吉 以中正也.
160) 『周易』 訟卦 九五 「象傳」: 訟元吉 以中正也.
161) 『周易』 比卦 九五 「象傳」: 顯比之吉 位正中也.

- 44 -
할 상황에서 특히 경계해야 할 것은 바로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이다. 비괘 구오는 바
르고 공정한 자리에 처해 돕는 것을 공평무사하게 하니 길하다.
건괘(蹇卦) 구오 「상전」에서는 “매우 어려운 시기에 친구가 온다는 것은 중정한 절
도(節度)로써 하기 때문이다”162)라고 한다. 매우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음에도 불구
하고 중정한 절도를 유지하면 구이가 와서 도와준다는 것이다.
곤괘(困卦) 구오 「상전」에서는 “코를 베고 발을 벤다는 것은 아직 뜻을 얻지 못한
것이다. 서서히 기쁨이 있다는 것은 중정하고 강직하기 때문이다. 제사를 올리는 것
이 이롭다는 것은 복을 받게 된다는 것이다”163)라고 한다. 코와 발을 베는 것처럼 곤
궁한 상황에서도 구오가 중정하고 강직하면 서서히 기쁨이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정성
을 다해 제사를 올리면 신명(神明)의 감통(感通)이 있어 이롭다.
정괘(井卦) 구오 「상전」에서는 “찬 샘물을 먹는다는 것은 중정하기 때문이다”164)라
고 한다. 많은 사람들이 맑고 찬 샘물을 먹는 혜택을 볼 수 있는 것은 바로 구오가
중정하기 때문이다.
절괘(節卦) 구오 「상전」에서는 “즐겁게 절제함이라 길하다는 것은 처한 자리가 중
정하기 때문이다”165)라고 한다. 즐겁게 절제하는 상황이 가능한 것은 구오가 지나치
지도 모자라지도 않게 중정의 도를 지키기 때문이다.

② 육이(六二) 「상전」에서의 ‘중’

육이는 내괘의 중심에 있으면서 유순중정(柔順中正)의 덕을 발휘해야 하는 위치에


있다.
예괘(豫卦) 육이 「상전」에서는 “하루를 마칠 것도 없으니 올바르고 길하다는 것은
중정하기 때문이다”166)라고 한다. 하루가 지나지 않았는데도 올바르고 길함이 나타나
는 까닭은 초육이 마음속의 기쁨을 밖으로 드러내어 흉한 상태에 놓여 있다는 것을
육이가 미리 알아서 경계함으로써 스스로 중정의 본분을 지키기 때문이다.
이괘(離卦) 육이 「상전」에서는 “황색에 붙음이니 크게 길하다는 것은 중용의 도를
얻었기 때문이다”167)라고 한다. 중정한 위치에서 중용의 덕을 발휘하면서 바르게 하

162) 『周易』 蹇卦 九五 「象傳」: 大蹇朋來 以中節也.


163) 『周易』 困卦 九五 「象傳」: 劓刖 志未得也 乃徐有說 以中直也 利用祭祀 受福也.
164) 『周易』 井卦 九五 「象傳」: 寒泉之食 中正也.
165) 『周易』 節卦 九五 「象傳」: 甘節之吉 居位中也.
166) 『周易』 豫卦 六二 「象傳」: 不終日貞吉 以中正也.
167) 『周易』 離卦 六二 「象傳」: 黃離元吉 得中道也.

- 45 -
니 길할 수밖에 없다.
췌괘(萃卦) 육이 「상전」에서는 “끌어당기면 길하여 허물이 없을 것이라는 것은 중
정하여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168)라고 한다. 육이가 유순하고 중정한 마음가짐을 변
함없이 간직하면 구오의 도움과 인도를 받아 길하게 된다는 것이다.

③ 육오(六五) 「상전」에서의 ‘중’

육오는 유순하면서 중의 자리에 위치하여 포용하는 덕을 발휘한다.


태괘(泰卦) 육오 「상전」에서는 “복을 받으며 크게 길하다는 것은 중도로써 원하는
것을 행하기 때문이다”169)라고 한다. 군왕인 제을(帝乙)의 딸이 신하에게 시집가는
상황에서 남편이 비록 지위가 낮더라도 중도를 발휘하여 충심으로 섬기면 복을 받고
크게 길하다는 것이다.
임괘(臨卦) 육오 「상전」에서는 “대군의 마땅한 도리라는 것은 중용을 행하는 것을
말한다”170)라고 한다. 군주가 군주로서의 마땅한 도리를 행하는 상황에 대해 말한다.
육오는 유로서 군주의 자리에 위치하고 있고, 구이는 강으로서 중의 자리에 위치하고
있다. 육오가 유순하고 중용한 덕을 발휘하여 능력 있는 구이에게 많은 권한을 위양
하니 길하다.
간괘(艮卦) 육오 「상전」에서는 “그 볼에 멈춘다는 것은 중용으로써 바르기 때문이
다”171)라고 한다. 멈추어야 할 때 멈출 수 있는 것은 육오가 중용의 덕을 지니고 있
기 때문이다.

④ 구이(九二) 「상전」에서의 ‘중’

구이는 내괘의 중심에 있으면서 강건하면서도 중용의 덕을 발휘해야 한다.


고괘(蠱卦) 구이 「상전」에서는 “어머니가 잘못한 일을 바로잡는 것은, 중용의 도에
맞게 해야 한다”172)고 말한다. 고괘 구이는 하층부의 중심에 있으면서 강건과 중용의
덕을 갖춘 소장개혁파 신하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하층부의 뜻을 모아 상층부의

168) 『周易』 萃卦 六二 「象傳」: 引吉无咎 中未變也.


169) 『周易』 泰卦 六五 「象傳」: 以祉元吉 中以行願也.
170) 『周易』 臨卦 六五 「象傳」: 大君之宜 行中之謂也.
171) 『周易』 艮卦 六五 「象傳」: 艮其輔 以中正也.
172) 『周易』 蠱卦 九二 「象傳」: 幹母之蠱 得中道也.

- 46 -
잘못을 시정하려고 노력한다. 이럴 때 경계해야 할 것이 바로 중용의 도를 어기지 않
는 것이다. 아무리 옳은 일이라도 너무 원칙에 매달리면 반발을 불러오게 된다. 조선
조 중종 때 조광조(趙光祖)가 도학정치(道學政治)라는 원칙을 너무 고집한 나머지 반
대파의 반발을 불러와 결국 기묘사화(己卯士禍)가 초래된 것은 하나의 반면교사(反面
敎師)라고 할 것이다.
대축괘(大畜卦) 구이 「상전」에서는 “수레의 바퀴살을 벗긴다는 것은 중용을 지켜서
허물이 없다는 것이다”173)라고 한다. 구이는 상응하는 육오에 의해 저지되고 있다.
구이는 중정한 덕으로 이런 상황을 잘 파악하여 스스로 수레의 바퀴살을 벗겨버리고
나아가지 않아야 한다.
항괘(恒卦) 구이 「상전」에서는 “뉘우침이 없어진다는 것은 능히 중용에 머물기 때
문이다”174)라고 한다. 뉘우침이 없어지기 위해서는 지나치지도 모자라지도 않는 중용
을 지키는 것이 필요하다.
대장괘(大壯卦), 해괘(解卦), 손괘(損卦)의 구이 「상전」에서는 바르게 해야 하는 상
황에 대해 말한다. 바르게 한다는 것은 곧 중용을 실천하는 것이다. 그렇게 하면 길
하고 이롭다.

바르게 해야 길할 것이라는 것은 중용의 덕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175)


바르면 길하다는 것은 중용의 도를 얻었기 때문이다.176)
바르게 하는 것이 이롭다는 것은 중용으로써 뜻을 삼았기 때문이다.177)

쾌괘(夬卦) 구이 「상전」에서는 “적의 군대가 쳐들어오더라도, 걱정할 필요가 없다


는 것은 중용의 도를 얻었기 때문이다”178)라고 한다. 적군이 쳐들어오는 상황일지라
도 중용의 도를 실천하면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미제괘(未濟卦) 구이 「상전」에서는 “바르고 길하다는 것은 중으로써 올바름을 행하
는 까닭이다”179)라고 한다. 함부로 나아가지 말아야 하는 상황에서 바르고 길하기 위
해서는 중용을 실천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173) 『周易』 大畜卦 九二 「象傳」: 輿說復 中无尤也.


174) 『周易』 恒卦 九二 「象傳」: 悔亡 能久中也.
175) 『周易』 大壯卦 九二 「象傳」: 貞吉 以中也.
176) 『周易』 解卦 九二 「象傳」: 貞吉 得中道也.
177) 『周易』 損卦 九二 「象傳」: 利貞 中以爲志也.
178) 『周易』 夬卦 九二 「象傳」: 有戎勿恤 得中道.
179) 『周易』 未濟卦 九二 「象傳」: 貞吉 中以行正也.

- 47 -
(4) 「문언전(文言傳)」에서의 ‘중’

건괘(乾卦)와 곤괘(坤卦)의 「문언전」에서 ‘중용’을 의미하는 ‘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건원(乾元)이라는 것은 시작하여 형통한 것이고, 이(利)와 정(貞)이라는 것은 건원의


성정(性情)이다. 건의 시작이 아름다운 이로움으로써 천하를 이롭게 하여, 그 이로운
바를 말하지 않으니, 이로움이 크다. 위대하다, 건이여! 강건하고 중정한 것은 순수하
고 정미함이다.180)

먼저 건괘 괘사 「문언전」에서는 건괘의 사덕(四德)인 원형이정(元亨利貞)에 대해


언급한다. 그리고 건의 강건중정(剛健中正)함은 순수(純粹)하고 정미(精美)한 것임을
밝히고 있다.

나타난 용이 땅 위에 있으니 대인을 만나면 이롭다고 함은 무슨 의미인가? 공자가


말하였다. 용의 덕을 가지고 정중 하는 사람이다. 평상시의 말은 진실 되게 하며, 평
상시의 행동은 삼갈 줄을 알아, 사악함을 막아서 그 진실한 마음을 보존하고, 세상을
깨끗이 하고서도 자신의 공을 자랑하지 않으며, 덕을 넓혀 감화시킨다. 주역에 나타
난 용이 땅위에 있으니 대인을 만나면 이롭다고 함은 군주의 덕을 가지고 있는 사람
이 출현함을 말한 것이다.181)

건괘 구이 「문언전」에서는 이제 막 세상에 등장한 구이가 갖추어야 될 덕성에 대


해 설명한다. 첫째, 구이는 리더로서의 덕성을 갖추고, 중용을 하는 사람이 되어야 한
다. 둘째, 평상시의 말과 행동이 진실 되고 삼갈 줄 알아야 된다. 셋째, 사악함을 막
아 진실한 마음을 보존해야 한다. 넷째, 공을 세운 뒤에도 자랑하지 않으며, 자신의
덕으로 다른 사람들을 감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 다섯째, 군주인 구오를 보좌하면서
국가경영능력을 쌓을 필요가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장차 군주가 될 경우를 대비해야
한다.

180) 『周易』 乾卦 「文言傳」 卦辭: 乾元者 始而亨者也 利貞者 性情也 乾始能以美利利天下 不


言所利 大矣哉 大哉乾乎 剛健中正 純粹精也.
181) 『周易』 乾卦 「文言傳」 九二: 見龍在田利見大人 何謂也 子曰 龍德而正中者也 庸言之信
庸行之謹 閑邪存其誠 善世而不伐 德博而化 易曰見龍在田利見大人 君德也.

- 48 -
군자는 중용의 덕을 안에 가지고 있으면서 이치에 통달하여, 바른 자리에 몸을 두
고 있으며, 아름다움이 그 가운데에 자리하고 있어서, 사지에 퍼져나가고, 사업에서
나타나니, 아름다움의 극치이다.182)

곤괘 육오 「문언전」에서는 존위에 자리한 육오의 덕성에 대해 말한다. 곤괘 육오는


중용의 덕을 가지고 있으면서 사물의 이치에 통달한 사람이다. 곤의 유순하고 겸손한
미덕이 체현되어 사업에 나타난다. 이러한 사업은 천하와 국가의 경영에까지 미친다.

3) ‘합당(合當)함’을 의미하는 ‘중’

『주역』에서 ‘시중’이라는 말이 유일하게 나오는 곳이 몽괘(蒙卦) 「단전」이다.

몽(蒙)은 산 아래 위험이 있고, 위험하여 그친 것이 몽이다. 몽이 형통함은 형통한


것으로 행하니 상황에 들어맞기[時中] 때문이다. 내가 몽매한 어린아이에게 구하는
것이 아니라 몽매한 어린아이가 나에게서 구한다는 것은 뜻이 응하기 때문이다. 처음
묻거든 깨우쳐준다는 것은 강중하기 때문이다. 두 번 세 번 하면 모독하는 것이고,
모독하면 깨우쳐주지 않는다는 것은 몽을 모독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몽매한 상태에
서 올바름을 기르는 것은 성인이 되는 방법이다.183)

몽괘 「단전」은 동몽(童蒙)을 깨우치는 상황에 대해 말한다. 동몽을 깨우치는 것은


형통한 일이며, 상황에 합당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깨우침의 주체는 구이이고, 깨우침
의 대상은 육오이다. 깨우침을 주는 구이가 육오에게 가는 것이 아니라, 깨우침을 받
는 육오가 구이에게 가서 깨우침을 구함으로써, 스승과 제자의 뜻이 통하게 된다. 처
음 물을 때는 깨우쳐주지만 거듭해서 물으면 배움의 자세에 문제가 있으므로 깨우쳐
주지 않는다. 몽매함을 깨우쳐 올바름을 기르는 것이 곧 성인(聖人)이 되는 공부이다.
『주역』에 나타나 있는 ‘중’의 의미를 정리해본 결과 ‘가운데’, ‘진실’, ‘중용’, ‘적합’
등 크게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들 네 가지 의미 중 시중 리더십과 관련되는
것은 ‘중용’과 ‘합당함’이다. ‘중용’에 대해서는 『역경』, 「단전」, 「상전」, 「문언전」 등
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합당함’이라는 의미는 몽괘 「단전」에 언급되어 있다.

182) 『周易』 坤卦 「文言傳」 六五: 君子黃中通理 正位居體 美在其中而暢於四支 發於事業 美之


至也.
183) 『周易』 蒙卦 「彖傳」: 蒙 山下有險 險而止 蒙 蒙亨 以亨行 時中也 匪我求童蒙童蒙求我
志應也 初筮告 以剛中也 再三瀆瀆則不告 瀆蒙也 蒙以養正 聖功也.

- 49 -
Ⅲ. 『주역(周易)』과 시중(時中)의 지혜

‘시중(時中)’은 ‘시(時)’와 ‘중(中)’이라는 두 낱말이 합쳐진 말이다. 이와 관련하여


풍우란(馮友蘭)은 ‘시’란 “사물발전의 시간적 조건”이고, ‘중’이란 “사물발전의 합당
(合當)한 한도”라고 말한다.184) 또한 고회민(高懷民)은 ‘중’이란 “만물변화 속에서 시
공에 따라 그 자연스러움을 얻어서 도와 어긋나지 않는 것”185)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여기에서 ‘사물발전의 시간적 조건’이나 ‘만물변화 속의 시공’이란 곧 ‘만물이 처한
상황(狀況)’을 이르는 말이다. 그리고 ‘자연스러움을 얻어서 도와 어긋나지 않는
것’186)은 ‘합당함을 얻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시중’이란 ‘만물이 그 처한 상황에
따라 합당함을 얻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정이(程頤)는 “그때의 형세를 알 것 같으
면 처하는 바가 그 마땅함을 잃지 않을 것이다”187)라고 말한다. 따라서 시중은 고정
된 것이 아니라188) 주어진 때, 장소, 위치에 따라 도에 맞게 변하는 것으로 이를 실
현하는 것은 도에 나아감이 깊고, 기(幾)189)를 알아 권(權)190)을 행할 줄 아는 지덕
(至德)을 성취한 성인만이 가능한 일이다.191) 이처럼 시중은 어떤 고정된 것을 지칭
하는 것이 아니다. 때에 따라서는 양극단의 중간이 시중일 수도 있으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이다.192)
이러한 시중과 관련하여 혜동(惠棟)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역』의 도는 심오하다! 한마디로 말하면 ‘시중(時中)’이다. 공자가 지은 「단전(彖


傳)」은 시(時)를 말한 것이 24괘에, 중(中)을 말한 것이 35괘에 달한다. 「상전(象傳)」

184) 馮友蘭, 박성규 옮김, 『중국철학사』 上, 까치글방, 2004, 620쪽 참조.


185) 高懷民, 정병석 역, 『주역철학의 이해』, 문예출판사, 2004. 358쪽.
186) ‘도와 어긋나지 않는 것’과 관련하여 공자는 의(義)를, 순자는 예(禮)를 제시한다(『論語』
「里仁」: 子曰 君子之於天下也 無適也 無莫也 義之與比; 『荀子』 「儒效」 제12장: 其言有
類 其行有禮 其擧事無悔 其持險應變曲當 與時遷徙 與世偃仰 千擧萬變 其道一也 是大儒
之稽也).
187) 程頤, 『伊川易傳』 咸卦 初六 爻辭註: 識其時勢則所處不失其宜矣.
188) 程頤, 『伊川易傳』 恒卦 「彖傳」註: 恒 非一定之謂也 一定則不能恒矣 唯隨時變易乃常道.
189) 『周易』 「繫辭下傳」 제5장: 幾者動之微 吉之先見者也.
190) 『孟子』 「盡心上」 제26장: 執中無權 猶執一也 所惡執一者 爲其賊道也 擧一而廢百也.
191) 이상호, 「주역에서의 시중의 문제」, 『동양철학연구』 제39집, 동양철학연구회, 2004,
352-353쪽 참조.
192) 이근용, 「주역의 시중 사상이 현대 네트워크 사회에 갖는 함의」, 『동양고전연구』 제37집,
동양고전학회, 2010, 553쪽 참조.

- 50 -
은 시를 말한 것이 6괘에, 중을 말한 것이 36괘에 달한다. 시를 말한 것으로는 시
(時), 대시(待時), 시행(時行), 시성(時成), 시변(時變), 시용(時用), 시의(時義), 시발(時
發), 시사(時舍), 시극(時極)이란 것이 있다. 중을 말한 것으로는 중(中), 중정(中正),
정중(正中), 대중(大中), 중도(中道), 중행(中行), 강중(剛中), 유중(柔中)이란 것이 있
다. 「몽단(蒙彖)」은 또 시중을 병칭하고 있다. ……자사(子思)가 지은 『중용』은 공자
의 뜻을 계술하여 군자다우면서 시중을 추구한다고 했고, 맹자는 공자는 시중의 성인
이라고 했다. 집중(執中)의 가르침은 중천(中天: 요순시대)에서 비롯되었고 시중의 의
미는 공자에서 밝혀졌는데, 바로 요순 이래로 전승된 심법(心法)이었다. 「풍단(豊彖)」
에 천지간에 차고 비는 현상은 때에 따라 쇠하고 성한다고 했고, 「박(剝)」에 군자가
사물의 영고성쇠(榮枯盛衰) 현상을 중시하는 것은 그것이 천도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문언(文言)」에 진퇴와 존망을 인식하고 그 바른 상태를 잃지 않을 사람은 오직 성인
이리라! 라고 했는데 이 모두가 시중의 의미이다.193)

시중이란 말은 『주역』의 몽괘(蒙卦) 「단전」에 유일하게 나오고 있지만, 시중의 지


혜를 담고 있는 문장은 『주역』 전편에 걸쳐 나오고 있으며, 『주역』을 관통하고 있다.

몽(蒙)이 형통함은 형통한 것으로 행하니 때에 알맞기[時中] 때문이다. 내가 몽매한


어린아이에게 구하는 것이 아니라 몽매한 어린아이가 나에게서 구한다는 것은 뜻이
응하기 때문이다.194)

여기에서 “때에 알맞다”는 것은 몽매한 어린아이를 그 아이의 상황에 맞추어 교육


하는 것을 말한다. 이처럼 상황에 합당하게 행동하는 것의 중요성을 『주역』은 강조하
고 있다.
『주역』 전편에 걸쳐 시중의 함의를 찾아볼 수 있지만, 특히 그 의미가 두드러진 경
우로 건괘(乾卦)의 괘사와 구사 「문언전」, 그리고 수괘(隨卦) 괘사를 들 수 있다. 건
괘와 수괘의 괘사는 뒤의 ‘수시변통(隨時變通)’ 부분에서 살펴보기로 하고, 여기에서
는 건괘 구사 「문언전」의 내용을 살펴본다.

혹 위로 뛰어오르거나 혹은 연못에 있으면 허물이 없을 것이라고 하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공자가 말하였다. 오르고 내림에 일정함이 없는 것은 사특함이 되는 것

193) 嚴靈峯, 『無求備齋: 易經集成』 第119冊, 惠棟, 「易尙時中說」, 『易漢學』 卷7, 台北: 成文
書局, 1976, 177쪽.
194) 『周易』 蒙卦 「彖傳」: 蒙亨 以亨行 時中也 匪我求童蒙童蒙求我 志應也.

- 51 -
은 아니며, 나아가고 물러남에 항상 됨이 없는 것은 같은 무리에서 벗어나 혼자 행하
려고 하는 것이 아니다. 군자가 덕을 증진시키고 사업에 힘을 쓰는 것은 상황에 미치
려고 하는 것이니, 그러므로 허물이 없다.195)

“나아가고 물러남에 항상 됨이 없는 것은 같은 무리에서 벗어나 혼자 행하려고 하


는 것이 아니다”라는 것은 무리에서 벗어나 멋대로 행동하는 것이 아니라 그 상황에
따라 나아갈 때 나아가고 물러날 때 물러나야 함을 말한다. 곧 시중의 도리를 말한
다. “군자가 덕을 증진 시키고 사업에 힘을 쓰는 것은 때에 미치려고 하는 것이니 그
러므로 허물이 없는 것이다”라는 것은 군자가 평소에 덕을 증진 시키고 사업에 힘쓰
는 것은 필요한 상황이 오면 그 덕과 사업을 활용하기 위해서라는 것이다.
『주역』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사람들에게 그 상황에 알맞게 처신할 수 있도록 하
는 방안을 64괘 384효를 통해 제시하고 있다는 것이다. 64괘가 64가지 변화의 상황
을 나타내는 것이라면, 각각의 효는 그 괘에서 일어날 수 있는 다채로운 변화를 표현
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주역』에서는 음과 양의 변역에 따른 모든 상황을 64괘 384
효라는 ‘상(象)’을 통해 드러내어 사람들에게 장차 직면하게 될 변화에 대처하는 방
안, 즉 길함을 따르고 흉함을 피하도록 하는 해법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주역』의 도를 체현하는데 단연 핵심이 되는 개념이 바로 ‘시중’인 것이다.196)
한편, 시가 괘의 의미와 관련된다면, 중은 6효의 위치와 관련된다. 괘상(卦象)에서
음과 양으로 이루어진 6효는 서로 강하고 약함 혹은 많고 적음과 같은 세력의 역동
적 관계에서 각각 변동의 위치와 추세의 방향성을 지닌다. 이러한 위치와 추세를 파
악하는 원칙이 시중이다. 시중은 6효의 역동적 변화 속에서의 상황이나 사태에 시의
적절(時宜適切)하게 맞는 조화, 균형, 질서 등과 같은 최상의 상태를 가리킨다.197)
시중은 부단히 변화하는 상황 속에서 어떻게 하면 인간이 그 상황에 합당한 행동
을 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다룬다. 여기에서 해결해야 할 두 가지 문제가 대두된다.
먼저 합당한 행동을 하기 위해서는 상황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다
음으로 그 상황에 합당한 행동이 무엇인지를 판단해야 한다. 첫 번째 문제와 관련하
여 우주만물의 운행원리를 바라보는 관점으로서의 시중적 질서관, 통관, 그리고 지기

195) 『周易』 乾卦 「文言傳」 九四: 或躍在淵无咎何謂也 子曰 上下无常非爲邪也 進退无恒非離


群也 君子進德修業欲及時也 故无咎.
196) 이규희, 「주역에서의 시중지덕에 대한 고찰」, 『민족문화』 제50집, 전국문화단체총연합회,
2018, 123쪽.
197) 김연재, 「주역의 변통적 시중관과 인간경영의 지혜」, 『대동철학』 제77집, 대동철학회,
2016, 241쪽 참조.

- 52 -
를 살펴본다. 그리고 두 번째 문제와 관련해서는 수시변통과 우환의식을 다룬다.

1. 시중적(時中的) 질서관(秩序觀)

1) 시중적 질서관

변화라는 관점에서 보면, 행동은 공간이나 물질과 같은 구조가 아니라 사건이며 현


실이다. 사건 속에는 공간, 시간, 그리고 물질의 통일체가 놓여 있다. 형이상학적(形
而上學的) 시간 대신에 우리는 물리적, 생물학적 또는 그에 상응하는 변화의 과정에
서 펼쳐지는 우주론적(宇宙論的) 시간을 갖는다.198) 변화의 세계에서 모든 것은 실천
과 경험을 통해 체득(體得)되는 것이다. 시중도 실천과 경험을 통해 체득되는 것이다.
인간이 사는 삶의 장은 시간과 공간이다. 따라서 시중은 시(時)와 위(位)에 의해 결정
된다. 건괘(乾卦) 「단전」의 “끝과 시작을 크게 밝히면 여섯 자리가 때에 맞추어 이루
어진다(大明終始 六位時成)”에서 시간과 공간 개념이 언급되고 있다. 대명, 즉 일월
(日月)의 순환적 운행에 의해 시간이 발생하고 동시에 공간의 위도 드러나는 것이
다.199) 위라는 것은 인간이 차지하고 있는 자리로서 인간과 서로 작용하는 공간성이
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위는 변화한다. 시간에 의하여 위치가 변하고 상황도 달라
진다. 음효가 맨 아래에 있을 때는 만남의 구괘(姤卦)가 되지만 맨 위에 있을 때는
척결을 나타내는 쾌괘(夬卦)가 된다. 이러한 위의 변화는 시간으로 인해 생긴다. 그러
므로 위는 시의 영향 하에 있다.200)
이처럼 『주역』에서는 우주만물의 운행원리를 정태적(靜態的)이고 정위적(定位的)인
질서라는 관점이 아니라 동태적(動態的)이고 시중적(時中的)인 질서라는 관점에서 바
라본다. 다시 말해 공간적인 정위적 질서가 아니라 시간적인 시중적 질서를 강조한
다. 시중적 질서 하에서 우주만물은 끊임없이 변역(變易)하고 상호감응(相互感應)한
다. 먼저 『주역』은 끊임없이 변역하는 상황 속에서의 합당한 행동을 강조한다. 건괘
(乾卦) 「문언전」의 내용을 살펴보자.

198) 이용필, 「자기조직하는 우주」, 『과학사상』 제17호, 범양사, 1996, 92쪽 참조.
199) 高懷民, 정병석 역, 『주역철학의 이해』, 문예출판사, 2004, 184쪽 참조.
200) 심귀득, 『주역의 생명관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6, 88-89쪽
참조.

- 53 -
먼저 건괘 구이에서는 이제 막 잠복과 은둔을 벗어나 세상에 나타난 용의 모습을
말해 준다. 그렇지만 아직 자신의 역량을 펼치기에는 상황이나 여건이 무르익지 않았
다. 따라서 이런 상황에서는 덕과 능력이 뛰어난 사람을 멘토로 삼아 지도를 받는 등
자신의 능력과 덕성을 더욱 연마하는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나타난 용이 땅에 있다는 것은 아직 상황이 완전히 풀린 것이 아니다.201)

건괘 구삼에서는 조직 하층부의 제일 높은 자리에 올라왔으나 아직 상층부에는 오


르지 못한 경우의 처신에 대해 말한다. 이럴 경우 더욱 힘써야 할 것은 덕을 진전시
키고 업무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를 데와 마칠 데를 알아 처신할 수 있어야 한
다. 그리고 윗자리에서 교만하지 않고 아랫자리에서 근심하지 않을 수 있어야 한다.
이렇게 종일을 노력하고도 상황에 따라 저녁에까지 두려워하고 삼가면, 여전히 위태
로우나 허물은 없을 것이다.

군자가 종일토록 힘써서 저녁까지도 여전히 두려운 듯하면 위태로우나 허물은 없을


것이라고 하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공자가 말하였다. 이것은 군자가 덕을 증진
시키고 사업에 힘을 써야 하는데, 진심으로 미덥게 하여야 덕을 증진시킬 수 있고,
말을 닦아 진실함을 굳건히 세워야 사업을 계속 지켜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데를
알아 이르므로 더불어 기미를 알 수 있고, 마칠 데를 알아서 마치니 더불어 의로움을
보존할 수 있다. 이런 까닭에 윗자리에 있으면서도 교만하지 않고 아랫자리에 있으면
서도 근심하지 않는다. 또한 이 때문에 힘쓰고 힘써 상황에 따라 두려워하면 비록 위
태로우나 허물은 없다.202)

건괘 구사는 이제 막 상층부에 진입해서 의욕을 갖고 업무에 임하는 경우에 대해


말한다. 기업의 경우에는 이사에 해당하며, 최고경영층으로 나아가는 훈련을 본격적
으로 하는 시기이다. 따라서 이때는 자신의 덕성과 업무능력을 향상 시키는 노력을
배가해야 한다. 그리고 때로는 업무에 대한 참신한 아이디어나 개선책을 제시하여 자
신의 능력을 드러낼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자신의 위치가 어디까지나 대표이사를 보
좌하는 데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

201) 『周易』 乾卦 「文言傳」 九二: 見龍在田時舍也.


202) 『周易』 乾卦 「文言傳」 九三: 君子終日乾乾夕惕若厲无咎何謂也 子曰 君子進德修業忠信所
以進德也 修辭立其誠所以居業也 知至至之可與幾也 知終終之可與存義也 是故居上位而不
驕在下位而不憂 故乾乾因其時而惕維危无咎矣.

- 54 -
혹 위로 뛰어오르거나 혹은 연못에 있으면 허물이 없을 것이라고 하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공자가 말하였다. 오르고 내림에 일정함이 없는 것은 사특함이 되는 것
은 아니다. 나아가고 물러남에 항상 됨이 없는 것은 같은 무리에서 벗어나 혼자 행하
려고 하는 것이 아니다. 군자가 덕을 증진시키고 사업에 힘을 쓰는 것은 상황에 미치
려고 하는 것이니, 그러므로 허물이 없다.203)

상황에 따른 합당한 행동을 강조하는 몇 개의 문장들을 더 살펴본다. 먼저 돈괘(遯


卦) 「단전」에서는 음이 점점 자라는 상황에서는 물러나 은둔하는 것이 형통하다고 말
한다. 그럴수록 바름을 지켜 후일을 기약할 필요가 있다.

돈(遯)이 형통한 것은 물러나서 형통한 것이다. 강은 자기 자리에서 응하니, 때와


더불어 행한다. 바름을 지킴에 조금 유리하다는 것은 음이 점점 자라기 때문이다. 돈
괘의 상황에 맞게 하는 뜻이 크다.204)

건괘(蹇卦) 「단전」에서는 험난함이 앞에 있는 상황에서 멈출 수 있는 것은 지혜롭


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어려운 상황에서는 지극히 쉽고 합당한 방법을 강구하여야 한
다. 그리고 현인을 만나 조언을 듣는 것이 이롭다. 어려울수록 바름을 지켜야 길하다.

건(蹇)은 어려움이고 험난한 것이 앞에 있다는 것이다. 험난함이 있는 것을 보고 멈


출 수 있으니 지혜롭다. 건은 서남이 이롭다는 것은 가서 중을 얻었기 때문이다. 동
북이 이롭지 않다는 것은 그 도가 궁하기 때문이다. 대인을 만나보는 것이 이롭다는
것은 가서 공이 있는 것이다. 자리가 마땅하고 바름을 지켜 길함으로써 나라를 올바
르게 한다. 건괘의 상황에 맞게 하는 작용이 크다.205)

간괘(艮卦) 「단전」에서는 그치고 행동함을 상황에 따라 해야 한다고 말한다.

간(艮)은 그침이다. 상황이 그쳐야 할 경우에는 그치고, 상황이 행해야 할 경우에는


행하여, 움직임과 고요함이 그 상황을 잃지 않으니, 그 도가 밝다.206)

203) 『周易』 乾卦 「文言傳」 九四: 或躍在淵无咎何謂也 子曰 上下无常非爲邪也 進退无恒非離


群也 君子進德修業欲及時也 故无咎.
204) 『周易』 遯卦 「彖傳」: 遯亨 遯而亨也 剛當位而應 與時行也 小利貞 浸而長也 遯之時義大
矣哉
205) 『周易』 蹇卦 「彖傳」: 蹇 難也 險在前也 見險而能止 知矣哉 蹇利西南 往得中也 不利東北
其道窮也 利見大人 往有功也 當位貞吉 以正邦也 蹇之時用大矣哉.

- 55 -
『주역』은 또한 정위적 질서가 아닌 시중적 질서와 상호감응을 중시한다. 태괘(泰
卦)와 비괘(否卦)의 「단전」을 통해 그 내용을 살펴본다.
태괘는 땅이 위에 있고 하늘이 아래에 있는 반면 비괘는 그 반대이니, 공간적인 정
위적 질서에 따르면 태괘는 불길하고 비괘는 길하여야 한다. 그렇지만 단전에서는 그
반대로 말하고 있다. 태괘는 천지가 교류하고 상하가 교류하여 길하고 형통하다고 하
는데 반해, 비괘는 천지와 상하가 교류하지 않아 나라를 다스리는 도리가 없다고 말
한다. 그 이유는 바로 『주역』이 생생(生生)과 변역(變易)과 감응(感應)을 중시하기 때
문이다. 태괘의 경우 위에 있는 땅의 기운은 아래로 내려가고 아래에 있는 하늘의 기
운은 위로 올라가게 되니 하늘과 땅이 자연스럽게 교류하고 감응하게 된다. 그러므로
길하고 형통할 수밖에 없다. 반면에 비괘는 위에 있는 하늘의 기운은 계속 위로 향하
고 아래에 있는 땅의 기운은 아래로만 향하니 하늘과 땅이 교류하고 감응할 길이 없
다. 따라서 나라를 다스리는 도리가 없어지는 것이다. 이처럼 『주역』은 공간적 위치
가 아니라 천지와 상하 간의 상호감응 여부를 길흉의 중요한 척도로 삼고 있다.

태(泰)는 작은 것이 가고 큰 것이 오니, 길하고 형통하다는 것은 천지가 교류하여


만물이 통하고, 상하가 교류하여 그 뜻이 같기 때문이다. ……군자의 도가 커지고 소
인의 도는 사라진다.207)

비(否)는 인도가 통하지 않는 시기로, 군자의 바름이 이롭지 않으며, 큰 것이 가고


작은 것이 온다는 것은 천지가 교류하지 않아 만물이 통하지 않으며, 상하가 교류하
지 않아 천하에 나라를 다스리는 도리가 없어지는 것이다. ……소인의 도가 자라나고
군자의 도는 사라진다.208)

「계사전」의 다음 문장들 역시 『주역』이 시중적 질서라는 관점에 입각해 있음을 잘


보여준다.

길ㆍ흉ㆍ회ㆍ린은 움직이는 데서 생기는 것이다. 강과 유는 근본을 세우는 것이고,


변과 통은 상황에 따르는 것이다. 길과 흉의 원칙은 항상 이기는 것이고, 천지의 도
는 그 바르게 운행하는 도리를 항상 보이며, 일월의 도는 항상 바르게 만물을 밝히

206) 『周易』 艮卦 「彖傳」: 艮 止也 時止則止 時行則行 動靜不失 其時其道光明.


207) 『周易』 泰卦 「彖傳」: 泰 小往大來 吉 亨 則是天地交而萬物通也 上下交而其志同也.
208) 『周易』 否卦 「彖傳」: 否之匪人 不利君子貞 大往小來 則是天地不交而萬物不通也 上下不
交而天下无邦也 ……小人道長 君子道消也.

- 56 -
고, 천하의 모든 움직임은 하나의 도리에 항상 따르는 것이다.209)

길흉회린은 인간의 행동이 정도를 지키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변과 통은 상황


에 따라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길흉, 천지, 일월, 그리고 천하의 모든 움직임은 결국
하나의 도리에 귀착한다. 다시 말해 천지, 일월, 천하의 모든 움직임이라는 상황에 따
라 거기에 맞는, 정도를 지키는 행동을 하는지 여부에 따라 길흉이 결정된다.

『주역』이라는 책은 시작의 근원을 살펴 종극의 상태를 알려고 하는 것을 바탕으로


삼는다. 여섯 효가 서로 섞이는 것은 오직 그 상황과 각 효의 물상을 반영한다. 그
처음은 알기 어렵고, 그 끝은 알기 쉬우니, 본과 말이다. 처음의 효사는 빗대어서 마
침내 상효의 효사를 이룬다. 만약 물건을 뒤섞는 것과 덕을 가리는 것과 옳고 그름을
분변함 같은 것은 그 중효가 아니면 갖추지 못한다. 아! 또한 존망과 길흉을 요약하
면 분명히 알 수 있다. 지혜로운 자가 단사를 보면 반 이상 이해할 수 있을 것이
다.210)

여섯 효의 강유가 서로 섞여 있는 것은 그 처한 상황과 각 효의 물상을 반영한다.


초효에서 중효, 그리고 상효에 이르기까지의 모습을 통해 근원과 종극, 옳고 그름, 존
망과 길흉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주역』은 상황을 잘 파악하고, 그 상황에 따라 적합하게 변통하고 행동했을
때 추길피흉(趨吉避凶)이 가능해짐을 말한다. 이는 곧 시중적 질서라는 관점에서 『주
역』이 서술되고 있음을 말해 주는 것이다.

2) 통관(通觀)

시중을 제대로 실천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우주만물의 운행원리에 대한 체계적인


관점으로 시중적 질서관과 함께 들 수 있는 것이 통관(通觀)이다. 『주역』은 성인이
우주만물에 대한 통관을 통해 팔괘(八卦)라는 철학적 부호체계를 창안하였음을 말하
고 있다.211)

209) 『周易』 「繫辭下傳」 제1장: 吉凶悔吝者生乎動者也 剛柔者立本者也 變通者趣時者也 吉凶


者貞勝者也 天地之道貞觀者也 日月之道貞明者也 天下之動貞夫一者也.
210) 『周易』 「繫辭下傳」 제9장: 易之爲書也 原始要終以爲質也 六爻相雜唯其時物也 其初難知
其上易知本末也 初辭擬之卒成之終 若夫雜物撰德辨是與非則非其中爻不備 噫亦要存亡吉
凶則居可知矣 知者觀其彖辭則思過半矣.

- 57 -
옛날에 복희씨가 천하의 왕 노릇할 때, 우러러 하늘의 상을 관찰하고, 구부려 땅의
형태를 관찰하며, 날짐승과 들짐승의 무늬와 땅의 마땅한 이치를 관찰하였다. 가깝게
는 자기 몸에서 취하고, 멀리는 다른 사물에서 취하였다. 여기에서 비로소 팔괘를 만
들어, 신명의 덕에 통하게 하고, 만물의 실상을 분류하였다.212)

통관이란 포괄적 관찰(comprehensive observation)을 말하며, ‘융회관통(融會貫


通)하여 본다’는 의미이고, 「계사전」에서 말하는 ‘관기회통(觀其會通)’에 해당하는 것
이다.

성인이 천하의 움직임을 보고, 그 모이고 통하는 것을 관찰하여[觀其會通], 그 법도


와 예제에 따라 행하며, 말을 얽어매어 길흉을 판단한다. 이런 까닭에 효라고 말한
다.213)

위의 인용문에서는 괘효가 성립되기 전에 먼저 모든 사물에 적용하여도 두루 통할


수 있는 ‘회통지리(會通之理)’의 발견이 있었음을 말해 준다. 회통의 의미와 관련하여
주희는 “회(會)는 모든 이치가 하나도 남김없이 모두 모여서 빠진 것이 없음을 말하
고, 통(通)은 이치가 행해져서 막히는 것이 없음을 이른다”214)고 말한다. 이런 점에서
‘회통지리’의 ‘리(理)’는 소옹이 말하는 ‘이치로써 본다[觀之以理].’의 리와 같은 의미
라고 할 수 있다.

대체로 사물을 본다고 말하는 것은 눈으로 그것을 보는 것이 아니다. 그것을 눈으


로 본다는 것이 아니라 마음으로 보는 것이다. 그것을 마음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이
치로 보는 것[觀之以理]이다.215)

‘눈으로 본다’는 것은 외부의 감각적 자극이나 경험을 육안(肉眼)으로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을 말하고, ‘마음으로 본다’는 것은 개인의 감정이나 사사로움이 개입된

211) 정병석, 「주역의 관」, 『철학』 제75집, 한국철학회, 2003, 9-18쪽 참조.
212) 『周易』 「繫辭下傳」 제2장: 古者包犧氏之王天下也, 仰則觀象於天, 府則觀法於地, 觀鳥獸
之文, 與地之宜, 近取諸身, 遠取諸物, 於是始作八卦, 以通神明之德, 以類萬物之情.
213) 『周易』 「繫辭上傳」 제8장: 聖人有以見天下之動 而觀其會通 以行其典禮 繫辭焉以斷其吉
凶 是故謂之爻.
214) 朱熹, 『周易本義』 「繫辭上傳」 제8장註: 會謂理之所聚而不可遺處 通謂理之可行而無所礙
處.
215) 王植 輯, 『珍本皇極經世書』, 臺北: 武陵, 1996, 903쪽: 夫所以謂之觀物者非以目觀之也
非觀之以目而觀之以心也 非觀之以心而觀之以理也.

- 58 -
심안(心眼)으로 보는 것이다. 그에 비해 ‘이치로 본다’는 것은 우주 만물의 이치를 꿰
뚫어보는 이안(理眼)으로 보는 것이다.
이처럼 『주역』에서의 바라봄[觀]은 다분히 자기 눈앞의 것밖에 보지 못하는 근시안
적인 동관(童觀)216)도, 자기 위주의 부분적인 인식에만 머물러있는 규관(闚觀)217)도
아니다. 『주역』에서의 관은 우주만물의 깊고 넓은 이치를 전체적으로 남김없이 통찰
하는 통관(通觀)이다.
한편 『주역』에서 우주만물의 이치를 통관하는 것은 그 단계에 따라 관물(觀物), 관
상(觀象), 관아(觀我)로 구분할 수 있다.218)
먼저 관물은 복희씨(伏羲氏)가 우주만물을 관찰한 결과를 토대로 팔괘를 만드는 과
정에서 살펴볼 수 있다. 복희씨는 우주만물의 변화와 존재양상을 다양한 각도에서 포
괄적으로 관찰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파악한 우주만물의 이치를 토대로 팔괘
를 만들어 음양의 변화와 형태를 파악하고 분류한다.
관상, 즉 괘효의 부호체계가 가지고 있는 상(象)219)을 관찰하는 과정은 괘효가 상
징하는 의미들을 해석하고 현실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는 주체적 해석과 결단
이라는 행동이 요청된다. 이는 곧 괘상이 가지고 있는 상징적 의미들을 주체적으로
해석하고 자기화하는 것이다.
관아, 즉 자관(自觀)은 스스로를 자기반성과 경계 속에서 바라보는 실존적인 자기
해석이다. 더 나아가 자관은 자기반성, 즉 반관(反觀)을 통한 자기완성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자기완성을 타인에게 보여 주어 그들을 교화시키는 것에까지 나아간다. 이러
한 입장은 관괘(觀卦)의 「단전」과 효사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크게 보이는 것으로 위에 있고, 순하고 겸손하며, 중정으로써 천하를 본다. 관은 손


을 씻고 아직 제수를 올리지 않았을 때처럼 하면, 백성들이 마음속에 믿음을 가지고
우러러볼 것이라는 것은, 아랫사람들이 보고 교화되는 것이다. 하늘의 신묘한 도를

216) 『周易』 觀卦 初六 爻辭: 童觀 小人无咎 君子吝.


217) 『周易』 觀卦 六二 爻辭: 闚觀 利女貞.
218) 김연재, 「주역의 생태역학과 그 생명의식」, 『아태연구』 제18권 제3호, 경희대학교아태지
역연구원, 2011, 29쪽 참조.
219) 象의 의미에는 협의와 광의가 있다. 협의의 상은 하늘[天]에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계사상전」의 “在天成象 在地成形.” “仰則觀象於天 俯則觀法於地.”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광의의 상은 형체가 있는 모든 사물들을 상으로 보는 관점이다. 따라서 팔괘가
상징하는 모든 사물뿐만 아니라 상징적 의미 역시 여기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見乃謂
之象.” “以制器者尙其象.” 등이다. 관상의 상은 광의의 상을 말하며, 구체적으로 卦爻象
을 말한다(屈萬里, 『先秦漢魏易例述評』, 臺北: 學生書局, 1985, 46-47쪽 참조; 정병석,
「주역의 관」, 『철학』 제75집, 한국철학회, 2003, 13쪽 참조).

- 59 -
봄에 사시가 어긋나지 않는다. 성인이 신도로써 가르침을 베풀어 천하가 복종한
다.220)

먼저 「단전」에서 보면 구오는 존위에 있으면서 강건중정한 덕으로 천하를 살피고,


육이를 포함한 백성들의 우러름을 받는다. 구오가 손을 씻고 제수를 올리지 않았을
때의 정성스러운 마음으로 백성을 대하므로 백성 또한 진실한 마음으로 우러러보게
되어 백성들이 교화되고 있다. 하늘의 신묘한 자연법칙을 본받아 성인이 백성들을 교
화하니 천하가 복종한다. 이처럼 리더의 자기반성과 자기완성이 타인, 즉 구성원들의
교화로까지 이어짐을 볼 수 있다.

나의 생을 살펴서, 나아가고 물러난다.221)


나의 생을 살펴보아, 군자라면 허물이 없다.222)
그 생을 살펴보아, 군자라면 허물이 없다.223)

효사에 나오는 ‘관아생(觀我生)’이라는 말에 대해, 정이는 “내가 만들어 낸 것이니,


나의 행동과 베푼 것이 나로부터 나온 것”224)이라고 하고, 주희는 “나의 생이라는 것
은 내가 행한 것이다”225)라고 말하며, 오징(吳澄)은 “자신의 행동거지를 살펴본
다”226)라고 해석한다. 이러한 설명을 통해 관아생이라는 것은 자신의 행동거지(行動
擧止)를 되돌아보고 반성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특히 구오의 경우 군주의 자리에
있으면서 자신의 행동거지를 가장 잘 살펴볼 수 있는 방법은 바로 백성들의 삶을 살
펴보는 것이다. 군주가 모범을 보이면 백성들도 따라서 교화가 될 것이고, 군주가 선
정을 베풀면 백성들의 삶도 윤택해질 것이다. 백성들의 모습이 곧 군주의 모습인 것
이다.

220) 『周易』 觀卦 「彖傳」: 大觀在上 順而巽 中正以觀天下 觀盥而不薦有孚顒若 下觀而化也 觀


天之神道而四時不忒 聖人以神道說敎而天下服矣.
221) 『周易』 觀卦 六三 爻辭: 觀我生 進退.
222) 『周易』 觀卦 六五 爻辭: 觀我生 君子无咎.
223) 『周易』 觀卦 上九 爻辭: 觀其生 君子无咎.
224) 程頤, 『伊川易傳』, 觀卦 六三 爻辭註: 觀我生 我之所生 謂動作施爲 出於己者.
225) 朱熹, 『周易本義』, 觀卦 六三 爻辭註: 我生 我之所行也.
226) 吳澄, 『易纂言』 卷一: 自觀其身之動也.

- 60 -
3) 지기(知幾)

『주역』은 삶의 위기 상황에서 어떠한 선택을 할 것인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생겨났


다고 할 수 있다. 즉 어떤 실존적 상황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기미(幾微)를 관찰하는
것이 전제되는 것이다. 기미란 말 그대로 일의 미미한 움직임이다. 그러나 어떤 움직
임을 보고 정황을 판단하고 미래를 예측하며 어떤 결정을 내린다는 행위는 미미하지
않은 도덕적(道德的) 수양(修養)과 연계된다. 다시 말해, 미미한 움직임은 우주자연과
인간을 포괄하는 이치에 대한 깊은 깨달음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런 까닭은 기미
를 파악할 수 있는 근거가 『주역』의 괘효 안에 함축되어 있는 우주자연과 인간의 이
치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괘효를 통해 인간은 천ㆍ지ㆍ인 전체의 유기적
관계 안에서, 즉 사물들을 물리적 대상화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들과의 상호감응을 통
해 상황을 파악하고 미래를 예측하여 판단을 내리는 것에 기미 파악의 근거가 있다는
것이다.227)
특히 우환의식(憂患意識)을 가진 사람은 늘 일의 기미를 살핀다. 기미라는 것은 움
직임이 아직 미미한 징조(徵兆)이고 길(吉)에 앞서 나타나는 것이다. 따라서 우환의식
을 가진 사람은 그 미미한 움직임을 살펴 자신의 허물을 고치고 길함을 추구한다. 그
렇게 함으로써 무구(无咎)한 존재가 되기를 희구한다. 이는 곧 상황에 알맞게 자신의
허물을 고치는 행위, 즉 시중을 지향한다.228)

기미라는 것은 움직임이 미미한 것이고, 길(吉)이 먼저 나타난 것이니 군자는 기미


를 보고 신속히 행동하여 하루 종일을 기다리지 않는다.……군자는 미미한 징조도 알
고 드러난 모습도 알며, 부드러운 것도 알고 굳센 것도 아니 모든 사람들이 우러러
본다.229)

『주역』에 나타나 있는 기미를 유형별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230)


첫째, 천기(天氣)로써 기미를 말하는 경우이다. 곤괘(坤卦) 초육의 “서리를 밟는다.

227) 이상임, 「‘판단의 한 과정’의 측면에서 본 주역의 ‘기미’」, 『동양철학』 제30집, 한국동양
철학회, 2009, 429쪽.
228) 심귀득, 『주역의 생명관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6, 71쪽 참
조.
229) 『周易』 「繫辭下傳」 제5장: 幾者 動之微 吉之先見者也 君子 見幾而作 不俟終日 ……君子
知微知彰知柔知剛 萬夫之望.
230) 김흥규, 『주역에 나타난 인간연구』, 동아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2, 32-34쪽 참
조.

- 61 -
단단한 얼음이 곧 올 것이다”231)가 바로 여기에 해당한다. 이와 관련하여 정이는 다
음과 같이 말한다.

음이 처음으로 아래에서 생겨나니, 지극히 미미하다. 성인은 음의 기운이 처음 생겨


남에 장차 그것이 자라날 것을 경계한다. 음의 기운이 처음 응겨 서리가 되니, 서리
를 밟고서 음이 성하게 되면 당연히 음기가 성하여 얼음이 됨을 안다. 마치 소인이
처음에 비록 매우 미미하나 자라도록 두어서는 안 되는 것과 같은 것이니, 자라나면
성대해지기 때문이다.232)

둘째, 언행(言行)이 인간의 영욕(榮辱)을 판가름하는 기미가 되는 경우이다. 중부괘


(中孚卦) 구이의 “우는 학이 그늘에 있으니 그 새끼가 화답한다”233)가 여기에 해당한
다. 이와 관련하여 「계사상전」에서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말은 자기 몸에서 나와서 백성들에게 영향을 주며, 행동은 가까운 데서 시작하여


먼 데서 결과가 나타난다. 언행은 군자의 지도리와 기틀[樞機]이니, 그 추기를 발하는
것에 영욕이 달려 있다.234)

셋째, 인간의 불인(不仁)과 불의(不義)가 흉에 이르는 기미가 되는 경우이다. 서합


괘(噬嗑卦) 상구의 “형틀을 머리에 써서 귀가 보이지 않는다”235)가 여기에 해당한다.
이와 관련하여 「계사하전」에서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선이 쌓이지 않으면 이름을 이룰 수 없고, 악한 것을 쌓지 않으면 몸을 망치지 않


는다. 소인은 조그만 선행을 무익하다고 생각하여 하지 않으며, 작은 악행을 해로울
것이 없다고 생각하여 버리지 않는다. 그러므로 악이 쌓여서 가리지 못하게 되고, 죄
가 커져서 풀지 못하게 된다.236)

231) 『周易』 坤卦 初六 爻辭: 履霜 堅冰至.


232) 程頤, 『伊川易傳』, 坤卦 初六 爻辭註: 陰始生於下 至微也 聖人於陰之始生 以其將長則爲
之戒 陰之始 凝而爲霜 履霜則當知陰漸盛 而至堅冰矣 猶小人 始雖甚微 不可使長 長則至
於盛也.
233) 『周易』 中孚卦 九二 爻辭: 鳴鶴在陰 其子和之.
234) 『周易』 「繫辭上傳」 제8장: 言出乎身加乎民 行發乎邇見乎遠 言行君子之樞機 樞機之發榮
辱之主也.
235) 『周易』 噬嗑卦 上九 爻辭: 何校滅耳.
236) 『周易』 「繫辭下傳」 제5장: 善不積 不足以成名 惡不積 不足以滅身 小人以小善爲无益而弗
爲也 以小惡爲无傷而弗去也 故惡積而不可掩 罪大而不可解.

- 62 -
넷째, 실위(失位)가 흉에 이르는 기미가 되는 경우이다. 정괘(鼎卦) 구사의 “솥의
다리가 부러져서 공의 밥을 쏟으니 그 몸이 젖어 흉하다”237)와 해괘(解卦) 육삼의
“짐을 등에 지고 또 마차를 타고 가는 것이다. 이는 도적이 오도록 하니 아무리 바르
게 하려고 해도 부끄럽다.”238) 그리고 건괘(乾卦) 상구의 “너무 높이 올라가 버린 용
은 후회함이 있다”239)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모두 자리와 그 처신이 마땅하지 않음
에 따른 좋지 않은 결과를 말하고 있다. 건괘 상구에 대해서는 「문언전」에 다음과 같
이 말한다.

나아가는 것만 알고 물러나는 것을 알지 못하며, 존재하여 있는 것만 알고 망하여


없어지는 것을 알지 못하며, 얻는 것만 알고 잃는 것을 모르니, 그런 자는 오직 성인
뿐인가? 나아감과 물러섬, 존재하여 있는 것과 망하여 없어짐, 둘 다를 알아 그 바름
을 잃지 않는 자는 오직 성인뿐일 것이다.240)

다섯째, 안일(安逸)함에 안주하는 것이 흉에 이르는 기미가 되는 경우이다. 이는 주


역 전반에 걸친 경계이자 교훈인데, 특히 비괘(否卦) 구오의 “망할까 망할까 두려워
하여야 더부룩한 뽕나무 뿌리에 매어놓듯이 하면 견고하고 안전해진다”241)는 말에서
그 경계함이 절실하다. 이와 관련하여 「계사하전」에서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위태롭게 염려하는 것은 그 자리를 편안히 하는 것이요, 망할까 염려하는 것은 생


명을 보존하는 것이요, 어지러울까 여기는 것은 그 다스림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군자는 편안한 상태에 있으면서도 위태롭게 될 것을 잊지 않고, 보존하면
서도 망함을 잊지 않고, 다스려져도 어지러움을 잊지 않는다.242)

이처럼 기미에는 천기, 언행, 불인과 불의, 실위, 안일함 등이 있으며, 이러한 기미
를 살펴서 아는 것을 지기(知幾)라고 한다. 지기는 인과관계에 근거한 것으로 결과가
드러나기를 기다리지 않고 먼저 그 원인을 관찰하는 것이다. 또한 변화의 동향을 일

237) 『周易』 鼎卦 九四 爻辭: 鼎折足 覆公餗 其形渥 凶.


238) 『周易』 解卦 六三 爻辭: 負且乘 致寇至 貞吝.
239) 『周易』 乾卦 上九 爻辭: 亢龍有悔.
240) 『周易』 乾卦 上九 「文言傳」: 知進而不知退 知存而不知亡 知得而不知喪 其唯聖人乎 知進
退存亡而不失其正者 其唯聖人乎.
241) 『周易』 否卦 九五 爻辭: 其亡其亡 繫于抱桑.
242) 『周易』 「繫辭下傳」 제5장: 危者 安其位者也 亡者 保其存者也 亂者 有其治者야 是故 君
子 安而不忘危 存而不忘亡 治而不忘亂.

- 63 -
찍 판별하여서 방지하거나 추진하는 것을 말한다.243) 지기는 세상과 소통하는 힘이
며, 우리를 둘러싼 환경과 인간에 대한 지식과 이해로부터 출발한다.244)
『주역』에는 지기245)와 관련된 많은 문장들이 보인다. 먼저 건괘(乾卦) 「문언전」 구
삼에서는 “이를 데를 알아 이르므로 더불어 기미를 알 수 있다”246)고 한다. 앞을 내
다보는 혜안으로 도달할 수 있는 목표를 설정하고 거기에 도달하기 위해 노력하니 기
미를 아는 것이다. 곤괘(坤卦) 초육에서는 “서리를 밟는다. 단단한 얼음이 곧 올 것이
다”247)라고 한다. 서리라는 기미를 보고 머잖아 겨울이 올 것임을 알아차리는 것이
다. 둔괘(屯卦) 육삼에서는 “사슴을 쫓는데 몰이꾼이 없다. 오직 숲속으로 들어갈 뿐
이다. 군자가 기미를 알아 그만 두는 것만 못하다. 계속 나아가면 창피를 당하게 될
것이다”248)라고 한다. 몰이꾼도 없이 무작정 숲속으로 들어갔다가는 위험에 빠질 수
있으므로 그런 조짐을 미리 알아차려 숲을 빠져나와야 더 큰 곤경에 빠지지 않게 되
는 것이다. 예괘(豫卦) 육이에서는 “절개가 돌과 같다. 하루를 마칠 것도 없으니 올바
르고 길할 것이다”249)라고 한다. 기미를 미리 알아서 재빨리 스스로를 경계하니 올바
르고 길하다. 복괘 초구에서는 “멀리 가지 않고 돌아오는 것이다. 후회하는 데까지
이르지 않으니 크게 길할 것이다”250)라고 한다. 처음에 잘못된 길로 접어들었으나 오
래지 않아 그 잘못을 깨달아서 고치니 길하다. 대축괘(大畜卦) 육사에서는 “송아지의
뿔에 횡목을 대는 것은 크게 길하다”251)고 한다. 천방지축인 송아지의 뿔에 횡목을

243) 高懷民, 정병석 역, 『주역철학의 이해』, 문예출판사, 2004, 423-424쪽 참조.


244) 심의용, 『세상과 소통하는 힘 주역』, 아이세움, 2007, 8쪽 참조; 이상임, 「‘판단의 한 과
정’의 측면에서 본 주역의 ‘기미’」, 『동양철학』 제30집, 한국동양철학회, 2009, 419쪽 참
조.
245) 『주역』에서 지기의 방법으로 활용되는 것으로는 찰미(察微), 감통(感通), 궁신(躬神), 관견
(觀見), 자관(自觀), 관(觀), 유취(類聚), 상징화(象徵化) 등을 들 수 있다. 『주역』에서 지기
는 괘효상을 관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관련 논문으로는 송인창, 「『주역』에 있어서 감
통의 문제」, 『주역연구』 제3집, 한국주역학회; 정병석, 「『주역』의 관」, 『철학』 제75집, 한
국철학회, 2003; 김연재, 「변화의 세계에 대한 『주역』의 조망과 창조적 소통」, 『유교사상
문화연구』 제54집, 한국유교학회, 2013; 엄연석, 「『주역』에서 상과 의미의 우연적 계기와
필연적 계기」, 『종교와 주역사상』(한국주역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집), 한국주역학회,
2003; 이완재, 「역학적 인식과 표현방법에 관하여」, 『주역의 현대적 조명』, 범양사, 1992
등이 있다(이시우, 「변역의 도와 우환의식의 관계 고찰」, 『동서철학연구』 제66호, 한국동
서철학회, 2012, 99쪽 참조).
246) 『周易』 乾卦 「文言傳」 九三: 知至至之 可與幾也.
247) 『周易』 坤卦 初六 爻辭: 履霜 堅冰至.
248) 『周易』 屯卦 六三 爻辭: 卽鹿无虞 惟入于林中 君子幾 不如舍 往吝.
249) 『周易』 豫卦 六二 爻辭: 介于石 不終日 貞吉.
250) 『周易』 復卦 初九 爻辭: 不遠復 无祗悔 元吉.
251) 『周易』 大畜卦 六四 爻辭: 童牛之牿 元吉.

- 64 -
댐으로써 사람이 다치거나 물건을 손상시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니 길하다.
기제괘(旣濟卦) 「대상전」에서는 “군자는 이 괘의 이치를 살펴 환난이 일어날 것을 생
각하며 미리 예방한다”252)고 한다. 괘를 통해 환난의 기미를 미리 알아채고 예방하는
것이다.
이처럼 기미를 미리 예측하고 감지하여 자신의 허물을 고치고 추길피흉(趨吉避凶)
하고자 하는 자세야말로 바로 시중을 실천할 수 있는 전제조건인 것이다.

2. 수시변통(隨時變通)

1) 수시변통

우주만물 속에서 그 일원으로 살아가는 인간에게는 마땅히 걸어가야 하는 길이 있


다. 그 길에 대한 올바른 선택을 통하여 바람직한 삶이 가능하게 된다. 그 마땅함을
주역은 ‘시중’으로 표현하고 있다. 『주역』은 사람이 할 수 있고 하여야 할 것은 바로
자연의 섭리에 따르고, 인간의 본성에 순응하여, 인덕(仁德)을 베푸는 것이라고 말한
다. 그런데 이와 같이 자연의 섭리에 따라 살아가려면 먼저 그 자연의 질서를 알아야
만 한다. 이는 곧 변화의 상황, 즉 변통의 과정에 대한 인식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
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주역』의 64괘 384효는 바로 이러한 변화가 갖는 의미와 그
에 따른 실천 내용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253) 다시 말해, 『주역』에서 시중은 음과
양이 순환되는 변역의 도에 근거하여 그 ‘상황에 따라 변통함[隨時變通]’의 과정을 어
떻게 대처해나가는가 하는 인간 심법의 문제로 심화되어 다루어진다.254)
‘상황에 따라 변통하는 것’과 관련하여 「계사전」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변통하는 것은 상황에 따르는 것이다.255)


변통함은 사계절에 짝한다.256)

252) 『周易』 旣濟卦 「大象傳」: 君子以 思患而豫防之.


253) 최정묵, 「주역적 관점의 자연과 인간」, 『철학논총』 제51집 제1권, 새한철학회, 2008, 316
쪽 참조.
254) 이규희, 「주역에서의 시중지덕에 대한 고찰」, 『민족문화』 제50집, 한국고전번역원, 2018,
126쪽 참조.
255) 『周易』 「繫辭下傳」 제1장: 變通者 趣時者也.
256) 『周易』 「繫辭上傳」 제6장: 變通 配四時.

- 65 -
변통하는 것은 사계절보다 더 큰 것이 없다.257)

‘상황에 따라 변통하는 것’의 본보기가 되는 것은 바로 자연의 운행, 즉 자연의 섭


리라는 것이다. 건괘(乾卦)와 수괘(隨卦)의 괘사에서는 이러한 자연의 섭리를 밝히고
있다.

하늘이다. 크고, 형통하고, 이롭고, 바르다.258)

건괘의 건(乾)은 하늘을 상징하는데, 하늘[天]에는 다섯 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는,


물질지천(物質之天) 즉 땅과 상대적인 하늘이다. 둘째는, 주재지천(主宰之天) 즉 인격
적인 하늘이다. 셋째는 운명지천(運命之天) 즉 우리 삶 가운데 어찌할 도리가 없는
대상으로서의 하늘이다. 넷째는, 자연지천(自然之天) 즉 자연의 운행으로서의 하늘이
다. 다섯째는, 의리지천(義理之天) 즉 우주의 최고 원리로서의 하늘이다.259) 하늘의
이러한 다섯 가지 의미 중에서 건괘 괘사의 하늘은 자연지천 즉 자연의 운행으로서의
하늘을 가리킨다. 건괘 괘사의 원형이정, 즉 크고 형통하고 이롭고 바르다는 것은 자
연의 운행으로서의 하늘의 네 가지 작용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원(元)은 봄의 작용을
말하며 크다, 착하다, 어질다는 뜻을 갖고 있다. 형(亨)은 여름의 작용을 말하며 형통
하다, 아름답다, 예에 합당하다는 뜻을 갖고 있다. 이(利)는 가을의 작용을 말하며 이
롭다, 마땅하다, 의리에 맞다는 뜻을 갖고 있다. 그리고 정(貞)은 겨울의 작용을 말하
며 바르다, 곧다, 지혜롭다는 뜻을 갖고 있다.260)

따르는 것이다. 크고 형통하고 이롭고 바르면, 허물이 없다.261)

수괘의 수(隨)는 ‘상황에 따르는 것[隨時]’을 말한다. 자연의 운행으로서의 하늘의


네 가지 작용에 따르면 허물이 없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봄에 만물이 소생하듯 일
을 시작하고, 여름에 만물이 자라듯 일을 확장하고, 가을에 만물이 열매를 맺듯 일의
결실을 보고, 겨울에 만물을 갈무리하듯 일을 마무리하면 허물이 없음을 말한다. 이

257) 『周易』 「繫辭上傳」 제11장: 變通 莫大乎四時.


258) 『周易』 乾卦 卦辭: 乾 元亨利貞.
259) 馮友蘭, 박성규 옮김, 『중국철학사』 상, 까치글방, 2004, 61쪽.
260) 程頤 『伊川易傳』 乾卦 「文言傳」註 참조; 朱熹 『周易本義』 乾卦 「文言傳」註 참조; 이기
동 역해, 『주역강설』 상,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97, 51-61쪽 참조.
261) 『周易』 隨卦 卦辭: 隨 元亨利貞 无咎.

- 66 -
처럼 ‘상황에 따라 변통하는 것’의 본보기로는 사계절의 순환보다 더 크고 분명한 것
이 없다.
또한 「계사전」은 변통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궁색함’을 들고 있다. 궁색한 상황
이 되면 변화를 모색하게 되고, 변화하게 되면 소통이 되며, 소통이 되면 오래 지속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하늘이 도와서 이로움을 얻을 수 있다. 변통의 목
적은 이익의 극대화에 있는 것이다.262)

역은 궁하면 변하고 변하면 통하고 통하면 오래 간다. 그러므로 하늘이 도와서 길


하고 이롭지 않음이 없다.263)
변통함으로써 이로움을 다할 수 있다.264)

변화와 소통은 차별적이면서도 연속적인 것이다. 음과 양의 대립과 통일은 서로 전


환하면서도 서로 제약한다는 점에서 변화라고 부른다. 반면에 음과 양의 변화가 서로
접촉을 통해 서로 통괄한다는 점에서 소통이라고 부른다. 여기에서 변통의 핵심은 일
종의 상황논리에 따르는 것으로서, 그 변통의 과정을 통해 인간의 삶에서 최상의 여
건을 만들거나 최상의 결과를 얻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변통관(變通觀)의 본령이
다.265)
이는 사물의 변화에 관한 인식과 그 가치론적 의미를 담고 있다. 사물은 음과 양이
교류하고 상호작용하여 일정한 정도에 이르면 극단, 즉 궁색함에 이른다. 궁색함은
변화로의 전환을 초래한다. 사물의 양적 변화가 일정한 정도에 이르면 반드시 질적인
변화를 일으키므로 자신의 원래 지녔던 상태를 결코 유지할 수 없다. 이것이 변화이
다. 이와 동시에 또한 반드시 새로운 양적 변화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과정
이 바로 소통이다. 이러한 변화와 소통의 결과가 오래 감이다.266)
변통의 내용은 인간이 기로(岐路)에 선 경우를 통해 이해될 수 있다. 즉 사람이 특
정의 상황에 처하여 선택의 기로에 섰을 때에 무엇보다도 가장 필요하고도 중요한 것
은 이를 극복하기 위한 상황대처의 능력인데, 그 중에서도 변화하려는 의지와 그것의

262) 곽신환, 「주역의 변통과 개혁사상」, 『유교사상연구』 제29집, 한국유교학회, 2007, 127쪽
참조.
263) 『周易』 「繫辭下傳」 제2장: 易 窮則變 變則通 通則久 是以自天祐之 吉無不利.
264) 『周易』 「繫辭上傳」 제12장: 變而通之 以盡利.
265) 김연재, 「변화의 세계에 대한 주역의 조망과 창조적 소통」, 『유교사상문화연구』 제54집,
한국유교학회, 2013, 86쪽 참조.
266) 김연재, 「변화의 세계에 대한 주역의 조망과 창조적 소통」, 『유교사상문화연구』 제54집,
한국유교학회, 2013, 86-87 참조.

- 67 -
실행이 중요하다. 변화하려는 의지가 상황의 전개에 따른 외부와의 소통을 가능하게
하고 따라서 자신의 입지를 확고히 존속케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변화하여 소통하는
것은 인간이 현실에서 취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대처방안이 된다. 이를 인간사회에
적용해 보면, 어떤 상황에서 양적인 변화가 다할 경우에 반드시 문제가 발생하는 상
황이 벌어진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질적인 변화가 수반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양적 변화와 질적 변화가 함께 진행되는 통일적 과정은 존재론적(存
在論的)이자 가치론적(價値論的)인 변화의 관점, 즉 변통관의 핵심이 된다.267)

2) 변통(變通)과 통변(通變)

변통관에서 보면, 『주역』에는 천차만별의 다양하고도 복잡한 현상세계가 표현되어


있다. 이는 변화의 순환적 원리 속에서 객관과 주관의 상관성으로써 설명할 수 있다.
우선 변(變)과 통(通)은 서로 구분되기도 하고 서로 바뀌기도 한다. 그것은 ‘변하여
통한다’는 측면과 ‘통하여 변한다’는 측면으로 나누어 설명될 수 있다. 전자가 객관적
측면에서 접근하는 것이라면, 후자는 주관적 측면에서 접근하는 것이다. 만일 전자의
내용을 시간에 따라 공간이 전개되는 과정으로 이해한다면, 후자의 내용은 공간에서
시간의 순서에 따르는 과정이다.268)
‘변하여 통한다’는 측면은 대상세계의 운행질서의 방식으로 이해될 수 있는 반면에,
‘통하여 변한다’는 측면은 인간사회의 규범의 방식으로 이해될 수 있다. 객관적인 측
면에서 설명하자면, 세계는 ‘변하여 통한다’고 할 수 있다. 「계사전」에서는 “변통이란
상황을 따르는 것이다”269)라고 말한다. 변화는 추세, 환경 등의 객관적 조건에 따라
진행되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변하고 통하게 하여 이로움을 다한다”270)는 내용인
것이다. 변하여 통하는 세계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인간사회에 이익이 되는 공헌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반면에 주관적 측면에서 설명하자면, 인간은 ‘통하여 변한다’고
할 수 있다. 「계사전」에서는 “통하여 변하는 것을 일러 일이라고 한다”271)고 하였다.
인간은 변화하는 세계에 관한 여러 가지 조건들을 올바로 인식해야 할뿐만 아니라,

267) 김연재, 「변화의 세계에 대한 주역의 조망과 창조적 소통」, 『유교사상문화연구』 제54집,
한국유교학회, 2013, 89쪽 참조.
268) 김연재, 「변화의 세계에 대한 주역의 조망과 창조적 소통」, 『유교사상문화연구』 제54집,
한국유교학회, 2013, 87-88쪽 참조.
269) 『周易』 「繫辭下傳」 제1장: 變通者 趣時者也.
270) 『周易』 「繫辭上傳」 제12장: 變而通之 以盡利.
271) 『周易』 「繫辭上傳」 제5장: 通變之謂事.

- 68 -
더 나아가 그에 따라 스스로 변화하고 이를 확장하여 인간관계의 개선, 사회의 변혁
등을 추구해야 하는 것이다.272)
전자의 경우를 ‘변화의 세계’로 특징지을 수 있다면, 후자의 경우는 ‘세계의 변화’
로 특징지을 수 있다. 그 양자가 원만하게 조화 혹은 통일을 이루어야 한다. 그러므
로 인간은 주관성과 객관성의 상호관계에 따라 합리성의 변화를 추구한다. 즉 인간은
변화하는 세계를 파악할 수도 있으며, 그 세계를 변화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변통관
은 유기적(有機的)인 관계망과 그에 따른 세계의 연속적 과정에 대한 주관과 객관의
시각을 담고 있는 것이다.273)

3. 시중(時中)과 우환의식(憂患意識)

부단히 변화하는 상황 속에서 그것에 합당한 행동을 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살아


가는 인간에게는 끝없는 걱정과 두려움이 존재한다. 두려움은 자연의 변화에 대한 무
지에서 기인하고, 걱정은 스스로 굳건하지 못함에서 시작된다. 인간이 할 수 있는 일
은 결과를 예측하고 좋은 결과를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라, 진실한 마음으로 최선을
다하는 것이다.274) 이러한 점에서 우환(憂患)을 극복하기 위한 길은 덕을 쌓는 데 있
다.275) 『주역』은 우주의 모습을 ‘생생불이(生生不已)’의 무한한 생명 창조의 과정으로
그리고 있고, 인간은 그 안에서 도덕 실천자의 사명을 지닌 존재로 본다. 그러나 현
실의 인간은 ‘우환적 존재’, ‘미완성적 존재’이므로 ‘선보과(善補過)’ 하여야 하고, ‘추
길피흉(趨吉避凶)’, ‘개과천선(改過遷善)’ 하여야 한다.276)
이처럼 인간의 실존적인 삶은 그 자체가 우환과 결부되어 있다. 따라서 인류는 일
찍이 그러한 우환의 극복을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주역』 「계사하전」에서
는 『주역』이 그런 우환의식 속에서 만들어졌음을 말하고 있다. 즉, 『주역』은 해우방

272) 김연재, 「변화의 세계에 대한 주역의 조망과 창조적 소통」, 『유교사상문화연구』 제54집,
한국유교학회, 2013, 88쪽 참조.
273) 김연재, 「변화의 세계에 대한 주역의 조망과 창조적 소통」, 『유교사상문화연구』 제54집,
한국유교학회, 2013, 88쪽 참조.
274) 최정묵, 「주역적 관점의 자연과 인간」, 『철학논총』 제51집 제1권, 새한철학회, 2008,
314-315쪽 참조.
275) 남상호, 「주역과 공자인학」, 『범한철학』 제28집, 범한철학회, 2003, 67쪽 참조.
276) 정병석, 「『역경』 상징체계의 함의」, 『주역의 현대적 조명』(한국주역학회 편), 범양사,
1992, 243쪽 참조.

- 69 -
환(解憂防患)을 위하여 지은 것이다.277)

『주역』의 흥함이 중고 시기인가? 『주역』을 만든 사람은 우환의식을 가지고 있었는


가?278)

또한 「계사하전」에서는 『주역』이 다가올 우환과 그 까닭을 밝히고 있음을 말한다.


그리고 우환의식이 있음으로써 자리를 편안히 하고, 생존을 보장할 수 있고, 다스림
이 가능해진다고 말한다. 한편 『논어(論語)』에서도 공자는 다가오지 않은 먼 날을 미
리 대비하지 않으면 우환이 닥치게 됨을 경고한다.

『주역』이란 책은 멀리 할 수 없는 것이다. ……(역의 변화의 도는) 나가고 들어가는


것이 법도에 맞아 안팎의 모든 사람들로 하여금 두려움을 알도록 하고 또 다가올 우
환과 그 까닭을 분명하게 밝힌다.279)

위태롭게 염려하는 것은 그 자리를 편안히 하는 것이고, 망할까 염려하는 것은 생


존을 보장하는 것이고, 어지러울까 여기는 것은 그 다스림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군자는 편안한 상태에 있으면서도 위태롭게 될 것을 잊지 않고, 보존하면
서도 망함을 잊지 않고, 다스려져도 어지러움을 잊지 않는다. 이렇게 함으로써 몸이
편안해지고 나라가 보존될 수 있다. 『주역』의 비괘에서는 ‘망할까 망할까 두려워하여
야 더부룩하게 난 뽕나무 뿌리에 매어놓듯이 견고하고 안전하게 된다’고 말한다.280)

공자가 말하였다. “사람이 먼 헤아림이 없으면 반드시 가까운 근심이 있다.”281)

‘우환의식(憂患意識)’이란 용어를 학계에 처음 소개한 서복관(徐復觀)은 중국인의


철학적 사유가 우환의식에서 싹텄다282)고 말하며, 그 탄생배경과 특징에 대해 이렇게

277) 곽신환, 『주역의 자연과 인간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7,


126쪽.
278) 『周易』 「繫辭下傳」 제7장: 易之興也 其於中古乎 作易者 其有憂患乎.
279) 『周易』 「繫辭下傳」 제8장: 易之爲書也 不可遠 ……其出入以度 外內使知懼 又明於憂患與
故.
280) 『周易』 「繫辭下傳」 제5장: 危者 安其位者也 亡者 保其存者也 亂者 有其治者야 是故 君
子 安而不忘危 存而不忘亡 治而不忘亂 是以身安而國家可保也 易曰 其亡其亡 繫于苞桑.
281) 『論語』 「衛靈公」 제11장: 子曰 人無遠慮 必有近憂.
282) 문재곤, 「한초 황로학에 대한 일고찰」, 『철학연구』 제11집, 고려대학교 철학회, 1986,
197쪽 참조

- 70 -
설명한다.

우환의식은 원시의 종교적인 동기에서 비롯되는 공포나 절망과는 같지 않다. 일반


사람은 항상 공포와 절망에 빠져 있을 때 자신이 너무 미소하다고 느끼고 자기의 책
임을 포기하여 모든 것을 외부에 존재하는 신에 의존해서 결정하려 한다. “은나라 사
람들은 귀신을 숭상한다”고 복사에 묘사되어 있는 생활은 바로 이러한 생활이다. 우
환이 공포나 절망과 가장 다른 점은 우환 심리가 곧 길흉성패에 대한 당사자의 심사
숙고로부터 오는 원견(遠見)에서 형성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원견에서 중요한 점은
길흉성패와 당사자의 행위는 밀접한 관계에 있고, 또 당사자는 행위에 대해서 응분의
책임을 진다는 사실이다. 우환은 바로 이러한 책임감에서 나온 것으로 곤란한 일을
몸소 돌파하는 것이 요구되면서 아직 돌파하지 못한 심리상태이다. 그러므로 우환의
식이란 사물을 처음 접할 때 발생하는 책임감의 표현, 즉 정신적인 면에서 일어나는
인간의 지각에 대한 표현인 것이다. 자신의 문제에 책임을 질 때라야만 비로소 우환
의식이 생겨난다. 이러한 우환의식에는 실제로 일종의 견강(堅强)한 의지와 분발하는
정신이 온축되어 있는 것이다. 우환의식이 약동할 때 자기 자신의 행위를 신중히 하
고 또 성실히 노력하려는 방향으로 옮겨간다.283)

우환의식은 은대(殷代)처럼 제신(祭神)에 의존하지 않고 인간 스스로 주어진 일을


보다 완전하게 성취해 내고자 하는 데서 비롯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284) 다시 말해
우환의식은 현실에 대한 긍정 및 인간의 주체성에 대한 자각에서부터 비롯되었으므로
은대의 종교문화(宗敎文化)로부터 주대(周代)의 인문주의(人文主義)로의 전환과정에서
출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285)
또한 우환의식에는 일의 결과를 미리 헤아리는 사려 깊음이 있다. 일이 잘못 진행
될 때 그 잘못된 상황을 고치고 길한 결과로 이끌기 위한 신중함과 두려움 그리고
성실함이 있다. 우환 속에서 자신에 대한 자각과 책임감으로 난관을 돌파해 내려는
정신력과 성실성 그리고 겸손 등이 온축되어 있는 것을 우환의식이라고 할 수 있
다.286) 이와 관련하여 맹자의 다음과 같은 말들은 시사해 주는 바가 크다.

283) 徐復觀, 『中國人性論史』 先秦篇, 上海三聯學術文庫, 2001, 18-19쪽.


284) 곽신환, 『주역의 자연과 인간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7,
128쪽 참조.
285) 선우미정, 「주역의 우환의식에 관한 고찰」, 『동양철학연구』 제37집, 동양철학연구회,
2004, 272쪽 참조.
286) 심귀득, 『주역의 생명관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6, 65쪽.

- 71 -
하늘이 장차 큰 임무를 그 사람에게 내리려 할 때에는 반드시 먼저 그 심지를 괴롭
히고, 그 근골을 수고롭게 하며, 그 몸과 피부를 굶주리게 하고, 그 몸을 궁핍하게
하여, 그가 하는 것을 어그러뜨리고 어지럽힌다. 그렇게 함으로써 마음을 분발시키고
성질을 참게 하여, 그 능하지 못한 부분을 증익시키기 위한 것이다. 사람은 항상 허
물이 있은 뒤에 고치는 것이니, 마음에 고달픈 것이 있고 생각에 순조롭지 못한 것이
있은 뒤에 분발하여 일어나며, 고통스러움이 얼굴에 표가 나고 목소리에 나타난 뒤에
깨닫는 것이다. 나라 안에 들어가면 법도 있는 집과 보필하는 선비가 없고, 나라 밖
에 나가면 적국과 외환이 없는 경우에는 나라가 항상 멸망한다. 그런 뒤에야 사람은
우환 속에서는 살아나고 안락한 속에서는 죽는다는 것을 알게 된다.287)

사람이 덕행과 지혜와 기술과 지식을 가지게 되는 것은 항상 질병이나 재난 가운데


에 있을 때이다.288)

삶이 안락하고 걱정거리가 없으면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나태하게 된다. 그리고 그


러한 나태는 퇴보를 가져온다. 그에 반해 삶이 고달프고 걱정거리가 많으면 당장은
살아가는 것이 힘들고 고통스럽지만, 그것은 사람들을 분발시키고 우환의식을 불러일
으킨다. 그리하여 끝내는 더 발전하고 성숙하게 만든다.
『주역』에서 말하는 우환은 단순히 ’걱정도 팔자‘라는 식의 괜한 근심이나 또는 원
시종교 발생의 동기가 되는 공포ㆍ절망ㆍ걱정ㆍ불안 등의 감정이 아니다. 개인에 대
해서는 허물이 없는 삶을 일구기 위한 반성의 계기이자 삶의 돌파구이고, 사회 전체
에 대해서는 공동체의 운명을 짊어지는 맥락으로서의 우환이다. 이는 곧 유가지식인
의 우환의식을 내외구조로 분석했을 때 그것이 각각 무구(无咎)와 구세(救世)의 의미
구조로 되어있음을 말한다.289)

『주역』이 흥한 것은 은나라의 말기와 주나라의 덕이 성한 시기에 해당하는가? 문왕


과 주의 일에 해당하는 것인가? 이런 까닭에 그 말이 위태로우며, 위태로워하는 자는
평안하게 만들고, 안이하게 대처하는 자는 몰락하게 한다. 그 도가 아주 커서 온갖

287) 『孟子』 「告子下」 제15장: 故天將降大任於是人也 必先苦其心志 勞其筋骨 餓其體膚 空乏


其身 行拂亂其所爲 所以動心 忍性 曾益其所不能 人恒過然後能改 困於心衡於慮而後作
徵於色發於聲而後喩 入則無法家拂士 出則無敵國外患者 國恒亡 然後 知生於憂患而死於
安樂也.
288) 『孟子』 「盡心上」 제18장: 人之有德慧術知者 恒存乎疢疾.
289) 이시우, 「변역의 도와 우환의식의 관계 고찰」, 『동서철학연구』 제66집, 동양철학연구회,
2012, 104쪽.

- 72 -
사물을 버리지 않고, 두려워하는 마음으로 끝과 시작을 일관하며, 그 요점은 허물이
없도록 하는데 있으니, 이것을 일러 『주역』의 도라고 한다.290)

위 인용문에서 우환의 두 가지 의미가 나타난다. 첫째는 인용문에 드러나 있듯이


소극적ㆍ내적 측면에서 보면 자유롭고 자율적인 개인이 지금 자신의 속박된 상태를
스스로 해방시키고 허물없는 삶을 살기 위해 시종일관 두려워하는 심리상태의 계기를
말한다. 둘째는 적극적ㆍ외적 측면에서 보면 당시 어지러운 세상의 고통 속에서 백성
을 구하려는 문왕(文王)의 구세(救世)의 노력이 인문주의 정신으로 그대로 발로된 것
이라고 볼 수 있다.291)
개체와 공동체의 관계를 중시하고, 개인의 수양을 넘어서 사회적 계도를 통해 세상
의 평화를 일구기 위해 사회적 참여와 책임을 중시하는 유가 지식인의 학문을 일컬어
’수기치인(修己治人)의 학문‘이라고 하는데, 이 같은 수기치인 또는 수기안인(修己安
人)이란 것도 따지고 보면 『주역』의 ’무구-구세‘의 또 다른 표현일 뿐이다.292)
이처럼 우환의식은 무구를 추구하는 내적 우환의식과 구세를 지향하는 외적 우환의
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1) 내적 우환의식

『주역』의 인간은 우환의 인간이고, 허물 많은, 결핍(缺乏)의 인간이다. 괘효사에서


무구가 강조되고 있는 것이 그것을 말해 준다. 구체적으로 『역경』에서 120여회, 『역
전』에서 10여회 모두 130여회나 무구라는 말이 나온다. 무구란 ‘선보과(善補過)’ 즉
허물을 잘 보완하여 추길피흉(趨吉避凶)함을 뜻한다. 개과천선(改過遷善)을 강조하는
것이 『주역』이다. 청대의 역학자 이도평(李道平)은 384효는 한마디로 말해 ‘선보과’라
고 말한다.293)

290) 『周易』 「繫辭下傳」 제11장: 易之興也 其當殷之末世 周之盛德耶 當文王與紂之事耶 是故


其辭危 危者使平 易者使傾 其道甚大 百物不廢 懼以終始 其要无咎 此之謂易之道也.
291) 이 같은 우환의식의 확장을 『주역』에서는 자기의 덕을 쌓는 ‘진덕수업’에 만족하지 않고
한 걸음 더 나아가 ‘숭덕광업’으로 확장시켜 다른 사람에게까지 미치게 하는 정치적 사업
으로 표현하고 있다. (高明, 「易經的憂患意識」, 『憂患意識的體認』, 文津出版社, 1988, 17
쪽 참조; 이시우, 「변역의 도와 우환의식의 관계 고찰」, 『동서철학연구』 제66집, 동양철
학연구회, 2012, 104-105쪽.)
292) 이시우, 앞의 논문, 105쪽.
293) 李道平, 『周易集解簒疏』: 是周易爲補過之書, 而補過之道在乎无咎, 无咎之道存乎能悔, 悔
則咎之所由无面過之所由補者也. 三百八十四爻, 一言以蔽之, 曰, 善補過.; 곽신환, 『주역
의 자연과 인간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7, 100쪽 참조.

- 73 -
허물과 관련하여 공자는 “허물이 있어도 고치지 않는 것, 그것을 허물이라고 한
다”294)고 말한다. 살아가면서 허물을 범하지 않기는 힘들다. 문제는 그 허물을 깨달
아 주저 없이 고쳐나가는 것이고, 그 허물을 되풀이하지 않는 것이다. 그러기에 공자
는 제자 안연(顏淵)의 ‘불천노(不遷怒)’, ‘불이과(不貳過)’를 칭찬한다. 안연 역시 사람
으로서 노여움과 허물이 없을 수 없었지만, 그 노여움을 다른 사람에게 옮기지 않았
고 그 허물을 깊이 반성하여 두 번 다시 되풀이하지 않았다. 다시 말해 안연은 남다
른 우환의식이 있었던 사람으로 그 허물이 우환과 흉한 일로 닥치기 전에 고치고 바
로 잡는 능력이 뛰어난 사람이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공자는 안연의 그 선보과를
칭찬하고 있는 것이다.
내적 우환의식이 추구하는 무구는 과(過)도 불급(不及)도 아닌, 즉 시중이라는 현실
적합성[時宜適切性]에 따라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동적 균형을 유지하며 “공정성에
기반을 둔 균형 잡힌 삶”295)을 유지하려는 태도이다.296)
무구를 이루기 위해서는 우환의식을 가지고 조짐을 살피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렇
게 함으로써 흉을 피하고 길로 향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자기의 허물을 고쳐 선으
로 나아갈 수 있게 된다.297)

2) 외적 우환의식

사물 변화의 조짐을 잘 알아채는 사람은 자연스럽게 허물이 줄어들 것이고, 같은


잘못을 두 번 다시 하지 않아서 삶의 균형추가 선과 미의 사이를 진동함으로써 평생
허물이 없을 수도 있다. 하지만 원대한 포부를 가진 성인에게 있어 다만 개인의 허물
이 없는 게 궁극적인 목적일 수는 없다.298) 이와 관련하여 공자는 다음과 같이 말한
다.

294) 『論語』 「衛靈公」 제29장: 過而不改 是謂過矣.


295) 신정근, 『중용, 극단의 시대를 넘어 균형의 시대로』, 사계절, 2010, 48쪽.
296) 이시우, 「변역의 도와 우환의식의 관계 고찰」, 『동서철학연구』 제66집, 동양철학연구회,
2012, 109쪽 참조.
297) 이시우, 「변역의 도와 우환의식의 관계 고찰」, 『동서철학연구』 제66집, 동양철학연구회,
2012, 101쪽 참조.
298) 이시우, 「변역의 도와 우환의식의 관계 고찰」, 『동서철학연구』 제66집, 동양철학연구회,
2012, 105쪽 참조.

- 74 -
덕을 닦지 못하는 것, 학문을 익히지 못하는 것, 의를 알면서도 실천하지 못하는
것, 착하지 않은 것을 고치지 못하는 것, 이 네 가지가 나의 근심이다.299)
군자는 세상을 마치도록 이름이 일컬어지지 않는 것을 싫어한다.300)

개인적인 덕을 닦고 학문을 익히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니어서 늘 근심거리이지만,


그보다 더 큰 근심은 세상에 나아가 의를 실천하고 온축한 덕과 학문을 펼쳐서 구세
하는데 있다고 공자는 말한다.
이러한 공자의 우환의식의 의미는 맹자의 말을 통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군자는 종신토록 하는 근심은 있어도 하루아침의 걱정거리는 없다. 근심해야 할 것


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순임금도 사람이고 나도 또한 사람이다. 순임금은 천
하의 모범이 되어 후세에 전하는데, 나는 여전히 시골의 평범한 사람을 면하지 못하
고 있다. 이것은 근심할 만한 일이다.301)

군자(君子)의 근심은 소인의 근심처럼 매일매일 일어나는 개인적인 이해득실에 대


한 근심이 아니라, 어떻게 하면 순(舜)임금처럼 세상을 구제하여 후세에 이름을 남길
수 있을까 하는 그런 근심이다. 맹자의 이 말은 유가 지식인으로서 공동체에 대해 갖
는 책무를 다하지 못하는 것이 얼마나 큰 근심인지를 잘 대변하고 있다. 특히 호연지
기(浩然之氣)의 기상을 강조했던 맹자의 기준에 의하면 유가적 사회 관계망에서 평범
한 사람 노릇하는 것이 수치일 수밖에 없었다. 맹자가 살던 춘추전국 시기의 혼란했
던 시대적 상황을 고려할 때, 맹자는 유가 지식인이라면 현실 정치에 참여하여 자신
의 책무를 다하고 백성의 행복을 위해 정치적 사업을 잘 펴서 사회를 안정시키는 데
이바지해야 한다고 여겼던 것이다. 이렇게 보면 공자와 맹자의 우환의식은 고통의 세
상을 구원하려는 ‘구세’의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다.302) 이와 관련하여 모종삼(牟宗
三)은 우환의식을 다음과 같이 정리한다.

299) 『論語』 「述而」 제3장: 德之不脩 學之不講 聞義不能徙 不善不能改 是吾憂也.


300) 『論語』 「衛靈公」 제19장: 君子 疾沒世而名不稱焉.
301) 『孟子』 「離婁下」 제28장: 君子 有終身之憂 無一朝之患也 乃若所憂則有之 舜人也 我亦人
也 舜爲法於天下 可傳於後世 我由未免爲鄕人也 是則可憂也.
302) 이시우, 「변역의 도와 우환의식의 관계 고찰」, 『동서철학연구』 제66집, 동양철학연구회,
2012, 105-106쪽 참조.

- 75 -
군자는 우환의식을 종신토록 그의 마음속에 넣어 두고 있다. ……천지는 본래 만물
을 창조하고 길러주는 위대한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인간들은 그것에 대해서 항상
만족하지만은 못한다. 인간과 우주에는 분명히 완전함은 있지 않다. 그러므로 성인이
어찌 우환의 마음을 가지지 않겠는가? 그가 우환하고 있는 것은 우주가 만물을 생육
하지 못해서가 아니라, 만물의 생육이 자기 본성대로 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
한 우환의식은 점점 그 범위를 확대하여 전 인류와 우주에 대한 우환으로 확대되는
것이다.303)

성인의 우환의식이 갖는 구세의 노력을 『주역』에서는 ‘개물성무(開物成務)’로 표현


하고 있다. 성인은 보통 사람과 다르게 자신의 바람과 실천 사이에 아무런 장애가 없
기 때문에 욕망이 사욕으로 흐르지 않고 세상의 평화를 일구는 쪽으로 발휘된다. 하
지만 엄밀히 따지면 성인도 평화를 일구기 위해 자신의 외부 조건을 철저히 알고 개
조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주역』에서는 성인의 이 같은 사업에 대해 공자의 말
을 통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주역』은 어찌하여 지은 것인가? 『주역』은 만물을 열고 일을 이루어서[開物成務]


천하의 모든 도리를 망라하고 있으니, (어떤 다른 이유가 있는 게 아니라) 이와 같을
뿐이다.”304)

이에 대해 장재(張載)는 “비록 지극히 사소한 것일지라도 개물성무하지 않음이 없


다.”305)라고 해석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 유가의 우환의식이 단순히 개인의 심리상태
나 무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세상 미물에까지 미치지 않음이 없는 구세의 정신에
닿아 있음을 알 수 있다.306)

303) 정병석, 「유가의 우환의식과 현대의 위기」, 『인간과 사상』 제6집, 영남동서철학연구회,
1994, 113~116쪽.
304) 『周易』 「繫辭上傳」 제11장: 夫易 何爲者也 夫易 開物成務 冒天下之道 如斯而已者也.
305) 丁原明, 『橫渠易說導讀』, 齊魯書社, 2004, 169쪽: 雖至麤至小之事 亦莫非開物成務.
306) 이시우, 「변역의 도와 우환의식의 관계 고찰」, 『동서철학연구』 제66집, 동양철학연구회,
2012, 110쪽 참조.

- 76 -
Ⅳ. 시중(時中) 리더십과 『주역(周易)』의 리더

1. 시중 리더십 관련 선행연구

1) 이희영의 시중 리더십 연구

이희영은 『주역』 괘사에 나타나 있는 리더십의 지혜를 ‘시중 리더십’이라 명명한


논문을 발표한 바 있다.307) 그 논문에서 연구자는 먼저 64개 괘사 중에서 시중 리더
십 측면에서 해석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는 21개의 괘사를 추출하였다. 다음으
로 21개 괘사에 대한 분석을 통해 건괘(乾卦)와 수괘(隨卦)의 괘사는 시중 리더십의
기본준칙(基本準則)을 밝혀 주는 것으로 보았고, 나머지 괘사들은 각 괘사가 나타내
는 때에 따라 8가지의 경우로 구분하여 시중 리더십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시중 리더
십의 기본준칙은 자연의 섭리에 따르는 것이라고 보았다. 그리고 각각의 때는 어려움
에 처했을 때, 기다려야 할 때, 행동해야 할 때, 다른 사람들과 함께 일을 도모할 때,
일이 순조로울 때, 도와주어야 할 때, 절도가 필요할 때, 믿음이 필요할 때 등으로
구분하였다.

2) 민건촉(閔建蜀)의 『주역』 리더십 모델

『주역』을 리더십 측면에서 다룬 대표저인 저서로는 민건촉의 『역경적영도지혜(易經


的領導智慧)』308)를 들 수 있다. 이 책에서 저자는 리더의 특성, 리더십과 관련된
『주역』의 다양한 관점, 그리고 『주역』의 리더십 모델을 제시한다.

(1) 이상적인 리더의 특성

민건촉은 『주역』에 나타나 있는 이상적인 리더의 특성으로 다음 18가지를 들고 있


다.
공정성[公正], 정성[誠信], 식견[遠見], 적극성[積極], 신중함[審愼], 겸손함[謙遜], 침

307) 이희영, 「『주역』 괘사에서 만나는 시중 리더십」, 『숙명리더십연구』 제5집, 숙명리더십개


발원, 2007, 177-202쪽.
308) 閔建蜀, 『易經的領導智慧』, 北京: 生活ㆍ讀書ㆍ新知 三聯書店, 2013.

- 77 -
착함[穩重], 결단력[果斷], 사람 보는 안목[識人], 소통[溝通], 결속력[團結], 균형감[平衡],
적절성[適度], 영민함[靈敏], 임기응변[靈活], 적응력[適應], 격려(激勵), 경쟁(競爭).

(2) 리더십과 관련된 『주역』의 다양한 관점

리더십과 관련된 『주역』의 관점을 13개로 나누고 각 관점들을 조직, 특히 기업의


리더십에 비추어 설명하고 있다(표 Ⅳ-1).

<표 Ⅳ-1> 리더십과 관련된 『주역』의 다양한 관점


번호 『주역』의 관점 내용
『주역』의 사고방식은 전체론이고 그것이 시스템 개념, 태극개념, 집중(執中)
1 全體論
개념, 사람은 자연을 본받는다는 개념에 반영되어 있다고 말함.

순양괘인 건괘와 순음괘인 곤괘의 특성을 건괘의 발전론, 곤괘의 수양론, 강


2 乾坤論
유는 서로 돕는다, 건곤의 리더십 등으로 나누어 고찰함.

『주역』에서 중의 의미를 시중과 위중, 강중과 유중, 대과와 소과, 중과 극단,


3 中道論 중과 도덕, 중과 길, 중을 판단하는 다른 말들, 중도 개념의 응용 등으로 나
누어 고찰함.

4 剛柔論 강유의 상호보완 관계를 64괘를 통해 고찰함.

화합과 관련된 별괘인 함괘, 동인괘, 가인괘, 태괘를 통해 화합의 개념을 해


5 和合論
석하고 오행론과 화합의 관계도 고찰함.
6 團結論 단결과 관련된 내용을 중부괘, 췌괘, 환괘, 규괘를 통해 고찰함.
진보론의 특성에 대해 건괘, 승괘, 점괘, 진괘, 이괘, 미제괘 등을 통해 고찰
7 進步論
함.

후퇴의 의미를 돈괘를 통해 알아보고 후퇴에 관한 다른 괘들의 함의, 물러나


8 後退論
기의 지침, 시기적절한 후퇴 등을 고찰함.

손익에 대한 관점을 손괘: 남을 덜어 자기에게 보태기, 익괘: 자기를 덜어


9 損益論
남에게 보태기, 손익의 음양 관계, 손익론과 전체론 등으로 나누어 고찰함.

혁신에 대한 관점을 혁괘: 묵은 것 버리기, 정괘: 새로운 것 세우기, 고괘 등


10 革新論
으로 나누어 고찰함.

위기에 대처하는 방법을 감괘: 끊임없는 꿋꿋함, 건괘: 멈추기로 위기 극복하


11 危機脫出論 기, 준괘: 창업의 어려움, 곤괘: 천천히 돌파를 도모하기 등으로 나누어 고찰
함.

군사와 용병술에 쓸 수 있는 지혜와 원리를 송괘: 소송하기, 사괘: 용병술,


12 軍事론
『손자병법』과 『주역』, 『삼십육계』와 『주역』 등으로 나누어 고찰함.

물극필반의 법칙을 음이 극에 달하면 양이 나오거나 양이 극에 달하면 음이


13 物極必反論 나온다, 순환개념의 응용, 상구효와 상육효의 분류, 길한 유형의 상효, 불리
한 유형의 상효, 흉한 유형의 상효 등으로 나누어 고찰함.

- 78 -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전체론(全體論)에서는 『주역』의 기본적인 사고방식은
전체론이고 그것이 시스템, 태극, 집중(執中), 사람은 자연을 본받는다 등의 개념에
반영되어 있다고 말한다. 건곤론(乾坤論)에서는 건괘와 곤괘의 특성을 건괘의 발전론,
곤괘의 수양론, 강유는 서로 돕는다, 건곤의 리더십 등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중
도론(中道論)에서는 중의 의미를 시중과 위중, 강중과 유중, 대과와 소과, 중과 극단,
중과 도덕, 중과 길 등으로 나누어 고찰하고 있고, 강유론(剛柔論)에서는 강유의 상호
보완 관계를 64괘를 통해 고찰하고 있다. 화합론(和合論)에서는 화합과 관련되는 함
괘, 동인괘, 가인괘, 태괘를 통해 화합의 개념을 고찰하고 있고, 단결론(團結論)에서
는 단결과 관련된 내용을 중부괘, 췌괘, 환괘, 규괘를 통해 고찰하고 있다. 진보론(進
步論)에서는 진보론의 특성에 대해 건괘, 승괘, 점괘, 진괘, 이괘, 미제괘 등을 통해
고찰하고 있고, 후퇴론(後退論)에서는 후퇴의 의미를 돈괘를 통해 알아보고 후퇴에
관한 다른 괘들의 함의, 물러나기의 지침, 시기적절한 후퇴 등을 고찰하고 있다. 손익
론(損益論)에서는 손익에 대한 관점을 손괘: 남을 덜어 자기에게 보태기, 익괘: 자기
를 덜어 남에게 보태기, 손익의 음양 관계, 손익론과 전체론 등으로 나누어 고찰하고,
혁신론(革新論)에서는 혁신에 대한 관점을 혁괘: 묵은 것 버리기, 정괘: 새로운 것 세
우기, 고괘 등으로 나누어 고찰하고 있다. 위기탈출론(危機脫出論)에서는 위기에 대처
하는 방법을 감괘: 끊임없는 꿋꿋함, 건괘: 멈추기로 위기 극복하기, 준괘: 창업의 어
려움, 곤괘: 천천히 돌파를 도모하기 등으로 나누어 고찰하고, 군사론(軍事論)에서는
군사와 용병술에 쓸 수 있는 지혜와 원리를 송괘: 소송하기, 사괘: 용병술, 『손자병
법』과 『주역』, 『삼십육계』와 『주역』 등으로 나누어 고찰하고 있다. 물극필반론(物極
必反論)에서는 그 법칙을 음이 극에 달하면 양이 나오거나 양이 극에 달하면 음이 나
온다, 순환개념의 응용, 상구효와 상육효의 분류, 길한 유형의 상효, 불리한 유형의
상효, 흉한 유형의 상효 등으로 나누어 고찰하고 있다.

(3) 『주역』의 리더십 모델

『주역』의 리더십 모델(그림 Ⅳ-1)에서 먼저 실선으로 그린 가장 큰 동그라미는 조


직 전체를 나타내고, 이는 곧 태극(太極)을 상징한다. 조직의 리더는 전략을 결정하고
문제를 고려할 때 전체의 이익을 기준으로 삼고 전체적인 관점에서 바라보아야 한다.
실선으로 그린 가장 큰 동그라미 위에서 마주 보고 있는 여덟 쌍의 음양 개념은
강(剛)과 유(柔), 진(進)과 퇴(退), 득(得)과 실(失), 분(分)과 합(合), 이(異)와 동(同),

- 79 -
명(明)과 암(暗), 태(泰)와 비(否), 화(和)와 쟁(爭)이다. 『주역』에는 이 8가지 외에도
음양 개념이 더 있으며, 이 8가지는 예로 든 것이다. 이들 맞서는 개념 중에서도 강
유가 조직의 리더에게 가장 중요하다. 강유가 서로 보완하는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리더의 성공에 필수적인 요건이다.
실선으로 그린 가장 큰 동그라미 속의 사다리꼴에 열거한 16가지는 『주역』에 포함
된 행위지침을 나타낸다. 씩씩함은 건괘의 씩씩함과 진취성을 나타내고, 너그러움은
곤괘의 너그러움과 포용성을 나타낸다. 나머지 행위 지침들도 각각 관련 괘의 괘의
(卦義)를 나타내고 있다(표 Ⅳ-2).
가장 작은 동그라미는 도(度)를 나타내고 있는데, 도는 적절함[適度]이다. 바로 바
깥쪽 원에 있는 중(中)과 화(和)도 도의 함의를 갖고 있다. 적절함을 유지해서 중화
(中和)의 상태에 도달하게 만드는 것이 리더의 중요한 직책이다.

<그림 Ⅳ-1> 『주역』의 리더십 모델


進 得


異 健 厚
誠 謙

感 同 爭

決 革
位 否 中 度 和 泰 位
待 恒

和 觀 敎 暗

創 復
分 畜 止

失 退

자료: 閔建蜀, 『易經的領導智慧』, 北京: 生活ㆍ讀書ㆍ新知 三聯書店, 2013, 294쪽.

- 80 -
태극의 바깥에 점선으로 그린 큰 동그라미는 시(時)와 위(位)라는 두 가지 요소를
나타낸다. 시와 위는 결코 리더가 완전히 장악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렇지만 시
와 위가 맞지 않으면 조직이 추구하는 목표를 달성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리더는 자
신의 지혜를 총동원해 적당한 시와 위를 파악하는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표 Ⅳ-2> 『주역』에 포함된 행위지침과 관련 괘

행위 지침 관련 괘
씩씩함[健] 乾卦
너그러움[厚] 坤卦
정성[誠] 中孚卦
겸손[謙] 謙卦
교감[感] 咸卦
어울리기[同] 同人卦
결단[決] 夬卦
혁신[革] 革卦
기다리기[待] 需卦
꾸준함[恒] 恒卦
살펴보기[觀] 觀卦
창의성[創] 屯卦
가르치기[敎] 蒙卦
쌓기[蓄] 大畜卦
멈추기[止] 艮卦
되돌아오기[復] 復卦

자료: 閔建蜀, 『易經的領導智慧』, 北京: 生活ㆍ讀書ㆍ新知 三聯書店, 2013, 296-297쪽.

정리하면, 『주역』의 리더십 모델에서는 궁극적으로 적절함을 유지함으로써 중화의


상태에 도달하는 것이 목표이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먼저 시와 위라는 상황을 제
대로 파악해야 한다. 그리고 파악한 상황을 토대로 그에 알맞은 음양 개념 및 행위지
침을 발휘하여 결국 중화 및 적절함에 이를 수 있어야 한다. 여기에서 적절함을 유지
한다는 것은 상황을 전제로 하는 것이니 곧 시중을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중화의 상
태에 도달한다는 것은 곧 치중화(致中和)를 말하는데, 치중화는 시중의 다른 표현이
다. 따라서 민건촉이 제시한 『주역』 리더십 모델의 궁극적인 지향점은 시중리더십이
다.

- 81 -
3) 피들러(Fiedler)의 리더십 합상황 이론(contingency theory)

피들러는 리더십에 대한 합상황 이론을 통해 리더의 유효성(effectiveness)은 리더


십 스타일이 상황(situation)에 적합한 정도에 의존한다고 주장한다.309)
리더십 스타일은 과업 동기유발적(task-motivated) 스타일과 관계 동기유발적
(relationship-motivated) 스타일로 구분된다. 과업 동기유발적 리더는 목표 달성에
초점을 맞추는데 비해, 관계 동기유발적 리더는 하위자와의 긍정적인 관계를 개발하
는데 더 관심을 갖는다.
상황통제(situational control)는 리더가 자신의 직접적인 업무환경 속에서 갖는 통
제와 영향의 정도를 말한다. 높은 통제는 리더가 업무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능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리더의 결정이 예측 기능한 결과를 산출할 것임을 의미한다. 낮은
통제는 리더가 거의 아무런 영향력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리더의 결정이 업무결과
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의미한다. 상황통제에는 리더-구성원 관계(leader-member
relations), 과업구조(task structure)), 직위권력(position power))이라는 세 차원이
있다.
리더-구성원 관계는 리더가 업무집단의 지지, 충성, 신뢰를 받는 정도를 반영한다.
이 차원은 상황통제의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좋은 리더-구성원 관계에서는 리더
가 업무집단에 의존할 수 있고, 업무집단이 리더의 목표를 충족시키려고 노력할 것이
다.
과업구조는 업무집단이 수행하는 과업의 구조화된 정도와 관련된다. 예를 들어, 관
리 직무는 은행 출납계원의 직무보다 덜 구조적이다. 구조화된 직무는 직무가 어떻게
완수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지침을 갖고 있기 때문에, 리더는 그런 과업을 수행하는
종업원에 대해 더 많은 통제와 영향력을 갖는다. 이 차원은 상황적 통제의 두 번째로
중요한 요소이다.
직위권력이란 리더가 보상을 주고, 벌을 내리고, 기타 종업원으로부터 복종을 획득
하기 위한 공식적인 권력을 갖고 있는 정도를 말한다.
피들러의 합상황 이론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리더십 유효성이 특성과 행
동을 넘어선다는 점을 강조한다. 리더십 유효성은 리더 스타일과 상황요구가 어느 정
도 적합한지에 의해 결정된다. 둘째, 일정한 상황에서 왜 어떤 사람은 성공적인 결과
를 내는데 다른 사람은 그렇지 않은지를 설명해준다. 셋째, 리더는 상황에 맞추기 위

309) 박동수ㆍ이희영ㆍ정성한, 『조직행동』, 경세원, 2010, 466-469쪽 참조.

- 82 -
해 자신의 스타일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

4) 맨쯔(Manz)의 셀프리더십(self-leadership)

셀프리더십(self-leadership)이라는 말은 맨쯔(Manz)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310)


셀프리더십의 구성 요소에는 셀프매니지먼트(self-management), 자연보상(natural
reward), 사고적 셀프리더십(thought self-leadership)이 있다.311)

(1) 셀프매니지먼트(self-management)

셀프매니지먼트란 개인이 업무수행에 대한 기준을 설정하고, 그 목표에 비추어서


자신의 업무수행을 평가하고, 그리고 그 평가에 기초해서 스스로 보상을 결정함으로
써 자신의 행동을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312) 셀프매니지먼트는 사회학습이론(social
learning theory)에 기초하고 있다. 사회학습이론은 사람, 환경, 그리고 행동이 교호
적으로( reciprocally) 관련된다고 가정한다.313) 따라서 개인은 자신의 행동과 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것으로 가정된다. 셀프매니지먼트의 구체적인 기법으
로는 자기관찰(self-observation), 자기목표설정(self-goal-setting), 선행요인의 수정
(antecedent modification), 결과에 의한 수정(consequent modification), 그리고
연습(rehearsal)이 있다.314)
자기관찰은 과업을 수행하는 동안이나 수행한 후 자신의 과업수행행동이나 그 과업
수행결과를 스스로 주목하고 관찰하는 것을 말한다.315) 그렇게 함으로써 개인은 언

310) Manz, C. C., The art of self-leadership: Strategies for personal effectiveness in
your life and work,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3; Manz, C. C.,
Self-leadership: Toward an expanded theory of self-influence processes in
organization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1, 1986, pp. 585-600.
311) 이희영, 『셀프리더십과 개인성과의 관련성』, 영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6,
17-31쪽 참조.
312) Manz, C. C., & Sims, H. P., Self-management as a substitute for leadership: A
social learning perspectiv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5, 1980, pp.
361-367.
313) Bandura, 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6, pp. 23-24.
314) Manz, C. C., & Sims, H. P., Self-management as a substitute for leadership: A
social learning perspectiv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5, 1980, pp.
361-367.; Manz, C. C., Mastering self-leadership: Empowering yourself for
personal excellence,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92, pp. 27-39.

- 83 -
제, 어떤 이유로, 어떤 상황에서 스스로 어떤 행동을 취하는지를 인식할 수 있게 된
다. 이처럼 자기관찰을 잘할수록 자신의 행동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킬 가능성
이 높고, 이러한 행동변화는 곧 개인성과의 향상으로 이어질 것이다.
자기목표설정은 단기적인 과업수행의 목표나 장기적인 인생의 목표를 스스로 설정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자신이 인생에서 가치를 부여하는 것이 무엇이고
성취하기를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한다.316) 목표설정은 수용가능한 성과에
대한 척도를 제공함으로써 그리고 종업원들이 피드백의 중요한 차원에 집중할 수 있
도록 함으로써 그들의 성과를 통제할 수 있도록 한다.317)
행동의 선행요인에 대한 수정은 환경을 적극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행동을 변화시
키는 것이다. 많은 인간행동은 특정한 단서나 자극에 이어서 나타난다.318) 따라서 바
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야기하는 자극을 제거하고, 바람직한 행동을 불러오는 자극에
대한 노출을 늘리는 것은 행동변화를 촉진하는 두 가지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선행요인의 수정은 결과에 의한 수정과 병행되어야 한다. 결과는 자기보상
(self-reward)과 자기징계(self-punishment)의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자기보상
은 과업의 성공적인 수행에 대한 대가로 스스로에게 유형 또는 무형의 보상을 하는
것을 말한다.319) 유형의 보상에는 사고 싶었던 물건의 구입, 먹고 싶었던 음식 먹기,
여행 가기 등이 있다. 무형의 보상에는 자기존경과 자기만족 등이 있으며, 유형의 보
상보다 더 강력한 효과를 갖는다. 자기징계는 과업수행의 실패나 바람직하지 못한 행
동에 대해 스스로를 징계하는 것을 말하며, 널리 권고되지는 않는다. 결론적으로, 자

315) Sims, H. P., & Lorenzi, P., The new leadership paradigm: social learning and
cognition in organizations, Newbury Park, CA: Sage, 1992, p. 182.
316) Manz, C. C., Mastering self-leadership: Empowering yourself for personal
excellence,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92, pp. 28-29; Sims, H. P., &
Lorenzi, P., The new leadership paradigm: social learning and cognition in
organizations, Newbury Park, CA: Sage, 1992, p. 181.
317) Locke E. A., & Latham, G. P., Work motivation and satisfaction: Light at the
end of tunnel, Psychological Science, 1, 1990, pp. 240-246.
318) Luthans F., & Kreitner, R., Organizational behavior modification and beyond,
Glenview, IL: Scott-Foresman, 1985; Skinner, B. F., Contingencies of
reinforcement: A theoretical analysis, New York: Appleton-Century-Crofts,
1969.
319) Bandura, 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6; Sims, H. P., & Lorenzi, P.,
The new leadership paradigm: social learning and cognition in organizations,
Newbury Park, CA: Sage, 1992, 60-61; Manz, C. C., Mastering self-leadership:
Empowering yourself for personal excellence,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92, pp. 31-37.

- 84 -
기보상이 잘 될수록 바람직한 행동의 빈도가 증가하고, 이는 개인성과의 향상으로 이
어질 것이다.
연습은 과업을 실제로 수행하기 전에 육체적 또는 정신적으로 연습하는 것을 말한
다.320) 자기행동에 대한 내적ㆍ외적 연습이 잘 될수록 행동통제나 자기유능감
(self-efficacy)이 증가할 것이고, 이는 개인성과의 향상으로 이어질 것이다.

(2) 자연보상(natural rewards)

셀프리더(self-leader)는 자연보상(natural rewards), 즉 자신의 업무를 즐기고 일 그


자체에 의해 동기유발 되는 것을 추구한다. 맨쯔는 밴두라(Bandura)의 사회인지이론
(social cognitive theory)321)과 데시(Deci)의 인지평가이론(cognitive evaluation
theory)322)의 토대 위에 자연보상 구분(distinguishing natural rewards), 즐거운 환경
선택(choosing pleasant surrounding), 업무내 자연보상활동 구축(building naturally
rewarding activities into work), 업무의 즐거운 측면 집중(focusing on pleasant
aspects of work), 외부보상보다 자연보상에 집중(focusing on natural rewards
rather than external rewards) 등의 다섯 가지 자연보상전략을 제시한다.323)
자연보상 구분은 자신의 업무 중에서 자연적으로 보상을 가져다주는 업무와 그렇지
않은 업무를 구분하는 것을 말한다. 이렇게 하여 자연적으로 보상을 주는 업무를 발
견하는 것이 자연보상의 출발점이 된다.

320) Manz, C. C., Mastering self-leadership: Empowering yourself for personal


excellence,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92, pp. 37-39.
321) Bandura, 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6; 사회인지이론의 개발은 밴두라
(Bandura)에 의해 주로 이루어졌다. 사회인지이론에서는 인간의 인지를 통한 사회상황에
서의 학습, 즉 관찰을 통한 간접학습 또는 대리학습이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또한 사회인
지이론에서는 인간이 가진 상징능력, 예측능력, 대리능력, 자기규제능력, 자기반성능력을
강조한다. 자세한 것은 이희영, 『셀프리더십과 개인성과의 관련성』, 영남대학교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1996을 참조 바람.
322) Deci, E. L., Intrinsic Motivation, New York: Plenum, 1975; 인지평가이론은 데시
(Deci)에 의해 처음으로 소개되었으며, 보상과 내적 동기유발 간의 관계를 다룬다. 능력
있고 자기통제적이라고 하는 외부 보상은 내적 동기유발을 증가시킬 것이고, 그 반대는
감소시킬 것이다. 능력감, 자기통제감, 목적감을 가져다주는 활동은 내적 보상, 즉 자연보
상을 느낄 수 있도록 하여 내적 동기유발을 증가시킬 것이다. 자세한 것은 이희영, 『셀프
리더십과 개인성과의 관련성』, 영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6을 참조 바람.
323) Manz, C. C., Mastering self-leadership: Empowering yourself for personal
excellence,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92, pp. 54-62.

- 85 -
즐거운 환경 선택은 업무로부터 내적인 보상을 받는 한 가지 방법은 자신이 즐기
는 업무환경을 선택하거나 만드는 것이다.324)
자연보상 구축은 종업원이 즐기는 업무를 작업순서 안에 넣음으로써 내적 동기유발
(intrinsic motivation)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능력감(feelings of
competence), 자기통제감(feelings of self-control), 목적감(feelings of purpose)
을 개발하는 업무는 내적으로 동기유발이 되고, 일 그 자체를 즐기도록 만드는 것으
로 밝혀졌다.
업무의 즐거운 측면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업무에 대한 부정적 반응을 더 적게 가
져올 수 있는 고차원적인 자기통제이다. 이는 개인이 자신의 생각을 선택하고, 업무
의 부정적 측면과 마찬가지로 긍정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는 인지전략을 사용함을 말
한다.325)
자연보상 집중은 급여와 같은 외적 보상보다 일을 통한 만족과 같은 내적 보상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이는 내적 동기유발을 증가시킬 수 있고, 더 높은 직무성과를
가져온다.326)

(3) 사고적 셀프리더십(thought self-leadership)

사고적 셀프리더십은 자신의 생각에 대한 의도적인 통제를 통해 자신에게 영향력을


행사하고 자신을 이끌어가는 과정이다.327) 여기에는 신념(beliefs), 자기대화
(self-talk), 심상(mental imagery), 사고유형(thought pattern)에 대한 관리 등의
인지전략의 사용이 포함된다. 사고적 셀프리더십은 사회학습이론에 기초한다.
개인의 역기능적 신념(dysfunctional beliefs)은 왜곡된 사고를 가져오고, 이것이
개인유효성을 방해하고 우울증까지도 야기할 수 있다.328) 그런 역기능적인 신념의 한

324) Manz, C. C., Self-leadership: Toward an expanded theory of self-influence


processes in organization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1, 1986, pp.
585-600.
325) Manz, C. C., Mastering self-leadership: Empowering yourself for personal
excellence,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92, pp. 58-62.
326) Deci E. L., & Ryan, R. M.,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New York: Plenum, 1985.
327) Neck, C. P., Thought self-leadership: The impact of mental strategies training
on employee cognitions, behavior, and emotions, Doctoral dissertation, Arizona
State University, 1993, p. 19.
328) Ellis, A., A new guide to rational living,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75; Burns, D. D., Feeling good: The new mood therapy, New York: William

- 86 -
예로는 ‘전부 아니면 전무(all or nothing)’ 사고가 있다. 이는 일을 극단적인 흑백의
범주로 보려는 경향이다.
자기대화는 우리가 우리 자신에게 마음속으로 말을 하는 것이다.329) 스포츠심리학,
임상심리학, 상담심리학, 교육, 의사소통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연구가 자기대화와 성
과 간의 관계를 뒷받침한다.
심상은 과업이 완수되기 전에 그것의 성공적인 수행을 상상하는 것을 말한다. 스포
츠심리학, 상담교육, 임상심리학 등에서 심상과 성과 간에 유의(有意)한 관계가 있음
을 제시한다.
사고유형은 우리의 경험에 대한 일정한 사고방식 또는 습관적 사고방식이다.330) 사
람들이 채택하는 사고유형의 전형적인 예로는 ‘기회사고(opportunity thinking)’와
‘장애사고(obstacle thinking)’를 들 수 있다.

5) 삼원적 교호(triadic reciprocality) 모델

심리학계에서는 인간행동의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와 관련해 오랫동안 논의와 논쟁을


이어왔다. 그러한 논의는 크게 일방적 결정주의(one-sided determinism), 일방적 상호작
용주의(one-sided interactionism), 교호적 결정주의(reciprocal determinism)로 구분할
수 있다.331)
일방적 결정주의에서는 개인의 기질적 요인이나 환경적 요인이 행동에 일방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본다. 환경결정론에 따르면, 행동(behavior)은 환경(environment)
의 함수[B=f(E)]이다. 행동은 현재의 외적 자극과 과거경험에 의해 결정된다.332) 이와
관련하여 스키너(Skinner)는 “사람이 세계에 대해 행동하는 것이 아니라, 세계가 사
람에 대해 행동한다”고 주장한다. 환경이 행동을 모양 짓고, 조직하고, 통제하는 독립

Morrow, 1980.
329) Manz, C. C., The art of self-leadership: Strategies for personal effectiveness in
your life and work,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3.
330) Manz, C. C., The art of self-leadership: Strategies for personal effectiveness in
your life and work,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3.
331) 이희영, 『셀프리더십과 개인성과의 관련성』, 영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6,
11-16쪽 참조.
332) Day, W. F., Jr., On the behavioral analysis of self-deception and
self-development, In T. Mischel (Ed.), The self: Psychological and
philosophical issues, Oxford: Blackwell, pp. 224-249; Skinner, B. F., About
behaviorism, New York: Knopf, 1974.

- 87 -
적인 힘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반면에 개인결정론에 따르면, 행동은 개인(person)의
함수[B=f(P)]이다. 개인 내부의 본능, 충동, 동기유발, 지각, 태도, 기대, 그리고 성격
특성과 같은 내적 심리구조나 기질적 원천이 사람들이 왜 그렇게 행동하는지를 설명
한다. 이와 관련하여 스토아 철학자, 에픽테토스(Epiktetos)의 다음과 같은 말이 널리
인용된다. “인간은 사물에 의해서가 아니라, 그가 사물에 대해서 갖는 견해에 의해
혼란스러워진다.”333)
일방적 상호작용주의에 따르면, 행동은 개인과 환경의 함수[B=f(P,E)]이다. 레빈
(Kurt Lewin)의 연구에 주로 근거하는 이 이론은 개인의 내적 구조와 외부 환경이
모두 행동에 영향을 주되, 별도로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상호작용을 통해 영향을
미친다고 본다. 그렇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개인적 요소와 외부환경이 상호작용한
결과가 행동에 일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일 뿐, 행동이 개인적 요소나 외부환경과
상호작용하는 관계는 아니다.

<그림 Ⅳ-2> 삼원적 교호 모델

개인

행동 환경

교호적 결정주의는 사회인지이론(social cognitive theory)에 근거하고 있다. 사회


인지이론에 따르면, 인간은 내적 힘에 의해 움직이는 것도, 외적 자극에 의해 자동적
으로 반응하는 것도 아니다. 인간의 활동은 행동, 인지 및 기타 개인적 요인, 그리고
환경적 현상이 서로 상호작용한 결과이다. 이를 삼원적 교호 모델(그림 Ⅳ-2)이라고
부른다.334)

333) Ellis, A., Humanistic Psychotherapy, New York: McGraw-Hill, 1973.


334) Bandura, A., The self system in reciprocal determinism, American Psychologist,
33, 1978, pp. 344-358; Bandura, 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6, pp. 23-24.

- 88 -
2. 시중(時中) 리더십의 삼원적 교호(triadic reciprocality) 모델

1) 본 연구에 대한 선행연구의 함의(含意)

(1) 이희영의 시중 리더십 연구

이희영은 『주역』 괘사에 나타나 있는 리더십의 지혜를 ‘시중 리더십’이라 명명한


다. 먼저 64개 괘사 중에서 시중 리더십 측면에서 해석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
는 21개의 괘사를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21개 괘사에 대한 분석을 통해 건괘(乾卦)와
수괘(隨卦)의 괘사는 시중 리더십의 기본준칙을 밝혀 주는 것으로 보았고, 나머지 괘
사들은 각 괘사가 나타내는 때에 따라 8가지의 경우로 구분하여 시중 리더십 측면에
서 고찰하였다.
이희영의 연구는 『주역』 괘사에 나타나 있는 리더십의 지혜를 처음으로 ‘시중 리더
십’이라 명명하고 각 괘사의 상황을 8가지로 구분하여 분석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논문은 15년 전의 이 시론적 논문에서 그 맹아가 싹튼 것이다.

(2) 민건촉(閔建蜀)의 『주역』 리더십 모델

민건촉은 『주역』에 나타나 있는 이상적인 리더의 특성으로 18가지를 들고 있고,


리더십과 관련된 『주역』의 관점 13가지를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시와 위, 조직, 음
양, 행위지침, 중화 등을 포함하는 『주역』의 리더십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주역』의 리더십 모델에서는 궁극적으로 적절함을 유지함으로써 중화의 상태에 도
달하는 것이 목표이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먼저 시와 위라는 상황을 제대로 파악
해야 한다. 그리고 파악한 상황을 토대로 그에 알맞은 음양 개념 및 행위지침을 발휘
하여 결국 중화 및 적절함에 이를 수 있어야 한다. 여기에서 적절함을 유지한다는 것
은 상황을 전제로 하는 것이니 곧 시중을 말한다. 그리고 중화의 상태에 도달한다는
것은 곧 치중화(致中和)를 말하는데, 치중화는 시중의 다른 표현이다. 따라서 민건촉
이 제시한 『주역』 리더십 모델의 궁극적인 지향점은 시중 리더십이다.

- 89 -
(3) 피들러(Fiedler)의 리더십 합상황 이론(contingency theory)

피들러는 리더십에 대한 합상황 이론을 통해 리더의 유효성은 리더십 스타일이 상


황에 적합한 정도에 의존한다고 주장한다.
리더십 스타일은 과업 동기유발적 스타일과 관계 동기유발적 스타일로 구분된다.
과업 동기유발적 리더는 목표 달성에 초점을 맞추는데 비해, 관계 동기유발적 리더는
하위자와의 긍정적인 관계를 개발하는데 더 관심을 갖는다. 상황통제는 리더가 자신
의 직접적인 업무환경 속에서 갖는 통제와 영향의 정도를 말한다. 높은 통제는 리더
가 업무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능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리더의 결정이 예측 기능한
결과를 산출할 것임을 의미한다. 낮은 통제는 리더가 거의 아무런 영향력도 갖고 있
지 않기 때문에 리더의 결정이 업무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의미한다. 상황통제
에는 리더-구성원 관계, 과업구조, 직위권력이라는 세 차원이 있다.
피들러의 합상황 이론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리더십 유효성은 리더 스타
일과 상황요구가 어느 정도 적합한지에 의해 결정된다. 둘째, 일정한 상황에서 왜 어
떤 사람은 성공적인 결과를 내는데 다른 사람은 그렇지 않은지를 설명해준다. 셋째,
리더는 상황에 맞추기 위해 자신의 스타일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
피들러의 합상황 이론은 리더십이 효과적으로 발휘되기 위해서는 그것이 상황에 적
합해야 함을 말하고 있다. 상황변수의 구체적인 내용은 본 연구와 다르지만, 리더십
이 상황에 적합해야 한다는 것은 본 연구의 시각과 기본적으로 일치한다.

(4) 맨쯔(Manz)의 셀프리더십(self-leadership)

셀프리더십이라는 말은 맨쯔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 셀프리더십의 구성 요소에는


셀프매니지먼트(self-management), 자연보상(natural rewards), 사고적 셀프리더십
(thought self-leadership)이 있다.
셀프매니지먼트란 개인이 업무수행에 대한 기준을 설정하고, 그 목표에 비추어서
자신의 업무수행을 평가하고, 그리고 그 평가에 기초해서 스스로 보상을 결정함으로
써 자신의 행동을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셀프매니지먼트는 사회학습이론(social
learning theory)에 기초하고 있다. 사회학습이론은 사람, 환경, 그리고 행동이 서로
교호적으로 관련된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개인은 자신의 행동과 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것으로 가정된다. 셀프매니지먼트의 구체적인 기법으로는 자기관

- 90 -
찰, 자기목표설정, 선행요인의 수정, 결과에 의한 수정, 그리고 연습이 있다. 셀프리
더는 자연보상, 즉 자신의 업무를 즐기고 일 그 자체에 의해 동기유발 되는 것을 추
구한다. 맨쯔는 자연보상 구분, 즐거운 환경 선택, 직무내 자연보상활동 구축, 직무의
즐거운 측면 집중, 외부보상보다 자연보상에 집중 등의 다섯 가지 자연보상전략을 제
시한다. 사고적 셀프리더십은 자신의 생각에 대한 의도적인 통제를 통해 자신에게 영
향력을 행사하고 자신을 이끌어가는 과정이다. 여기에는 신념, 자기대화, 심상, 사고
유형에 대한 관리 등의 인지전략의 사용이 포함된다.
맨쯔는 개인, 행동, 환경이 교호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사회학습이론에 의거해
셀프리더십이라는 개념을 제시한다. 개인이 스스로를 바람직한 방향을 이끌어간다는
셀프리더십의 기본 시각은 그 구체적인 방법에는 차이가 있지만 유가의 수신이나 수
기와 맥락이 통한다고 할 수 있다.

(5) 삼원적 교호(triadic reciprocality) 모델

사회인지이론에 따르면, 인간은 내적 힘에 의해 움직이는 것도, 외적 자극에 의해


자동적으로 반응하는 것도 아니다. 인간의 활동은 행동, 인지 및 기타 개인적 요인,
그리고 환경적 현상이 서로 상호작용한 결과이다. 이를 삼원적 교호 모델이라고 부른
다.
본 연구의 모델인 ‘시중 리더십의 삼원적 교호 모델’은 이 삼원적 교호 모델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구축된 것이다.

2) 시중 리더십의 삼원적 교호 모델

앞에서 살펴본 삼원적 교호 모델에서는 개인의 행동이 개인의 내적 요인이나 외부


환경의 일방적인 영향을 받아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행동, 내적 요인, 외부환경이 상
호작용한 결과라고 말한다. 이러한 주장은 본 연구의 모델을 구축함에 있어서 세 가
지를 시사해 주고 있다. 첫째, 개인의 행동과 내적 요인이 상호작용한다는 것이다.
즉, 개인은 자신의 내적 요인의 영향을 받아 일정한 행동을 하지만, 일단 행동을 하
고 나면 그 행동에 대한 주위의 반응과 같은 행동의 결과가 그 사람의 태도나 동기
유발과 같은 내적 요인에 반대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계는 유가의 주
요 개념 중의 하나인 수기(修己)에 적용될 수 있다. 자신을 수양한다는 것은 자기 자

- 91 -
신과의 부단한 대화 속에서 가능한 것이다. 어떤 행동을 했을 때의 주위의 반응을 보
고 다음에 할 자신의 행동을 규제하게 되고, 이러한 노력이 반복됨에 따라 바람직한
행동이 확고하게 자리 잡게 되는 것이다. 리더도 마찬가지이다. 바람직한 리더가 되
기 위해 리더로서의 자신의 행동을 되돌아보고 더 나은 리더가 되기 위해 자신의 덕
성과 능력을 끊임없이 개발하고 단련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둘째, 개인의 행동이 환
경, 즉 상황과 상호작용한다는 것이다. 종전에는 상황이 개인의 행동에 일방적으로
영향을 준다고 생각했으나, 삼원적 교호 모델에서는 개인의 행동도 상황에 영향을 미
칠 수 있다고 말한다. 사람들은 주어진 상황을 감안해서 행동하지만, 그 행동이 어떠
한 것이냐에 따라 상황 자체가 달라질 수도 있는 것이다. 시중 리더십의 경우에도 상
황에 합당하게 리더십을 발휘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황이 호의적으로도 또는 비호의적
으로도 변할 수 있는 것이다. 셋째, 개인적 요인이 환경과 상호작용한다는 것이다. 개
인의 동기유발, 태도, 성격 등은 환경에 의해 형성되기도 하지만 이러한 개인적 요인
들이 환경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높은 동기유발, 호의적인 태도, 긍정적
성격 등이 업무 환경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바꿀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는 것이다. 시
중 리더십에 있어서도 리더가 상황을 어떤 태도로 바라보느냐에 따라 행동이 달라질
것이고, 그러한 행동은 상황에 다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중 리더십을 정의하고 그 연구모델을 구축함에 있어 이러한 삼원
적 교호 모델을 원용하고자 한다.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시중이란 ‘만물이 그 처한 상
황(狀況)에 따라 합당(合當)함을 얻는 것’이다. 이를 토대로 시중 리더십을 정의하면,
시중 리더십은 ‘리더가 상황에 합당하게 행동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이는 시중 리더
십에 대한 단편적인 정의라고 할 수 있다. 무엇보다 리더가 리더십을 발휘하는 대상
자에 대한 설명이 빠져 있다. 그 대상자에는 타인은 물론이고 리더 자신도 포함된다.
리더십을 발휘한다는 것은 자신과의 부단한 소통과정인 것이다. 대상자를 포함할 경
우, 시중 리더십의 정의에 포함되는 세 요소는 리더, 대상자, 상황이 된다. 삼원적 교
호 모델에 의거할 경우, 이 세 요소는 일방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상호작용
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본 연구의 모델인 ‘시중 리더십의 삼원적 교호 모델’이 구
축되었다(그림 Ⅳ-3). 이 모델에 의거할 경우, 시중 리더십은 ‘리더가 합당한 행동을
하기 위해 상황 및 대상자(자신, 타인)와 부단히 상호작용하는 과정’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 92 -
<그림 Ⅳ-3> 시중 리더십의 삼원적 교호 모델

상황

리더 대상자

‘시중 리더십의 삼원적 교호 모델’에서는 시중 리더십을 리더, 대상자, 상황 간의


상호작용의 결과라고 본다. 다시 말해, 상황이 리더와 대상자에 영향을 주기도 하고,
리더가 상황과 대상자에 영향을 주기도 하며, 대상자가 상황과 리더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이렇듯 세 요소가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받는 가운데 상황에 적합한 리더십의
발휘 여부가 결정된다.
리더는 상황의 영향을 받을 뿐만 아니라 그 상황을 자신에게 유리하게 변화시키거
나 개선할 수도 있다. 또한 자신과 타인에게 영향력을 행사할 뿐만 아니라 자신과 타
인으로부터 영향을 받기도 한다. 리더의 자신에 대한 영향력 행사는 도덕적 측면에서
무구(无咎)를 추구하고, 리더의 타인에 대한 영향력 행사는 실천적 측면에서 구세(救
世)를 지향한다. 대표적인 리더는 성인(聖人)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제3절에서 살펴본
다.
대상자에는 리더 자신과 타인이 있다. 리더는 자신과 영향을 주고받는다. 타인 또
한 리더와 영향을 주고받는다. 그리고 이들 리더십 발휘의 대상자들은 상황의 영향을
받기도 하고 상황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주역』의 괘는 시(時), 즉 상황을 나타내고, 효는 위(位)와 위의 변동에 따른 변화
를 함축하고 있다고 말한다. 그렇지만 위의 변동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동이니 곧
상황의 변화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 『주역』은 음양의 변역에 따른 상황의 변화를 64
괘 384효를 통해 나타내고 있다. 또한 『주역』은 리더와 대상자에게 그 상황에 알맞
게 처신하는 방안을 64괘 384효를 통해 제시하고 있다. 64괘 384효의 구체적인 상
황에 대한 분석은 제Ⅵ장에서 이루어진다.

- 93 -
3. 『주역(周易)』의 리더

시중 리더십의 삼원적 교호 모델에서는 리더, 대상자, 상황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


지만 그 중심에는 리더가 있다.

1) 『주역』의 리더 유형(類型)에 대한 고찰(考察)

(1) 『주역』의 리더 유형

『주역』에는 다양한 리더들이 언급되고 있다. 그들을 빈도가 높은 순으로 열거하면


군자(君子)(125회), 성인(聖人)(38회), 대인(大人)(29회), 왕(王)(21회), 선왕(先王)(7회),
대군(大君)(6회), 현인(賢人)(5회), 군(君)(4회), 기자(箕子)(3회), 후(后)ㆍ천자(天子)ㆍ왕
공(王公)ㆍ포희(包犧)ㆍ신농(神農)ㆍ황제(黃帝)ㆍ요(堯)ㆍ순(舜)(각 2회), 장인(丈人)ㆍ현
(賢)335)ㆍ상(上)ㆍ문왕(文王)ㆍ고종(高宗)(각 1회) 등이다(표 Ⅳ-3 참조). 이들 중 왕,
선왕, 대군, 군, 후, 천자, 왕공, 현, 상 등은 국가통치자를 가리키는 일반명사들이라
고 할 수 있으며, 따라서 특징 있는 리더 유형을 보여주고 있지 않다. 그에 비해 기
자, 문왕, 고종은 역사에 그 족적이 남아 있는 훌륭한 리더들이다. 또한 포희, 신농,
황제, 요, 순은 신화적인 인물들로서 현재는 대표적인 성인으로 추숭(追崇)되고 있는
존재들이다. 따라서 이들은 성인의 범주에서 다루는 것이 마땅하다. 그리고 장인은
대인의 범주에 넣을 수 있다. 이런 과정을 거치고 나면 『주역』 속의 리더 유형은 군
자, 성인, 대인, 현인, 기자, 문왕, 고종 등으로 압축된다. 하지만 여기에서 하나 더
고려해야 할 점은 군자, 성인, 대인, 현인은 이미 유형화가 이루어진 리더 개념인 반
면 기자, 문왕, 고종은 유형화가 필요한 역사 속 인물이라는 것이다. 그렇지만 이들
각각을 독립된 리더 유형으로 다루거나 그들의 공통점을 뽑아 유형화하기에는 출현
빈도가 너무 적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주역』 속의 리더 유형은 최종적으로 군자,
성인, 대인, 현인으로 정리가 된다.
한편 위에서 언급된 리더들이 출현하는 경우를 『역경(易經)』과 『역전(易傳)』으로 나
누어 보면 군자, 대인, 왕, 대군, 군, 기자, 천자 등은 『경』과 『전』 모두에서 언급되
고 있다. 그에 비해 장인과 고종은 『경』에만 나타나고 있고 성인, 선왕, 현인, 후, 왕

335) 현덕을 가진 군주라는 뜻임.

- 94 -
공, 포희, 신농, 황제, 요, 순, 현, 상, 문왕 등은 『전』에만 보이고 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주역』의 성인 개념이 『역전』이 형성된 전국(戰國) 시기에 비로소 정립된 것
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포희, 신농, 황제, 요, 순 또한 『역전』에 등장함과 아울러
성인으로 추숭되기 시작했음을 알 수 있다.

<표 Ⅳ-3> 『주역』의 리더와 출현빈도

리더 『역경』 『역전』 합계
君子 20 105 125
聖人 38 38
大人 12 17 29
王 11 10 21
先王 7 7
大君 3 3 6

賢人 5 5

君 1 3 4
箕子 1 2 3
后 2 2
天子 1 1 2
王公 2 2
包犧 2 2
神農 2 2
黃帝 2 2
堯 2 2
舜 2 2
丈人 1 1
賢 1 1
上 1 1
文王 1 1
高宗 1 1

(2) 『주역』의 리더 유형 간의 관계

이제 『주역』의 대표적인 리더 유형으로 드러난 군자, 성인, 대인, 현인 간의 관계

- 95 -
를 살펴본다. 다음 몇 가지 인용문을 통해 그 차이를 가늠해볼 수 있다.

공자가 말하였다. 성인을 내가 만나볼 수 없다면 군자만이라도 만나볼 수 있으면


좋겠다.336)
공자가 말하였다. 군자에게는 세 가지 두려움이 있으니, 천명을 두려워하고, 대인을
두려워하고, 성인의 말씀을 두려워한다.337)

공자가 말하였다. 사람에게는 다섯 가지 구분이 있습니다. 보통사람이 있고, 선비가


있고, 군자가 있고, 현명한 사람이 있고, 위대한 성인이 있습니다. ……애공이 말하였
다. 훌륭한 말씀입니다. 감히 여쭙건대 어떤 사람을 군자라 할 수 있습니까? 공자가
대답하였다. 이른바 군자란 말은 충실하고 신의가 있지만 마음속으로 그것이 자기의
덕이라 여기지 않고, 어짊과 의로움을 몸으로 실천하지만 얼굴에 뽐내는 빛이 없습니
다. 사려가 밝고 통달해 있지만 말로 남들과 다투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평범한 듯해
누구든 그처럼 될 수 있을 듯한 사람이 바로 군자입니다. 애공이 말하였다. 훌륭한
말씀입니다. 감히 여쭙건대 어떤 사람을 현명한 사람이라 할 수 있습니까? 공자가 대
답하였다. 이른바 현명한 사람은 행동이 규범에 들어맞아 근본을 손상시키지 않으며,
말은 천하의 법도로 삼을 만해 그 자신을 손상시키지 않습니다. 천하에서 으뜸갈 정
도로 부유하다 하더라도 사재를 축적하지 않고, 온 천하에 널리 베풀면서도 가난해질
까 걱정하지 않습니다. 이러하면 현명한 사람이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애공이 말하
였다. 훌륭한 말씀입니다. 감히 여쭙건대 어떤 사람을 위대한 성인이라 할 수 있습니
까? 공자가 대답하였다. 이른바 위대한 성인은 지혜가 위대한 도에 통하고, 변화에
응하여 막힘이 없으며, 만물의 실상과 본성을 잘 분별합니다.338)

호생불해가 물었다. ……무엇을 선(善)이라 이르고, 무엇을 신(信)이라 이릅니까? 맹


자가 말하였다. 순수한 본마음이 하고자 하는 것을 선(善)이라 하고, 선을 자기 속에
지속적으로 가지고 있는 것을 신(信)이라 하고, 선이 몸속에 가득 차는 것을 미(美)라
하고, 가득 차서 빛을 발하는 것을 대(大)라 하고, 대의 상태가 되어서 스스로를 탈바

336) 『論語』 「述而」 제25장: 子曰. 聖人吾不得而見之矣, 得見君子者, 斯可矣.


337) 『論語』 「季氏」 제8장: 孔子曰. 君子有三畏, 畏天命, 畏大人, 畏聖人之言.
338) 『荀子』 「哀公」 제2장: 孔子曰 人有五儀 有庸人 有士 有君子 有賢人 有大聖 ……哀公曰
善 敢問何如斯可謂之君子矣 孔子對曰 所謂君子者 言忠信而心不德 仁義在身而色不伐 思
慮明通而辭不爭 故猶然如將可及者 君子也 哀公曰 善 敢問何如斯可謂賢人矣 孔子對曰
所謂賢人者 行中規繩而不傷於本 言足法於天下而不傷於身 富有天下而無怨財 布施天下而
不病貧 如此則可謂賢人矣 哀公曰 善 敢問何如斯可謂大聖矣 孔子對曰 所謂大聖者 知通
乎大道 應變而不窮 辨乎萬物之情性者也; 김학주 옮김, 『순자』, 을유문화사, 2019,
996-1000쪽 참조.

- 96 -
꿈하는 것을 성(聖)이라 하고, 성의 상태가 되어서 사람들이 파악할 수 없게 된 것을
신(神)이라 한다. ……339)

위에 인용된 내용을 정리해 보면 <표 Ⅳ-4>와 같다. 표를 통해 보면 군자, 성인,


대인, 현인 간의 관계에 있어서 군자가 가장 아래에 있고 성인이 맨 위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대인은 군자와 성인 사이에 자리하고 있으며, 현인 또한
마찬가지이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대인과 현인 간의 관계이다. 다 같이 군자와
성인 사이에 자리하고 있으나 이 둘 간의 우열은 분명하지 않다. 이 둘 간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다른 문헌이 있는지를 알 수 없는 상황에서는 대인과 현인은 군자와
성인 그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나 양자 간의 우열은 분명하지 않다는 정도로 정리해둘
수밖에 없다.
아무튼 위의 인용문을 통해, 공자와 순자는 가장 이상적인 인격체로 성인을 들고
있다. 그리고 맹자는 성인의 경지를 넘어선 존재로 신인(神人)을 상정하고 있다. 그렇
지만 신인은 말 그대로 신과 같은 존재이니 사람들이 도달하기에는 너무 고원한 곳에
있는 존재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인간이 희구할 수 있는 최상의 존재는 성인이라고
할 수 있다.

<표 Ⅳ-4> 군자, 성인, 대인, 현인 간의 관계

출전 (언급자) 내 용
『論語』 「述而」 (공자) 君子 < 聖人
『論語』 「季氏」 (공자) 君子 < 大人 < 聖人
『荀子』 「哀公」 (공자) 보통 사람 < 선비 < 君子 < 賢人 < 聖人
『孟子』 「盡心下」 (맹자) 善人 < 信人 < 美人 < 大人 < 聖人 < 神人

이처럼 성인, 대인ㆍ현인, 군자 간의 상대적인 위치를 어느 정도 가늠할 수는 있으


나 『역전』의 「대상전(大象傳)」을 통해서 보면 그 개념들이 중첩되고 있음을 알 수 있
다. 「대상전」을 보면 ‘성인’이란 표현은 보이지 않고 ‘군자’라는 표현이 주로 사용되
고 있다. 그리고 ‘선왕’, ‘후’, ‘상’, ‘대인’ 등이 간혹 사용되고 있을 뿐이다(표 Ⅳ-5
참조). 이와 관련하여 정병석은 선왕(先王)은 대부분 법제를 세우거나 건국하는 군주

339) 『孟子』 「盡心下」 제25장: 浩生不害問曰…… 何謂善 何謂信 曰可欲之謂善 有諸己之謂信


充實之謂美 充實而有光輝之謂大 大而化之之謂聖 聖而不可知之之謂神……; 이기동 역해,
『맹자강설』,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7, 659-660쪽 참조.

- 97 -
를 말하고, 후(后)는 천자나 왕을 말하며, 상(上)은 높은 데 있는 군주를 말하는 것으
로 보이고, 대인(大人)은 왕공(王公)을 통칭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한다.340) 또한 대
인은 도덕적인 차원에서 말하면 성인이나 현자이고, 정치적 지위라는 측면에서 말하
면 천자나 제후를 의미한다고 말한다.341) 따라서 선왕, 후, 상은 물론이고 대인 또한
군주의 의미로 쓰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군자의 경우 그 문맥들을 살펴보면
수기의 주체라는 의미로 쓰이기도 하지만, 또 많은 부분에서는 천하를 경륜하거나 국
가를 통치하는 존재라는 의미로도 쓰이고 있다. 또한 선진시대의 성인342)에서 알 수
있듯이 「대상전」에 등장하고 있는 ‘선왕’, ‘후’, ‘상’, ‘대인’, ‘군자’는 모두 일반적인
의미의 군주가 아니라 이상화된 군주, 즉 성왕을 상징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몇 가
지 예를 살펴본다.

<표 Ⅳ-5> 「대상전」의 성인 관련 표현

표현 괘 명 횟수
先王 比, 豫, 觀, 噬嗑, 復, 无妄, 渙 7
后 泰, 姤 2
上 剝 1
大人 離 1
君子 나머지 괘 53

자료: 정병석, 2014a. 앞의 책, 188쪽 참조.

땅속에 물이 있는 것이 사(師)인데, 군자가 이를 본받아 백성을 포용하고 기른


다.343)
우레가 땅에서 나와 분출하는 것이 예(豫)인데, 선왕이 이것을 본받아 예악을 제정
하고 덕을 숭상하여 아주 성대하게 상제에게 제사 지내고 조상을 배향한다.344)
천지가 서로 사귀는 것이 태(泰)인데, 군왕[后]이 이를 본받아 천지의 도를 마름질
하고 천지의 마땅함을 보충하여 도움으로써 백성을 돕는다.345)

340) 정병석 역주, 『주역』 상, 을유문화사, 2014, 228쪽 참조.


341) 정병석 역주, 『주역』 상, 을유문화사, 2014, 489쪽 참조.
342) 선진시대를 대표하는 공자에게 있어서 ‘성인’은 덕성과 그러한 덕성을 통한 정치적 성취
를 겸비한 존재이다. 다시 말해, 성인은 안으로 내적 수양을 통해 덕성을 갖추고[內聖],
밖으로는 정치적ㆍ사회적 성취를 이룬[外王] 존재, 즉 성왕(聖王)을 말한다.
343) 『周易』 師卦 「象傳」: 地中有水 師 君子以容民畜衆.
344) 『周易』 豫卦 「象傳」: 雷出地奮 豫 先王以作樂崇德.
345) 『周易』 泰卦 「象傳」: 天地交 泰 后以財成天地之道 輔相天地之宜 以左右民.

- 98 -
산이 땅에 붙어있는 것이 박(剝)인데, 위에 있는 군주[上]가 이를 본받아 아래에 있
는 백성[下]을 후덕하게 대하고 나라를 편안하게 한다.346)
밝음이 두 번 일어나는 것이 이(離)인데, 군주[大人]가 이를 본받아 밝음을 이어받
아 사방을 비춘다.347)

위의 인용문들을 통해 군자, 선왕, 후, 상, 대인이 국가통치자로서 국가와 백성을


덕으로 이끌어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 살펴본 『주역』의 리더 유형은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주역 속에
등장하는 대표적인 리더 유형인 성인, 대인ㆍ현인, 군자뿐만 아니라 선왕, 후, 상 등
은 모두 일반적인 의미의 군주가 아니라 이상화된 군주, 즉 성왕(聖王)을 상징한다.

2) 시중적(時中的) 리더의 전형(典型)인 『주역』의 성인(聖人)

시중적 리더의 전형은 『주역』에 언급되고 있는 성인이라고 할 수 있으며, 그 근원


을 거슬러 올라가보면 원시시대의 종교에 그 맥이 닿아있음을 알 수 있다.
종교(宗敎)의 기원(起源)에 관해서는 학자에 따라 다양한 견해가 있다. 예를 들어,
제임스 프레이저(James Frazer)는 종교적 관념이 주술(呪術)에서 시작하여 진화했다
고 본다. 에드워드 타일러(Edward Tylor)는 눈에 보이지 않는 정령(精靈)에 대한 믿
음과 그와 관련된 행위가 최초의 종교였다고 말한다. 그는 이를 애니미즘(animism)
이라고 불렀다. 매럿(R. R. Marett)은 프리애니미즘(preanimism) 또는 다이내미즘
(dynamism)이 더 오래되고 기본적인 종교라고 주장했다. 그것은 비인격적인 힘이
자연에 가득 스며있다고 믿고 여러 가지 의례를 통해서 그 힘들과 관계하려고 하는
신념이나 행위를 가리킨다. 그런 힘은 흔히 마나(mana)348)라고 지칭된다.349) 그리고
맥레난(J. F. McLennan)과 프로이트(Sigmund Freud)는 토테미즘(totemism)이 종
교의 기원이라고 주장했다. 원시종교는 특정한 동식물이 자기씨족과 특별한 유대관계
가 있다는 관념을 바탕으로 그것을 숭배하던 모습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이다.350) 그

346) 『周易』 剝卦 「象傳」: 山附於地 剝 上以厚下安宅.


347) 『周易』 離卦 「象傳」: 明兩作 離 大人以繼明照于四方.
348) 마나(mana)는 모든 비범한 것, 예를 들면 이상하게 생긴 바위, 특정의 산, 특이한 사람,
추장, 아름다운 여인, 사나운 곰 등에 들어있는 일종의 성스러운 힘을 가리키는 멜라네시
아 말이다(Smart, N., 윤원철 옮김, 『세계의 종교』, 예경, 2004, 48쪽 참조).
349) Smart, N., 윤원철 옮김, 『세계의 종교』, 예경, 2004, 47-48쪽 참조.
350) Durkheim, E., 민혜숙ㆍ노치준 옮김, 『종교생활의 원초적 형태』, 한길사, 2020, 41쪽 참
조; Smart, N., 윤원철 옮김, 앞의 책, 48쪽 참조; Freud, S., 이윤기 옮김, 『종교의 기

- 99 -
이외에도 신비한 힘을 가졌다고 믿어지는 주물(呪物)을 기원으로 보는 페티시즘
(fetishism)설, 고대의 접신술(接神術)의 하나인 샤마니즘(shamanism)351)을 기원으로
보는 설 등이 있다. 이처럼 인간은 원시시대부터 어떤 대상을 숭배하려는 경향이 있
었다. 이는 하나의 생명체로서의 인간의 유약함을 반영하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어떤 대상을 숭배하는 인간의 집단 심리는 그 뒤 하늘을 인격화한 천신(天神)에 대한
숭배와 조상의 혼령을 신격화한 조상신(祖上神) 숭배로 이어진다.
신에 대한 숭배는 그 뒤 인간의 인지가 발달함에 따라 영웅(英雄)과 같은 보통 사
람이 범접하기 어려운 뛰어난 존재에 대한 숭배로 변모한다. 그러한 영웅이 중국에서
는 성인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이런 성인숭배(聖人崇拜)의 관점은 춘추전국(春秋戰國)
시대에 형성되어 진한(秦漢) 시기에 정착되었다.352)
성인숭배라는 집단 심리는 당시의 역사적 상황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춘추시
대 이후 주(周) 왕실이 점차 천하의 주인으로서의 역할과 권위를 상실해 가면서 수백
년에 걸쳐 제후들 간에 겸병전쟁(兼幷戰爭)이 벌어지고 약육강식의 논리만이 횡행하
는 상황이 지속되자 합리적 이성이나 도덕적 정의는 설 자리를 잃어버리게 된다. 여
기에서 사람들은 이런 혼란과 고통을 해결해줄 위대한 인물의 출현을 학수고대하고
있었다. 당시의 선진(先秦) 제자백가(諸子百家)들은 모두 이런 관점들을 말하고 있다.
어떤 의미에서 성인숭배의식이 지향하는 이념은 빼어난 재능과 숭고한 도덕성을 가진
성인의 통치가 최선이라는 것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353)
전통적 문헌이 언급하는 성인의 다스림은 삼대(三代)의 성세(盛世)뿐만 아니라 삼황
오제(三皇五帝)에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왜 이렇게 원고(遠古)의 시기까지 소급되는
가? 이에 대해 왕부지(王夫之)는 “성인의 다스림이 상고시기(上古時期)에 만들어지게
된 이유는, 실은 상주(商周) 이전은 상고할 수 없기 때문이다”354)라고 하였다. 확인할
수도, 볼 수도 없는 공백은 최대한 해석의 여지와 공간을 남기고 있는 신화(神話)와
같다. 성인은 사람의 모습을 통하여 존재하는 신화나 마찬가지이다. 이런 상황에 대
해 고힐강(顧頡剛)은 춘추 말기 이후 제자(諸子)들이 신화 중의 고신(古神)과 고인(古
人)을 모두 성인화 하였고, 삼황오제의 황금시대 역시 전국 후반기에 만들어졌다고

원』, 열린 책들, 2020, 167쪽 참조.


351) 엄밀한 의미에서 고대의 접신술의 하나인 샤마니즘은 신비주의인 동시에 주술이자 넓은
의미에서의 종교이다(Eliade, M., 이윤기 옮김, 『샤마니즘: 고대적 접신술』, 까치, 2021,
19쪽 참조).
352) 정병석, 『주역과 성인, 문화상징으로 읽다』, 예문서원, 2018, 97-98쪽.
353) 정병석, 『주역과 성인, 문화상징으로 읽다』, 예문서원, 2018, 102쪽 참조.
354) 王夫之, 『讀通鑒論』, 「敘論」: 聖人之治之所以被建構於上古 實因商周以上 有不可考者.

- 100 -
말한다.355) 이러한 ‘성인화(聖人化)’ 운동은 하나의 문화적 현상으로서 춘추시대에 발
생하여 전국시기에 완성된 역사적 과정이다.356)
고힐강에 따르면, 전국(戰國)에서 서한(西漢)에 이르는 시기에는 사람들이 요순 이
전 시기의 황제를 더 많이 만들어 배치하였다고 한다. 이런 결과로 춘추 초기에는 우
(禹)의 연대가 가장 오래되었지만, 이 시기가 되면 우는 자연히 근고(近古)에 속하게
되어 버린다. 고힐강은 또 방사(方士)들의 노력에 의해 황제(皇帝)가 요순 앞에 놓이
고, 농가(農家)인 허행(許行) 일파에 의해 신농(神農)이 황제 앞에 놓이게 되었으며,
『주역』 「계사전」에서는 복희씨(伏羲氏)를 신농 앞에 배치하였다고 말한다. 이런 성왕
의 출현을 고힐강은 모두 위조된 역사로 간주한다.357)
이처럼 성인숭배현상으로서의 ‘조성(造聖)’과 성인화‘는 유가와 중국인의 의식을 오
랫동안 지배해 왔으며, 이는 역사적 진실과는 무관한 하나의 정신적(精神的)ㆍ문화적
(文化的) 상징부호(象徵符號)로 간주하는 것이 더 합리적일 것이다.358) 따라서 성인은
하나의 상징적 부호이고, 성인숭배는 구세(救世)라는 공동체의 집체정신(集體精神)을
표현하는 일종의 의식(意識) 혹은 정신(精神)이라고 할 수 있다.359)
의식 혹은 정신은 추상적이고 ‘보이지 않는 실재(invisible reality)’이다. 여기에서
부호가 생긴다. 집체윤리 또는 공동체의 정신은 모두 물질적(物質的) 형식(形式)을 초
월한 ‘보이지 않는 실재’이다. ‘보이지 않는 실재’는 반드시 실재하는 어떤 물질형식
을 통하여 표상(表象)된다. 부호는 바로 이런 신성(神聖)한 것을 대표하고 전달하고
은유(隱喩)하고 상징(象徵)하는 ‘볼 수 있는 실재’에 해당한다.360)

사람들이 직접 만져 보지도 못하고, 추상적이고, 보이지 않는 실재의 도덕적 존재를


표현하려고 시도할 때 부호가 생긴다. ‘보이는 물질’로써 ‘보이지 않는 정신’을 표현
하는 것이 부호의 본질이다. 구체적인 물질을 사용하여 추상적인 정신을 표현하는 것
은, 익숙한 형상으로써 말하기 어려운 감정을 전달하고, ‘보이는 물질’의 도움을 받아
‘보이지 않는 정신’을 상징하며, ‘복잡한 윤리’로 하여금 ‘간단한 구속’으로 변하게 하

355) 顧頡剛 編著, 古史辨 第一冊,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1981, 101쪽.


356) 劉澤華 主編, 『中國傳統政治思維』, 吉林敎育出版社, 1991, 522쪽; 정병석, 『주역과 성인,
문화상징으로 읽다』, 예문서원, 2018, 105-106쪽 참조.
357) 顧頡剛 編著, 古史辨 第一冊,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1981, 65쪽; 정병석, 『주역과 성인,
문화상징으로 읽다』, 예문서원, 2018, 106쪽 참조.
358) 정병석, 「역전의 천ㆍ지ㆍ인 제등관과 성인」, 『대동철학』 77집, 대동철학회, 2016, 273쪽
참조.
359) 정병석, 『주역과 성인, 문화상징으로 읽다』, 예문서원, 2018, 107쪽 참조.
360) 정병석, 『주역과 성인, 문화상징으로 읽다』, 예문서원, 2018, 281쪽.

- 101 -
는 이런 것들이 바로 부호의 전체적인 의미와 사회적 기능이다. 그러므로 부호는 앞
서 말한 두 가지 특성 사이에 끼여 있는 전환 매체이다. 전자는 ‘익명적인 것’, ‘모호
한 것’이며, 후자는 ‘친밀한 것’, ‘가장 익숙한 것’이다. 이와 같이 친밀한 것으로 모
호한 것을 대신 지칭함으로써 두 가지 사이에 상징의 관계가 형성된다.361)

제자백가의 ‘숭성의식(崇聖意識)’과 ‘조성운동(造聖運動)’의 결과로 등장한 성인은


『주역』에서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는가? 『주역』에서 성인은 크게 역리구현자(易理具
現者), 도기합일적(道器合一的) 존재, 국가통치자(國家統治者), 문화개창자(文化開創
者), 『주역(周易)』 해석자(解釋者) 등의 다섯 가지 모습으로 나타난다.

(1) 역리구현자(易理具現者)

성인은 역리를 구현하는 존재이다. 그렇다면 역리(易理), 즉 역도(易道)란 무엇인


가?

한 번 음(陰)하고 한 번 양(陽)하는 것을 일러 도(道)라고 한다. 이를 이어받는 것이


선(善)이고, 이를 이룬 것이 성(性)이다.362)

『주역』의 흥함은 은나라 말기와 주나라의 덕이 성한 시기에 해당하지 않는가? 문


왕과 주의 일에 해당하는 것이 아닌가? 이런 까닭에 그 말이 위태로우니, 위태로운
것을 평안하게 만들고, 안이하게 대처하는 자는 기울어지게 하였다. 그 도가 아주 커
서 온갖 만물의 일을 버리지 않고, 두려워하는 마음으로 끝과 시작을 하니, 그 요점
은 허물이 없도록 하는데 있다. 이것을 역의 도라고 한다.363)

『역전』에 따르면, 역도는 “한 번 음하고 한 번 양하는 것”이고, 그 요점은 “허물이


없도록 하는데” 있다. 음양의 교류 즉 대대(對待)가 ‘역’의 도이고, 그런 과정을 통해
우주만물이 허물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로 ‘역’이 추구하는 바이다.
그렇다면 성인은 그러한 역리를 어떻게 찾아낼 수 있었는가? 『역전』은 성인이 ‘유

361) Durkheim, E., Elementary Forms of Religious Life, Trans by K. E. Fields, New
York: Free Press, 1995, p.434.
362) 『周易』 「繫辭上傳」 제5장: 一陰一陽之謂道 繼之者善也 成之者性也.
363) 『周易』 「繫辭下傳」 제11장: 易之興也 其當殷之末世 周之盛德耶 當文王與紂之事耶 是故
其辭危 危者使平 易者使傾 其道甚大 百物不廢 懼以終始 其要无咎 此之謂易之道也.

- 102 -
(類)’364)와 ‘고(故)’365)라는 두 범주(範疇)를 통해 역리를 찾아냈다고 말한다. 즉 복희
씨가 만물의 실상을 ‘유(類)’에 따라 구분하여 “보이지 않는 것과 보이는 것의 까닭
[故]을 앎”으로써 역리를 찾아냈다는 것이다.366)
『주역』의 괘효(卦爻)는 역리, 즉 천지만물이 가지고 있는 보편적 이치를 성인이 파
악하여 그것을 상징적인 부호로 체계화한 것이다. 그러므로 괘효의 ‘상(象)’은 천지와
인간의 상호연계 속에서 자연지도(自然之道) 혹은 천도(天道)를 인간의 정신문화인 인
문지도(人文之道) 혹은 인도(人道)로 현실화시키는 중개적 역할을 함축하고 있다. 그
러므로 괘효에는 천도, 지도, 인도라는 삼재(三才)의 도가 포함되어 있다고 말한
다.367) 그리고 『역전』은 인류의 역사와 만물의 생성변화를 하나의 전체로 보아, 천인
관계를 천ㆍ지ㆍ인 삼재의 사상 속에 넣어 ‘천도에 근거하여 인간사를 말하는’ 관점
을 취하고 있다. 이런 ‘삼재지도’ 속에 『역전』은 세계관, 역사관 및 인생관을 하나의
체계 속에 집어넣고 있다.368)
천ㆍ지ㆍ인의 ‘삼재’가 가지고 있는 ‘변화’ 혹은 ‘생성’이 말하는 것을 정리하면 ‘천
생인성(天生人成)’369)이라는 개념으로 압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천생’이라는
말이 “한 번 음하고 한 번 양하는” 천지의 ‘생생’하는 상태를 의미한다면, ‘인성’은

364) ‘유(類)’라는 범주를 통해 복희씨는 만물을 8괘, 즉 8개의 상징으로 분류하였다. 이 8괘


및 그 확장인 64괘는 그 뒤 우주의 만사만물을 분류하고 해석하는 체계가 된다; 『周易』
「繫辭下傳」 제2장: 古者包犧氏之王天下也 仰則觀象於天 府則觀法於地 觀鳥獸之文 與地
之宜 近取諸身 遠取諸物 於是始作八卦 以通神明之德 以類萬物之情.
365) ‘고(故)’는 만물의 원인과 조건을 말한다. 복희씨는 이를 통해 만물의 이치를 파악한다;
『周易』 「繫辭上傳」 제4장: 仰以觀於天文 府以察於地理 是故知幽明之故 原始反終 故知
死生之說.
366) 정병석, 『주역과 성인, 문화상징으로 읽다』, 예문서원, 2018, 202-206쪽 참조.
367) 정병석, 『주역과 성인, 문화상징으로 읽다』, 예문서원, 2018, 205쪽 참조.
368) 정병석, 『주역과 성인, 문화상징으로 읽다』, 예문서원, 2018, 337쪽 참조; 이와 관련되는
「계사전」과 「설괘전」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周易』 「繫辭下傳」 제10장: 易之爲書也 廣
大悉備 有天道焉 有地道焉 有人道焉 兼三材而兩之 故六 六者非它也 三材之道也. 『周易』
「繫辭上傳」 제2장: 聖人設卦觀象繫辭焉而明吉凶 剛柔相推而生變化 是故吉凶者 失得之象
也 悔吝者 憂虞之象也 變化者 進退之象也 剛柔者 晝夜之象也 六爻之動 三極之道也. 『周
易』 「說卦傳」 제2장: 昔者聖人之作易也 將以順性命之理 是以立天之道曰陰與陽 立地之道
曰柔與剛 立人之道曰仁與義 兼三才而兩之 故易六劃而成卦 分陰分陽 迭用柔剛 故易六位
而成章.
369) 『荀子』의 「富國」과 「大略」에 나오는 “天地生之. 聖人成之”에서 온 말임. ‘천생인성’에 대
한 『순자』와 『역전』의 가장 큰 차이점은 ‘자연세계’ 즉 ‘천지’를 바라보는 관점에 있다.
『순자』는 기본적으로 ‘천지’를 인간에 의해 합리적으로 조정되고 관리되어야 하는 피치적
(被治的) 대상으로 보는 반면, 『역전』은 ‘천지’를 인간이 본받아야 할 대상으로 보고 있
다. 한편, 공통점은 『순자』와 『역전』 모두 ‘천지’를 인간이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보는
것이다(정병석, 「주역의 삼재지도와 천생인성」, 『유교사상연구』 제24집, 한국유교학회,
2006, 219-220쪽 참조).

- 103 -
‘생생’하는 천지를 본받아서 ‘인문화’해 나가는 과정을 말한다. 그러면 모든 사람이
‘생생’하는 천지를 본받아 ‘인문화’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가? 여기에서 『역전』은 우
주의 변화와 현실의 복잡한 문제들을 전체적으로 통찰할 수 있는 능력을 겸비하고 있
는 사람을 요청한다. 그가 바로 성인이다.370)
성인은 총명함과 예지를 가지고 있다. 성인은 이런 총명함과 지적 능력을 모든 사
람을 위해서 사용하는 인애(仁愛)의 마음을 지니고 있다. 성인은 우주 변화를 파악하
는 동시에 백성들의 현실적인 문제를 통찰한 후, 그 파악한 천도를 어려움에 처한 백
성들을 위해 현실에 응용할 수 있는 지적 능력과 유덕함을 겸비하고 있다. 현대적인
의미로 말하면 성인은 자연계 및 사회와 인류의 발전법칙을 완전히 파악할 수 있는
지적 능력을 현실에 효과적으로 응용할 수 있는 사람이다. 이런 의미에서 성인은 천
ㆍ지ㆍ인 삼재의 도리, 즉 역리를 온전히 파악하여 『주역』을 비롯한 문명의 이기들을
창제하였다고 말한다.371)
『역전』은 성인이 행해야 할 가장 큰 임무가 바로 천도의 응용을 통한 백성의 교화
에 있다고 말한다.372) 다시 말해 성인은 천지가 가지고 있는 부단한 생성변화를 보고
그것을 본받아서 천하를 교화해 나가는 존재라는 것이다. “하늘과 땅을 본받아”373)
성인이 주체적으로 활동하는 것은 ‘천생인성’ 중의 ‘인성’에 해당한다.374) 이러한 활
동을 세 단계로 나누면 지천지(知天地)→법천지(法天地)→용천지(用天地)가 된다. 즉
천지의 부단한 생성 변화의 도를 이해하고, 그런 천지의 부단한 변화를 본받고, 그것
을 우리의 생활 속에 적용하고 응용하여 구현해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375) 이는
또한 「계사전」에서 말하는 “개물성무(開物成務)”376)의 관점이라고 할 수 있다. ‘개물’
이 생생하는 천지자연계의 작용을 말한다면, ‘성무’는 성인의 ‘숭덕광업(崇德廣業)’을
의미한다. 즉 ‘성무’가 바로 ‘인성’의 활동에 속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377) 이런
성인의 작용이 바로 ‘인문화성(人文化成)’378)이다. 인문화성을 통해 성인의 역리구현

370) 정병석, 『주역과 성인, 문화상징으로 읽다』, 예문서원, 2018, 338-339쪽 참조.
371) 정병석, 『주역과 성인, 문화상징으로 읽다』, 예문서원, 2018, 340쪽.
372) 정병석, 『주역과 성인, 문화상징으로 읽다』, 예문서원, 2018, 207쪽 참조.
373) 『周易』 「繫辭上傳」 제7장: 崇效天 卑法地.
374) 정병석, 『주역과 성인, 문화상징으로 읽다』, 예문서원, 2018, 357-358쪽 참조.
375) 정병석, 「주역의 삼재지도와 천생인성」, 『유교사상연구』 제24집, 한국유교학회, 2006,
231쪽 참조.
376) 『周易』 「繫辭上傳」 제11장: 子曰, 夫易何爲者也 夫易開物成務 冒天下之道 如斯而已者
也. ‘개물성무’는 만물을 개발하고 일을 완성한다는 말이다.
377) 정병석, 「역전의 성인사관과 문명발전」, 『동양철학연구』 제52집, 동양철학연구회, 2007,
270-271쪽 참조.
378) 『周易』 賁卦 「彖傳」: 觀乎天文 以察時變 觀乎人文 以化成天下. ‘人文化成’이란 말은 바

- 104 -
은 완성된다.

(2) 도기합일적(道器合一的) 존재

중국철학사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끼친 발언이라면 바로 『역전』에서 ‘도(道)’와 ‘기


(器)’를 처음으로 한 쌍의 범주로 제기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도기라는 이 범주를
통하여 우리는 인간과 세계를 ‘형이상(形而上)’과 ‘형이하(形而下)’라는 두 측면으로
나누어 볼 수 있게 되었다.379)

이런 까닭에 형체로 나타나는 그 이전의 상태를 도(道)라 하고, 형체로 나타나는 그


이후의 상태를 기(器)라 한다380)

형이상과 형이하가 규정하는 기본적 생각은 우선 세계를 두 가지 큰 측면으로 구


분하는 것에 있다. 원래 선진(先秦) 유가는 이러한 구분을 한 적이 없었다. 기껏해야
단지 도덕적 영역에서 모호하게 구분하였을 따름이다. 그러나 도가의 경우는 노자(老
子)와 장자(莊子)가 이미 모두 이런 구별을 시도하고 있었다. 이런 점에서 보자면 『역
전』 「계사전」의 형이상과 형이하의 구분은 분명히 도가(道家) 특히 노자의 영향을 받
은 측면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계사전」은 노자의 이론적 성과를 비판적으로 수용하
고, 그것을 다시 새롭게 해석하여 하나의 분명한 이론체계로 구성해 내었다.381)
『역전』에서 말하는 도는 “한 번 음하고 한 번 양하는 것”382)이다. 여기에서 언급하
는 음양은 전적으로 음양 두 기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천지만물이

로 이 문장에서 나온 말이다. 여기에서 ‘인문’은 인간의 문장이나 예의 등을 가리키고(정


병석 역주, 『주역』 상, 을유문화사, 2014, 369쪽 참조; 黃壽祺ㆍ張善文, 『周易譯註』, 上
海古籍出版社, 189쪽 참조), ‘이룬다(成)’는 것은 다스린다는 뜻이며(奚彦輝, 「中國“人文
化成”的思想政治敎育意蘊」, 『貴州師範大學學報』, 118-119쪽 참조), ‘천하’는 인간을 포
함한 우주만물의 질서를 의미한다(윤내현, 「천하사상의 시원」, 전해종 외, 『중국의 천하사
상』, 민음사, 1988, 11-12쪽 참조); 인문화성과 관련되는 역전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周易』 頤卦 「彖傳」: 天地養萬物 聖人養賢以及萬民 頤之時大矣哉. 『周易』 咸卦 「彖傳」:
天地感而萬物化生 萬物感人心而天下和平 觀其所感而天地萬物之情可見矣. 『周易』 恒卦
「彖傳」: 日月得天而能久照 四時變化而能久成 聖人久於其道而天下化成 觀其所恒 而天地
萬物之情可見矣. 『周易』 「繫辭上傳」 제11장: 是以明於天之道 而察於民之故 是興神物以
前民用 聖人以此齋戒 以神明其德夫
379) 정병석, 『주역과 성인, 문화상징으로 읽다』, 예문서원, 2018, 366쪽 참조.
380) 『周易』 「繫辭上傳」 제12장: 是故形而上者謂之道 形而下者謂之器.
381) 정병석, 『주역과 성인, 문화상징으로 읽다』, 예문서원, 2018, 370쪽.
382) 『周易』 「繫辭上傳」 제5장: 一陰一陽之謂道.

- 105 -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두 개의 상반되는 측면을 말하는 것으로 보인다. 선진철학
중에서 보편적인 도론(道論)은 본래 도가 특유의 이론이고 특색이다. 비록 『역전』은
도가의 영향 아래에서 도론을 확립했지만, 오직 『역전』만이 “일음일양지위도(一陰一
陽之謂道)”라는 철학적 명제를 도출하였다.383)
『역전』에서 말하는 ‘도’와 ‘기’는 다른 말로 ‘덕(德)’과 ‘업(業)’이라 할 수 있는데,
건괘 「문언전」과 「계사전」의 여러 곳에서 ‘덕’과 ‘업’을 서로 짝이 되는 범주로 놓고
말하는 용어들이 보인다. 예를 들면, ‘진덕수업(進德脩業)’384)ㆍ‘숭덕광업(崇德廣業
)’385)ㆍ‘덕구업대(德久業大)’386)ㆍ‘성덕대업(盛德大業)’387) 등이 바로 그들이다.388) 덕
과 업을 짝으로 하는 용어들의 성격과 관련하여 김연재는 “진덕수업이라는 내면적 수
양의 단계를 거쳐서 숭덕광업이라는 내면과 외면이 합일 혹은 일체가 되는 경지에 이
르러야 비로소 성덕대업의 궁극적 천명을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389)라고 말하고 있
다. 그리고 선우미정은 “진덕수업하여 하늘의 성덕대업을 본받아 숭덕광업하는 것이
다”390)라고 말한다.
『역전』에 보이는 성인의 형상과 성격은 바로 이런 덕업을 겸비한 존재이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성인이 될 수 있는 기본적인 자격사항에 해당한다.391) 공자가 『주역』을
훌륭한 책이라고 감탄하는 이유도, 이 책이 덕이라는 개인의 도덕적 수양을 높이는
동시에 현실적 사공(事功) 방면의 사업을 적극적으로 성취하도록 요구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공자는 성인이라면 반드시 “덕을 높이고 사업을 넓히는” 두 가지 일을 동
시에 겸비해야 한다고 말한다.392) 또한 공자는 『논어』에서도 “널리 백성에게 은혜를

383) 정병석, 『주역과 성인, 문화상징으로 읽다』, 예문서원, 2018, 374쪽 참조.
384) 『周易』 乾卦 「文言傳」 九三: 君子終日乾乾夕惕若厲无咎何謂也 子曰 君子進德修業忠信所
以進德也 修辭立其誠所以居業也 知至至之可與幾也 知終終之可與存義也 是故居上位而不
驕在下位而不憂 故乾乾因其時而惕維危无咎矣.
385) 『周易』 「繫辭上傳」 제7장: 易 其至矣乎 夫易聖人所以崇德而廣業也 知崇禮卑 崇效天 卑
法地 天地設位 而易行乎其中矣 成性存存 道義之門.
386) 『周易』 「繫辭上傳」 제1장, “有親則可久 有功則可大 可久則賢人之德 可大則賢人之業”이
라는 글에서 나왔음.
387) 『周易』 「繫辭上傳」 제5장: 顯諸仁 藏諸用 鼓萬物而不與聖人同憂 盛德大業至矣哉 富有之
謂大業 日新之謂盛德.
388) 정병석, 『주역과 성인, 문화상징으로 읽다』, 예문서원, 2018, 208쪽 참조.
389) 김연재, 「천도의 패러다임에서 본 주역의 성인정신과 그 인문주의적 세계」, 『중국학보』,
71, 한국중국학회, 2015, 461쪽.
390) 선우미정, 「주역의 우환의식에 관한 고찰」, 『동양철학연구』 제37집, 동양철학연구회,
2004, 295쪽.
391) 정병석, 『주역과 성인, 문화상징으로 읽다』, 예문서원, 2018, 208쪽 참조.
392) 정병석, 『주역과 성인, 문화상징으로 읽다』, 예문서원, 2018, 211-213쪽 참조.

- 106 -
베풀어 많은 사람들을 구제하는”393) 것이 성인의 역할임을 말한다. 이를 위해서는 단
순한 형이상학적인 도의 추구만을 통해서는 불가능하며, 형이하학적인 기에 대한 탐
색도 함께 필요하다. 그러므로 숭덕광업 하는 『역전』의 성인관이야말로 유가가 본래
가지고 있는 성인관의 전형이라고 할 수 있다.394)
이처럼 『역전』에 나타나는 성인의 형상은 인격 완성을 실현한 도덕적 존재일 뿐만
아니라 현실에 대해 우환하고, 만물의 이치를 깨달아 세상의 일을 이루는 개물성무
(開物成務)를 통해서 천하를 이롭게 하려는 현실적ㆍ실용적인 감각을 가지고 있는 존
재이다. 이런 『역전』의 성인관은 유가적 이념인 수신(修身)과 경세(經世), 내성(內聖)
과 외왕(外王)의 균형이라는 모델을 제시해 준다. 따라서 『역전』의 성인관이 유학철
학사에서 가지고 있는 가장 중요한 의의는 ‘도덕적 성인’과 ‘작자(作者)로서의 성인’
이라는 두 측면을 매우 균형 있게 강조하고 있는 ‘도기결합적 성인관’을 제시하였다
는 점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395)

(3) 국가통치자(國家統治者)

공자의 관점에 따르면, 공자 이전의 시대는 내성과 외왕이 일치하던 시대였다. 그


러다가 공자의 시대에 와서 내성과 외왕이 일치하지 않게 되었다. 이에 따라 공자나
맹자는 현실 세계 속에서 성왕(聖王)이 다시 출현하기를 희구하고 성왕이 등장할 수
있도록 천하를 주유(周遊)하며 노력해 마지않았다. 『역전』은 성왕이 통치하는 이상적
인 세상에 대한 제자백가의 이러한 염원이 담겨 있는 책이라고 할 수 있다.
국가통치자로서의 성인 또는 성왕의 모습은 『역전』 중에서도 「대상전」을 통해 주
로 살펴볼 수 있다. 그런데 「대상전」을 보면 ‘성인’이란 표현은 보이지 않고 ‘군자’라
는 표현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선왕(先王)’, ‘후(后)’, ‘상(上)’, ‘대인(大人)’
등이 간혹 사용되고 있을 뿐이다(표 Ⅳ-6 참조). 이와 관련하여 정병석은 선왕(先王)
은 대부분 법제를 세우거나 건국하는 군주를 말하고, 후(后)는 천자나 왕을 말하며,
상(上)은 높은 데 있는 군주를 말하는 것으로 보이고, 대인(大人)은 왕공(王公)을 통칭
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한다.396) 또한 대인은 도덕적인 차원에서 말하면 성인이나
현자이고, 정치적 지위라는 측면에서 말하면 천자나 제후를 의미한다고 말한다.397)

393) 『論語』 「雍也」 제28장: 博施於民而能濟衆.


394) 정병석, 『주역과 성인, 문화상징으로 읽다』, 예문서원, 2018, 365-366쪽 참조.
395) 정병석, 『주역과 성인, 문화상징으로 읽다』, 예문서원, 2018, 396쪽.
396) 정병석 역주, 『주역』 상, 을유문화사, 2014, 228쪽 참조.

- 107 -
따라서 선왕, 후, 상은 물론이고 대인 또한 군주의 의미로 쓰이고 있음을 알 수 있
다. 그리고 군자의 경우 그 문맥들을 보면 수기의 주체라는 의미로 쓰이기도 하지만,
또 많은 부분에서는 천하를 경륜하거나 국가를 통치하는 존재라는 의미로도 쓰이고
있다. 또한 선진시대의 성인관에서 알 수 있듯이 「대상전」에 등장하고 있는 ‘선왕’,
‘후’, ‘상’, ‘대인’, ‘군자’는 모두 일반적인 의미의 군주가 아니라 이상화된 군주, 즉
성왕을 상징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4) 문화개창자(文化開創者)

지구상의 어느 곳이든 문명의 혜택을 누리기 전에는 각종 자연재해, 즉 천재에 무


방비 상태로 노출될 수밖에 없었다. 중국 초기의 문헌에도 상고 시기의 자연재해에
대한 기록이 많이 남아 있다.
이처럼 재해가 넘쳐나는 원시시대에서 질서 있는 문명의 시대로 전환하는 데에는
성인의 풍부한 발명과 제작에 기대는 경우가 많다. 이들 재해신화 중에서 우리는 다
수의 문화영웅(文化英雄) 혹은 문화개창자로서의 성인의 활약상을 쉽게 찾아볼 수 있
다. 이런 종류의 원시적 재해를 평정하거나 원시적 결함을 보충하는 성인의 행위를
우리는 제2의 창세(創世)행위 혹은 구세(救世)행위라고 부를 수 있다. 이처럼 인문세
계[역사]의 기점은 성인이 인문사회와 문화를 개창하는 풍성한 공적에서부터 시작된
다.398) 세상을 구제하는 이런 영웅에 대한 신화는 원시시대부터 전 세계에 널리 퍼져
있었다. 이를테면 구세주로서의 그리스도에 대한 관념은 기독교가 출현하기 이전부터
존재하고 있었다.399) 일반적으로 영웅 상징에 대한 요구는 자아(自我)의 강화를 필요
로 할 때 생겨난다. 즉 무의식의 도움 없이 의식의 힘만으로는 어떤 과제를 해결할
수 없을 때 생겨난다는 것이다.400) 따라서 문화영웅 혹은 문화개창자로서의 성인을
요청하고 있다는 것은 그 당시 사람들의 삶이 그만큼 곤고(困苦)했음을 말해주는 것
이다. 『주역』의 「계사전」은 이와 관련된 문화영웅의 활약상을 매우 구체적으로 기술
하고 있다.

397) 정병석 역주, 『주역』 상, 을유문화사, 2014, 489쪽 참조.


398) 정병석, 『주역과 성인, 문화상징으로 읽다』, 예문서원, 2018, 276-277쪽 참조.
399) Jung, C. G., 이윤기 옮김, 『인간과 상징』, 열린 책들, 1996, 106쪽 참조.
400) Jung, C. G., 이윤기 옮김, 『인간과 상징』, 열린 책들, 1996, 183쪽.

- 108 -
옛날에 포희씨가 천하의 왕노릇 할 때, 우러러 하늘의 상을 관찰하고, 구부려 땅의
형태를 관찰하며, 날짐승과 들짐승의 무늬와 땅의 마땅한 이치를 관찰하였다. 가깝게
는 자기 몸에서 취하고, 멀리는 다른 사물에서 취하였다. 여기에서 비로소 팔괘를 만
들어, 신명의 덕에 통하게 하고, 만물의 실상을 분류하였다. 노끈을 매어서 그물을
만들어 사냥하고 고기를 잡으니, 대개 그 이치를 리괘에서 취하였다. 포희씨가 죽고
신농씨가 일어나서, 나무를 깎아 보습(쟁기 날)을 만들고 나무를 휘어 쟁기(쟁기 자
루)를 만들어서 쟁기로 갈고 김매는 이로움을 천하 사람에게 가르쳤으니, 대개 그 이
치를 익괘에서 취하였다. 한낮에 시장을 열어 천하의 백성들을 오게 해서 천하의 재
화를 모아서 교역하고 물러가서 각각 그 필요한 바를 얻게 하니, 대개 그 이치를 서
합괘에서 취하였다. 신농씨가 죽고 황제ㆍ요ㆍ순이 일어나서, 사물의 변화에 통하여
백성들로 하여금 더 이상 싫증나서 게으르지 않도록 하고 (그들이 행한) 변화가 매우
신묘해서 백성들로 하여금 마땅한 바를 얻어 만족하도록 만들었다. 역은 궁하면 변하
고, 변하면 통하는 길이 생기며, 통하면 오래 지속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하늘로부
터 돕는지라 길하여 이롭지 않음이 없다”라고 한다. 이에 황제ㆍ요ㆍ순이 저고리와
치마를 늘어뜨리고 가만히 앉아 있어도 천하가 다스려졌다고 하니, 이는 대개 그 이
치를 건괘와 곤괘에서 취한 것이다. 나무를 쪼개서 배를 만들고 나무를 깎아서 노를
만들어, 배와 노의 이로움으로써 통하지 못하는 것을 건너게 하여 멀리 가게 함으로
써 천하를 이롭게 하니, 대개 환괘에서 취하였다. ……401)

위의 인용문은 성인들에 의한 중국 상고사의 문명발전사를 기술하고 있다는 느낌을


주고 있다. 복희씨와 신농씨에서 황제를 거쳐 요순으로 이어지는 문명발전사의 흐름
을 그대로 보여 주고 있다.402) 이들 성인들은 팔괘를 만든 것 외에, 그물ㆍ쟁기ㆍ시
장ㆍ배ㆍ절구ㆍ활ㆍ집ㆍ서계(書契) 등을 만들었다. 이들은 천문과 지리를 관찰하여 인
간의 관점에서 해석하고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인류문명을 창조해낸 탁월한 기호의 제
작자요 해석자였다.403)
그러나 이 시기 문화를 개창하는 성인은 실재의 인물이라기보다는 인간의 문명을

401) 『周易』 「繫辭下傳」 제2장: 古者包犧氏之王天下也 仰則觀象於天 府則觀法於地 觀鳥獸之


文 與地之宜 近取諸身 遠取諸物 於是始作八卦 以通神明之德 以類萬物之情 作結繩而爲
罔罟 以佃以漁 蓋取諸離 包犧氏沒 神農氏作 斲木爲耜 揉木爲耒 耒耨之利 以敎天下 蓋
取諸益 日中爲市 致天下之民 聚天下之貨 交易而退 各得其所 蓋取諸噬嗑 神農氏沒 黃帝
堯舜氏作 通其變 使民不倦 神而化之 使民宜之 易窮則變 變則通 通則久 是以自天祐之
吉无不利 黃帝堯舜垂衣裳而天下治 蓋取諸乾坤 刳木爲舟 剡木爲楫 舟楫之利 以濟不通
致遠以利天下 蓋取諸渙. ……; 정병석, 『주역과 성인, 문화상징으로 읽다』, 예문서원,
2018, 277쪽 참조.
402) 정병석, 『주역과 성인, 문화상징으로 읽다』, 예문서원, 2018, 278쪽 참조.
403) 이승환, 「성의 기호학」, 『유교문화와 기호학』, 도서출판 월인, 2003, 107쪽 참조.

- 109 -
만들고 삶의 질을 높인 문화적(文化的) 상징부호(象徵符號)라고 할 수 있다.404) 즉 문
화개창자로서의 성인은 문화개창이라는 상징적 리더십을 발휘한 존재인 것이다. 특히
복희씨의 경우, 그 함의는 문화의 발전을 따라 끊임없이 확대되었고, 이런 상황에서
고대인들은 문명 초기 사람들이 행한 문화 창조의 대부분을 거의 모두 복희씨의 이름
으로 가탁(假託)해 놓고 있다. 이런 점에서 복희씨는 중국 문화의 발생학적 기초와
상징이 되어 버린다.405) 어떤 의미에서는 “복희가 처음 팔괘를 만든 사건은 무의식적
인 객관세계의 존재를 인간의 자각의식으로 전환한 것”406)으로 볼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복희씨의 팔괘 창작이 가지고 있는 의미는 실제의 역사라는 측면이 아니라,
문화의 시작과 인문정신의 시작과 서두를 상징하는 하나의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인문세계의 시작과 근원을 성인제작에 돌려 “필요한 물건을 갖추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문명의 이기를 세워 천하를 이롭게 한 것으로는 성인보다 더 큰 것이 없다”407)
라고 말하는 것이다. 또한 성인이 상(象)을 관찰하여 기물을 제작하는 뜻은 문화적
가치의 중요성과 합리성을 드러내는 데 있는 것으로 보인다.408)

(5) 『주역(周易)』 해석자(解釋者)

「계사전」은 “성인이 항상 사용하는 도”, 즉 성인지도(聖人之道)에는 네 가지가 있


다고 말한다. 그것은 바로 사(辭)ㆍ변(變)ㆍ상(象)ㆍ점(占)이다. 『주역』에 의거해 말을
할 때는 말[辭]을 참고하고, 『주역』에 의거해 행동할 때는 변화[變]를 참고하며, 『주
역』에 의거해 기물을 만들 때는 상(象)을 참고하고, 『주역』으로 복서(卜筮)를 행할 때
는 점치는 기능[占]을 참고한다는 것이다.

『주역』에는 성인이 항상 사용하는 도가 네 가지 있으니, 『주역』으로 말[言]을 하는


사람은 그 말[辭]을 숭상하고, 『주역』으로 행동하는 사람은 그 변화[變]를 숭상하고,
『주역』으로 기물을 만드는 사람은 상(象)을 중시하고, 『주역』으로 복서를 행하는 사
람은 점치는 기능[占]을 숭상한다.409)

404) 정병석, 『주역과 성인, 문화상징으로 읽다』, 예문서원, 2018, 278-279쪽 참조.
405) 朱炳祥, 『伏羲與中國文化』, 武漢: 湖北敎育出版社, 1997, 104-107쪽 참조.
406) 余敦康, 『周易現代解讀』, 北京: 華夏出版社, 2006, 353쪽.
407) 『周易』 「繫辭上傳」 제11장: 備物致用 立成器 以爲天下利 莫大乎聖人.
408) 鄭開, “聖人爲何?-以『易傳』的討論爲中心”, 『周易文化硏究』 第4輯,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12, 27쪽.
409) 『周易』 「繫辭上傳」 제10장: 易有聖人之道四焉 以言者尙其辭 以動者尙其變 以制器者尙其
象 以卜筮者尙其占; 정병석 역주, 『주역』 하, 을유문화사, 2015, 569쪽 참조.

- 110 -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辭)’는 괘사와 효사를 말하고, 천하의 이치가 완비
되어 있는 것이다. ‘변(變)’은 괘와 효의 변화를 말하고, 천지만물ㆍ음양ㆍ강유의 변화
를 상징적으로 반영한다. 또한 한 번 닫고 한 번 여는 것을 변화라 이른다. ‘상(象)’
은 괘효의 상을 말하고, 하늘에 걸려 있는 것과 같은 것이다. 끝으로 ‘점(占)’은 『주
역』의 점단(占斷)을 말하고, 앞으로 올 것을 미리 살피는 것이다.

역은 지나간 것을 밝혀서 오는 것을 살피며, 은미한 것을 드러나게 하고 그윽함을


밝히며 (만물의 이치를) 열어서 마땅하게 이름을 붙이며, 사물을 분별하며 말을 바르
게 하며 괘효사로 판단하니 (천하의 이치가) 완비됨이라.410)

이런 까닭에 문을 닫는 것을 곤이라 하고, 문을 여는 것을 건이라 하고, 한 번 닫


고 한 번 여는 것을 변화라 이르고, 가고 오면서 (변화가) 무궁한 것을 통이라 이르
며, (변화의 형상이) 나타난 것을 상이라 이르고, (변화하여) 형체로 구체화된 것을
기물이라 이르고, 만들어 쓰도록 하는 것을 법이라 이르고, 이롭게 써서 드나들며 백
성들이 모두 운용하는 것을 신이라 이른다.411)

이렇기 때문에 법상으로는 하늘과 땅보다 더 큰 것이 없고, 변통하는 것은 사계절


보다 더 큰 것이 없고, 형상을 매달아 밝음을 나타냄이 해와 달보다 더 큰 것이 없
다.412)

하늘에 걸려 있는 것은 상이 되고 땅에 있는 것은 형체가 되니, 여기에서 변과 화


가 나타난다.413)

이런 까닭으로 변화하고 말하고 행동하는 것 중에서 길한 일에는 상서로움이 있다.


일을 형상하면 기물을 만들 줄 알고, 일을 점침으로써 앞으로 올 것을 아니, 천지가
각각의 자리를 베풂에 성인이 능함을 갖추니 이에 사람에게 모의하고 귀신에게 모의
함으로써 백성들이 함께 능하게 되는 것이다. 팔괘는 괘형의 상징으로 알려주고, 효
사와 단사는 구체적인 실상으로써 말해 주니 굳센 것과 부드러운 것이 섞여서 효의
자리에 있음에 길흉을 볼 수 있다.414)

410) 『周易』 「繫辭下傳」 제6장: 夫易 彰往而察來 而微顯闡幽 開而當名 辯物正言斷辭則備矣;


정병석 역주, 『주역』 하, 을유문화사, 2015, 648-650쪽.
411) 『周易』 「繫辭上傳」 제11장: 是故闔戶謂之坤 闢戶謂之乾 一闔一闢爲之變 往來不窮謂之通
見乃謂之象 形乃謂之器 制而用之謂之法 利用出入 民咸用之謂之神.
412) 『周易』 「繫辭上傳」 제11장: 是故法象莫大乎天地 變通莫大乎四時 縣象著明莫大乎日月.
413) 『周易』 「繫辭上傳」 제1장: 在天成象 在地成形 變化見矣.

- 111 -
그렇다면 성인이 항상 사용하는 이런 도의 경지에는 어떻게 도달할 수 있는가? 바
로 “지극히 정미로움[至精]”, “지극한 변화[至變]”. “지극히 신묘함[至神]”의 ‘삼지(三
至)’의 단계에 도달하는 것이다. 이 ‘삼지’가 바로 『주역』을 공부하고, 『주역』의 도리
인 역도를 추구하는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역도를 실질적으로 구현하는 존재
가 바로 성인이라고 『역전』은 말한다.415)

그러므로 군자가 장차 무슨 일을 하고 무슨 행동을 하려 할 때에는 물어서 말하려


하니, 그 명을 받는 것이 메아리가 울리는 것과 같아서 먼 것이나 가까운 것과 그윽
한 것이나 심원한 것을 가리지 않고 마침내 미래의 일을 알게 된다. 천하의 지극히
정미로운 자가 아니면 누가 이 일에 참여할 수 있겠는가?416)
삼과 오로써 변화하니, 그 수를 섞고 뒤집어 봄으로써 변화에 통달하여 마침내 천
하의 모든 문채를 이루며, 그 수를 끝까지 궁구하여 천하의 모든 상을 정한다. 천하
의 지극한 변화를 아는 자가 아니면 누가 이 일에 참여할 수 있겠는가?417)
역은 생각하는 일이 없고 작위하는 일이 없어서 고요히 움직이지 않다가 감하여 마
침내 천하의 일에 통달하니, 천하의 지극히 신묘한 자가 아니라면 누가 이 일에 참여
할 수 있겠는가?418)
역은 성인이 심오함을 궁구하고 조짐을 연구하는 것이니, 심오하기 때문에 천하 사
람들의 심지에 통할 수 있으며, 일의 조짐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천하의 일을 성취할
수 있으며, 이처럼 신묘하기 때문에 빨리 달려가지 않아도 신속하며 가려고 의도하지
않아도 이를 수 있다. 공자가 말한 “주역에 성인의 도가 네 가지 있다”는 것은 바로
이를 말한 것이다.419)

이 문제에 대해 『일강역경해의(日講易經解義)』에서는 “『주역』은 진실로 지극히 정


미하고 지극히 변화하고 지극히 신묘하지만, 그러나 『주역』 스스로가 정미하고 변화

414) 『周易』 「繫辭下傳」 제12장: 是故變化云爲 吉事有祥 象事知器 占事知來 天地設位 聖人成
能 人謨鬼謨 百姓與能 八卦以象告 爻彖以情言 剛柔雜居 而吉凶可見矣.
415) 정병석, 『주역과 성인, 문화상징으로 읽다』, 예문서원, 2018, 198쪽 참조.
416) 『周易』 「繫辭上傳」 제10장: 是以君子將有爲也 將有行也 問焉而以言 其受命也如嚮 无有
遠近幽深 遂知來物 非天下之至精 其孰能與於此; 정병석 역주, 『주역』 하, 을유문화사,
2015, 570-571쪽 참조.
417) 『周易』 「繫辭上傳」 제10장: 參伍以變 錯綜其數 通其變 遂成天下之文 極其數 遂定天下之
象 非天下之至變 其孰能與於此; 정병석 역주, 『주역』 하, 을유문화사, 2015, 572쪽 참조.
418) 『周易』 「繫辭上傳」 제10장: 易无思也 无爲也 寂然不動 感而遂通天下之故 非天下之至神
其孰能與於此; 정병석 역주, 『주역』 하, 을유문화사, 2015, 574쪽 참조.
419) 『周易』 「繫辭上傳」 제10장: 夫易 聖人之所以極深而硏幾也 唯深也 故能通天下之志 唯幾
也 故能成天下之務 唯神也 故不疾而速 不行而至 子曰 “易有聖人之道四焉”者 此之謂也;
정병석 역주, 『주역』 하, 을유문화사, 2015, 575쪽 참조.

- 112 -
하고 신묘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성인이 그렇게 하는 것이다”420)라고 하고 있다. 여
기에서 중요한 것은 『주역』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그것의 성격과 지향점이 달
라진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주역』이라는 책은 다양한 의미들을 중층적으로 표현하
고 있기 때문에 읽는 사람들의 관점에 따라 이 책이 가진 방향이나 핵심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421)
『주역』의 상징체계가 가지고 있는 함축적 의미에 대한 해석이나 표현은 무한대로
확장될 수 있다. 이런 해석의 권리를 『역전』의 작자는 우선적으로 성인에게 부여하고
있다. 이에 대해 『일강역경해의』에서는 “역의 도는 천지에서 시작해서 성인에서 완성
되어 천하에 쓰이는데, 큰 것으로는 가국천하(家國天下)의 일에서부터 작게는 일용사
물의 이치까지 포함된다.”422)라고 하여 『주역』이 가지는 도리나 의미는 결국 성인에
게 구체적으로 실현되어 천하에 적용된다고 말한다.423)

3) 『주역』 속 리더의 영향력 행사

『주역』 속 리더의 영향력 행사는 두 가지 측면으로 전개된다. 자신에 대한 영향력


행사는 도덕적 측면에서 무구(无咎)를 추구하고, 타인에 대한 영향력 행사는 실천적
측면에서 구세(救世)를 지향한다.

(1) 도덕적 측면: 무구(无咎)

① 한사(閑邪)

부단히 변화하는 상황 속에서 거기에 알맞은 행동을 하고 진리를 구현하기 위해서


는 먼저 자신의 타고난 양심을 확충하고 욕심을 억제하는 수양(修養)이 반드시 필요
하다. 『주역』에서는 그러한 수양의 방법으로 한사(閑邪)와 존성(存誠)을 제시한다.424)
이와 관련하여 정이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420) 牛鈕等 撰, 『日講易經解義』, 536쪽: 夫易固至精 至變 至神矣 然非易自能精 變 神也 聖


人爲之也.
421) 정병석, 『주역과 성인, 문화상징으로 읽다』, 예문서원, 2018, 198쪽 참조.
422) 牛鈕等 撰, 『日講易經解義』, 533쪽: 於此可見 易之道 開於天地 成於聖人 用於天下 大而
家國天下之事 小而日用事物之理.
423) 정병석, 『주역과 성인, 문화상징으로 읽다』, 예문서원, 2018, 198-199쪽.
424) 『周易』 乾卦 「文言傳」 九二: 閑邪存其誠.

- 113 -
이미 허물이 없는 곳에 처했으면 오직 사특(邪慝)함을 막으면 된다. 사특함을 이미
막았으면 정성스러움이 보존된다.425)

먼저 한사는 참에 머물도록 외물의 간섭으로 인한 잡념이나 나쁜 욕심을 억제하고


막는 것을 의미한다. 본래 인간의 욕망에는 과불급(過不及)이 없이 본성에서 기인하
는 욕망과 중절(中節)을 잃은 이기적인 욕망이 있다. 사심 없이 정직하게 인간다운
삶을 살려고 하는 것과 같은 긍정적인 욕망은 과불급이 없이 본성에 기인하는 욕망으
로 그 자체는 인간의 본성 중에서 본래부터 갖추어진 올바른 도리, 즉 천리(天理)이
기 때문에 제거해서는 안 되고 마땅히 보존되어야 한다.426)
하지만 중절을 잃은 인욕(人欲)은 본마음이 발휘될 때 생각하여 헤아리고 견주어
살펴보는[思量計較] 개인의 이기적인 의도가 개입되어서 생긴다. 비례(非禮) 또한 사
욕(私欲)인데, 이러한 사욕은 끊임없이 욕망을 충족하려고 하기 때문에 절제를 통해
만족하지 않는 한 그 욕심을 다 채울 수 없다. 그리고 사욕이 많이 일어날수록 지선
순일(至善純一)한 천부적 본성은 어두워지고 가려져서 천리가 없어지게 된다.427)

사람이 태어나서 마음이 조용할 때에는 하늘이 부여한 본성 그대로이다. 외물에 느


끼어 마음이 움직이는 것은 그 본성의 욕심인 것이다. 사물이 앞에 이르면 지각기능
이 이를 지각한다. 그런 뒤에 좋아하고 싫어함이 나타난다. 좋아하고 싫어함이 마음
속에서 절제되지 않고 지각이 외물에 유혹되어 능히 자신을 반성하지 못하면 천리가
없어지게 된다.428)

또한 이와 관련하여 정이는 “손(損)의 뜻은 인간의 욕심을 덜어서 하늘의 이치를


회복하는 것일 뿐이다”429)라고 한다. 천리의 보존을 위해서는 중절을 잃은 인욕은 절
제를 통해 조절해야 하고, 천리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인욕을 억제하고 막아야 한다는
것이다.430)

425) 程頤, 『伊川易傳』, 乾卦 「文言傳」 九二註: 旣處无過之地則唯在閑邪 邪旣閑則誠存矣; 김


석진, 『주역전의대전역해』 상, 대유학당, 2000, 194-195쪽 참조.
426) 이상호, 「주역에서의 시중의 문제」, 『동양철학연구』 제39집, 동양철학연구회, 2004, 361
쪽.
427) 이상호, 「주역에서의 시중의 문제」, 『동양철학연구』 제39집, 동양철학연구회, 2004,
361-362쪽.
428) 『禮記』 「樂記」: 人生而靜 天之性也 感於物而動 性之欲也 物至知知 然後好惡形焉 好惡無
節於內 知誘於外 不能反躬 天理滅矣.
429) 程頤, 『伊川易傳』, 損卦 卦辭註: 損之義 損人欲 以復天理而已; 김석진, 『주역전의대전역
해』 하, 대유학당, 2000, 935-936쪽.

- 114 -
이제 각 괘의 효사에 나타나 있는 한사의 의미를 살펴본다. 먼저 건괘(乾卦) 초구
에서는 “물속에 잠겨 있는 용이니 쓰지 말아야 한다”431)고 말한다. 건괘 초구는 용
(龍)의 덕을 가지고 있지만 아직 능력이 부족한 상황을 말한다. 따라서 세상에 나와
도 그 뜻을 제대로 펼 수 없기 때문에 실력을 배양하면서 때를 기다려야 한다. 그럼
에도 욕심이 앞서 섣불리 행동하면 낭패를 보게 된다. 건괘 구사에서는 “혹 뛰어올랐
으나 연못에 있으면 허물이 없을 것이다”432)라고 한다. 건괘 구사는 자신의 능력을
시험해 보는 상황을 말한다. 그래서 혹 세상에 나아가 보기도 하지만 아직 때가 아님
을 알아 머물러야 할 곳으로 돌아오면 허물이 없다고 한다. 이제 막 조직의 상층부에
진입한 구사는 의욕이 앞서 하루빨리 자신의 능력을 드러내고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싶은 욕심을 갖게 된다. 그렇지만 구사는 상층부의 가장 아래에 있어 어떤 일을 주도
적으로 해나갈 수 있는 위치에 있지 않다. 기업에 비유하면 이사에 해당한다. 따라서
구사는 그런 욕심을 억제하고 겸손하게 대표이사인 구오를 보좌하면서 때를 기다릴
필요가 있다. 그래야 허물이 없다. 건괘 상구에서는 “너무 높이 올라가버린 용은 후
회함이 있을 것이다”433)라고 한다. 건괘 상구는 조직의 최상층부에 올라간 경우의 처
신에 대해 말한다. 기업의 경우에는 고문(顧問)에 해당한다. 이제 더 승진할 곳이 없
고 실권도 없으며 일정한 기간이 지나면 퇴직을 해야 하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
하고 경영에 무리하게 관여하려 하거나 임직원들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려 한다면 낭패
를 볼 수밖에 없다. 따라서 나아갈 줄만 알고 물러날 줄을 모르면 후회가 있게 되는
것이다.
곤괘(坤卦) 육삼에서는 “아름다움을 머금어 바름을 지킬 수 있다”434)고 한다. 즉,
내적인 아름다움을 간직하면서 바름을 지켜야 하는 상황을 말한다. 육삼은 하층부의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있다. 하층부의 중심은 육이이며, 육삼은 이런 상황을 깨닫
고 바르게 처신할 수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고 반발하거나 불만을 토로하면 자신의
입지만 어렵게 된다. 따라서 자신의 능력을 기르고 위치에 걸맞는 노력을 하면서 때
를 기다려야 한다.
둔괘(屯卦) 초구는 머뭇거리면서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는 상황을 말한다. 그럴수록
바르게 처신할 필요가 있다. 초구의 상황을 보면 육이, 육삼, 육사 등은 모두 음으로

430) 이상호, 「주역에서의 시중의 문제」, 『동양철학연구』 제39집, 동양철학연구회, 2004, 362

431) 『周易』 乾卦 初九 爻辭: 潛龍勿用.
432) 『周易』 乾卦 九四 爻辭: 或躍在淵 无咎.
433) 『周易』 乾卦 上九 爻辭: 亢龍有悔.
434) 『周易』 坤卦 六三 爻辭: 含章可貞.

- 115 -
나약해 보이고 강건한 능력자인 구오는 너무 먼 곳에 있어서 그 가치와 역할을 잘
알 수 없다. 이런 경우에 초구의 위치에 있는 사람은 자칫 윗사람들을 무시하기 쉽고
침체된 분위기를 쇄신한다는 명분으로 경거망동하기 쉽다. 그러나 전체의 책임자는
구오이기 때문에 초구가 아직 구오의 지지를 받지 않은 상태에서 경거망동하게 되면
기득권자인 위의 음들에게 제거당하기 쉽다. 따라서 함부로 나서지 말고 참고 견디면
서 육이, 육삼, 육사 등 위의 음들에게 자신을 낮추고, 구오의 지지를 받도록 해야
한다.435) 둔괘 상육은 상응하는 세력이 없음에도 바르게 처신하지 못하면 결국 어려
운 지경에 빠지게 됨을 말한다. 상육은 조직의 고문과 같은 위치에 있는 사람으로서
실권은 없지만 권위가 있고 지혜가 많은 존재여야 한다. 그럼에도 대표이사인 구오의
경영방침에 이의를 제기하는 등 비협조적인 처신을 하면 결국 욕됨을 당할 수밖에 없
다.

머뭇거리며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는 상태이다. 바른 것에 처하는 것이 이롭다.436)


말을 타고 가려 하나 말이 행렬을 이탈하여 배회하니 피눈물이 줄줄 흐른다.437)

몽괘(蒙卦) 육삼에서는 “여자를 취하지 말 것이니, 돈 많은 남자를 보고 자기 몸을


보존하지 못하니, 이로울 바가 없다”438)고 한다. 육삼의 위치는 소년 가장이 이끄는
집안에서 무능한 형이거나 손위 누나에 해당한다. 가정을 이끌어가는 주도권은 육이
남동생에게 있고 부모가 자신의 사정을 알아주지도 위로해 주지도 않는다. 그리하여
무능한 형은 비행소년이 되어 비행을 일삼다가 여자를 데리고 들어오는데 환영을 받
지 못하고 비난을 받게 되는 상황이다. 그리고 손위 누나의 경우 비행 소녀가 되어
돈 많은 남자의 유혹에 농락만 당하고 마는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는 부모가 자기
에게 관심을 갖지 않는 것이 부득이한 상황 때문임을 알고 자신의 개인적인 욕심을
버리고 겸허하게 동생인 구이를 도와야 한다.439)
돈괘(遯卦) 육이에서는 “황소의 가죽을 사용해 묶으니 벗길 수가 없다”440)고 한다.

435) 이기동 역해, 『주역강설』 상,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97, 102-103쪽 참조; 이상호, 「주역
에서의 시중의 문제」, 『동양철학연구』 제39집, 동양철학연구회, 2004, 364쪽 참조.
436) 『周易』 屯卦 初九 爻辭: 盤桓 利居貞.
437) 『周易』 屯卦 上六 爻辭: 乘馬班如 泣血漣如.
438) 『周易』 蒙卦 六三 爻辭: 勿用取女 見金夫 不有躬 无攸利.
439) 이기동 역해, 『주역강설』 상,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97, 116-117쪽 참조; 이상호, 「주역
에서의 시중의 문제」, 『동양철학연구』 제39집, 동양철학연구회, 2004, 365쪽.
440) 『周易』 遯卦 六二 爻辭: 執之用黃牛之革 莫之勝說.

- 116 -
육이는 하층부의 중심에 있지만 구삼 등 양의 견제 때문에 자신의 능력을 제대로 인
정받지 못하는 상황에 놓여 있다. 이럴 경우에는 무리하게 일을 추진하기보다는 조용
히 물러나 자신의 역량을 키울 필요가 있다. 주위의 부추김이나 유혹에 흔들리지 말
고 황소 가죽으로 묶듯이 확고한 의지를 갖고 능력을 키우는데 최선을 다해야 한다.

② 존성(存誠)

존성은 하늘로부터 부여받은 순수한 마음인 양심의 생명력을 보존하고 확충하여 진


리 그 자체가 되도록 성을 붙들어 지키는 것을 의미한다.441) 이와 관련하여 『주역』과
『중용』에서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먼저 『주역』을 살펴본다. 『주역』의 모든 괘사와 효사는 천지의 도를 밝힌 뒤 그 도
에 따라 인간이 마땅히 준수해야 할 바를 서술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주역』 항괘(恒
卦)에서는 천지의 도가 항구적일 수 있는 까닭은 형통하고 허물이 없고 바르기 때문
이라고 말한다. 따라서 군자 또한 그 이치를 깨달아 그 방향을 바꾸지 않는 것이다.

항은 형통하고 허물이 없다. 바르게 함이 이롭고 가는 바를 둠이 이롭다.442)


항은 형통하고 허물이 없고 바르게 함이 이롭다는 것은 그 도를 오래 하는 것이다.
천지의 도는 항구하여 그침이 없다.443)
우레가 위에 있고 바람이 아래에 있는 것이 항이니, 군자는 그 이치를 본받아서 뜻
을 세우고 그 방향을 바꾸지 않는다.444)

『중용』에서도 성(誠)한 하늘의 도를 본받아 성(誠)해지려고 노력하는 자는 선(善)을


택해서 굳게 붙잡는다고 말한다.

성(誠)은 하늘의 도이고, 성(誠)해지려고 노력하는 것은 사람의 도이다. 성(誠)한 자


는 힘쓰지 않아도 적중하고, 생각해서 하지 않아도 얻게 되며, 조용히 도에 적중하니
성인이다. 성(誠)해지려고 노력하는 자는 선(善)을 택해서 굳게 붙잡는 자이다. 널리
배우고, 자세히 물으며, 신중히 생각하고, 명확히 분별하며, 돈독하게 행한다.445)

441) 이상호, 「주역에서의 시중의 문제」, 『동양철학연구』 제39집, 동양철학연구회, 2004, 356
쪽.
442) 『周易』 恒卦 卦辭: 恒 亨 无咎 利貞 利有攸往.
443) 『周易』 恒卦 「彖傳」: 恒亨无咎利貞 久於其道也 天地之道 恒久而不已也.
444) 『周易』 恒卦 「象傳」: 雷風恒 君子以 立不易方.
445) 『中庸』 제20장: 誠者 天之道也 誠之者 人之道也 誠者 不勉而中 不思而得 從容中道 聖人

- 117 -
이처럼 항심(恒心)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익괘(益卦) 또한 말하고 있다. 익
괘 상구에서는 “더하여 주는 사람이 없다. 혹 공격하리니, 그 마음을 세움에 항상 함
이 없으니, 흉하다”446)라고 한다. 손상익하(損上益下)라는 만고불변의 법칙을 일관 되
게 견지하지 못하고, 도리어 손하익상(損下益上)으로 입장을 바꾸어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하니, 사방이 공격하는 상황이 되고 그렇게 되면 흉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인간의 내면 깊은 자리에는 천부적인 본성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마음을
밝히고 정신을 집중하여 내면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면, 진리의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이러한 진리는 인간으로 하여금 옳은 일을 하도록 인도하고, 다른 모든 생명체에게
사랑을 베풀도록 유도하는 등, 현재 삶을 최선의 상태로 유도하는 작용을 한다.447)
따라서 『주역』은 “하늘의 운행이 굳건하니, 군자는 그것을 본받아서 스스로 노력하여
그치지 않는다”448)고 말한다. 그리고 주희는 “군자가 이를 본받아 인욕(人欲)으로 천
덕(天德)의 강건함을 해치지 않으니, 스스로 노력하여 그치지 않는다”449)고 한다.
그 뜻을 곧고 바르게 하면 천하의 모든 뜻이 하나로 모아진다. 이는 곧 세상이 하
늘의 운행원리인 성(誠)으로 귀일됨을 말하는 것이며, 성은 천인합일(天人合一)의 기
초가 되는 것이다. 인간은 성한 하늘의 도를 본받아 성해지려고 노력함으로써 천인합
일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성은 내적 수양의 요체가 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정
이는 함괘(咸卦)에 대한 주석(註釋)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대개 사람이 마음을 비우면 상대의 마음을 받아들일 수 있고, 마음이 곽 차면 받아


들일 수 없다. 마음을 비운다는 것은 자기주장을 없애는 것이다. 마음속에 사사로운
주장이 없으면 감응하여 통하지 않음이 없다. 계산하여 수용하고, 합치할 것을 선택
하여 받아들이는 것은 감응이 있으면 반드시 소통하는 성인의 도가 아니다.450)
그 뜻을 곧고 바르게 하면, 궁극적으로는 천하의 모든 것이 느껴 통하지 않는 것이
없다.451)
오직 지극한 정성만이 사람을 감동시킬 수 있다.452)

也 誠之者 擇善而固執之者也 博學之 審問之 愼思之 明辯之 篤行之.


446) 『周易』 益卦 上九 爻辭: 莫益之 或擊之 立心勿恒 凶.
447) 이상호, 「주역에서의 시중의 문제」, 『동양철학연구』 제39집, 동양철학연구회, 2004, 358
쪽.
448) 『周易』 乾卦 「象傳」: 天行健 君子以 自彊不息.
449) 朱熹, 『周易本義』, 乾卦 「象傳」註: 君子法之 不以人欲害其天德之剛 則自彊而不息矣.
450) 程頤, 『伊川易傳』, 咸卦 「象傳」註: 夫人中虛則能受實則不能入矣 虛中者无我也 中无私主
則无感不通 以量而容之 擇合而受之 非聖人有感必通之道也.
451) 程頤, 『伊川易傳』, 咸卦 九四 爻辭註: 貞其意則窮天下无不感通焉.
452) 程頤, 『伊川易傳』, 咸卦 上六 「象傳」註: 唯至誠 爲能感人.

- 118 -
본래 거울은 먼지나 때가 끼면 얼굴을 제대로 비추지 못하는데, 이를 깨끗이 지우
면 얼굴의 있는 그대로를 비춘다. 그와 마찬가지로 마음을 텅 비워 사사로운 주장이
없으면 상대방의 마음을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게 되고 서로 감응하여 통하게 된다.
그리고 말로만 다른 사람들을 기쁘게 해서는 그 사람들을 감동시킬 수 없음을 말한
다. 오직 지극한 정성만이 사람들을 감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③ 덕(德)

리더가 갖추어야 할 기본자격 또는 수행해야 할 과제에는 덕(德)과 업(業)이 있다.


‘덕’은 내재적 도덕 수양을 말하고, ‘업’은 외재적 사업을 말한다.453) 도덕 수양의 요
체는 사람들이 진심으로 믿을 수 있는 그런 존재가 되는데 있고, 사업의 지름길은 사
람들의 신용을 얻는데 있다. 덕이든 업이든 결국 신뢰가 그 중심에 있음을 알 수 있
다. 맹자의 말에 따르면, 덕은 ‘홀로 자기의 몸을 착하게 만드는 것[獨善其身]’이고,
업은 ‘천하를 모두 착하게 만드는 것[兼善天下]’에 해당한다.

군자가 덕을 증진시키고 사업에 힘을 써야 하니, 진심으로 미덥게 하여야 덕을 증


진시킬 수 있고, 말을 닦아 진실함을 굳건히 세워야 사업을 지켜낼 수 있기 때문이
다.454)
넉넉하게 가지는 것을 큰 사업이라 하고, 날마다 새로워지는 것을 성대한 공덕이라
고 한다.455)
곤궁하면 홀로 자기의 몸을 착하게 만들고, 출세하면 천하를 모두 착하게 만든
다.456)

덕을 쌓는 것이 리더 본연의 책무라는 것은 건괘(乾卦)와 곤괘(坤卦)에 잘 나타나


있다. 먼저 건괘 「문언전」에서는 “군자는 덕을 이루는 것을 행실로 삼으니, 나날이
볼 만한 것이 행실이다”457)라고 한다. 이는 “잠룡물용(潛龍勿用)”이라는 건괘 초구
효사에 대한 해석이므로, 아직 때가 이르지 않았고 지위가 주어지지 않은 상황에서의
처신과 도리를 말하는 것이다.458) 즉 독선기신을 의미한다. 초구처럼 아직 내적 수양

453) 정병석, 『주역과 성인, 문화상징으로 읽다』, 예문서원, 2018, 396쪽 참조.
454) 『周易』 乾卦 「文言傳」 九三: 君子進德脩業 忠信所以進德也 修辭立其誠所以居業也.
455) 『周易』 「繫辭上傳」 제5장: 富有之謂大業 日新之謂盛德.
456) 『孟子』 「盡心上」: 窮則獨善其身 達則兼善天下.
457) 『周易』 乾卦 「文言傳」 初九: 君子以成德爲行 日可見之行也.

- 119 -
이 완전하지 못할 때는 무엇보다도 덕을 쌓는 일에 매진해야 한다. 「문언전」 구이에
서는 “배워서 모으고, 물어서 분별하며, 너그러움으로써 자리하고, 인으로써 행동한
다”459)고 말하여, 적덕(積德)의 관건을 학취(學聚)ㆍ문변(問辨)ㆍ관거(寬居)ㆍ인행(仁
行)으로 보았다. 구삼에서는 “종일토록 애써 노력하고 저녁까지도 두려워해야 한다.
그러면 위태로우나 허물은 없을 것이다”460)라고 하여, 덕은 쌓는 일이 결코 쉬운 일
이 아님을 말한다. 또한 곤괘 「문언전」에서는 “경으로써 안을 바르게 하고, 의로써
바깥을 반듯하게 한다”461)고 하여, 이 내외의 공부가 부단히 쌓여 가면 덕이 외롭지
않게 된다고 한다.
덕과 관련된 개념으로는 사덕, 이간, 구덕괘, 생명의 창달 등이 있다.

ⅰ) 사덕(四德)

『주역』에서 덕은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가? 그 실마리는 “건원형이정(乾元亨


利貞)”이라는 건괘 괘사에서 찾아볼 수 있다. 『주역』의 첫머리를 장식하는 이 문장
중 ‘원형이정’ 네 글자는 그동안 수많은 해석과 의견을 불러일으킨 것이다. 먼저 건괘
「문언전」에서는 이 네 글자에 대해 다음과 같이 해석한다.

원은 착한 것의 으뜸이고, 형은 아름다운 것의 모임이고, 이는 마땅함의 조화이고,


정은 일의 줄기이다. 군자가 인을 본받아야 다른 사람의 리더가 될 수 있고, 모이는
것을 아름답게 해야 예에 합치될 수 있고, 다른 사물을 이롭게 해야 의로움과 조화될
수 있고, 바름을 굳게 지키니 일의 근간이 될 수 있다. 군자는 이 네 가지 덕을 행하
는 자이다. 그러므로 건은 원형이정이라고 말한다.462)

또한 정이는 ‘원형이정’을 다음과 같이 해석한다.

원은 만물의 시작이고, 형은 만물의 자라남이며, 이는 만물의 이루어지는 과정이고,


정은 만물의 완성이다.463)

458) 곽신환, 『주역의 자연과 인간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7.


109쪽 참조.
459) 『周易』 乾卦 「文言傳」 九二: 君子 學以聚之 問以辨之 寬以居之 仁以行之.
460) 『周易』 乾卦 九三 爻辭: 君子 終日乾乾夕惕若 厲无咎.
461) 『周易』 坤卦 「文言傳」 六二: 君子 敬以直內 義以方外 敬義立而德不孤.
462) 정병석 역주, 『주역』 상, 을유문화사, 2014, 60-64쪽 참조; 성백효 역주, 『주역전의』 상,
전통문화연구회, 2001, 162-165쪽 참조.

- 120 -
그리고 주희는 ‘원형이정’을 두 가지 방식으로 해석한다. 첫 번째는 문언전의 해석
에 따라 사덕으로 보는 것인데, 이는 정이의 관점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원은 큰 것이고, 형은 통하는 것이며, 이는 마땅한 것이고, 정은 바르고 굳은 것이


다.464)
원은 만물이 처음 생겨남이고, 형은 만물이 번창해서 무성함이며, 이는 결실로 나아
감이고, 정은 결실의 완성이다.465)

원은 생물의 시작이니, 천지의 덕이 이보다 앞서는 것이 없다. 그러므로 때에 있어


서는 봄이 되고, 사람에게는 어짊(仁)이 되어, 모든 착한 것의 으뜸이 된다. 형은 생
물의 형통함이니, 생물이 이에 이르게 되면 아름답지 않은 것이 없다. 그러므로 때에
있어서는 여름이 되고, 사람에게는 예의가 되어, 모든 아름다움의 모임이 된다. 이는
생물의 이루어지는 과정이니, 생물이 각각 마땅함을 얻어 서로 방해하지 않는다. 그
러므로 때에 있어서는 가을이 되고, 사람에게는 의리가 되어, 나눔에 화합을 얻는다.
정은 생물의 완성이니, 실제 행해지는 이치가 갖추어져서 그 존재함에 따라 각기 만
족한다. 그러므로 때에 있어서는 겨울이 되고, 사람에게는 지혜가 되어, 모든 일의
줄기가 된다.466)

두 번째는 『역경』이 점서(占書)라는 것에 입각하여 원형과 이정으로 이분해서 해석


하는 것이다.

문왕이 “……그 점이 마땅히 크게 형통함을 얻고, 반드시 바르고 굳게 해야 이로움


이 있어서, 그 마침을 보존할 수 있다.”라고 하니467)

463) 程頤, 『伊川易傳』, 乾卦 卦辭註: 元者 萬物之始 亨者 萬物之長 利者 萬物之遂 貞者 萬


物之成; 김석진, 『주역전의대전역해』 상, 대유학당, 2000, 162쪽 참조.
464) 朱熹, 『周易本義』, 乾卦 卦辭註: 元 大也 亨 通也 利 宜也 貞 正而固也; 김석진, 『주역
전의대전역해』 상, 대유학당, 2000, 164쪽.
465) 朱熹, 『周易本義』, 乾卦 「彖傳」註: 元者 物之始生 亨者 物之暢茂 利則向於實也 貞則實
之成也; 김석진, 『주역전의대전역해』 상, 대유학당, 2000, 179쪽 참조; 성백효 역주, 『주
역전의』 상, 전통문화연구회, 2001, 158쪽 참조.
466) 朱熹, 『周易本義』, 乾卦 「文言傳」註: 元者 生物之始 天地之德 莫先於此 故於時爲春 於
人則爲仁而衆善之長也 亨者 生物之通 物至於此 莫不嘉美 故於時爲夏 於人則爲禮而衆美
之會也 利者 生物之遂 物各得宜 不相妨害 故於時爲秋 於人則爲義而得其分之和 貞者 生
物之成 實理具備 隨在各足 故於時爲冬 於人則爲智而爲衆事之幹; 김석진, 『주역전의대전
역해』 상, 대유학당, 2000, 187-188쪽 참조; 성백효 역주, 『주역전의』 상, 전통문화연구
회, 2001, 163쪽 참조.
467) 朱熹, 『周易本義』, 乾卦 卦辭註: 文王 ……言其占 當得大通而必利在正固然後 可以保其

- 121 -
건괘 「문언전」에서는 원형이정을 하늘의 사덕이라는 관점에서 해석하고 있다. 이러
한 관점은 주역에 대한 대표적인 주석가인 정이와 주희 또한 기본적으로 동의하고 있
다. 다만 주희는 『역경』이 점서임에 입각하여 원형과 이정을 구분해서 이분법으로 해
석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본적으로 원형이정을 사덕이라는 관점, 즉 사분법으
로 해석하고자 한다. 그렇지만 문맥상 이분법으로 해석하는 것이 더 자연스러운 경우
에는 이분법으로 해석한다. 사분법으로 해석할 경우, ‘건원형이정’은 자연의 운행으로
서의 하늘의 네 가지 작용을 함축한다.
따라서 『주역』에서의 덕은 자연의 운행을 주관하는 하늘의 네 가지 작용처럼 사계절,
즉 때의 변화에 따라 그에 알맞은 덕을 발휘하는 것이다. 이는 곧 시중을 말한다.

ⅱ) 이간(易簡)

건곤의 덕은 이간하다. 「계사전」에서 제시하는 이간의 좋은 점은 다음과 같이 도식


화할 수 있다.468)

<그림 Ⅳ-4> 이간의 역할

乾-至健-易知-有親-可久-賢人之德-時間-日新之盛德
天下之理得, 天下之能事畢
坤-至順-簡能-有功-可大-賢人之業-空間-富有之大業

건은 지극히 강건하니, 쉬운 방식으로 주관하는 작용을 하고, 쉽게 알 수 있으면


친함이 있게 되고, 친함이 있으면 오래 유지할 수 있고, 오래 유지될 수 있으면 어진
이의 덕이다. 시간과 함께 하며, 날마다 새로워지는 성대한 공덕이다. 곤은 지극히 유
순하니, 간단한 방식으로 이루는 기능을 하고, 쉽게 따를 수 있으면 공을 이룰 수 있
고, 공을 이루면 커질 수 있고, 커질 수 있으면 어진 이의 사업이다. 공간과 함께 하
며, 넉넉하게 가지는 큰 사업이다. 이러한 이간의 이치를 통하여 천하의 이치를 파악

終也; 김석진, 『주역전의대전역해』 상, 대유학당, 2000, 163-164쪽 참조.


468) 『周易』 「繫辭上傳」 제1장: 乾以易知 坤以簡能 易則易知 簡則易從 易知則有親 易從則有
功 有親則可久 有功則可大 可久則賢人之德 可大則賢人之業 易簡而天下之理得矣 天下之
理得而成位乎其中矣; 『周易』 「繫辭上傳」 제5장: 富有之謂大業 日新之謂盛德; 『周易』
「繫辭上傳」 제9장: 八卦而小成 引而伸之 觸類而長之 天下之能事畢矣 顯道 神德行; 곽신
환, 『주역의 자연과 인간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7, 110쪽.

- 122 -
하고, 천하의 가능한 일을 다할 수 있다.

건은 천하의 지극히 굳센 것이니, 그 덕행은 항상 쉬움으로써 험한 것을 안다. 곤


은 천하의 지극히 유순한 것이니, 그 덕행은 항상 간략함으로써 막힌 것을 안다. 마
음속에서 기뻐하고 생각으로 연마하여, 천하의 모든 길흉을 단정하고 천하의 힘써야
할 일을 이룬다.469)

평이한 데 거처하면서 험한 것을 알고, 간략한 데 머무르면서 막힌 것을 안다. 이


는 곧 이간의 덕으로써 조험(阻險)을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470)

ⅲ) 구덕괘(九德卦)

『주역』은 환난을 막아 근심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자는 반드시 먼저 덕을 쌓아야


한다고 말한다. 역의 64괘 모두가 덕을 닦고 환난을 막는 일에 도움을 주기 위해 만
든 것이지만, 그중에서도 구덕괘의 덕목은 특히 우환이 있을 때 마땅히 먼저 세워야
할 것으로 제시하고 있다.471)
구덕괘472)에 대해서는 「계사하전」 제7장에 그 내용이 나온다. 아홉 괘를 각각 세
번씩 반복하여 인간 수양의 원칙과 방식을 설명하고 있으므로 삼진괘(三陣卦) 또는
삼진구덕괘(三陣九德卦)라고도 부른다.473) 그 자세한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표
Ⅳ-6).
이(履)는 예를 말한다. 이는 조심스럽게 걷는 것을 말하는데, 이는 곧 예에 따라 행
동하는 것을 상징한다. 따라서 덕의 기초가 된다. 예는 조화를 강조한다. 지(至)는 다
른 사람에게 미치는 것을 말한다. 즉, 예를 다른 사람에게 미치게 하면 사람들 간의

469) 『周易』 「繫辭下傳」 제12장: 夫乾 天下之至健也 德行恒易以知險 夫坤 天下之至順也 德行


恒簡以知阻 能說諸心 能硏諸(侯之)慮 定天下之吉凶 成天下之亹亹者.
470) 곽신환, 『주역의 자연과 인간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7,
110-111쪽 참조.
471) 김석완, 「고대 중국인의 우환의식과 하이데거의 염려 개념의 교육학적 의미 비교」, 『교육
사상연구』, 제32권 제2호,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8, 10쪽.
472) 구덕이라는 이름은 朱熹가 『周易本義』에서 “서경의 구덕과 같다(此, 如書之九德).”고 표
현한 데서 기인한다(권호용, 「주역 구덕괘의 원의 분석」, 『동서철학연구』 제84호, 한국동
서철학회, 2017, 8쪽).
473) 이익(李瀷), 「역경질서(易經疾書)」, 『한국주역대전, DB』, 성균관대학교, 2017 참조; 김연
재, 「주역 구괘덕목에 나타난 우환의 역도와 수양론의 강령」, 『양명학』 제19집, 한국양명
학회, 2007, 7쪽 참조.

- 123 -
다툼을 조화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처럼 이괘는 사람들 간의 조화와 화합을 추구한
다.

<표 Ⅳ-6> 구덕괘

괘명 괘의 덕(1진) 괘의 재질(2진) 우환 대처 방법(3진)


이(履) 덕지기(德之基) 화이지(和而至) 이화행(以和行)
겸(謙) 덕지병(德之柄) 존이광(尊而光) 이제례(以制禮)
복(復) 덕지본(德之本) 소이변어물(小而辨於物) 이자지(以自知)
항(恒) 덕지고(德之固) 잡이불염(雜而不厭) 이일덕(以一德)
손(損) 덕지수(德之修) 선난이후이(先難而後易) 이원해(以遠害)
익(益) 덕지유(德之裕) 장유이불설(長裕而不設) 이흥리(以興利)
곤(困) 덕지변(德之辨) 궁이통(窮而通) 이과원(以寡怨)
정(井) 덕지지(德之地) 거기소이천(居其所以遷) 이변의(以辨義)
손(巽) 덕지제(德之制) 칭이은(稱而隱) 이행권(以行權)

자료: 전기호, 『주역 구덕괘를 통한 우환의 극복에 관한 연구』, 대구한의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20, 108쪽 참조.

겸(謙)은 겸손이다. 겸손은 도덕을 실천하는 출발이고 줄기이기 때문에 덕의 자루


라고 말한다. 겸손하게 스스로를 낮추면 다른 사람들이 존경하여 자신을 더 빛나게
할 수 있다. 겸손하다는 것은 곧 예를 따른다는 것이다.
복(復)은 복귀나 회복의 뜻이다. 사람이 올바른 도를 회복할 수 있다면 덕의 근본
이 될 수 있다. 소(小)는 미세한 징조를 말하는데 양이 비로소 드러나기 시작하는 것
을 의미한다. 변(辨)은 두루 퍼져 있다는 편을 말한다. 따라서 복괘의 때에는 양이 비
록 작으나 만물에 두루 퍼져 있게 된다. 선한 본성으로 복귀하는 것은 자각에 달려
있다.
항(恒)은 항심이다. 사람이 항심으로 정도를 지키면 도덕은 늘 공고할 수 있다. 잡
(雜)은 바른 것(正)과 그른 것(邪)이 섞여 있는 것을 의미한다. 항심으로 지조를 지키
기 때문에 바른 것과 그른 것이 섞여 있어도 바른 도를 계속해서 지키는 것을 싫어
하지 않는다. 항심으로 정도와 지조를 지키니 그 덕을 하나로 지키는 것이다.
손(損)은 스스로 불선함과 지나침을 덜어내어 욕망을 조절하여 도덕을 닦는 것을
말한다. 나쁜 마음과 사사로운 욕망을 줄이는 일은 처음에는 매우 어렵지만 계속해서
노력하다 보면 나중에는 점점 쉬워진다. 욕망을 조절하고 줄이면 해로움을 멀리할 수
있다.

- 124 -
익(益)은 바른 생각과 올바른 행동을 증가시켜 그 덕을 날로 넉넉하고 충실하게 하
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오랫동안 길러 넉넉히 해주되 다른 사람에게 헛되이 베풀지
는 않는다. 바른 생각과 올바른 행동을 많이 할수록 이로움이 더 생긴다.
곤(困)은 곤궁이다. 곤궁할 때에 그 사람의 인품과 덕성이 어떠한지를 분명하게 변
별할 수 있다. 몸은 비록 곤궁하여도 그 지키는 바를 바꾸지 않으면 도는 더욱 형통
하게 된다. 곤궁하다고 남을 해쳐서도 원망해서도 안 된다.
정(井)은 「단전」에 나오듯이 “길러내는데 다함이 없다(井養而不窮也)”는 것을 말한
다. 이런 우물의 작용은 마치 땅이 한 자리에서 움직이지 않고 만물을 길러주는데 끝
이 없는 것과 같은 의미이다. 우물이 사람과 만물을 길러주는 것을 본받아 자기가 받
은 혜택을 다른 사람에게 베풀어준다. 이처럼 우물이 물을 길어 사람과 만물에게 공
급하듯이 정의를 실천하여야 한다.
손(巽)은 순종을 말한다. 손은 명령을 제정하여 그것을 아래로 발동하기 때문에
“덕이 만든 것이다(德之制)”474)라고 말한다. 군자가 시세와 인정을 관찰하고 일의 대
소경중을 저울질하여 때에 맞게 일을 처리하지만 겸손하여 그 형적이 거의 보이지 않
는다. 물건의 경중에 따라 저울추를 움직여 평형을 이루듯이 일을 처리함에 그 마땅
함을 잃지 않아야 한다.475)
한편 김연재(2007)는 인간의 덕성 함양과 관련되는 아홉 괘의 덕목 중 이ㆍ겸ㆍ복
괘의 덕목을 기본적인 자세로, 항ㆍ손ㆍ익괘의 덕목을 운용의 원칙으로, 곤ㆍ정ㆍ손
괘의 덕목을 확충의 방식으로 구분하고 있다.476)

ⅳ) 생명의 창달

덕의 효용 및 기능과 관련해서 보면, 천지의 덕은 생명의 창달과 관계한다.477) 이


와 관련하여 「계사전」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천지의 큰 덕을 생이라 하다.478)

474) 『周易』 「繫辭下傳」 제7장에 나옴.


475) 정병석 역주, 『주역』 하, 을유문화사, 2015, 652-656쪽 참조.
476) 김연재, 「주역 구괘덕목에 나타난 우환의 역도와 수양론의 강령」, 『양명학』 제19집, 한국
양명학회, 2007, 1쪽 참조.
477) 곽신환, 『주역의 자연과 인간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7.
110쪽 참조.
478) 『周易』 「繫辭下傳」 제1장: 天地之大德曰生.

- 125 -
낳고 낳는 것을 역이라 한다.479)
날마다 새로워지는 것을 성대한 공덕이라 한다.480)

천지가 지닌 덕 가운데 가장 큰 것은 낳고 낳는 생명의 창달이다. 또한 천지의 덕


은 가장 공정무사하다. 이와 관련하여 『중용』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비유하면 하늘과 땅이 붙들어 실어주지 않음이 없고 덮어서 감싸주지 않음이 없음


과 같다. ……만물은 함께 자라도 서로 해치지 않고, 도는 함께 행해져도 서로 어긋
나지 않는다.481)

하늘은 모든 만물을 덮어주고, 땅은 모든 만물을 실어준다. 우주 안의 만물이 모두


나란히 자라나되 서로 해치지 않음은 천지가 지닌 덕 때문이다. 천지의 이 만물을 생
육하는 마음은 후일 인(仁)으로 규정된다. 우주 안에 있는 만물은 날로 새롭게 태어
난다. 천지에 의하여 만물이 날로 새로워지며, 그 생성이 그치지 않으니 성덕(盛德)이
라 하지 않을 수 없다. 만물의 변화가 그치지 않고 날로 새로워지듯 인간도 나날이
새로운 경지로 나아가야 한다. 천지를 본받는 자의 모습은 이러하다. 그러므로 『대
학』에서 “날로날로 새롭게 하며 또 날로 새롭게 하라(日日新又日新)”고 말한다.482)

(2) 실천적 측면: 구세(救世)

① 출처(出處)

일반적으로 성리학에서는 수양을 먼저하고 난 후 출처를 하는데, 『주역』에서는 수


양과 출처를 동시에 내포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즉, 괘의 지시가 출하여 양심의
생명력을 발휘할 상황에서는 적극적으로 출하고, 지나친 욕심으로 양심의 생명력 확
충에 어긋날 상황에서는 나서지 말고 처해야 한다. 만약 진퇴(進退)ㆍ존망(存亡)ㆍ득
상(得喪)의 이치를 알지 못하면, 이를 곳과 마칠 곳을 판단하지 못하면, 그칠 때와 행
할 때를 분별하지 못하면, 후회가 생기고 생명의 위기가 초래된다. 『주역』은 오직 성

479) 『周易』 「繫辭上傳」 제5장: 生生之謂易.


480) 『周易』 「繫辭上傳」 제5장: 日新之謂盛德.
481) 『中庸』 제30장: 辟如天地之無不持載無不覆幬 ……萬物並育而不相害 道並行而不相悖.
482) 곽신환, 『주역의 자연과 인간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7.
110쪽 참조.

- 126 -
인만이 이런 이치를 알아 실천할 수 있다고 말한다. 이처럼 『주역』의 괘사와 효사는
성인이라는 이상적인 리더를 통해 인간의 바람직한 행동방식을 지시해주고, 나가는
것과 멈추는 것에 대한 올바른 실천방향을 제시한다.483)

나아가는 것만 알고 물러나는 것을 알지 못하며, 존재하는 것만 알고 사라지는 것


은 알지 못하며, 얻는 것만 알고 잃는 것은 알지 못하니, 그런 자는 오직 성인뿐인
가? 나아가는 것과 물러나는 것, 존재하는 것과 사라지는 것을 알아 그 바름을 잃지
않는 자는 오직 성인뿐일 것이다.484)

이를 데를 알아 이르므로 더불어 기미를 알 수 있고, 마칠 데를 알아 마치므로 더


불어 의로움을 보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윗자리에 있어도 교만하지 않고 아랫자리
에 있어도 걱정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오직 끙끙거리고 애쓸 따름이니, 그 처해 있는
상황으로 인해서 애태우면 비록 위태로우나 허물이 없다.485)

때가 그칠 때는 그치고, 때가 행할 때는 행하여, 움직임과 고요함이 그 때를 잃지


않으니 그 도가 밝다.486)

유가에서의 처(處)는 또 다른 의미의 출(出)이라고 할 수 있다. 산림처사(山林處士)


로 지내고 있더라도 늘 세상의 돌아가는 모습에 주의를 게을리하지 않는다. 그러다
세상이 잘못되고 있다고 판단되면 감연히 일어나 상소나 연좌시위 등을 통해 항의를
한다. 또한 벼슬에 있다가도 국왕의 뜻이나 조정의 여론이 부당하다고 여겨지면 과감
하게 관직을 버리고 산림에 은거하는 것은 그 자체가 하나의 강력한 메시지인 동시에
정치행위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유가에 있어 출과 처는 한 몸의 앞뒤와 같다.
출할 때 출해야 하는 것이 역리이다. 『주역』에서 왕(往), 정(征), 원(元), 형(亨), 이
(利) 등의 의미는 모두 출의 행동을 지시하는 것이다.487) 건괘(乾卦) 구이는 그동안의
잠복과 은둔을 벗어나 이제 막 지상에 나타난 용의 모습을 상징한다. 따라서 그동안

483) 이상호, 「주역에서의 시중의 문제」, 『동양철학연구』 제39집, 동양철학연구회, 2004,


365-366쪽 참조.
484) 『周易』 乾卦 「文言傳」 上九: 知進而不知退 知存而不知亡 知得而不知喪 其唯聖人乎 知進
退存亡而不失其正者 其唯聖人乎.
485) 『周易』 乾卦 「文言傳」 九三: 知至至之可與幾也 知終終之可與存義也 是故居上位而不驕
在下位而不憂 故乾乾因其時而惕 雖危无咎矣.
486) 『周易』 艮卦 「彖傳」: 時止則止 時行則行 動靜不失其時其道光明.
487) 이상호, 「주역에서의 시중의 문제」, 『동양철학연구』 제39집, 동양철학연구회, 2004, 366
쪽.

- 127 -
축적한 실력을 적극적으로 발휘해야 할 때이다. 그렇지만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언행
을 신중하게 하여 사람들의 신임을 얻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또 하나 유의해야
할 것은 구이는 하층부의 중심에 있어 패기는 넘치지만 경륜과 노련미는 부족할 수밖
에 없다는 것이다. 이럴 때 필요한 것이 바로 덕과 지위를 갖춘 대인의 지도와 후원
이다. 구이에 있어서는 그러한 존재가 바로 구오이다. 따라서 구오와의 유기적인 협
력과 상응 하에서 구세에 나서야 한다. 건괘 구오는 국가에서는 군왕에 해당하고 기
업에서는 대표이사에 해당하는 자리이다.488) 그동안 축적한 경험과 실력을 바탕으로
조직을 주도적으로 이끌어 나가는 위치에 있다. 그렇지만 혼자서 모든 것을 감당할
수는 없다. 반드시 자신을 보좌해 주는 유능하고 현명한 참모가 있어야 한다. 대인은
바로 그런 참모를 말하며, 구이가 바로 거기에 해당한다. 항괘(恒卦)가 형통한 것은
태평한 상태에 안주하지 않기 때문이다. 바르게 하고 가는 바를 두는 것이 이롭다는
것은 부단히 변화하는 천지자연의 도리에 부합하여 변화를 모색하기 때문이다. 그래
야 항구할 수 있다.

나타난 용이 땅에 있으니 대인을 보는 것이 이롭다.489)


나는 용이 하늘에 있으니 대인을 보는 것이 이롭다.490)
형통하여 허물이 없다. 바르게 함이 이롭고, 가는 바를 두면 유리하다.491)

공자와 같이 출처가 자유자재(自由自在)하지 못한 보통 사람의 경우 도를 펼칠 수


없는 난세에는 물러나 자기 혼자만이라도 진리를 간직하면서 지조를 지켜야 한다. 왜
냐하면 자신을 안전하게 확보해 놓지 않은 상황에서 출사하게 되면 진리를 제대로 펼
쳐 보지도 못하고 간사한 이들에게 농락당하거나 이름만 도둑질 당할 우려가 있기 때
문이다. 그런데 난세이지만 출사를 해야 할 상황이 생긴다. 이러한 상황에서 군자는
어떻게 처신해야 하는지에 대해 복괘(復卦) 육사와 「계사전」에서는 다음과 같이 말한
다.

음의 가운데에서 행하는 것이니 홀로 돌아오는 것이다.492)

488) 朱熹는 『周易本義』에서 구오에 대해 “강건중정하여 존위에 있으니 성인의 덕을 가지고


성인의 자리에 있는 것과 같다(剛健中正 以居尊位 如以聖人之德 居聖人之位).”고 말한다.
489) 『周易』 乾卦 九二 爻辭: 見龍在田 利見大人.
490) 『周易』 乾卦 九五 爻辭: 飛龍在天 利見大人.
491) 『周易』 恒卦 卦辭: 亨 无咎 利貞 利有攸往.
492) 『周易』 復卦 六四 爻辭: 中行 獨復.

- 128 -
음 가운데에서 행하여 홀로 돌아온다는 것은 도를 따르기 때문이다.493)

군자가 기구를 몸에 지녔다가 때를 기다려 행동하면 무슨 이롭지 않음이 있겠는가?


움직이더라도 방해를 받지 않는다. 이 때문에 밖으로 나가서 수확을 얻을 수 있다.
이것은 기구를 먼저 구비하고 난 뒤에 움직이는 것을 말한 것이다.494)

복괘 육사는 다섯 음의 가운데에 위치하여 홀로 초구와 상응하고 있다. 다시 말해


정의가 사라진 세상 속에서 홀로 정의의 씨앗인 초구를 은밀히 도움으로써 도를 따르
고 있다. 이처럼 난세에도 홀로 은밀히 세상을 구제하려는 사람이 있을 때 그 세상은
더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다. 해괘(解卦) 상육과 관련하여 「계사하전」에서
는 때를 기다려 행동함[待時而動]의 이로움을 말한다. 세상에 나아갈 모든 준비를 갖
춘 뒤에 나아가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반대로 때가 무르익지도 않
았고 준비도 제대로 하지 않은 채 세상에 나아가면 뜻도 펼치지 못한 채 축출되기
쉽다.
겸괘(謙卦) 구삼에서는 “공로가 있는 겸손이니 군자는 마침이 있어서 길하다”495)고
한다. 구삼은 유일한 양효로서 하괘의 최상층부에 자리하여 오음(五陰)을 통솔하는
위치에 있다. 또한 강직하면서 바르기 때문에 오음으로부터 신뢰를 받고 있다. 공을
세웠으면서도 겸손하니 유종의 미를 거둘 수 있어서 길하다. 역사를 통하여 보면 큰
공을 세웠으나 겸손의 도리를 실천하지 못하여 불행한 결말을 맞은 경우가 많이 있
다. 예를 들어, 한(漢)나라의 개국공신인 한신(韓信)의 경우를 보면 전쟁에서 큰 공을
세웠으나 그럴수록 겸손의 미덕을 발휘해야 함을 알지 못해 결국 토사구팽(兎死狗烹)
이라는 말을 남기고 참살되고 만다. 조선 시대의 뛰어난 무신인 남이(南怡) 장군 또
한 겸양의 도를 실천하지 못한 까닭에 주위의 질시와 모함으로 억울한 죽임을 당하게
된다. 그에 비해 주공(周公)은 몸소 천하의 큰 임무를 담당하여 위로는 유약한 군주
를 받들고 겸손과 공손함으로 자처하여 오래도록 변치 않고 조심하고 또 조심하여 두
려운 듯이 하였으니 강(剛)으로서 바름에 거하여 끝마칠 수 있었던 것이다.496)
『주역』을 읽어서 자신의 상황을 안다는 것은 자신의 상황을 바라보는 지혜로운 눈

493) 『周易』 復卦 六四 「象傳」: 中行獨復 以從道也.


494) 『周易』 「繫辭下傳」 제5장: 君子藏器于身 待時而動 何不利之有 動而不括 是以出而有獲
語成器而動者也.
495) 『周易』 謙卦 九三 爻辭: 勞謙 君子有終 吉.
496) 이상호, 「주역에서의 시중의 문제」, 『동양철학연구』 제39집, 동양철학연구회, 2004, 368
쪽 참조.

- 129 -
이 있다는 것이다. 그때의 형세를 알면 처하는 바가 마땅함을 잃지 않을 것이다.497)
간괘(艮卦)의 다음 구절들을 보면 그것을 알 수 있다.

그 그침에 그침은 그 그쳐야 할 곳에 그치는 것이다.498)


그 몸에 그치는 것이니 허물이 없다.499)

나가서 움직이고 싶지만 움직여서는 안 되는 상황이 있다. 그런 상황에서는 간괘


「단전」에서 말하듯이 숨거나 그쳐야 한다. 그런데 사람이 숨는 것과 “그 그침에 그
침”은 오직 그 바른 자리에서 멈추어 자기의 뜻을 바르게 하는 데 있다. 이런 이치를
아는 사람은 이 상황에서는 결코 자신의 분수에 벗어나는 무리한 일을 추구하지 않는
다. 자기의 위치에 머물며 내실을 다진다. 간괘 육사의 경우에도 강한 행동력이 있지
만, 때가 도래하기를 기다리면서 나아가는 것을 참고 견뎌야 하는 상황이다. 원기왕
성하게 활약할 시기에 있는 육사가 멈추어있기란 그 어느 경우보다 어렵다. 오직 사
심 없이 시중할 수 있는 군자라야 강한 행동력이 내재해 있어도 멈추어야 할 때 멈
출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간괘의 지혜를 얻은 사람은 장벽에 부딪쳤을 때, 결코 경
거망동하게 자신의 분수에 벗어나는 무리한 욕심을 부리지 않는다. 그리고 등[背]이
욕망에 이끌리지 않는 것처럼 막힌 것을 넘을 수 있을 때까지 자기의 위치에 머물러
있으면서 내실을 다진다. 즉, 냉철하게 사태를 분석하여 시비를 가린 다음 혼란한 상
황을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안 되고 나아갈 상황이 아니면 물러나 참고 견디면서
자기를 바르게 지킨다.
돈괘(遯卦) 초육에서는 “물러나 있는 꼬리라 위태로우니, 함부로 가는 바를 두지
말아야 한다”500)고 말한다. 초육은 가장 뒷자리에 물러나 있는 처지여서 일의 흐름을
기민하게 포착할 수 없기 때문에 위태롭다. 따라서 함부로 일을 벌이지 말아야 한다.
어지러운 세상이 도래하기 전에 기미를 보고 먼저 피함은 병의 기미를 미리 알아서
적시에 치료하는 것과 같기 때문에 정말 좋은 일이다. 하지만 그런 시기를 놓친 상황
에서는 조용히 숨어 살면서 난세가 평정되기를 기다려야 재앙을 면할 수 있다.
건괘(乾卦) 초구에서는 “물에 잠겨 있는 용이니 쓰지 말아야 한다”501)고 말한다.

497) 程頤, 『伊川易傳』, 咸卦 初六 爻辭註: 識其時勢則所處 不失其宜矣.


498) 『周易』 艮卦 「彖傳」: 艮其止 止其所也.
499) 『周易』 艮卦 六四 爻辭: 艮其身 无咎.
500) 『周易』 遯卦 初六 爻辭: 遯尾 厲 勿用有攸往.
501) 『周易』 乾卦 初九 爻辭: 潛龍勿用.

- 130 -
초구는 하층부의 가장 아래에 있어서 아직 역량이 부족하니 등용하지 말아야 한다.
조직의 신입사원에 해당하여 실력도 충분하지 않고 나름의 주관도 확립되지 못한 상
태에 있다. 따라서 조직에서도 무리하게 역할을 부여하기보다는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제공할 필요가 있다.
곤괘(坤卦) 육사에서는 “주머니를 묶으면 허물도 없고 명예도 없다”502)고 한다. 육
사는 권력의 중심부인 육오에 가장 근접한 위치에 있다. 그리고 정위에 있지만 부중
(不中)이고 상하가 모두 음이어서 어두운 현실을 상징한다. 따라서 입을 닫고 근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주머니를 묶으라고 말한다. 그렇게 하면 명예를 얻을 수는 없지
만 허물 또한 없게 된다.
항괘(恒卦) 구사는 열심히 노력해서 공을 세워도 그것이 자신의 공으로 돌아오지
않는 상황을 말해 준다. 도리어 그 공과 명예는 조직의 대표인 육오와 개혁의 실무
책임자인 구이에게 돌려진다. 그 이유는 구사가 부정부중(不正不中)의 자리이기 때문
이다. 이런 위치에서는 공을 세워도 그 공을 내세우지 않아야 하고 그 공의 대가 또
한 바라지 않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비참한 결말을 맞이하게 된다. “공을 이루었
으면 몸은 물러나는 것이 자연의 이치”503)임을 깨달아야 하는 것이다. 앞에서도 언급
되었지만 한나라의 한신은 개국에 막대한 공을 세웠으나 물러남의 이치를 깨닫지 못
했기에 결국 멸문지화의 변을 당하게 된다.

사냥을 갔는데 짐승을 잡지 못했다.504)


그 자리가 아닌 것에 오래 처하였으니 어찌 짐승을 잡으리오.505)

명이괘(明夷卦) 육오에서는 “기자의 명이이니 바르게 함이 이롭다.”506)고 한다. 육


오는 존위로 중하지만 부정위이고 하괘의 육이와 상응하지 않기 때문에 한 마디로 고
립무원의 상황에 처해 있다. 따라서 가장 존귀한 자리에 있지만 강력한 권력을 갖고
있지 못하다. 이럴 때는 자신의 총명함을 숨겨서 드러나지 않게 해야 한다. 마치 기
자가 주(紂)에 의해 구금되어 미친 것처럼 행동하여 자신의 밝은 지혜를 감춘 것과
같은 이치이다.

502) 『周易』 坤卦 六四 爻辭: 括囊 无咎 无譽.


503) 『道德經』 제9장: 功遂身退 天之道.
504) 『周易』 恒卦 九四 爻辭: 田无禽.
505) 『周易』 恒卦 九四 「象傳」: 久非其位 安得禽也.
506) 『周易』 明夷卦 六五 爻辭: 箕子之明夷 利貞.

- 131 -
고괘(蠱卦) 상구에서는 “왕과 제후들을 섬기지 않고 그 일을 높이 숭상한다”507)고
한다. 상구는 고(蠱)의 끝과 일[事]의 바깥에 있다. 왕과 제후도 모시지 않고 오직 자
기만의 삶을 견지하는 경우를 말한다. 한때 강력한 힘을 소유한 권력자였지만 이제는
물러나야 하는 처지에 있다. 이럴 때 권력을 내놓으려 하지 않고 어떤 식으로든 권력
을 유지하고 간섭하려고 하면 좋지 못한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업적을
인정받고 존경의 대상이 되기 위해서는 물러나야 할 때 물러날 수 있어야 한다.

② 업(業)

성인, 즉 리더가 갖추어야 기본자격 또는 수행해야 할 과제에는 덕과 함께 업이 있


다. 덕이 안으로 충신(忠信)에 힘쓴 결과이고 천지를 본받는 것이라 한다면, 업은 외
재적 사업을 말하며 천지 안에서의 인간의 할 일에 힘쓰는 것을 의미한다. 덕과 업은
체용관계(體用關係)에 있다. 성인이 행할 사업은 그가 터득한 진리를 온 인류에게 시
행하는 것이다. 즉 겸선천하(兼善天下)를 의미한다.508) 다시 말해, 성인의 사업은 세
상 사람들과의 소통을 통해 그들이 원하는 바를 파악하고, 그것에 따라 시행해야 할
사업을 결정하는 것이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먼저 세상 사람들로부터 신뢰를 얻어
야 한다.

성인의 사업은 세상의 뜻과 소통하고, 세상의 사업을 정하고, 세상의 의심을 끊는


것이다.509)

이러한 업(業)을 광대(廣大)하게 하는 것은 변통(變通)이고, 지키는 것은 말이다.


업을 광대하게 할 수 있는 방안은 바로 변통이다. 변화하고 소통하는 원리에 통달
하여 이것을 사람들에게 적용하는 것이 사업이며, 그렇게 함으로써 이로움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모든 일의 길흉을 미리 안다면 세상의 리더 노릇을 할 수 있고 대업을
성취할 수 있다. 또한 광대한 사업을 펼치기 위해서는 천지의 덕인 이간(易簡)을 체
득해야 한다.510)

507) 『周易』 蠱卦 上九 爻辭: 不事王侯 高尙其事.


508) 곽신환, 『주역의 자연과 인간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7,
111-112쪽 참조.
509) 『周易』 「繫辭上傳」 제11장: 夫易何爲者也 夫易開物成務 冒天下之道 如斯而已者也 是故
聖人以通天下之志 以定天下之業 以斷天下之疑.
510) 곽신환, 「주역의 변통과 개혁사상」, 『유교사상연구』 제29집, 한국유교학회, 2007, 129쪽

- 132 -
바꾸어 적절하게 마름질하는 것을 변이라 하고, 미루어 행하는 것을 통이라 한다.
이런 도리를 들어서 사람들에게 적용하는 것을 사업이라고 한다.511)
변화에 통달하는 것을 사업이라 한다.512)
길흉을 아는 것이 대업을 낳는다.513)
변하고 통함으로써 이로움을 다한다.514)
변하고 움직이는 것은 이로움으로써 말한다.515)
공과 업적은 변하는 데서 나타난다.516)

위의 예문을 통해 『주역』에서의 사업이란 변통을 통해 이로움을 추구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주역』은 모든 일이 궁(窮)-변(變)-통(通)-구(久)517)로 진행된다고 말한
다. 일이 막히고 곤경에 이르게 되면 변화를 모색하게 되고, 변화를 모색하면 곤경을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통로가 생기기 마련이며, 그렇게 됨으로써 오래 지속할 수 있
다. 오래되면 다시 궁색하게 된다. 그러면 또다시 변화를 통해 활로를 모색한다. 세상
의 모든 일이 이런 과정을 끊임없이 반복한다.
변과 통은 천도(天道)와 인사(人事)로 다시 구분할 수 있다. 천도의 변은 “한 번 닫
고 한 번 여는 것”이고, 인사의 변은 “바꾸어 적절하게 마름질하는 것”이다. 천도의
통은 “가고 오는 것이 다함이 없는 것”이고, 인사의 통은 “미루어 행하는 것”이
다.518) 천도의 변통은 사계절의 순환에서 가장 두드러진다. 원형이정(元亨利貞), 춘하
추동(春夏秋冬)으로 계절의 기운이 흐르고 돌아감이 천도의 변통이다. 변통에 의하여
생장수장(生長收藏)이 가능해지고, 변통 여부에 따라 이루고 머물고 무너지고 사라지
는 것(成住壞空)이 나타난다. 인사의 변통은 천도의 변통을 본보기로 한다. 따라서 변
통은 시간에 따르고, 사계절에 짝하며, 사계절과 더불어 그 질서에 합한다.519)

및 143쪽 참조.
511) 『周易』 「繫辭上傳」 제12장: 化而裁之謂之變 推而行之謂之通 擧而錯之天下之民謂之事業.
512) 『周易』 「繫辭上傳」 제5장: 通變之謂事.
513) 『周易』 「繫辭上傳」 제11장: 八卦定吉凶 吉凶生大業.
514) 『周易』 「繫辭上傳」 제12장: 變而通之以盡利.
515) 『周易』 「繫辭下傳」 제12장: 變動以利言.
516) 『周易』 「繫辭下傳」 제1장: 功業見乎變.
517) 『周易』 「繫辭下傳」 제2장: 易, 窮則變, 變則通, 通則久.
518) 『周易』 「繫辭上傳」 제11장: 一闔一闢 謂之變 往來不窮 謂之通; 제12장: 化而裁之 謂之
變 推而行之 謂之通.
519) 『周易』 「繫辭上傳」 제11장: 變通莫大乎四時; 「繫辭下傳」 제1장: 變通者 趣時者也; 「繫辭
上傳」 제6장: 變通配四時; 乾卦 「文言傳」 九五: 與四時合其序.

- 133 -
자연의 세계는 저절로 변이 생겨 통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인사는 통을 위해 변을
해야 한다. 그래야만 이를 얻을 수 있고, 항구할 수 있고, 지위를 보존할 수 있고, 사
업을 이룰 수 있다. 『주역』에서 말하는 통은 상하통, 좌우통, 인물통, 남녀통, 인귀통
등 모든 대립자의 상호 감응과 소통을 의미한다. 우주 안의 모든 만물을 일체로 여긴
다는 것 자체가 통을 의미한다. 인(仁)을 우주론적으로 확대시켜 나간 송대(宋代)의
철학자들이 인을 기통(氣通)으로 설명한 까닭이 여기에 있다.520)
이와 관련하여 건괘(乾卦) 「문언전」에서는 “육효를 응용하여 펼침으로써 만사만물
의 실정과 뜻을 두루 사방으로 통하게 한다”521)고 하였다. 그리고 태괘(泰卦) 「단전」
에서는 “천지가 서로 사귀면 만물이 통한다”522)고 하는데 반해, 비괘(否卦) 「단전」에
서는 “천지가 서로 사귀지 않으면 만물이 통하지 않는다”523)고 하였다. 동인괘(同人
卦) 「단전」에서는 “오직 군자의 덕을 가진 자만이 천하의 뜻과 통할 수 있다”524)고
하고, 「계사상전」 제10장에서는 “오직 성인이 심오함을 궁구하기 때문에 천하의 뜻과
통할 수 있다”525)고 한다. 그리고 「설괘전」 제6장에서는 “산과 못이 기운을 통한 뒤
에라야 변화가 이루어지고 만물을 완성할 수 있다”526)고 한다. 이처럼 역도를 응용함
으로써 만사만물의 실정을 사방으로 통하게 할 수 있고, 하늘과 땅이 교류하지 않으
면 만물은 소통할 수 없으며, 군자나 성인의 덕으로 궁구함으로써 천하의 뜻과 소통
할 수 있고, 산과 못이 서로 기운을 통하는 것처럼 해야 변화가 가능하고 만물을 완
성할 수 있다.
삼재론(三才論)에 따르면, 인간은 천지와 더불어 동격의 위치에 서게 된다. 그렇지
만 인간은 천지라는 상황 안에서 늘 우환하고 변통해야 천지와 더불어 삼재가 될 수
있는 존재이다. 이와 관련하여 『주역』에서는 “천지의 도가 만물을 깨우쳐 화육시키지
만 성인과 더불어 같은 우환의 마음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니다”527)라고 말한다. 우환
은 오로지 성인과 인간의 몫인 것이다. 그러므로 성인은 천지의 변화를 모두 체득하
여 그 안에서 우환을 해소할 방법을 모색한다. 『중용』에서도 “천지가 아무리 위대하
고 포용력이 있다고 해도 인간은 그 천지에 대해 근심하는 것이 있다”528)고 말한다.

520) 곽신환, 『주역의 자연과 인간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7,


113쪽 참조.
521) 『周易』 乾卦 「文言傳」: 六爻發揮 旁通情也.
522) 『周易』 泰卦 「彖傳」: 天地交而萬物通也.
523) 『周易』 否卦 「彖傳」: 天地不交而萬物不通也.
524) 『周易』 同人卦 「彖傳」: 唯君子 爲能通天下之志.
525) 『周易』 「繫辭上傳」 제10장: 唯深也故 能通天下之志.
526) 『周易』 「說卦傳」 제6장: 山澤通氣然後 能變化旣成萬物也..
527) 『周易』 「繫辭上傳」 5: 鼓萬物而不與聖人同憂.

- 134 -
따라서 인간이 이러한 근심을 해소하고자 발분하여 “중(中)과 화(和)를 이루면 천지가
제자리를 잡고 만물이 길러진다.”529)고 하는 것은 삼재로서의 인간이 이룬 사업의 극
치를 나타낸 것이라고 할 수 있다.530)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천지자연의 부조리(不條
理)를 인간이 보완함으로써 천지는 비로소 완전해지고, 이 때 인간은 천지 안의 한낱
피조물적(被造物的) 존재에 그치지 않고 능산적(能産的) 자연으로서의 천지와 동격이
되는 것이다.531)
“사업을 지켜내기 위해서는 그 말에 진실성이 있어야 한다”532)고 『주역』은 말한다.
이와 관련하여 정이는 “말을 잘 가려서 해야 하고, 그 뜻을 돈독하게 하는 것이 사업
을 지키는 길이다”533)라고 한다. 그리고 주희는 “말을 닦는다는 건 구체적인 일에 임
해서 말을 신중하게 하는 것이고, 진실하지 못한 말이 한 마디도 없음을 의미한
다”534)고 한다.
『주역』에는 그 이외에도 언행을 신중하게 할 것을 강조하는 구절들이 많다. 곤괘
(坤卦) 육사에서 “주머니를 묶으라(括囊)”는 것은 입을 닫고 근신할 필요가 있음을 말
하는 것이다. 건괘(乾卦) 「문언전」에서는 “평소의 말과 행동에 믿음과 삼감이 있어야
한다(庸言之信庸行之謹)”고 하고, 이괘(頤卦) 「대상전」에서는 “언어를 신중히 하라(愼
言語)”고 말한다. 가인괘(家人卦) 「상전」에서는 “내용 있는 말과 일관성 있는 행동을
하라(言有物而行有恒)”고 말한다. 「계사상전」 제8장에서는 집안에서 한 말이더라도
그 말이 선하면 멀리서도 호응이 있고, 반대로 그 말이 선하지 않으면 멀리서도 어긋
남이 있으니, 평소의 말을 신중히 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언행은 군자에게 있어
문의 지도리 및 기틀과 같아서 거기서 영욕이 좌우되고 군자가 천하를 움직이는 수단
이니 신중하지 않을 수 없다. 모든 혼란은 말을 통해 야기하는 것이니, 말을 함부로
하지 말 것을 『주역』은 강조한다.

군자가 집안에서 한 말일지라도 그 말이 선하면 천리 밖에서도 호응이 있으니, 하


물며 가까운 사람에 있어서랴! 집안에서 한 말일지라도 그 말이 선하지 못하면 천리

528) 『中庸』 제12장: 天地之大也 人猶有所憾.


529) 『中庸』 제1장: 致中和, 天地位焉, 萬物育焉.
530) 朱熹는 『中庸』 首章의 이 구절에 대해 학문의 極功이요, 성인의 能事라고 하였다(朱熹,
『中庸章句』 首章註 참조).
531) 곽신환, 『주역의 자연과 인간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7,
114쪽 참조.
532) 『周易』 乾卦 「文言傳」 九三: 脩辭立其誠 所以居業也.
533) 程頤, 『伊川易傳』, 乾卦 「文言傳」 九三註: 擇言篤志 所以居業也.
534) 朱熹, 『周易本義』, 乾卦 「文言傳」 九三註: 脩辭 見於事者 无一言之不實也.

- 135 -
밖에서도 어긋남이 있으니, 하물며 가까운 사람에 있어서랴! 말은 자기 몸에서 나와
백성에게 미치며, 행동은 가까운 데서 시작하여 먼 데서 결과가 나타난다. 언행은 군
자에게 있어 문의 지도리 및 기틀과 같으니 거기에 영욕이 달려 있다. 언행은 군자가
천하를 움직이는 수단이니 신중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535)

어지러움이 생기는 것은 말이 통로가 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군자는 신중하


고 면밀하여 말을 함부로 내지 않는다.536)

이와 관련하여 『논어』 「위령공(衛靈公)」에 나오는 “더불어 말을 해야 할 때 하지


않으면 사람을 잃고, 더불어 말을 하지 말아야 할 때 하면 말을 잃는 것이다. 지혜로
운 자는 사람을 잃지 않으며 말 또한 잃지 않는다”537)는 말은 새겨들을 만하다. 말과
침묵이 상황에 적의(適宜)해야 변통과 대업이 가능하고, 그 결과 삼재의 인간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538)

535) 『周易』 「繫辭上傳」 8: 君子居其室 出其言善 則千里之外應之 況其邇者乎 居其室 出其言


不善 則千里之外違之 況其邇者乎 言出乎身 加乎民 行發乎邇 見乎遠 言行 君子之樞機
樞機之發 榮辱之主也 言行 君子之所以動天地也 可不愼乎.
536) 『周易』 「繫辭上傳」 8: 亂之所生也 則言語以爲階 ……是以 君子 愼密而不出也.
537) 『論語』 「衛靈公」 7: 可與言而不與之言 失人 不可與言而與之言 失言 知者 不失人 亦不失
言.
538) 곽신환, 『주역의 자연과 인간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7,
115쪽 참조.

- 136 -
Ⅴ. 상응(相應) 관계에서 본 시중(時中) 리더십

본 장에서는 ‘시중 리더십의 삼원적 교호 모델’ 중에서 리더와 대상자 간의 상응


(相應)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시중 리더십을 살펴보고자 한다. 리더와 대상자 간의
상응 관계는 효위(爻位)에 따른 상응 관계를 통해 그 기본적인 모습을 살펴볼 수 있
다. 초효(初爻)와 사효(四爻), 이효(二爻)와 오효(五爻), 삼효(三爻)와 상효(上爻)는 상
응(相應)하는 관계로서 조화를 지향한다. 이 중에서 이효와 오효의 관계는 리더십 측
면에서 특히 중시되는 관계이다. 이효와 오효 간의 상응 관계는 다시 구오와 육이,
육오와 구이 간의 관계로 구분된다. 상응 관계는 기본적으로 음양, 즉 강유의 협력과
조화를 말해 주고 있으며, 이러한 음양의 조화는 시중 리더십의 기본 원칙을 이루는
것이다.

1. 구오(九五)와 육이(六二)의 상응에서 본 시중 리더십

구오와 육이의 상응은 기본적으로 강중(剛中)한 구오와 유중(柔中)한 육이의 상응이


다. 구오와 육이의 상응 관계는 비(比)ㆍ익(益)ㆍ췌(萃)ㆍ동인(同人)ㆍ돈(遯)ㆍ건(蹇)ㆍ
점(漸)ㆍ혁(革)괘 등에서 두드러진다. 그리고 그 상응 관계는 중정(中正)한 도로써 상
응, 천하의 대동(大同)을 위한 상응, 어려움 속에서의 상응, 개혁(改革)을 위한 상응
등으로 구분된다.

1) 중정(中正)한 도로써 상응

(1) 비괘(比卦) 구오와 육이의 상응

비괘 구오는 강건중정(剛健中正)한 덕을 갖춘 군주를 상징한다. 그리고 유일한 양


효이다. 따라서 다섯 음이 모두 구오를 따르는 상황이다. 이럴 때일수록 구오는 어느
한 음을 편애해서는 안 되고 친밀함을 공평무사하게 드러내야 한다. 옛날에 천자가
사냥할 때는 ‘삼구(三驅)’의 법을 사용하여 세 방면으로 몰아가되 앞쪽은 열어두어 안

- 137 -
으로 들어오는 짐승만 잡고 도망가는 짐승은 굳이 잡지 않았다. 이는 천자가 제후를
비롯한 백성들 중 와서 따르는 자와는 친밀하게 협력하지만 그렇지 않은 자를 구구하
게 쫓아가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말하는 것이다. ‘읍(邑)’은 천자나 제후가 거주하는
도성이나 중심지를 말한다. 읍에 사는 백성들이 천자의 이러한 공평무사함을 이해하
고 경계하지 않는 것은 길한 일이다.
비괘 육이는 유순중정(柔順中正)한 덕을 갖춘 하층부의 중심인물이다. 내괘에 있으
면서 외괘에 있는 구오와 상응하여 친밀하게 서로 돕고 있다. 그러한 상응과 협력은
정도를 지켜서 이루어져야 길하다.

친밀하게 돕는 것을 공평무사하게 드러낸다. 왕이 세 방면으로 몰아가서 앞쪽에 있


는 짐승을 놓아준다. 읍의 사람이 경계하지 않으면 길하다.539)
안으로부터 친밀하게 도우니 바르게 하면 길하다.540)

비괘의 구오와 육이는 중정한 도로써 서로 돕는 관계이다. 왕조국가에서 구오는 덕


과 능력을 갖춘 군주에 해당하고, 육이는 당하관의 신진관료나 초야에서 신망을 받고
있는 젊은 선비에 해당한다. 군주는 모든 백성을 골고루 살펴야 하지만, 그들 중 능
력 있는 신진관료를 발탁하고 신망 받는 선비를 천거 받아 국가경영에 참여하게 하는
것은 반드시 필요하다. 발탁된 신진관료나 천거된 선비 또한 늘 바르고 합당한 자세
로 군주를 보좌하여야 한다. 기업에 있어서 구오는 최고경영자에 해당하고 육이는 중
간관리층에 해당한다. 경영자가 아무리 훌륭하다 하더라도 홀로 기업이라는 조직을
이끌어갈 수 없고, 하위자가 아무리 뛰어나다 하더라도 경영자의 신뢰와 인정이 없으
면 그 능력을 펼칠 수가 없다. 성군(聖君)과 현신(賢臣)이 만날 때 비로소 지치(至治)
가 가능해진다. 조선시대의 세종(世宗)과 황희(黃喜)의 만남이 이를 말해 준다. 또한
탁월한 경영자와 뛰어난 하위자가 만나 협력할 때만이 기업은 발전할 수 있다.

(2) 익괘(益卦) 구오와 육이의 상응

익괘 구오는 진실로 백성을 도와주려는 마음이 있다. 따라서 물어볼 필요도 없이


크게 길하다. 백성들 또한 군주의 그런 마음을 알기 때문에 은혜롭게 생각한다. 이와

539) 『周易』 比卦 九五 爻辭: 顯比 王用三驅 失前禽 邑人不誡 吉.


540) 『周易』 比卦 六二 爻辭: 比之自內 貞吉.

- 138 -
관련하여 주희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윗사람이 진실함을 두어 아랫사람에게 은혜를
베풀면 아랫사람 또한 믿음을 두어 윗사람을 은혜롭게 여길 것이니 묻지 않아도 크게
길함을 알 수 있다.”541)
익괘 육이는 중정하고 유순한 덕을 가지고 있어서 마음을 비우는 상이 있다. 따라
서 천하의 사람들이 도와주려고 하니, 이는 귀하고 신령스러운 거북점의 결과와도 어
긋나지 않는다. 하지만 육이는 그 재질이 음유(陰柔)하므로 오래도록 바름을 유지할
수 있어야 길하다. 이런 경우에는 왕이 하늘에 제사를 지내도 같은 응답을 받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맹자는 “진실로 착함을 좋아하면 천하 사람들이 천 리를 멀다하
지 않고 와서 좋은 계책을 말해줄 것이다”542)라고 한다.

진실함을 가지고 은혜를 베풀려는 마음이 있다. 점을 쳐서 물어 보지 않아도 크게


길하다. 백성들이 진실함을 가지고 나의 덕을 은혜롭게 여긴다.543)
외부로부터 어떤 사람이 도와주면 십붕의 가치가 나가는 귀하고 신령스러운 거북점
과도 어긋나지 않으니, 오래 바르게 해야 길하다. 왕이 천제에게 제사를 지내더라도
길하다.544)

구오는 강건중정한 군주로서 진실한 마음으로 백성을 도와줄 마음이 있고, 육이는
유순중정하여 마음을 비우고 애써 도움을 받으려고 하지 않으니 천하 사람들이 서로
도와주려고 하고 있다. 도움이 필요한 국민들을 돕는 건 통치자의 당연한 책무이고,
도움이 필요하지만 굳이 내색하지 않고 꿋꿋하게 살아가는 것은 국민의 바람직한 자
세이다. 이렇듯 통치자와 국민이 서로의 마음을 헤아리고 그러한 마음이 함께 어우러
질 때 이상적인 사회가 될 수 있다. 세종이 훈민정음(訓民正音)을 창제하여 백성들이
쉽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백성들 또한 백성들의 고충을 헤아리는 세종의
마음에 감읍(感泣)하는 것 또한 여기에 해당할 것이다. 기업의 경우에도 최고경영자
는 직원들의 임금인상과 복리증진에 노력하고, 직원들은 임금인상과 복리증진을 요구
하기 전에 각자의 직무에 충실함으로써 기업의 이익을 증대시키는 데 노력한다면 모
두에게 이익이 된다.

541) 朱熹, 『周易本義』 益卦 九五 爻辭註: 上有信以惠於下 則下亦有信以惠於上矣 不問而元吉


可知.
542) 『孟子』 「告子下」 제13장: 夫苟好善則四海之內皆將輕千里而來 告之以善.
543) 『周易』 益卦 九五 爻辭: 有孚惠心 勿問元吉 有孚惠我德.
544) 『周易』 益卦 六二 爻辭: 或益之 十朋之龜 弗克違 永貞吉 王用享于帝 吉.

- 139 -
(3) 췌괘(萃卦) 구오와 육이의 상응

췌괘 구오는 천하의 사람들을 규합해야 하는 때에 군주의 자리에 있으면서 별다른


허물도 없다. 그렇지만 사람들이 아직 의구심을 떨치지 못하면 군주로서의 덕성과 통
솔력을 보여주고, 그것이 오래도록 한결같을 것이라는 믿음을 주며, 늘 바르고 확고
한 모습을 보여주면 사람들이 믿음을 갖게 되어 후회가 없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주
희는 “구오가 양강중정으로 췌의 때를 당하여 존위에 거하였으니 진실로 허물이 없을
것이다. 만약 믿지 않는 사람이 있으면 또한 원영정(元永貞)의 덕을 닦아야 뉘우침이
없어질 것이다. 점치는 사람은 마땅히 이와 같이 해야 한다고 경계한 것이다”545)라고
한다.
췌괘의 구오와 육이는 모두 중정한 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그러한 덕으로 서로
응하여 끌어당기면 길하여 허물이 없다. 성심성의만 있으면 간단한 제사를 지내도 하
늘이 복을 내릴 것이다.

모으는 때에 높은 자리에 있고 허물이 없다. 믿지 못하면 군주로서의 큰 덕을 발휘


하고, 오래 변함이 없으며, 바르고 확고하면 후회가 없을 것이다.546)
끌어당기면 길하여 허물이 없을 것이다. 진실한 마음이 있으면 간단한 약 제사를
지내는 것도 이로울 것이다.547)

구오는 대업을 달성하기 위해 사람들을 모아야 하는 군주로서 별다른 허물을 갖고


있지는 않다. 그럼에도 사람들이 믿지 못하는 경우에는 크게 두 가지 방책이 필요하
다. 첫째는 원영정(元永貞) 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군주로서의 통솔력을 보여
주고, 그것이 오래도록 한결같을 것이라는 믿음을 주며, 늘 바르고 확고한 모습을 보
여주는 것이다. 둘째는 덕성과 능력을 겸비한 신하를 발탁하여 그 신하와 같은 뜻으
로 대업을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노력들을 통해 사람들의
신뢰를 얻게 되면 부강한 국가 실현이라는 대업도 가능해지는 것이다. 기업의 경우에
도 최고경영자는 먼저, 직원들에게 통솔력과 믿음과 바르고 확고한 모습을 보여주어
야 한다. 그리고 덕과 능력을 갖춘 직원을 발탁하여 중요한 일을 맡겨야 한다. 그렇

545) 朱熹, 『周易本義』 萃卦 九五 爻辭註: 九五 陽剛中正 當萃之時而居尊 固无咎矣 若有未信


則亦修其元永貞之德而悔亡矣 戒占者當如是也.
546) 『周易』 萃卦 九五 爻辭: 萃有位 无咎 匪孚 元永貞 悔亡.
547) 『周易』 萃卦 六二 爻辭: 引吉 无咎 孚乃利用禴.

- 140 -
게 하여 상하가 서로 신뢰하고 합심하게 되면 기업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2) 천하의 대동(大同)을 위한 상응

천하의 대동을 위한 상응은 동인괘(同人卦) 구오와 육이의 상응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동인괘 구오는 강중정한 덕으로 군주의 자리에 있다. 아래에 있는 유중정한 구이와
함께 하려고 하지만 구삼과 구사에 막혀서 처음에는 울부짖을 만큼 어렵지만 나중에
는 그것이 가능하게 되어 웃는다. 큰 군사를 동원하여 구삼과 구사를 척결해야 구오
와 육이가 상응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정이는 “구오는 인군(人君)의 자리인데 효
사에 인군이 동인하는 뜻을 취하지 않음은 구오가 오로지 사사로운 친분으로 육이와
응해서 중정한 덕을 잃었기 때문이다”548)라고 한다. 또한 “「계사전」에서 ‘군자의 도
가 혹 나아가기도 하고 혹 거처하기도 하며 혹 침묵하고 혹 말하기도 하나, 두 사람
이 마음을 같이하니 그 날카로움이 쇠를 끊는다’549)고 한다. 마음속에서 정성으로 함
께하면, 나아가고 거처하고 말하고 침묵함에 함께하지 않음이 없을 것이니, 천하가
이간질하지 못할 것이다”550)라고 한다.
동인괘 육이는 구오와 상응하지만 그것이 집안사람끼리만 함께 하는 것으로 비춰져
서는 곤란하다. 이와 관련하여 정이는 “이는 치우치게 더불어 함이니, 동인의 도에서
보면 사사롭고 좁은 것이다. 그러므로 곤란함이 있다”551)고 말한다.

다른 사람과 함께 하되 먼저는 울부짖다가 뒤에는 웃는다. 큰 군사로 이겨야 서로


만난다.552)
같은 집안사람끼리만 함께 하니 곤란을 당하게 된다.553)

동인괘의 구오와 육이는 천하의 대동을 실현하기 위해 상응하지만 그것이 뜻을 같


이하는 사람들끼리만 하는 것이어서 대동의 취지를 무색하게 만들 수 있다. 진정한

548) 程頤, 『伊川易傳』 同人卦 九五 爻辭註: 君位而爻不取人君同人之義者 蓋五專以私暱應於


二而失其中正之德.
549) 『周易』 「繫辭上傳」 제8장에 나옴.
550) 程頤, 『伊川易傳』 同人卦 九五 爻辭註: 繫辭云 或出或處或黙或語 二人同心 其利斷金 中
誠所同 出處語默无不同 天下莫能問也
551) 程頤, 『伊川易傳』 同人卦 六二 爻辭註: 是 有所偏與 在同人之道 爲私狹矣 故可吝.
552) 『周易』 同人卦 九五 爻辭: 同人 先號咷而後笑 大師克 相遇.
553) 『周易』 同人卦 六二 爻辭: 同人于宗 吝.

- 141 -
대동이란 구삼과 구사 같은 뜻을 달리 하는 사람들도 포용하여야 실현될 수 있는 것
이다. 모두가 군주의 백성인 것이다. 기업의 최고경영자도 일부 직원들만 편애하여
그들에게만 곁을 준다면 그 조직의 화합은 깨어지고 집단응집력도 약화될 수밖에 없
다.

3) 어려움 속에서의 상응

(1) 돈괘(遯卦) 구오와 육이의 상응

돈괘 구오는 중정의 덕을 지니고 있어서 마땅히 물러나 있어야 할 때를 알아 물러


나 있으므로 그 물러남이 아름답다. 그리고 그러한 물러남은 바른 처신이므로 길하
다. 이와 관련하여 정이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구오는 중정하니 아름답게 물러나
피하는 사람이다. 처신함이 중정한 도를 얻어서 때로는 멈추고 때로는 행하므로 바로
아름답다고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곧고 발라서 길하다. 구오도 매여 응함이 없지는
않으나 육이와 더불어 둘 다 중정으로 스스로 잘 처신하니, 이는 그 마음과 뜻이 행
동거지에 미쳐서 중정하지 않음이 없어서 사사로이 매이는 실수가 없는 것이니 아름
답다고 하는 것이다.”554)
돈괘 육이는 중정한 덕으로 하층부의 중심에 있지만 구삼과 구사 등의 양에 막혀
그 능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는 처지에 있다. 따라서 그 역량을 제대로 펼칠 수 없
음은 구오와 마찬가지이다. 그렇지만 구오와 육이가 같은 중정의 덕을 지니고 있으면
서 서로 상응하고 뜻을 같이 함은 황소가죽으로 묶어 놓은 것처럼 견고해서 벗길 수
가 없다.

아름답게 물러나 있는 것이니 바르게 해서 길하다.555)


황소의 가죽을 사용하여 잡아 묶으니 그것을 벗길 수가 없다.556)

구오는 비록 군주의 자리에 있으나 상황이 여의치 않아 국가경영에 대한 그 뜻을

554) 程頤, 『伊川易傳』 遯卦 九五 爻辭註: 九五中正 遯之嘉美者也 處得中正之道 時止時行 乃


所謂嘉美也 故爲貞正而吉 九五非无係應 然與二皆以中正自處 是其心志及乎動止 莫非中
正而无私係之失 所以爲嘉也.
555) 『周易』 遯卦 九五 爻辭: 嘉遯 貞吉.
556) 『周易』 遯卦 六二 爻辭: 執之用黃牛之革 莫之勝說.

- 142 -
제대로 펼칠 수 없을 때가 있다. 그럴 때는 역량을 키우면서 내ㆍ외적 여건이 좋아지
기를 기다릴 필요가 있다. 구오와 뜻을 같이 하는 능력 있는 신하인 육이 또한 군주
를 도와 국가경영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님을 인식하고 역량을 기르
면서 때를 기다려야 한다. 이럴 때일수록 구오와 육이는 그 관계를 견고하게 유지해
야 한다. 기업의 경우에도 대표이사의 직위에 있지만 여러 가지 여건 때문에 경영을
주도적으로 못하는 때가 있다. 그럴 때는 뜻을 같이하는 하위자와 더불어 역량을 기
르면서 때가 오기를 기다릴 필요가 있다.

(2) 건괘(蹇卦) 구오와 육이의 상응

건괘 구오가 중정한 덕으로 군주의 자리에 있지만 매우 어려운 처지에 놓여 있을


때, 역시 중정한 덕을 가지고 있는 육이가 도우러 온다. 이와 관련하여 정이는 다음
과 같이 말한다. “구오가 군주의 자리에 있으면서 어려움 속에 있으니, 이는 천하의
큰 어려움이고, 어려움을 당해서 험함 속에 있으니 또한 큰 어려움이다. 크게 어려울
때에 육이가 아래에 있으면서 중정함으로 서로 응하니 이것은 그 벗의 도움이 오는
것이다. 바야흐로 천하가 어려울 때에 중정한 신하를 얻어 서로 도우니 그 도움이 어
찌 적다고 할 수 있겠는가?”557)
건괘 육이는 유순중정한 덕을 가지고 있고 군주가 신임하는 신하이다. 구오는 험함
속에 있어 어려운 상황에 있고, 육이 또한 구삼에 가로막혀 군주의 어려움을 구제할
수 없는 처지에 있다. 그러므로 어렵고도 어렵다고 말한다. 그러나 그 어려움은 육이
자신의 일 때문이 아니라 군주를 구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매우 어려운 시기에 친구가 온다.558)


왕의 신하가 어렵고도 어려운 것은 자신을 위한 것 때문이 아니다.559)

구오가 험함 속에 있고 육이 또한 구삼에 가로막혀 모두가 어려운 상황 속에 놓여


있다. 그렇지만 어려움이 극에 달하면 반드시 그것을 해소할 수 있는 상황이 오게 마

557) 程頤, 『伊川易傳』 蹇卦 九五 爻辭註: 五居君位而在蹇難之中 是天下之大蹇也 當蹇而又在


險中 亦爲大蹇 大蹇之時而二在下 以中正相應 是其朋助之來也 方天下之蹇而得中正之臣
相輔 其助豈小也.
558) 『周易』 蹇卦 九五 爻辭: 大蹇 朋來.
559) 『周易』 蹇卦 六二 爻辭: 王臣蹇蹇 匪躬之故.

- 143 -
련이다. 따라서 그 때를 대비하여 구오는 중정의 덕을 간직하면서 어려운 국가 상황
을 타개할 수 있는 방책을 마련해 나가야 하고, 육이 또한 중정의 덕을 유지하면서
훗날 군주를 보좌하여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내적 역량을 길러 나가야 한다. 기
업의 경우에도 대내외적인 여건이 어려워 최고경영자가 자신의 포부와 능력을 마음껏
펼칠 수 없을 때가 있다. 이럴 때는 역량 있는 하위자와 더불어 어려운 여건을 해소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 나가야 한다.

(3) 점괘(漸卦) 구오와 육이의 상응

점괘 구오는 높은 곳에 있는 군주를 상징한다. 육이와 같은 중정의 덕으로 서로 응


하는 위치에 있으나 구삼과 육사에게 가로막혀 오랫동안 상응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
나 끝내 그들을 물리치고 교류하게 되니 길하다.
점괘 육이는 유순중정한 덕을 지니고 있으면서 편안하고 안전한 장소로 나아가 있
다. 즐겁게 마시고 먹으면서 구오와의 상응을 기다리고 있으니 길하다.

기러기가 높은 언덕으로 날아간다. 부인이 삼 년 동안 임신하지 못하나 가로막는


자들이 끝내 이기지는 못하니 길하다.560)
기러기가 반석에 나아간다. 마시고 먹는 것이 즐거우니 길하다.561)

군주인 구오와 신하인 육이는 당연히 상응하여야 하는 위치에 있지만 방해세력들


때문에 오랫동안 뜻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그렇지만 장기간의 투쟁을 통해 마침내
상응하게 된다. 통치자가 국가를 경영함에 있어서는 육이처럼 적극적으로 협력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구삼과 구사처럼 방해를 하는 사람도 있다. 그렇지만 그 국가경
영이 중정의 도를 잃지 않는다면 언젠가는 그러한 방해가 사라지고 능력 있는 관료들
의 보좌 하에서 성공적인 국정 운영을 할 수 있다. 어떤 조직에서든 반대 세력은 있
게 마련이다. 기업의 경우에도 최고경영자와 뜻을 같이 하는 직원들이 합당하고 바르
게 처신하면, 기업의 경영방침에 반대하는 일부 직원들의 반대를 극복하고, 기업을
발전적인 방향으로 이끌어갈 수 있다.

560) 『周易』 漸卦 九五 爻辭: 鴻漸于陵 婦三歲不孕 終莫之勝 吉.


561) 『周易』 漸卦 六二 爻辭: 鴻漸于磐 飮食衎衎 吉.

- 144 -
4) 개혁(改革)을 위한 상응

개혁을 위한 상응은 혁괘(革卦) 구오와 육이의 상응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혁괘 구오는 변혁의 주체인 대인(大人)을 상징한다. 양강한 재질과 중정한 덕성으
로 변혁을 주도함에 있어서는 가을이 되어 호랑이가 털 색깔을 선명하게 변화시키듯
이 철저하게 그 면모를 일신시킬 수 있어야 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먼저 자신을
개혁해야 하고, 다음으로 주위의 사람을 개혁해야 하며, 끝으로 천하를 개혁해야 한
다.562) 이런 과정을 거쳐 개혁이 완전한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개혁의 주체인 구오
가 사람들로부터 점쳐볼 필요도 없이 신뢰를 받는 정도가 되어야 한다.
유순중정하고 하괘의 주효인 육이 또한 구오와의 교감 하에 개혁을 주도하는 존재
이다. 이처럼 개혁을 하는 경우에 중요한 것은 그 시기가 성숙해야 한다는 것이다.
개혁하지 않으면 안 될 때 개혁을 하면 길하고 허물이 없다.

대인은 호랑이가 변한 듯이 한다. 점을 치지 않아도 미더움이 있다.563)


날이 이미 되어야 고치니 나아가면 길하여 허물이 없다.564)

세상의 여러 문제를 개혁하고 혁파하는 것은 어느 시대에나 요청되는 것이다. 개혁


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조건이 필요하다. 첫째, 덕성과 능력을 갖춘 개혁의
주체가 필요하다. 통치자만이 개혁에 앞장서서는 안 되며 그 뜻에 동참하는 관료와
국민의 협력 또한 반드시 필요하다. 둘째, 개혁은 일조일석에 달성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자신의 개혁에서 주위 사람들의 개혁으로, 다시 천하의 개혁으로 나아가는 확
고하면서도 점진적인 개혁을 이룰 필요가 있다. 셋째, 개혁에도 때가 있음을 명심해
야 한다. 개혁의 취지가 아무리 좋고 그 개혁의 의지가 아무리 굳건하다 하더라도 여
건이 채 성숙되기도 전에 서두르면 실패하기 마련이다. 따라서 개혁하지 않으면 안
될 상황이 되었을 때 개혁을 단행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개혁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개혁 주체에 대한 국민들의 확고한 신뢰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점쳐 볼 필요도 없이,
물어볼 필요도 없이 믿음을 줄 수 있어야 국민들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을 수 있고
개혁은 성공할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은 기업이나 다른 조직의 개혁에도 그대로 적용
될 수 있는 것이다. 위의 네 가지 조건들 중에서도 가장 중요하고 우선되는 것은 개

562) 정병석 역주, 『주역』 하, 을유문화사, 2015, 280쪽 참조.


563) 『周易』 革卦 九五 爻辭: 大人虎變 未占有孚.
564) 『周易』 革卦 六二 爻辭: 已日乃革之 征吉 无咎.

- 145 -
혁에 대한 확고한 신념과 의지를 가진 개혁 주체의 존재일 것이다. 예를 들어, 우리
나라 역사상 문화적 측면에서 가장 획기적인 개혁은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이 가능했던 것은 백성들을 위해 우리의 독자적이고도 쉬운 글을 만들
어야겠다는 확고한 개혁의지를 가진 세종(世宗)이라는 군주와 거기에 뜻을 같이 하는
집현전(集賢殿) 학사(學士)가 있었기 때문이다. 세종의 또 다른 개혁사례로 세제개혁
(稅制改革)을 들 수 있다. 공법(貢法)을 도입하는 과정에서 세종은 무려 17년간
(1427-1444) 3단계565)의 긴 토론과정을 거치면서 반대론자들까지도 그 제도의 필요
성을 인정한 상태에서 시행에 들어갔다.566) 이처럼 개혁은 쉽게 이루어지는 것이 아
니다. 리더와 하위자가 뜻을 같이하고, 때로는 기나긴 시간 동안 반대론자들을 설득
하는 과정을 거친 뒤에 성사될 수 있는 것이다.

2. 육오(六五)와 구이(九二)의 상응에서 본 시중 리더십

육오와 구이의 상응은 기본적으로 유중한 육오와 강중한 구이의 상응이다. 육오와
구이의 상응은 몽(蒙)ㆍ사(師)ㆍ태(泰)ㆍ대유(大有)ㆍ임(臨)ㆍ승(升)ㆍ해(解)괘를 통해
잘 살펴볼 수 있다. 그리고 그 상응 관계는 사제(師弟)로서의 상응, 전쟁(戰爭) 속에
서의 상응, 태평(泰平)한 시대의 상응, 신뢰(信賴) 속에서의 상응, 어려움 속에서의 상
응 등으로 구분된다.

1) 사제(師弟)로서의 상응

사제로서의 상응은 몽괘(蒙卦) 육오와 구이의 상응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몽괘 육오는 비록 존위에 있으나 아직 어리고 몽매(蒙昧)하다. 하지만 교육을 통해
계발할 여지가 무궁무진하기 때문에 길하다. 따라서 학식과 덕망을 갖춘 구이에게 나
아가 배움을 청해야 한다. 왕조시대에 어린 왕이 훌륭한 신하를 사부(師傅)로 삼아
교육을 받는 경우라고 할 수 있다.

565) 3단계란 ① 1430년, 고위관료로부터 일반 농민에 이르기까지 17만여 명을 대상으로 공법


에 대한 찬반 여론조사를 실시하는 과정, ② 관민들의 여론조사를 놓고 전국의 사대부들
로 하여금 그 찬반 이유를 보고하게 하는 과정, ③ 전ㆍ현직 고위관료들이 참석한 어전회
의에서 격렬한 토론을 거쳐 최종 합의에 이르는 과정을 말한다.
566) 박현모, 『세종의 수성(守成) 리더십』, 삼성경제연구소, 2006, 137쪽 참조.

- 146 -
몽괘 구이는 하괘의 중심에 있으면서 여러 음들을 포용해야 하는 입장에 있다. 특
히 존위에 있는 육오를 계몽해야 하는 중요한 임무를 띠고 있다. 또한 아내를 받아들
이고 자식이 집안을 온전히 하는 것과 관련하여, 주희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양으
로서 음을 받아들이니 아내를 받아들이는 상이요, 아랫자리에 있으면서 윗사람의 일
을 맡을 수 있으니 자식이 집안을 다스리는 상이 된다.”567)

어린아이의 몽매함이니, 길하다.568)


몽매한 자들을 포용하면 길하고, 아내를 받아들이면 길하니, 자식이 집안을 온전히
한다.569)

몽괘 육오는 왕조시대의 어린 왕에 해당한다. 이럴 경우에는 학식과 덕망을 갖춘


신하인 구이를 사부로 삼아 성군이 되기 위한 학문, 즉 성학(聖學)을 전수 받아야 한
다. 기업의 경우, 몽괘 육오는 젊은 나이에 기업을 물려받은 오너 경영자에 해당한다.
이럴 경우에도 경륜 있는 기업의 임원으로부터 자문을 받아 기업경영에 대한 안목을
길러야 한다. 창업자가 피땀으로 일궈 놓은 기업이 2세나 3세에 가서 유지ㆍ발전되지
못하고 문을 닫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그러기에 우리는 ‘창업(創業)보다 어려운
게 수성(守成)’이라는 말을 한다. 이를 염려하여 역사 속의 군주들은 자신의 왕위를
이어받을 후계자를 육성하는데 특별한 노력을 기울였다. 리더의 중요한 역할 중의 하
나가 바로 후계자 육성인 것이다. 기업의 최고경영자도 자신을 이어서 기업을 운영할
후계자를 말단 직위에 배치하여 경험을 쌓도록 하는 등 각별한 노력을 하고 있다.

2) 전쟁(戰爭) 속에서의 상응

전쟁 속에서의 상응은 사괘(師卦) 육오와 구이의 상응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사괘 육오는 전쟁을 치르고 있는 군주를 상징한다. 전쟁에 임한 군주가 결단해야
할 문제는 두 가지이다. 하나는 전쟁이 정의로운 것인가 하는 문제이고, 다른 하나는
어떤 사람을 장수로 임명할 것인가 하는 문제이다.570) 밭에 짐승이 있다는 것은 적이
침입해 왔다는 것이니, 적의 침입에 대응해서 치르는 전쟁은 명분이 있는 정의로운

567) 朱熹, 『周易本義』 蒙卦 九二 爻辭註: 又以陽受陰 爲納婦之象 又居下位而能任上事 爲子


克家之象.
568) 『周易』 蒙卦 六五 爻辭: 童蒙 吉.
569) 『周易』 蒙卦 九二 爻辭: 包蒙吉 納婦吉 子克家.
570) 정병석 역주, 『주역』 상, 을유문화사, 2014, 177쪽 참조.

- 147 -
전쟁이라고 할 수 있다. 큰아들[長子]은 구이를 가리키며 장인(丈人)과 같은 뜻이니
지략과 덕망을 갖춘 장수를 말한다. 전쟁을 치를 때는 노련한 전략가를 장수로 삼을
필요가 있다.
사괘 구이는 지략과 덕망을 갖춘 뛰어난 장수를 상징한다. 육오와 상응하고 유일한
양으로서 하괘의 중심에 있다. 이러한 위치에서 경계해야 할 것이 바로 교만(驕慢)이
다. 교만하지 않고 중용의 덕을 잃지 않으면 길하고 허물이 없어 왕으로부터 그 공을
칭찬받을 수 있다.

밭에 짐승이 있으면 말을 받드는 것이 이롭고 허물이 없을 것이다. 큰아들이 군사


를 이끌어야지 작은 아들에게 맡기면 패배하여 수레에 시체 싣는 일만 하게 되어 흉
할 것이다.571)
군을 통솔하는 자리에 있으면서 중의 덕을 가지고 있으면 길하여 허물이 없다. 왕
이 세 번이나 상을 내리는 명령을 내렸다.572)

인간의 역사 속에서 전쟁이 없었던 시기가 과연 존재했는지 모를 일이다. 소위 문


명화된 21세기에도 전쟁은 여전히 뉴스의 헤드라인을 장식하고 있다. 그 전쟁들의 명
분은 다양하기만 하다. 때로는 국가나 민족의 이름으로, 때로는 종교의 이름으로, 또
때로는 통치자의 개인적 원한 때문에, 그 이외에도 수많은 이유들이 그럴듯하게 포장
되어 사람들을 반문명적인 전쟁의 막다른 길로 몰아넣는다. 그 많은 전쟁 중에서도
침략자에 맞서서 국가나 민족의 정체성을 지키고, 신앙의 가치를 수호하려는 전쟁은
정의로운 전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한 전쟁은 반드시 이겨야 하는 전쟁이다. 이기
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지략과 덕망을 갖춘 사람을 최고 사령관으로 임명
하는 것이다. 우리는 세계 전쟁사에서 뛰어난 지휘관의 전략 덕분에 승패가 갈린 전
쟁의 경우를 흔히 본다. 최고통치자가 최고의 장군과 교감하고 협력하여 정의로운 전
쟁을 할 때 그 전쟁은 승리로 귀결될 수 있을 것이다. 기업 경영을 흔히 총알 없는
전쟁에 비유한다. 이겨야 할 상대가 있고, 더 많이 차지하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해야
하는 시장이라는 영토가 있으며, 고객을 만족시킬 수 있는 제품과 서비스라는 무기를
개발하기 위해 밤낮으로 노력하니 전쟁이나 다를 바가 없다. 이렇듯 시장이란 전쟁터
에서 살아남기 위해 경쟁자들과 치열한 싸움을 거듭해야 하는 최고경영자는 스스로에
게 다음 두 가지 질문을 던질 필요가 있다. 첫째, 신제품 개발이나 신사업 투자를 위

571) 『周易』 師卦 六五 爻辭: 田有禽 利執言 无咎 長子帥師 弟子輿尸 貞凶.


572) 『周易』 師卦 九二 爻辭: 在師中 吉 无咎 王三錫命.

- 148 -
한 전략이 미래의 시장이나 고객의 트렌드를 제대로 반영하여 결정된 것인가? 둘째,
누구를 신제품 개발이나 신사업 투자의 담당자로 임명할 것인가? 경영전략이 제대로
방향을 잡아야 그리고 그 전략을 실현할 능력 있는 인재가 있어야 전쟁에서 이길 수
있다.

3) 태평(泰平)한 시대의 상응

태평한 시대의 상응은 태괘(泰卦) 육오와 구이의 상응 속에서 살펴볼 수 있다.


태괘 육오는 존귀한 자리에 있으면서 여동생을 신하인 구이에게 시집보내는 상황에
대해 말한다. 그렇게 상하가 상응하고 교류하면 복을 받고 길할 수 있다. 이와 관련
하여 정이는 “육오가 음유함으로써 군주의 자리에 있으면서 아래로 구이의 강명한 어
짊과 응했으니, 육오가 능히 그 어진 신하를 의지해 순종하기를 제을이 누이를 시집
보내는 것같이 해서, 높은 것을 낮추어 양에게 순종하면 복을 받고 또한 원길하
다”573)고 말한다.
태괘 구이는 중위에 있으면서 주효(主爻)이니, 중도의 덕을 갖출 수 있는 위치에 있
고 또한 그러한 덕을 갖추어야 하는 자리에 있다. 구체적으로 중도의 덕을 갖추기 위
해서는 거친 것을 포용하고, 맨몸으로 강물을 건너가는 것을 이용하며, 멀리 있는 것
을 버리지 않고, 붕당(朋黨)이 없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이마이 우사부로(今井宇三
郞)는 “더럽고 거친 것을 포용하는 도량을 근본으로 하고, 때로는 맨몸으로 강물을
건너가는 과단성 있는 행동을 하고, 가까운 것은 말할 필요도 없이 멀리 있는 것도
잊어버리는 일이 없어야 하고, 붕당의 사심을 끊어야 한다. 이렇게 하면 중도에 합치
할 수 있다”574)고 말한다. 또한 정이는 이 네 가지가 태평한 시대의 지도자의 덕목이
라고 말한다.575)

제을이 여동생을 시집보내어 복을 받으며 크게 길하다.576)


구이는 거친 것을 포용하고, 맨몸으로 강물을 건너가는 것을 이용한다. 멀리 있는
것을 버리지 않고, 붕당이 없으면, 중도를 행하는 사람과 짝을 이룰 수 있다.577)

573) 程頤, 『伊川易傳』 泰卦 六五 爻辭註: 六五 以陰柔居君位 下應於九二剛明之賢 五能倚任


其賢臣而順從之 如帝乙之歸妹然 降其尊而順從於陽則以之受祉 且元吉也.
574) 이마이 우사부로(今井宇三郞), 『易經』 上, 明治書院, 1964, 320쪽.
575) 程頤, 『伊川易傳』 泰卦 九二 爻辭註: 包荒用馮河不遐遺朋亡四者 處泰之道也.
576) 『周易』 泰卦 六五 爻辭: 帝乙歸妹 以祉 元吉.
577) 『周易』 泰卦 九二 爻辭: 包荒 用馮河 不遐遺 朋亡 得尙于中行.

- 149 -
태평한 시대는 상하가 상응하는 시대이다. 지도자와 국민의 마음이 하나가 되고,
최고통치자와 관료들의 호흡이 일치할 때, 태평성대를 구가할 수 있다. 태괘에서는
육오와 구이라는 두 리더의 상응을 통해 그것이 가능하다고 말한다. 최고통치자가 겸
손하게 청년 리더와 교감하고, 청년 리더는 중도의 덕을 갖춰 최고통치자를 보좌한다
면, 이상적인 사회의 건설은 어려운 일이 아닐 것이다. 이 경우 청년 리더는 포용력,
과단성, 배려심, 그리고 불편부당함을 갖출 필요가 있다. 기업의 경우에도 최고경영자
와 하위자들이 서로 소통하고 마음이 하나가 될 때 발전을 기약할 수 있다. 특히 최
고경영자가 유순한 성격일 경우, 주요 임직원이 포용력, 과단성, 배려심, 그리고 불편
부당함을 갖춰 제대로 보좌해 나가야 한다.

4) 신뢰(信賴) 속에서의 상응

(1) 대유괘(大有卦) 육오와 구이의 상응

대유괘 육오는 주효로서 다섯 양효가 모두 육오와 교감하려고 한다. 따라서 다섯


양효와 믿음으로써 서로 사귀고 군주로서의 위엄을 잃지 않으면 길하다. 이와 관련하
여 정이는 “유함으로써 높은 자리에 있으면서 대유의 때를 맞으면 인심이 안이해지
니, 만약 오로지 유순함만을 숭상하면 능멸함과 태만함이 생길 것이기 때문에, 반드
시 위엄 있게 하면 길할 것이다”578)라고 한다.
대유괘 구이는 큰 수레에 무거운 짐을 실은 것처럼 육오로부터 중책을 맡게 된 상
황에 대해 말한다. 중책을 맡은 사람은 스스로 일을 추진해 나가는 적극성을 발휘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 허물이 없게 된다.

그 믿음으로 사귀니, 위엄이 있으면, 길하다.579)


큰 수레로써 실었으니, 갈 곳이 있어야, 허물이 없다.580)

대유괘 육오는 유일한 음효로서 유중(柔中)하며 다섯 양효의 관심을 한 몸에 받고


있다. 이럴 경우 최고통치자인 육오는 리더로서의 위엄을 잃지 않는 범위에서 믿음으

578) 程頤, 『伊川易傳』 大有卦 六五 爻辭註: 以柔居尊位 當大有之時 人心安易 若專尙柔順則


陵慢生矣 故必威如則吉.
579) 『周易』 大有卦 六五 爻辭: 厥孚交如 威如 吉.
580) 『周易』 大有卦 九二 爻辭: 大車以載 有攸往 无咎.

- 150 -
로써 교류할 필요가 있다. 육오는 다섯 양효 중에서도 특히 구이를 신임하여 중책을
맡기고 있다. 이런 경우 구이는 육오가 추진하고자 하는 일에 적극적으로 앞장서 그
신임에 부응해야 한다. 기업의 경우에도 최고경영자가 유순한 성격일지라도 리더로서
의 체통을 잃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 가운데 능력 있는 하위자를 발탁하여 중요
한 일을 맡길 필요가 있다. 일을 맡은 하위자는 적극적으로 일을 추진함으로써 최고
경영자의 뜻에 부응해야 한다.

(2) 임괘(臨卦) 육오와 구이의 상응

임괘 육오는 음유로서 존위에 자리하여 양강한 구이의 도움을 받아 국정을 펼쳐


나가고 있는 상황이다. 군왕이라고 하여 만기(萬幾)를 친람(親覽)할 수는 없다. 따라
서 능력 있는 신하를 적재적소(適材適所)에 등용하여 보좌를 받는 것이야말로 지혜로
백성에게 임하는 것이며, 군왕이 마땅히 해야 할 일이다. 이와 관련하여 주희는 “유
로서 중의 자리에 위치하고 아래로 구이와 상응하여 혼자서 하지 않고 다른 사람에게
맡기니, 바로 지혜로운 일로서 대군의 마땅함이니 길한 도이다”581)라고 한다.
임괘 구이는 군주인 육오와의 상응 하에서 육오를 보좌하는 위치에 있다. 군주의
신임을 받으면서 주도적으로 일을 추진할 수 있으니 길하고 이롭다.

지혜로 백성에게 임하니, 군주의 마땅한 도리이므로 길하다.582)


감응하여 임하니, 길하여 이롭지 않음이 없다.583)

최고통치자나 최고경영자가 유순한 성격인 경우, 그의 곁에는 추진력 있는 참모가


반드시 필요하다. 리더와 참모가 서로 보완재가 될 때 비로소 완전체가 만들어지고
이상적인 국정 운영이 가능하게 된다.

(3) 승괘(升卦) 육오와 구이의 상응

승괘 육오는 유중으로 존위에 있는 주효이며, 강중인 구이와 상응한다. 유중의 덕

581) 朱熹, 『周易本義』 臨卦 六五 爻辭註: 以柔居中 下應九二 不自用而任人 乃知之事 而大君


之宜 吉.
582) 『周易』 臨卦 六五 爻辭: 知臨 大君之宜 吉.
583) 『周易』 臨卦 九二 爻辭: 咸臨 吉 无不利.

- 151 -
이 있는 군주로서는 바른 도를 고수하면 모든 일이 길하다. 그것은 강중의 덕이 있는
현신(賢臣)인 구이의 도움을 받아 오르기 쉬운 계단을 오르는 것과 같기 때문이
다.584)
승괘 구이는 강중의 신하이다. 진실한 마음으로 간소한 제사를 올리듯이 나약한 음
유의 군주를 섬긴다. 따라서 서로 감응하여 허물이 없다.

바름을 지키면 길하니, 계단을 오르는 것과 같다.585)


진실한 마음으로 간단한 제사를 올리는 것이 이로우니, 허물이 없을 것이다.586)

『주역』에서는 음양의 대대(對待)를 우주의 운행원리로 본다. 음과 양이 대립하는


동시에 서로를 보완하고 의지하면서 우주는 작동하고 있다. 승괘에서는 유중의 통치
자와 강중의 신하가 서로 상응하면서 이상적인 정치를 펼치고 있다. 기업도 마찬가지
이다. 최고경영자가 유약한 경우에는 적극적이고 능력 있는 하위자의 보좌가 반드시
필요하다.

5) 어려움 속에서의 상응

어려움 속에서의 상응은 해괘(解卦) 육오와 구이의 상응에서 파악할 수 있다.


해괘 육오는 유중으로 존위에 있으면서 구이와 상응하기 때문에 어려운 문제를 해
결할 수 있어서 길하다. 또한 중용의 덕과 부드러움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기 때문
에 소인으로부터도 신뢰를 받는다.
해괘 구이에서 “세 마리의 여우”는 육오를 제외한 세 개의 음효를 가리킨다. 그리
고 “누런 화살”은 중이면서 곧은 것, 즉 곧으면서도 지나치게 곧지 않는 중직(中直)
을 의미한다. 해괘 구이는 “세 마리의 여우”로 상징되는 소인을 제거함에 있어서 곧
되 지나치게 곧지 않는 방법을 사용해야 함을 말한다.587)

군자가 해결하는 것이 있으면 길하다. 소인에게도 마음속에 믿음이 있게 한다.588)


사냥에서 세 마리의 여우를 잡아, 누런 화살을 얻으니, 바르면 길하다.589)

584) 정병석 역주, 『주역』 하, 을유문화사, 2015, 238쪽 참조.


585) 『周易』 升卦 六五 爻辭: 貞吉 升階.
586) 『周易』 升卦 九二 爻辭: 孚乃利用禴 无咎.
587) 정병석 역주, 『주역』 하, 을유문화사, 2015, 145쪽 참조.
588) 『周易』 解卦 六五 爻辭: 君子維有解 吉 有孚于小人.

- 152 -
어느 조직에서나 그 조직의 질서를 어지럽히는 사람들이 있게 마련이다. 국가에는
헌법파괴세력이나 부정부패세력이 있는가 하면, 기업에는 부정이나 횡령 등의 불법적
인 행동이나 도덕적 해이를 일삼는 직원들이 있다. 그렇지만 그들을 외과수술을 하듯
일거에 제거하는 일은 생각만큼 쉬운 일이 아니다. 해괘에서는 최고통치자인 육오가
이 난제를 평소에 신뢰하고 교감하는 구이에게 맡기고 있다. 구이는 육오와의 상응
하에서 중용의 덕을 발휘할 필요가 있다. 조직을 해치는 세력을 제거한다는 확고한
원칙은 견지하되, 그들을 감화시켜서 조직의 일원으로 다시 받아들이려는 노력을 게
을리하지 말아야 한다.

589) 『周易』 解卦 九二 爻辭: 田獲三狐 得黃矢 貞吉.

- 153 -
Ⅵ. 합상황(合狀況) 관계에서 본 시중(時中) 리더십

『주역』은 기본적으로 ‘상황에 따라 변통[隨時變通]’하는 문제를 다룬다. 상황에 따


라 변통하는 것의 본보기로는 사계절의 순환보다 더 크고 분명한 것이 없다. 그리고
사계절의 변화가 그러하듯 궁색하면 변화를 모색하고, 변화하면 소통이 되며, 소통이
되면 오래 지속될 수 있다. 그렇게 변통이 이루어지면 이로움을 얻을 수 있다. 변통
을 촉발하는 대표적인 상황으로는 궁색을 들 수 있지만, 그 이외에도 다양한 상황이
변통을 필요로 한다.
본 장에서는 ‘시중 리더십의 삼원적 교호 모델’을 형성하는 세 요인 중에서 상황에
초점을 맞추어 그 변통 관계를 살펴본다. 다시 말해, 리더와 대상자가 상황에 적합하
게 변통하는지 여부, 즉 시중 리더십을 발휘하는지 여부를 고찰한다.

1. 자연운행에 따라 원칙적(原則的)인 변화(變化)를 하는 상황

1) 건괘(乾卦)의 자연운행에 따르는 상황

건괘의 괘사와 효사는 리더가 따라야 할 기본 원칙을 제시하고 있다. 먼저 건괘 괘


사는 자연의 운행으로서 하늘의 네 가지 작용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원(元)은 봄에
만물이 소생하는 작용을 말하며 크다, 착하다, 어질다는 뜻을 갖고 있다. 형(亨)은 여
름에 만물이 성장하는 작용을 말하며 형통하다, 아름답다, 예에 합당하다는 뜻을 갖
고 있다. 이(利)는 가을에 만물이 결실하는 작용을 말하며 이롭다, 마땅하다, 의리에
맞다는 뜻을 갖고 있다. 그리고 정(貞)은 겨울에 만물을 갈무리하는 작용을 말하며
바르다, 곧다, 지혜롭다는 뜻을 갖고 있다.590)

하늘의 운행처럼 원칙적인 변화를 해야 하는 상황이다. 봄에는 만물이 소생하고, 여


름에는 성장하고, 가을에는 결실하고, 겨울에는 갈무리한다.591)

590) 程頤, 『伊川易傳』 乾卦 「文言傳」註 참조; 朱熹 『周易本義』 乾卦 文言傳註 참조; 이기동


역해, 『주역강설』 상,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97, 51-61쪽 참조.

- 154 -
건괘 괘사를 통해 우리는 리더가 자연의 운행을 주관하는 하늘의 네 가지 작용처
럼 사계절, 즉 상황의 변화에 따라 그에 합당한 덕을 발휘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
다. 이와 관련하여 「계사상전」에서는 “본받을 만한 상으로는 하늘과 땅보다 더 큰 것
이 없고, 변화하고 소통하는 것으로는 사계절보다 더 큰 것이 없다”592), “천지가 변
화하니 성인이 이것을 본받는다”593)라는 말을 하고 있다. 성인이 시중 리더십을 발휘
함에 있어 가장 본받을 만한 것으로는 천지, 즉 사계절의 변화라는 것이다. 따라서
국가의 최고통치자나 기업의 최고경영자 등 조직의 리더들은 조직을 이끌어감에 있어
자연의 이러한 변화원리를 깨달아 조직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사계절의
변화에 비추어 보았을 때 우리 조직이 어떤 단계에 와 있는지를 판단해 거기에 맞는
리더십을 발휘하여야 한다. 다시 말해, 그 국가나 기업이 초창기인지, 성장기인지, 성
숙기인지, 또는 쇠퇴의 기미를 보이는 시기인지에 따라 그에 알맞은 전략과 정책을
수립해 시행해야 한다.
건괘 효사는 용이나 군자를 리더의 상징물로 삼아 그 리더가 성장해 나가는 과정
에서 취해야 할 바람직한 행동이나 자세에 대해 말한다. 초구는 물속에 잠겨 있는 용
으로 아직 능력이 부족하므로 리더인 구오가 등용하지 말아야 한다. 구이는 땅 위에
나타난 용으로 하괘의 중심부에 위치해 있다. 리더로서의 기본적인 덕과 능력을 갖추
고 있으나 업무를 주도할 수 있는 위치에 있지는 않다. 이럴 경우에는 덕과 지위를
갖춘 리더인 구오로부터 가르침을 받는 것이 좋다. 구삼은 하층부의 맨 위에 있으면
서 상층부로 진입하기 위해 가일층 노력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 있다. 따라서 종일을
굳세게 노력하고 저녁에까지 삼가면 허물이 없다. 구사는 새로이 상층부에 진입해 자
신의 능력을 시험하고 발휘해야 할 상황이다. 이럴 경우에는 때로 자신의 능력을 보
여주는 것도 필요하지만 어디까지나 자신의 위치가 상층부의 맨 아래에 있으면서 구
오를 보좌하는 것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구오는 군주로서 천하를 경륜하는 위치에
있다. 이럴 경우에는 하층부의 중심에 있는 유능한 구이의 도움을 받을 필요가 있다.
상구는 군주에서 물러나 상왕으로 추대된 경우이다. 실권이 없음에도 무리하게 국정
에 간섭하게 되면 후회할 일이 생기게 된다.

591) 『周易』 乾卦 卦辭: 乾 元亨利貞.


592) 『周易』 「繫辭上傳」 제11장: 法象莫大乎天地 變通莫大乎四時.
593) 『周易』 「繫辭上傳」 제11장: 天地變化 聖人效之.

- 155 -
물속에 잠겨 있는 용이니 쓰지 말아야 한다.594)
나타난 용이 땅에 있으니 대인을 봄이 이롭다.595)
군자가 종일토록 굳세고 굳세어서 저녁까지도 여전히 두려운 듯이 하면 비록 위태
로우나 허물은 없을 것이다.596)
혹 뛰어오르거나 연못에 있으면 허물이 없을 것이다.597)
나는 용이 하늘에 있으니 대인을 보는 것이 이로울 것이다.598)
너무 높이 올라가 버린 용이니 후회함이 있을 것이다.599)

기업의 경우에도 구성원들은 그 직위에 따라 그에 맞는 자세와 행동을 취할 필요


가 있다. 초구는 신입사원이나 대리에 해당한다. 신입사원은 일정한 수습이나 멘토링
(mentoring) 기간을 거쳐야 비로소 실무에 임할 수가 있고, 대리 또한 아직 실무를
더 익혀야 할 위치에 있다. 구이는 과장이나 차장에 해당한다. 업무를 활발하게 수행
하는 위치에 있으나 그 업무를 주도적으로 추진하는 위치에 있지는 않다. 업무에 대
한 시야를 넓히기 위해 최고경영자인 구오의 조언을 경청할 필요가 있다. 구삼은 부
장이나 팀장에 해당한다. 실무를 총괄해서 추진하는 입장에 있으며, 끊임없이 자신의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그런 가운데 업무능력을 인정받으면 임원으
로 승진할 수 있다. 구사는 이사에 해당한다. 임원으로서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
해야 하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대표이사를 보좌하기 위한 것임을 명심해야 한다.
구오는 대표이사에 해당한다. 기업경영을 총괄하며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할 수 있어
야 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구이를 비롯한 능력 있는 하위자의 도움을 받아야 한
다. 상구는 고문에 해당한다. 실질적인 권한이 없음에도 기업경영에 간섭하려 드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자연의 운행처럼 변화하는 상황에 따라 그에 합당한 리더십을 발휘해야 하는 것과
관련하여 맹자와 순자의 말은 참고할 만하다.

농사철을 어기지 않으면 곡식을 이루 다 먹을 수 없으며, 촘촘한 그물을 웅덩이와


연못에 넣지 않으면 고기와 자라를 이루 다 먹을 수 없으며, 도끼를 알맞은 때에 산
림에 들여놓으면 재목을 이루 다 쓸 수 없을 것입니다. 곡식과 물고기와 자라를 이루

594) 『周易』 乾卦 初九 爻辭: 潛龍勿用.


595) 『周易』 乾卦 九二 爻辭: 見龍在田 利見大人.
596) 『周易』 乾卦 九三 爻辭: 君子 終日乾乾 夕惕若 厲无咎.
597) 『周易』 乾卦 九四 爻辭: 或躍在淵 无咎.
598) 『周易』 乾卦 九五 爻辭: 飛龍在天 利見大人.
599) 『周易』 乾卦 上九 爻辭: 亢龍有悔.

- 156 -
다 먹을 수 없으며, 재목을 이루 다 쓸 수 없으면 이는 백성으로 하여금 산 사람을
봉양하고 죽은 사람을 장사지내는 데에 유감이 없게 하는 것이니, 산 사람을 봉양하
고 죽은 사람을 장사지내는데 유감이 없도록 하는 것이 왕도의 시작입니다.600)

오묘의 집에 뽕나무를 심으면 50세 된 자가 비단옷을 입을 수 있으며, 닭과 돼지와


개와 큰 돼지를 기르는데 그 때를 잃음이 없으면 70세 된 자가 고기를 먹을 수 있으
며, 백묘의 밭에 그 농사지을 때를 빼앗지 않으면 몇 식구의 집안에 굶주림이 없을
수 있으며, 상서(庠序)의 가르침을 신중히 하고, 효제의 의리로써 거듭한다면 머리가
반백이 된 자가 도로에서 짐을 지거나 이지 않을 것입니다. 70세 된 자가 비단옷을
입고 고기를 먹으며, 젊은 백성이 굶주리지 않고 춥지 않게 되고서도 왕도정치를 하
지 못하는 자는 있지 않습니다.601)

먼저 맹자는 군왕의 왕도정치란 사계절의 순환에 맞추어 농사를 짓고 고기와 가축


을 길러 백성들의 먹고 입는 문제를 해결하는데서 출발해야 한다고 말한다.

여러 성왕들의 법도를 흰 것과 검은 것을 분별하듯 분명하게 닦고, 당시의 변화에


하나 둘을 세듯 확실하게 대응하며, 예의 절도를 실천케 하여 세상을 자기 손발을 움
직이듯 자연스럽게 안정시키고, 공로를 이룩하는 교묘함이 사철의 순환을 알려주듯
시의적절하며, 올바르게 다스려 억만의 백성을 한 사람처럼 움직여 화합케 한다면,
그는 성인이라 할 수 있다.602)

왕자는 예의에 맞게 행동하고, 여러 가지 전례에 비추어 소청을 처리하며, 사소한


일이라도 밝게 드러내고, 그때그때 상황에 맞게 적절히 일을 처리하여 막히는 법이
없다. 이런 것을 두고 근본이 있다고 하며, 이것이 바로 왕자이다.603)

600) 『孟子』 「梁惠王上」 제3장: 不違農時 穀不可勝食也 數罟不入洿池 魚鼈不可勝食也 斧斤以


時入山林 材木不可勝用也 穀與漁鼈不可勝食 材木不可勝用 是使民養生喪死無憾也 養生
喪死無憾 王道之始也.
601) 『孟子』 「梁惠王上」 제3장: 五畝之宅 樹之以桑 五十者可以衣帛矣 鷄豚狗彘之畜無失其時
七十者可以食肉矣 百畝之田 勿奪其時 數口之家可以無飢矣 謹庠序之敎 申之以孝悌之義
頒白者不負戴於道路矣 七十者衣帛食肉 黎民不飢不寒 然而不王者未之有也.
602) 『荀子』 「儒效」 제9장: 脩百王之法, 若辨白黑, 應當時之變, 若數一二, 行禮要節而安之,
若生四枝, 要時立功之巧, 若詔四時, 平正和民之善, 億萬之衆而博若一人, 如是, 則可謂聖
人矣.
603) 『荀子』 「王制」 제10장: 王者之人, 飾動以禮義, 聽斷以類, 明振毫末, 擧措應變而不窮, 夫
是之謂有原, 是王者之人也.

- 157 -
애공이 말하였다. 훌륭한 말씀이십니다. 어떠한 사람을 위대한 성인이라 할 수 있는
지 감히 여쭙고자 합니다. 공자가 대답하였다. 이른바 위대한 성인이란 지혜가 위대
한 도에 통해, 여러 가지 변화에 호응하며 궁해지는 법이 없고, 만물의 실상과 본성
을 잘 분별합니다. ……604)

그러므로 때에 알맞게 기르면 여러 가지 가축이 자라나고, 제때에 죽이고 살리면


풀과 나무가 무성해지고, 적절히 정령을 내리면 백성들이 통일되고 어진 이와 훌륭한
이들이 복종하게 된다.605)

성왕의 제도는 풀과 나무가 꽃피고 자라날 때에는 도끼를 산과 숲에 들여보내지 않


아, 그 생명을 일찍 빼앗지 않고 그 성장을 중단시키지 않는다. 큰 자라ㆍ악어ㆍ물고
기ㆍ자라ㆍ미꾸라지ㆍ전어 등이 알을 깔 때에는 그물과 독약을 못 속에 넣지 않아,
그 생명을 일찍 빼앗지 않고 그 성장을 중단시키지 않는다. 봄에는 밭 갈고 여름에는
김매며 가을에는 수확하고 겨울에는 저장하는 네 가지 일들을 철을 놓치지 않고 하
여, 곡식이 모자라지 않고 백성들을 먹고도 남음이 있게 한다. 웅덩이와 못과 늪과
강물과 호수에 철에 따라 고기잡이를 금하여, 고기와 자라가 더욱 많아져 백성들은
쓰고도 남음이 있게 된다. 나무를 베고 기르는 것을 때를 놓치지 않고 적절히 하여,
산과 숲은 벌거숭이가 되지 않고 백성들은 쓰고도 남을 재목을 갖게 된다.606)

순자 또한 상황의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고, 계절의 변화에 따라 백성들이 때를


놓치지 않고 농사를 짓게 하는 것이 성왕의 직분임을 말한다.

2) 곤괘(坤卦)의 바르게 해야 하는 상황

곤괘의 괘사와 효사는 리더가 갖추어야 할 유순한 덕에 대해 말한다. 먼저 곤괘 괘


사는 자연의 운행에 따른 땅의 네 가지 작용을 언급한다. 건괘 괘사와 마찬가지로 사

604) 『荀子』 「哀公」 제2장: 哀公曰, 善! 敢問何如斯可謂大聖矣? 孔子對曰, 所謂大聖者, 知通


乎大道, 應變而不窮, 辨乎萬物之情性者也.; 『荀子』 「王制」 제10에도 ‘應變而不窮’이라는
표현이 보임.
605) 『荀子』 「王制」 제18장: 故養長時, 則六畜育, 殺生時, 則草木殖. 政令時, 則百姓一, 賢良
服.
606) 『荀子』 「王制」 제18장: 聖王之制也, 草木榮華滋碩之時, 則斧斤不入山林, 不夭其生, 不絶
其長也. 黿鼉魚鱉鰌鱣孕別之時, 罔罟毒藥不入澤, 不夭其生, 不絶其長也. 春耕夏耘, 秋收
冬藏, 四者不失時. 故五穀不絶, 而百姓有餘食也, 汙池淵沼川澤, 謹其時禁, 故魚鱉優多,
而百姓有餘用也. 斬伐養長, 不失其時, 故山林不童, 而百姓有餘材也.; 『孟子』 「梁惠王上」
제3장에 비슷한 문장이 나옴

- 158 -
덕(四德)을 언급하면서도 다른 점은 “암말처럼 바르다”라고 말하는 것이다. 암말은
곤의 덕을 상징하고 있으며, 유순하면서도 바르고 분별력이 있는 존재이다. 가는 바
가 있을 때는 먼저 가지 말고 뒤에 가라는 것 역시 곤의 유순한 덕에 비추어서 하는
말이다. 이와 관련하여 정이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음은 양을 따르는 것으로 먼저
부르기를 기다렸다가 화답하는 것이니, 음으로서 양에 앞서면 혼미하여 잘못되고, 뒤
에 서면 그 떳떳함을 얻는다.”607) 음의 방향인 서남으로 가면 같은 음을 얻게 되고
양의 방향인 동북으로 가면 음을 잃게 된다. 그렇지만 양을 따르는 것이 음의 바른
도리이므로 양을 따르면 결국 길하게 된다.

땅의 작용처럼 원칙적인 변화를 하는 상황이다. 소생하고, 성장하고, 결실하고, 암


말처럼 바르다. 군자가 가는 바가 있다. 먼저 가면 혼미하고 뒤에 가면 얻으니 이로
움을 주로 한다. 서남으로 가면 친구를 얻고 동북으로 가면 친구를 잃어버리니 바른
도를 지키면 길하다.608)

곤괘 괘사도 건괘 괘사와 마찬가지로 자연의 운행에 다른 사덕을 말하고 있지만,


끝부분에 가서는 바르게 하라는 말을 하고 있다. 이는 곤의 역할이 유순하면서도 바
르고 분별력을 발휘하는 데 있음을 말해 주는 것이다. 그리고 양을 앞서지 않고 뒤따
르며, 자신의 이익보다는 양의 이익을 우선시해야 한다고 말한다. 모든 조직에는 양
의 역할을 하는 사람과 음의 역할을 하는 사람이 있게 마련이다. 정부에서는 대통령
이 양이라면 국무총리는 음이라고 할 수 있다. 기업에서는 대표이사가 양이라면 이사
는 음의 위치에 있다. 그 반대도 가능하다. 아무튼 조직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음과 양의 역할이 서로 보완적으로 잘 작동할 필요가 있다.

초육은 서리를 밟으면 단단한 얼음이 곧 올 것이다.609)


육이는 곧고 반듯하고 크니 익히지 않아도 이롭지 않은 것이 없다.610)
육삼은 아름다움을 머금어서 늘 곧게 할 수 있으니, 혹 나라의 일에 종사하더라도
이루는 것은 없지만 마치는 것은 있을 것이다.611)

607) 程頤, 『伊川易傳』 坤卦 卦辭註: 陰從陽者也 待唱而和 陰而先陽則爲迷錯 居後乃得其常


也.
608) 『周易』 坤卦 卦辭: 坤 元亨利牝馬之貞 君子有攸往 先迷後得主利 西南得朋 東北喪朋 安
貞吉.
609) 『周易』 坤卦 初六 爻辭: 履霜 堅氷至.
610) 『周易』 坤卦 六二 爻辭: 直方大 不習 无不利.
611) 『周易』 坤卦 六三 爻辭: 含章可貞 或從王事 无成有終.

- 159 -
육사는 주머니를 묶으면 허물도 없고 명예도 없다.612)
육오는 누런 치마면 크게 길하다.613)
상육은 용이 들판에서 싸우니 그 피가 검고 누렇다.614)

곤괘 효사는 유순한 덕을 가진 리더가 갖추어야 할 자질에 대해 말한다. 초육은 서


리가 내리면 머지않아 얼음이 어는 것을 알 수 있는 것처럼, 조짐을 보고 미래를 예
측하고 대비하는 능력을 기를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육이는 땅이 곧고 반듯하고 크
며, 하늘이 하는 것에 자연스럽게 따라가기만 하면 이롭다고 말한다. 육삼은 아직 하
층부에 있으므로 유순한 내면의 덕을 바르고 굳고 지켜야 하며, 혹 하늘을 따르더라
도 공을 자랑하지 않고 소임을 다해야 한다고 말한다. 육사는 이제 막 상층부에 올라
왔으므로 늘 입을 닫고 삼가는 자세를 가질 필요가 있다. 육오는 신하로서 군주의 자
리에 있는 경우로서 곤의 유순함이 있으면 크게 길하다고 말한다. 주(周)나라의 무왕
(武王)이 죽은 뒤 나이 어린 성왕(成王)이 제위에 오르자 그를 도와 섭정(攝政)을 한
주공(周公)의 경우가 바로 여기에 해당한다. 이럴 때는 유순하게 자기를 드러내지 않
고 군주를 도와야 길하다. 상육은 음이 극성한 단계에 이르러 용처럼 되어 건의 용과
싸우는 것에 대해 말한다.
기업의 경우 초육은 유순한 덕을 가진 신입사원이나 대리에 해당한다. 유순한 사람
은 기본적으로 여성적인 예민한 감각으로 미래를 조망하고 예측하는 능력이 뛰어나
다. 따라서 그러한 감각을 살려 시장 동향이나 신제품개발 트렌드 등을 파악하는 분
야에서 능력을 키울 필요가 있다. 육이는 기본적으로 곧고 반듯하고 넉넉한 성격을
가진 과장이나 차장에 해당한다. 따라서 상층부의 경영방침에 따라 바르게 업무를 수
행하면 이롭다. 육삼은 유순한 덕을 가진 부장이나 팀장에 해당한다. 이런 경우에는
상층부의 방침에 따라 업무를 수행하여 실적이 향상되더라도 그 실적을 자랑하지 않
고 상층부의 공으로 돌리는 자세가 필요하다. 육사는 이제 막 이사가 된 사람이므로
늘 언행을 삼가는 자세를 갖추어야 한다. 육오는 최고경영자의 위치에 있지는 않지만
실질적으로 그런 역할을 하는 사람을 가리킨다. 이럴 경우에는 자신을 드러내지 않아
야 한다. 상육은 유순하게 직장생활을 해온 사람이 대표이사를 거쳐 고문이 된 경우
이다. 고문이 된 이후에는 더 이상 거리낄 것이 없으므로 그동안 마음속에 넣어두었
던 불만을 터트리고 있다. 기업에서는 평소에 유순한 임직원들이 불만을 속으로 쌓아

612) 『周易』 坤卦 六四 爻辭: 括囊 无咎无譽.


613) 『周易』 坤卦 六五 爻辭: 黃裳 元吉.
614) 『周易』 坤卦 上六 爻辭: 龍戰于野 其血玄黃.

- 160 -
두고 있다가 어떤 계기에 폭발시키는 일이 없도록 고충처리절차 등을 통해 그때그때
불만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2. 위기상황(危機狀況)

1) 어려운 상황

둔(屯)ㆍ감(坎)ㆍ건(蹇)ㆍ곤(困)ㆍ수(需)ㆍ송(訟)ㆍ비(否)ㆍ서합(噬嗑)ㆍ박(剝)ㆍ대축(大
畜)ㆍ대과(大過)ㆍ돈(遯)ㆍ명이(明夷)ㆍ해(解)ㆍ귀매(歸妹)ㆍ환(渙)괘 등은 모두 어려운
상황에서의 시중 리더십을 말한다.
먼저 사흉괘(四凶卦)인 둔괘, 감괘, 건괘, 곤괘가 처한 상황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둔괘(屯卦) 괘사에서는 “어려운 상황이다. 크게 형통하고 바름이 이롭다. 가는 바를
두지 말아야 한다. 제후를 세움이 이롭다”615)고 한다. 봄이 되어 새싹이 대지를 뚫고
나오는 것이니 쉽지 않은 상황이다. 그렇지만 생명이 움터 바야흐로 성장을 앞두고
있으니 크게 형통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이런 상황일수록 자연의 운행에 순응하며 바
르게 해야 한다. 함부로 일을 벌이지 말아야 하며, 경륜과 덕망을 갖춘 사람을 발탁
해서 도움을 받는 것이 이롭다.616) 구오 효사에서는 “혜택을 베풀기가 어려운 상황이
다. 작은 일에는 바름을 지키면 길하지만, 큰일에는 바름을 지키더라도 흉하다”617)고
한다. 최고통치자인 구오 자체가 위험 속에 놓여 있고 주위에 자신을 도와줄 수 있는
역량 있는 사람들이 없는 상황이다. 이럴 때는 국민들에게 작은 혜택은 베풀 수 있지
만 큰 혜택은 베풀 수가 없다. 그러므로 무리하게 정책을 추진하다가는 실패하기가
쉽다. 기업 경영에 있어서도 경기가 불황에 빠진 때라든지 기업의 자금 사정이 좋지
않을 때는 무리하게 신규사업에 투자하는 것은 삼갈 필요가 있다. 그리고 어려운 상
황을 타개할 수 있는 능력 있는 사람을 발탁할 필요가 있다.
감괘(坎卦) 괘사에서는 “중첩된 위험에 빠진 상황이다. 마음속에 진실함을 가지고

615) 『周易』 屯卦 卦辭: 屯 元亨利貞 勿用有攸往 利建侯.


616) 程頤, 『伊川易傳』 屯卦 卦辭註, 「彖傳」註, 「象傳」註 참조; 朱熹 『周易本義』 屯卦 卦辭
註, 「象傳」註 참조; 김석진, 『대산주역강의』 1, 한길사, 1999, 257-260쪽 참조; 이기동
역해, 『주역강설』 상,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97, 100-102쪽 참조; 정병석 역주, 『주역』
상, 을유문화사, 2014, 113-118쪽 참조.
617) 『周易』 屯卦 九五 爻辭: 屯其膏 小貞吉 大貞凶.

- 161 -
있고, 오직 그 마음이 형통하니, 가면 가상함이 있을 것이다”618)라고 한다. 거듭된
위험에 빠진 상황에서는 진실한 믿음을 가지고 있어야 마음이 형통하여 험난함을 넘
어서고 위험을 돌파할 수 있다.619) 구오 효사에서는 “구덩이가 차지 않으니 이미 평
평함에 이르면 허물이 없을 것이다”620)라고 한다. 구덩이가 차지 않아 험난함이 아직
제거되지 않은 상황에 처했을 때는 군주인 구오가 구덩이를 채워 험난함을 해소할 수
있어야 허물이 없어진다. 조직이 위험에 빠졌을 때, 최고통치자나 최고경영자는 위험
을 반드시 극복할 수 있다는 진실한 믿음을 가지고 방책을 강구해야 한다. 그래야 그
위험을 이겨낼 수 있다. 국민이나 구성원이 처한 위험을 해소하는 것은 리더의 기본
책무이다.
건괘(蹇卦) 괘사에서는 “어려운 상황이다. 서남쪽은 이롭고 동북쪽은 이롭지 않으
며, 대인을 만나는 것이 이롭고, 바르면 길하다”621)고 한다. 이와 관련하여 정이는
“무릇 어려움에 처한 사람은 반드시 곧음과 바름을 지켜야 한다. 설사 어려움이 풀리
지 않더라도 바른 덕을 잃지 않는 까닭에 길한 것이다. 만약 어려움을 만나 굳게 지
키지 못해서 사특하고 참람한 데 들어가면, 비록 구차스럽게 면한다 하더라도 또한
악한 덕이다. 의리와 천명을 아는 사람은 그렇게 하지 않는다”622)라고 한다. 험난함
이 앞에 있을 때는 함부로 나아가지 말고 중도를 지킬 줄 알아야 하며, 덕성과 능력
을 갖춘 사람을 발탁해 도움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 초효를 제외한 다
섯 효의 자리가 마땅하니 바름을 지켜 어려움을 헤쳐 나갈 수 있다.623) 국가든 기업
이든 상황이 어려울 때는 무리하게 정책이나 사업을 추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난국을 타개할 수 있는 사람의 도움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
곤괘(困卦) 괘사에서는 “곤궁한 상황이다. 형통하고, 바르며, 대인이라야 길하고,
허물이 없다. 말을 하면 믿지 않을 것이다”624)라고 한다. 곤궁한 상황에 처할지라도
리더가 자신의 원칙을 지키고 올바름을 굳건히 추구하면, 그러한 곤궁한 상황을 헤쳐
나갈 수 있다. 이는 대인이라야 해낼 수 있는 일이다. 곤궁을 당한 때에는 변명을 해
도 통하지 않으니 리더는 가능한 침묵을 지키는 것이 좋다. 구오 효사에서는 “코를

618) 『周易』 坎卦 卦辭: 習坎 有孚 維心亨 行有尙.


619) 정병석 역주, 『주역』 상, 을유문화사, 2014, 472쪽 참조.
620) 『周易』 坎卦 九五 爻辭: 坎不盈 祗旣平 无咎.
621) 『周易』 蹇卦 卦辭: 蹇 利西南 不利東北 利見大人 貞吉.
622) 程頤, 『伊川易傳』 蹇卦 卦辭註: 凡處難者 必在乎守貞正 設使難不解 不失正德 是以吉也
若遇難而不能固其守 入於邪濫 雖使苟免亦惡德也 知義命者不爲也.
623) 정병석 역주, 『주역』 상, 을유문화사, 2014, 126-129쪽 참조.
624) 『周易』 困卦 卦辭: 困 亨 貞 大人吉 无咎 有言不信.

- 162 -
베고 발을 베고, 붉은 제복을 입고 곤궁을 당한다. 서서히 기쁨이 있을 것이다. 제사
를 올리는 것이 이롭다”625)라고 한다. 구오가 비록 존위에 있지만 상육과 육삼에 의
해 포위되어 곤궁을 당하고 있다. 그렇지만 구오는 강건중정(剛健中正) 하므로 자신
의 원칙을 지키고 있으면 결국에는 기쁜 결과를 얻게 된다. 정성스럽게 제사를 지내
화합을 모색하는 것이 좋다.626) 최고통치자든 최고경영자든 리더는 조직이 곤궁에 처
해 있을수록 원칙과 올바름을 잃지 말아야 한다. 그런 가운데 곤궁을 헤쳐 나갈 방책
을 강구해야 하고, 구성원 간의 화합을 모색해야 한다.
사흉괘 이외에도 어려운 상황에 처했을 때 어떻게 처신해야 하는지를 일러 주는
많은 괘들이 있다. 먼저 수괘(需卦) 괘사에서는 “기다리는 상황이다. 믿음이 있으면
빛나고 형통하며 바르고 길하여, 큰 내를 건넘이 이롭다”627)고 한다. 이와 관련하여
정이는 “믿음이 있으면 광명하여 형통할 수 있고 곧고 바름을 얻어 길하니, 이것으로
써 기다리면 어떤 것을 다스리지 못하겠는가? 비록 험하다 하더라도 어려움이 없을
것이기 때문에, ‘큰 내를 건넘이 이로운 것’이다”628)라고 한다. 기다려야 하는 상황에
서는 믿음을 가지고 바른 마음으로 기다려야 한다. 그러면 어려움을 극복하는데 도움
이 된다. 조직의 리더는 어떤 어려움에 처했을 때 너무 성급하게 그것을 해소하려고
해서는 안 된다. 어려움의 해소에도 때가 있음을 인식하여, 해결방안을 암중모색하는
가운데 그 때가 무르익기를 기다려야 한다. 그리고 기다릴 때는 어떠한 큰 어려움도
반드시 이겨낼 수 있다는 믿음을 가져야 한다.
송괘(訟卦) 괘사에서는 “송사가 일어나는 상황이다. 마음속에 진실함을 갖고 있으
나, 막혀서 두려워한다. 지나치지 않고 중용을 지켜야 길하고, 끝까지 밀고 나가면 흉
하다. 대인을 봄이 이롭고, 큰 내를 건너는 식의 어려운 일을 추진하기에는 불리하
다”629)고 한다. 이런 상황에서는 진실한 마음을 갖고 있어도 상대방에게 잘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중용의 미덕을 발휘하여 중간에서 화해를 모색하는 것이 좋고, 송사
를 끝까지 밀어붙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훌륭한 사람의 중재를 구하는 것이 좋
고, 큰일을 무리하게 추진하는 것은 좋지 않다. 구오 효사에서는 “쟁송하는 데 크게
길하다”630)고 하는데, 이에 대해 구오 「상전」에서는 “쟁송하는 데 크게 길하다는 것

625) 『周易』 困卦 九五 爻辭: 劓刖 困于赤紱 乃徐有說 利用祭祀.


626) 정병석 역주, 『주역』 상, 을유문화사, 2014, 243-255쪽 참조.
627) 『周易』 需卦 卦辭: 需 有孚 光亨 貞吉 利涉大川.
628) 程頤, 『伊川易傳』 需卦 卦辭註: 有孚則光明而能亨通得貞正而吉也 以此而需何所不濟 雖
險无難矣 故利涉大川也.
629) 『周易』 訟卦 卦辭: 訟 有孚 窒惕 中吉 終凶 利見大人 不利涉大川.
630) 『周易』 訟卦 九五 卦辭: 訟 元吉.

- 163 -
은 중정한 것으로 하기 때문이다”631)라고 한다. 송사를 다투고 있음에도 길한 것은
중용을 유지하면서 바르게 하기 때문이다. 조직의 리더는 소송이 벌어졌을 때는 가능
한 유능한 중재자를 통해 합의를 모색하는 것이 좋다. 쟁송 같은 곤란한 상황일수록
일을 극단으로 끌고 가지 말고 중용의 미덕을 발휘할 필요가 있다.
비괘(否卦) 구오에서는 “막힌 것을 그치게 함은 대인의 길함이다. 망할까! 망할까!
두려워하여, 더부룩하게 난 뽕나무 뿌리에 매어놓듯이 하여야 견고하고 안전할 것이
다”632)라고 한다. 이와 관련하여 「계사전」에서는 “위태로울까 염려하는 것은 그 자리
를 편안히 하는 것이고, 망할까 염려하는 것은 그 생존을 보존하는 것이며, 어지러울
까 염려하는 것은 그 다스림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군자는 편안한 상태
에 있으면서도 위태롭게 될 것을 잊지 않고, 보존하고 있으면서도 망함을 잊지 않으
며, 다스려져도 어지러움을 잊지 않는다. 이렇게 함으로써 몸이 편해지고 나라가 보
존될 수 있다”633)고 한다. 막힌 것이 그치게 된 것은 대인이 출현했기 때문이다. 그
렇지만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늘 조심하고 경계해야 안전할 수 있다. 난세가 영웅을
만든다는 말이 있듯이 궁색한 순간에 지략과 덕을 갖춘 사람이 등장하여 그 궁색함을
해소하는 경우를 우리는 역사 속에서 볼 수 있다. 그렇지만 궁색할 때마다 영웅적인
존재에 의존할 수만은 없다. 늘 위기의식을 갖고 대비하여야 그러한 위기로부터 안전
할 수 있다. 기업의 경우에도 뛰어난 경영자의 개인적인 역량에 의해 위기를 극복하
는 것도 필요하겠지만, 그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평소에 위험을 감지하고 그것에 대
처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끊임없이 닥치는 위험에 대한 조기경보시스
템을 갖춤으로써 상시적으로 조직의 위험을 감지하고 대처하는 체계가 필요하다.
서합괘(噬嗑卦) 육오 효사에서는 “햇빛에 말린 고기를 씹다가 황금을 얻으니, 바르
고 위태롭게 여기면 허물은 없을 것이다”634)라고 한다. “햇빛에 말린 고기”는 형을
받는 자를 비유한 말이고, “황금”은 중용의 덕을 말한다. 군주인 육오가 비록 부정위
(不正位)에 있지만 형벌을 내리는 상황에서 중용의 덕을 잃지 않고 늘 삼가고 두려워
하면 허물은 없을 것이다.635) 조직의 리더는 형벌을 다스리는 경우에도 송사와 마찬
가지로 중용의 덕을 잃지 말아야 한다. 형벌을 내릴 때는 늘 삼가는 마음으로 지나침
이 없도록 노력해야 한다.

631) 『周易』 訟卦 九五 「象傳」: 訟 元吉 以中正也.


632) 『周易』 否卦 九五 爻辭: 休否 大人吉 其亡其亡 繫于苞桑,
633) 『周易』 「繫辭下傳」 제5장: 危者 安其位者也 亡者 保其存者也 亂者 有其治者也 是故 君
子 安而不忘危 存而不忘亡 治而不忘亂 是以身安而國家保也.
634) 『周易』 噬嗑卦 六五 爻辭: 噬乾肉 得黃金 貞厲 无咎.
635) 정병석 역주, 『주역』 상, 을유문화사, 2014, 360-361쪽 참조.

- 164 -
박괘(剝卦) 괘사에서는 “깎이는 상황이다. 나아가는 것이 있으면 불리하다”636)고
한다. 이처럼 쇠퇴하는 상황에서는 어떤 일을 새롭게 추진하는 것은 좋지 않다. 경영
자가 쇠퇴기에 접어든 사업에 새롭게 자금을 투자하는 것만큼 어리석은 일은 없을 것
이다. 정부의 사업도 마찬가지이다. 더 이상 효과가 나지 않는 사업에 막대한 재정을
투입하는 것은 국가재정만 악화시킬 뿐이다.
대축괘(大畜卦) 괘사에서는 “크게 저지당하는 상황이다. 이롭고 바르다. 집에서 먹
지 않으면 길하다. 큰 내를 건너는 것이 이롭다”637)고 한다. 이런 상황에서는 미래를
대비해 역량을 기르는 것이 필요하다. 밖에 나가서 실력을 기르는 것이 좋고, 그렇게
함으로써 큰일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638) 경영자는 경영환경의 악화로 새로운 사업
에 투자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 미래를 대비해 내적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자
금을 축적하는 한편, 우수한 인재를 발굴해서 교육훈련 시킬 필요가 있다. 통치자도
마찬가지이다. 조선조에 세종(世宗)이 집현전(集賢殿)을, 정조(正祖)가 규장각(奎章閣)
을 통해 능력 있는 학자들을 발굴하고 양성한 것 또한 먼 훗날을 기약하기 위한 것
이었다.
대과괘(大過卦) 괘사에서는 “매우 지나친 조치가 필요한 상황이다. 마룻대가 휘어
있으니, 나아가는 바가 있으면 유리하여, 형통하다”639)고 한다. 마룻대가 휘는 어려운
상황에서는 과감하게 행동하는 것이 필요하다. 「단전」에서는 “대과는 큰 것이 지나친
것이다. 마룻대가 휘는 것은 근본과 말단이 약하기 때문이다. 강이 과하게 많아도 중
에 있고, 공손하고 기쁨으로 행한다. 가는 바가 있으면 이로워 형통할 것이다. 대과의
때에 맞춤이 크다.”640)라고 한다. “마룻대가 휘는 것”은 근본과 말단, 즉 괘의 맨 아
래와 맨 위의 효가 음이기 때문이다. “강이 과하게 많아도 중에 있고”는 이효와 오효
가 양강으로 중의 자리에 있음을 말한다. “공손하고 기쁨으로 행한다”에서 공손은 하
괘를, 기쁨은 상괘를 상징한다. 이처럼 어떤 난국에 처했을 때는 조금 과도하더라도
과감하게 행동하는 것이 필요하다.641) 이것이 바로 대과라는 상황이 우리에게 던져주
는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지나침은 모자람과 같다고 하여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치
부한다. 그렇지만 때로는 지나친 것이 시중일 때가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극단적인

636) 『周易』 剝卦 卦辭: 剝 不利有攸往.


637) 『周易』 大畜卦 卦辭: 大畜 利貞 不家食 吉 利涉大川.
638) 이기동 역해, 『주역강설』 상,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97, 316-319쪽 참조.
639) 『周易』 大過卦 卦辭: 大過 棟橈 利有攸往 亨.
640) 『周易』 大過卦 「彖傳」: 大過 大者過也 棟橈 本末弱也 剛過而中 巽而說行 利有攸往 乃亨
大過之時大矣哉.
641) 정병석 역주, 『주역』 상, 을유문화사, 2014, 457-459쪽 참조.

- 165 -
것이 중용인 경우가 있는 것이다. 특히 국가나 기업이 어떤 난국에 처했을 때는 일반
적이거나 상식적인 것을 넘어서는 비상한 조치나 방책을 강구하는 것이 필요할 때가
있다.
돈괘(遯卦) 괘사에서는 “은둔해야 하는 상황이다. 형통하다. 조금 이롭고 바르
다”642)고 한다. 세상에 나아가 뜻을 펴기가 어려운 상황에서는 물러나 바름을 지키는
것이 바로 때에 따른 올바른 처신이며 형통한 길이다. 은둔에도 때가 있고 출사에도
때가 있는 법이다. 그것이 바로 시중이고 출처의 도리인 것이다. 그렇지만 현실 세계
에서 보면 각 분야의 리더들이 출처의 도리를 제대로 지키지 못해 구설에 오르는 경
우를 흔히 볼 수 있다. 경계할 일이 아닐 수 없다.
명이괘(明夷卦) 괘사에서는 “밝음이 상처를 입은 상황이다. 어렵더라도 바름을 지
키면 유리하다”643)고 한다. 밝음이 상처를 입어 어둡고 도가 무너진 상황일수록, 바
름을 지키고 경솔하게 행동하지 않으면 결국은 좋은 일이 생긴다. 정치 도의가 무너
지고, 경제가 불황에 빠지고, 사회기강이 흐트러진 암울한 시기일수록 시대에 대한
올바른 식견과 통찰력을 가진 리더와 국민들이 필요하다. 그런 리더와 국민들이 많을
수록 오랜 기간이 지나지 않아 무너진 정치 도의가 바로 세워지고, 불황에 빠진 경제
가 회복되고, 흐트러진 사회기강이 바로잡히게 된다.
해괘(解卦) 괘사에서는 “위험을 해결해야 하는 상황이다. 서남으로 가면 이롭다. 갈
곳이 없으면 돌아오는 것이 길하다. 갈 데가 있으면 일찍 가면 길하다”644)고 한다.
위험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도와줄 사람들이 있는 서남으로 가는 것이 길하다. 위험을
해결할 방법이 마땅치 않을 때는 무리하게 시도하지 말고 본분을 지키는 것이 바람직
하다. 위험한 일이 생겼을 때는 신속하게 처리하는 것이 좋다. 「단전」에서는 “해는
위험하여 움직이니, 움직여서 위험을 벗어나는 것이 해이다. 해는 서남으로 가면 이
롭다는 것은 가서 무리를 얻었다는 것이고, 돌아옴이 길하다는 것은 이에 중을 얻는
것이다. 갈 바가 있으면 일찍 가면 길할 것이라는 것은 가서 공이 있다는 것이다. 천
지가 풀려서 우레가 치고 비가 오고, 우레가 치고 비가 오니 수많은 과목과 초목의
껍질이 모두 열려서 터지니 해의 때 맞음이 크다”645)고 한다. 위험한 상황에서는 그
위험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위험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너그러움과

642) 『周易』 遯卦 卦辭: 遯 亨 小利貞.


643) 『周易』 明夷卦 卦辭: 明夷 利艱貞.
644) 『周易』 解卦 卦辭: 解 利西南 无所往 其來復 吉 有攸往 夙吉.
645) 『周易』 解卦 「彖傳」: 解 險以動 動而免乎險 解 解利西南 往得中也 其來復吉 乃得中也
有攸往夙吉 往有功也 天地解而雷雨作 雷雨作而百果草木皆甲拆 解之時大矣哉.

- 166 -
편안함으로 사람을 대함으로써 많은 사람들의 지지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물
러나 수신하며 기다리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또한 위험을 해결할 때는 신속하게
움직일 필요가 있다. 괘상을 보면 우레가 치고 비가 내려 만물이 소생하듯이 세상의
어려움이 해소됨을 알 수 있다.646) 해괘에서는 위험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다음 몇 가
지를 들고 있다. 첫째, 위험이 발생했을 때는 신속하게 처리해야 한다. 둘째, 해결할
방법이 마땅치 않을 때는 무리하지 말고 본분을 지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많은
사람들의 지지를 이끌어낼 필요가 있다. 넷째, 물러나 수신하며 기다리는 것도 하나
의 방법이다. 모든 조직의 리더가 참고해야 할 방책이라고 할 것이다.
「계사전」에서는 해괘 상육에 대해 공자의 말을 빌려 해석하는 구절이 나온다. 공자
는 새매, 즉 소인을 제거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때를 기다려 행동하는 것[待時而動]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역(해괘 상육)에 공(公)이 높은 담장 위에서 새매를 쏘아서 잡으니 이롭지 않음이


없다고 하였다. 공자가 매는 새이고 활과 화살은 기구이고 쏘는 사람은 사람이니 군
자가 기구를 몸에 지녔다가 때를 기다려 행동하면 무슨 이롭지 않음이 있겠는가? 움
직이더라도 방해를 받지 않는다. 이 때문에 밖으로 나가서 수확이 있는 것이니 이것
은 기물을 먼저 이루고 난 뒤에 움직이는 것을 말한 것이라고 하였다.647)

귀매괘(歸妹卦) 구사 효사에서는 “누이동생을 시집보내는데 시기를 넘기니, 더디게


시집감이 적절한 때가 있다”648)고 한다. 구사는 높은 자리에 있으나 초구와 상응하지
않아 좋은 배우자가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혼기를 놓쳤으나 좋은 배우자가 나타날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있다.649) 모든 일에는 때가 있다고 한다. 집안에서는 혼사가
대사이듯이 기업이나 국가에도 모든 역량을 투입해 성사시켜야 할 큰일들이 있게 마
련이다. 그렇지만 그 타이밍을 놓친 경우에는 또 다른 적절한 시기가 올 때까지 인내
심을 갖고 기다리는 자세가 필요하다. 투자 적기를 놓친 사업에 미련을 갖고 때가 좋
지 않음에도 무리하게 투자하다가는 낭패를 보기가 쉽다.
환괘(渙卦) 괘사에서는 “흩어지는 상황이다. 형통하다. 왕이 종묘에 이르고, 큰 내

646) 정병석 역주, 『주역』 하, 을유문화사, 2015, 141-143쪽 참조.


647) 『周易』 「繫辭下傳」 제5장: 易曰 公用射隼于高墉之上 獲之 无不利 子曰 隼者 禽也 弓矢
者 器也 射之者 人也 君子藏器于身 待時而動 何不利之有 動而不括 是以出而有獲 語成
器而動者也.
648) 『周易』 歸妹卦 九四 爻辭: 歸妹愆期 遲歸有時.
649) 정병석 역주, 『주역』 하, 을유문화사, 2015, 353쪽 참조.

- 167 -
를 건넘이 이롭고, 바르게 함이 이롭다”650)고 한다. 흩어진 민심을 다시 모으기 위해
서는 국왕이 종묘나 국가유공자 묘역에 나아가 정성스럽게 제사를 지내는 모습을 보
이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국민의 힘을 결집해야 이룰 수 있는 큰일을 도모하는 것
이 좋고, 그런 일을 도모할 때는 어떤 사심도 없이 오로지 국가와 국민의 발전만을
생각해야 한다. 구오 효사에서는 “흩어지는 시기에 큰 명령을 땀이 나듯 하고, 왕이
축적한 것을 분산하면, 허물이 없을 것이다”651)라고 한다. 민심이 흩어져 있는 시기
에는 온 힘을 다해 명령을 내리고, 왕이 축적해 놓은 것을 백성들에게 분배해 주면,
허물이 없을 것이다. 정리하면, 민심이 흩어져 있고 구성원의 응집력이 약해져 있을
때 쓸 수 있는 방책으로는 다음 몇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국가통치자가 국립묘지
에 나아가 분향하고 추념하는 모습을 보일 필요가 있다. 기업의 경우에는 대표이사가
창업주의 묘역에 분향하는 것이 거기에 해당할 것이다. 둘째, 국민이나 종업원의 힘
을 결집해야 이룰 수 있는 큰 사업을 시작할 필요가 있다. 셋째, 그러한 사업은 오로
지 국가와 국민 또는 기업이나 종업원의 발전을 위한 것이어야 한다. 넷째, 국가재정
을 민생을 안정시킬 수 있는 곳에 공정하게 투입할 필요가 있다.

2) 절제(節制)가 필요한 상황

절괘(節卦) 괘사에서는 “절제가 필요한 상황이다. 형통하다. 지키기가 괴로운 절도


는 바르지 못하다”652)고 한다. 절제하는 것은 형통한 일이다. 그러나 지나친 절제는
지속하기 힘들다. 따라서 지속할 수 있는 적절한 수준의 절제가 바람직하다.653) 이와
관련하여 구오 효사에서는 “즐겁게 절제함이라 길하니, 나아가면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다”654)라고 한다. “즐겁게 절제함이라 길하니”라는 것은 구오가 중정으로 존위에
있어 그 절제가 과하지도 부족하지도 않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는 어떤 일을 추
진해도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절제가 바람직하고 지속가능하기 위해서는 모든
조직의 리더나 구성원들이 수용할 수 있는 적절한 절제의 수준을 설정하여 지켜나가
는 것이 필요하다. 모든 사람들에게 도덕군자이기를 요구하는 것은 지나친 일이 아닐
수 없다.

650) 『周易』 渙卦 卦辭: 渙 亨 王假有廟 利涉大川 利貞.


651) 『周易』 渙卦 九五 爻辭: 渙 汗其大號 渙王居 无咎.
652) 『周易』 節卦 卦辭: 節 亨 苦節 不可貞.
653) 정병석 역주, 『주역』 하, 을유문화사, 2015, 430쪽 참조.
654) 『周易』 節卦 九五 爻辭: 甘節 吉 往有尙.

- 168 -
3) 믿음이 필요한 상황

중부(中孚)ㆍ관(觀)ㆍ무망(无妄)괘는 믿음이 필요한 상황에서의 시중 리더십에 대해


말한다.
먼저 중부괘(中孚卦) 괘사에서는 “마음속으로 믿는 상황이다. 믿음이 돼지와 물고
기에까지 미치면 길하니, 큰 내를 건넘이 이롭고, 바르게 함이 이롭다”655)고 한다. 마
음속으로 믿는다는 것은 믿음이 돼지와 물고기와 같은 동물에게까지 미치는 것이니
길할 수밖에 없다. 그러한 믿음이 있으면 큰 어려움도 극복할 수 있다. 그렇지만 늘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구오 효사에서는 “마음속으로 믿는 것이 매이
듯이 하면 허물이 없을 것이다”656)라고 한다. 구오가 존위에 있으면서 강건중정함을
바탕으로 그 신뢰가 천하의 민심과 매이듯이 연결되면 허물이 없다. 조직의 리더가
구성원으로부터 깊은 신뢰를 받는 상황보다 더 바람직한 것은 없을 것이다. 평소에
늘 진정성을 갖고 다가가면 그러한 신뢰관계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런 신뢰가 형성되
면 어떤 어려움도 극복할 수 있게 된다.
관괘(觀卦) 괘사에서는 “관찰하는 상황이다. 손을 씻고 아직 제수를 올리지 않았을
때처럼 하면, 마음속에 믿음을 가지고 우러러볼 것이다”657)라고 한다. 군왕이 종묘에
제사 지낼 때처럼 정성스러운 마음으로 정사를 펼치고 백성들을 대하면 백성들이 믿
음을 가지고 우러러볼 것이다. 구오 효사에서는 “나의 행동거지를 보되 군자면 허물
이 없을 것이다”658)라고 한다. 군왕이 백성들을 통해 자신이 정사를 펼친 모습을 살
펴보았을 때 중정한 군자의 모습이면 허물이 없을 것이다. 국가의 최고통치자가 얼마
만큼 진정성을 가지고 국정에 임하는지를 국민들은 늘 지켜보고 있다. 최고통치자는
자신이 얼마나 국정을 제대로 운영하고 있고 국민들을 만족시키는지를 알려면 국민들
의 여론을 듣고 그 살아가는 모습을 살펴보면 된다. 최고경영자 역시 구성원들이 자
신의 경영방식에 어느 정도 만족하고 있는지를 직무만족도 조사 등을 통해 정기적으
로 체크함으로써 경영자로서의 자신을 되돌아봐야 한다.
무망괘(无妄卦) 괘사에서는 “진실해야 하는 상황이다. 시작하니 형통하고 바름을
지키는 것이 마땅하다. 바르지 않으면 재앙이 있을 것이므로 행하는 바가 있으면 불
리하다”659)고 한다. 진실을 지키면 형통하고 바름을 지키는 것은 마땅히 해야 할 일

655) 『周易』 中孚卦 卦辭: 中孚 豚魚吉 利涉大川 利貞.


656) 『周易』 中孚卦 九五 爻辭: 有孚攣如 无咎.
657) 『周易』 觀卦 卦辭: 觀 盥而不薦 有孚顒若.
658) 『周易』 觀卦 九五 爻辭: 觀我生 君子 无咎.

- 169 -
이다. 이는 곧 천도에 따르는 일이다. 이와 관련하여 정이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상
괘의 건괘(乾卦)는 본래 천도이고, 하괘의 진괘(震卦)는 그 특성이 움직임에 있기 때
문에, 반드시 천도에 근거해서 움직여야 하고, 사사로운 욕심에 근거해서는 곤란하
다.”660) 천도에 따르지 않으면 재앙이 생길 것이고, 그러면 어떤 일을 추진하는데 불
리하다. 영국 속담에 ‘진실이 최선의 방책이다’라는 말이 있다. 어떤 경우에도 진실을
바탕으로 말하고 행동한다면 큰 어려움은 없을 것이다. 무망괘에서는 이러한 진실한
자세야말로 천도에 따르는 것이라고 말한다. 최고통치자나 최고경영자가 국가나 기업
의 현재 상황을 있는 그대로 밝히고 협력이나 고통분담을 호소하는 자세야말로 반드
시 필요한 것이다.

자하(子夏)가 말하였다. 군자는 신뢰관계가 형성된 뒤에 그 백성을 노고롭게 하는


것이니, 신뢰관계가 형성되지 않으면 자신들을 학대한다고 여긴다. 신뢰관계가 형성
된 뒤에 간하는 것이니, 신뢰관계가 형성되지 않으면 자기를 비방한다고 생각한
다.661)

이처럼 믿음이 필요한 상황과 관련하여 자하는 통치자인 군자는 백성과의 신뢰관계
가 형성된 뒤에야 백성들로 하여금 희생과 손해를 감수하도록 요청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고 말한다. 그리고 신하와 군주 간의 관계에서도 서로 신뢰관계가 형성돼 있어야
신하가 간하는 것이 제대로 가납될 수 있다. 이러한 이치는 국가 뿐 아니라 기업 등
다른 조직의 상하관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4) 제사(祭祀)를 지내는 상황

기제괘(旣濟卦) 구오 효사에서는 “동쪽 이웃(나라)에서 소를 잡아 성대한 제사를 지


내는 것은 서쪽 이웃이 검소하고 간략한 약제(禴祭)를 지내 실제로 그 복을 받는 것
보다 못하다”662)고 한다. 그리고 「상전」에서는 “동쪽 이웃 나라에서 소를 잡아 성대
한 제사를 지내는 것은 서쪽 이웃의 때에 맞는 제사보다 못하다. 실제로 그 복을 받
는다는 것은 길함이 크게 온다는 것이다”663)라고 한다. 제사는 신이나 조상을 공경하

659) 『周易』 无妄卦 卦辭: 无妄 元亨利貞 其匪正 有眚 不利有攸往.


660) 程頤, 『伊川易傳』 无妄卦 卦辭註: 爲卦乾上震下 震動也 動以天爲无妄 動以人欲則妄矣.
661) 『論語』 「子張」 제10장: 子夏曰 君子 信而後勞其民 未信則以爲厲己也 信而後諫 未信則以
爲謗己也.
662) 『周易』 旣濟卦 九五 爻辭: 東隣殺牛 不如西隣之禴祭 實受其福.

- 170 -
는 의미로 지내는 것이지만, 결국 그러한 의식을 통해 얻고자 하는 것은 백성이나 구
성원들의 단결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성대하고 격식을 갖춘 제사보다는 상황에 맞추
어 진실한 마음으로 지내는 제사가 더 나을 수 있다. 흔히 ‘제사는 정성’이라는 말을
한다. 국가나 기업의 큰 행사나 의식도 마찬가지이다. 그 상황에 맞추어 정성스럽게
준비한 행사나 의식이 겉모습만 화려한 행사나 의식보다 훨씬 더 국민이나 구성원을
단결시키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최고통치자나 최고경영자부터 이런 마인드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

5) 그침과 행함을 판단해야 하는 상황

건괘(乾卦)와 간괘(艮卦)는 그침과 행함을 판단해야 하는 상황에서의 시중 리더십에


대해 말한다.
먼저 건괘(乾卦) 「문언전」 구삼에서는 “이를 데를 알아 이르므로 더불어 기미를 알
수 있고, 마칠 데를 알아서 마치니 더불어 의로움을 보존할 수 있다. 이런 까닭에 윗
자리에 있으면서도 교만하지 않고 아랫자리에 있어도 근심하지 않는다. 또한 이 때문
에 힘쓰고 힘써 때에 따라서 두려워하면 비록 위태로우나 허물이 없다”664)고 한다.
이와 관련하여 주희는 “이를 데를 알아 이름은 덕을 행하는 것이고, 마칠 데를 알아
마침은 일을 보존하는 것이니, 종일토록 열심히 노력하면서도 저녁에 오히려 두려워
하는 것은 이런 까닭이다”665)라고 한다. 도달해야 할 목표를 알아 거기에 도달하기
위해 노력하면 상황을 파악할 수 있고, 어떤 일을 마쳐야 할 시기를 알아 마치면 의
로움을 보존할 수 있다. 이렇듯 애쓰고 두려워하는 마음으로 매사에 임하면 비록 위
태로운 상황에 처하더라도 허물은 없다. 구삼은 하층부의 맨 위에 있으면서 상층부로
진입하기 위해 종일을 굳세게 노력하고 저녁에까지 삼가야 하는 시기이다. 따라서 자
신이 도달해야 할 목표를 분명하게 설정해서 노력해야 하고, 업무의 마감시한을 놓치
지 않고 지킬 필요가 있다. 이런 과정을 거쳐 리더로서 성장해 나갈 수 있다.
간괘(艮卦) 괘사에서는 “그 등에 그치면 그 몸을 얻지 못하며, 그 뜰에 가도 그 사
람을 보지 못한다. 허물이 없다”666)고 한다. “그 등에 그치면”이라는 것은 인간의 사

663) 『周易』 旣濟卦 九五 「象傳」: 東隣殺牛 不如西隣之時也 實受其福 吉大來也.


664) 『周易』 乾卦 「文言傳」 九三: 知至至之 可與幾也 知終終之 可與存義也 是故居上位而不驕
在下位而不憂 故乾乾因其時而惕 雖危无咎矣.
665) 朱熹, 『周易本義』 乾卦 「文言傳」 九三註: 知至至之 進德之事 知終終之 居業之事 所以終
日乾乾而夕猶惕若者 以此故也.

- 171 -
욕을 억제하는 것을 말하고, “그 몸을 얻지 못하며”라는 것은 욕망이나 외부세계에
이끌리지 않게 되는 것을 말한다.667) 이와 관련하여 정이는 “‘불획기신(不獲其身)’이
라는 말은 몸을 보지 못함이니, 나를 잊어버리는 것을 말한다”668)라고 한다. “그 뜰
에 가도 그 사람을 보지 못한다”라는 것은 바깥 사물의 유혹에 등지고 있는 상황을
말한다. 이처럼 사욕을 억제하고 외부의 욕망이나 유혹에 이끌리지 않으면 허물이 없
다. 「단전」에서는 “간은 그침이니 때가 그칠 때는 그치고, 때가 행할 때는 행하여,
움직임과 고요함이 그 때를 잃지 않으니 그 도가 밝다”669)고 한다. 그쳐야 할 상황에
서는 그치고, 행동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행동함으로써 변통의 도를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 사사로운 욕망이나 외부세계의 유혹 앞에서 그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렇
지만 리더라면 넘지 말아야 할 선이 있음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리더는 법의 잣대로
뿐만 아니라 도덕적 기준으로도 허물이 없도록 자신과 가족을 관리할 수 있어야 한
다.

공자께서 제나라를 떠나실 때에는 밥하려고 일어서 담아 놓은 쌀을 받아 가지고 가


셨고, 노나라를 떠나실 때에는, 더디고 더디다, 나의 걸음이여! 라고 하셨으니, 부모
의 나라를 떠나는 도리이다. 속히 떠나야 되는 상황이면 속히 떠나고, 오래 머물러야
하는 상황이면 오래 머물며, 은둔해야 하는 상황이면 은둔하고, 벼슬해야 하는 상황
이면 벼슬하는 것은 공자이시다.670)

그침과 행함에 대한 판단과 관련하여 공자의 처신은 시사해주는 바가 크다. 이렇듯


지행(止行)함에 자유자재 했기에 맹자는 공자를 ‘성지시자(聖之時者)’로 추앙했으며,
“원하는 것은 공자를 배우는 것이다”671)라고 말했다.

6) 결단(決斷)하고 나아가야 하는 상황

사(師)ㆍ이(履)ㆍ고(蠱)ㆍ해(解)ㆍ쾌(夬)ㆍ혁(革)괘는 결단하고 나아가야 하는 상황에

666) 『周易』 艮卦 卦辭: 艮其背 不獲其身 行其庭 不見其人 无咎.


667) 정병석 역주, 『주역』 하, 을유문화사, 2015, 318쪽 참조.
668) 程頤, 『伊川易傳』 艮卦 卦辭註: 不獲其身 不見其身也 謂忘我也.
669) 『周易』 艮卦 「彖傳」: 艮 止也 時止則止 時行則行 動靜不失其時其道光明.
670) 『孟子』 「萬章下」 제1장: 孔子之去齊 按淅而行 去魯 曰遲遲吾行也 去父母國之道也 可以
速而速 可以久而久 可以處而處 可以仕而仕 孔子也.
671) 『孟子』 「公孫丑上」 제2장: 所願則學孔子也.

- 172 -
서의 시중 리더십에 대해 말한다.
먼저 사괘(師卦) 괘사에서는 “군대를 일으키는 상황이다. 바르게 해야 한다. 장인
(丈人)이라야 길하고 허물이 없다”672)고 한다. 군대를 일으킬 때는 먼저 마땅한 명분
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구이와 같은 덕과 능력을 겸비한 장수가 있어야 하며, 그러
면 허물이 없을 것이다.673) 육오 효사에서는 “밭에 짐승이 있으면 말을 받드는 것이
이롭고 허물이 없을 것이다. 큰아들이 군사를 이끌어야지 작은 아들에게 맡기면 패배
하여 수레에 시체 싣는 일만 하게 되어 흉할 것이다”674)라고 한다. 적이 침입한 경우
군주는 대의(大義)를 일으켜 대응해야 하고, 지혜와 덕을 겸비한 구이에게 군대를 지
휘하도록 해야 한다. 그렇지 않고 재덕이 부족한 육삼과 육사에게 맡기면 패배하여
흉할 것이다. 상육 효사에서는 “대군이 명령을 내려 나라를 개국하고 가(家)를 받게
하지만, 소인은 등용하지 말아야 한다”675)고 한다. 전쟁이 끝나면 그 공에 따라 제후
(諸侯)를 봉하고 경대부(卿大夫)를 임명하지만 소인을 등용해서는 안 된다. 국가를 경
영하다 보면 불가피하게 전쟁 상황에 놓이는 경우가 있다. 기업도 시장에서 경쟁업체
와 매일매일 전쟁을 치르다시피 한다. 이럴 경우 명심해야 할 것에 대해 사괘는 세
가지를 말한다. 첫째, 전쟁이나 경쟁에는 마땅한 명분이나 대의, 즉 정당한 목적이 있
어야 한다. 막대한 인명과 물자의 손실이 예상되는 전쟁이 자국민조차 납득할 수 없
는 이유로 진행되는 것은 불행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기업도 마찬가지이다. 엄청난
인력과 자금을 투자해 시장을 장악하려고 경쟁하려고 할 때는 그 경쟁이 과연 그럴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인지를 냉정하게 분석해볼 필요가 있다. 둘째, 전쟁에는 지략과
덕을 겸비한 장수가, 경쟁에는 전략과 통찰력을 갖춘 전문가가 반드시 필요하다. 최
고통치자나 최고경영자는 그러한 장수나 전문가를 발탁하고 기용하는 안목을 갖추어
야 한다. 셋째, 전쟁이나 경쟁의 승패가 갈린 후에는 그 결과에 따라 공정하게 논공
행상(論功行賞)이 이루어져야 한다. 역사를 보면 이러한 과정에 불만을 품고 반란을
일으키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또 하나 유의해야 할 것은 공을 세웠다고 해서 자
질에 문제가 있는 사람을 무조건 기용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전쟁에 필요한 사람
과 평시에 요청되는 사람은 분명히 다를 수밖에 없다.

672) 『周易』 師卦 卦辭: 師 貞 丈人 吉 无咎.


673) 정병석 역주, 『주역』 상, 을유문화사, 2014, 214쪽 참조.
674) 『周易』 師卦 六五 爻辭: 田有禽 利執言 无咎 長子帥師 弟子輿尸 貞凶.
675) 『周易』 師卦 上六 爻辭: 大君有命 開國承家 小人勿用.

- 173 -
이괘(履卦) 괘사에서는 “범의 꼬리를 밟더라도 사람을 물지 않는다. 형통하다”676)
고 한다. 무언가를 이행해야 하는 상황은 다양한데, 여기에서는 호랑이 꼬리를 밟아
버린 위태로운 상황을 상정하고 있다. 그리고 그런 위태로운 상황에서도 조심하고 삼
가면 그 어려움을 빠져나갈 수 있다고 말한다. 구오 효사에서는 “과감하게 결단하여
행함이니, 바르더라도 위태로움이 있을 것이다”677)라고 한다. 최고통치자는 과감하게
결단하여 행할 경우일수록 포용과 겸손의 미덕을 잊지 말아야 한다. 그리고 위태로운
상황을 빠져나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조심하고 삼가는 자세가 필요하다. 최고경영
자도 기업경영이 난관에 봉착했을 때는 그 난관을 극복하기 위해 과감한 조치를 취하
는 한편 포용하고 겸손하며 삼가는 자세를 잃지 말아야 한다.
고괘(蠱卦) 괘사에서는 “좀먹어 무너진 상황이다. 크게 형통하고, 큰 내를 건넘이
이롭다. 일을 시작하기 전에 사흘을 생각하며, 일을 하고 나서 사흘을 살핀다”678)라
고 한다. 이와 관련하여 정이는 “좀먹었으면 다시 다스리는 이치가 있다. 예로부터
다스림은 반드시 어지러워짐으로 인했으니, 어지러우면 다스림을 열게 됨은 이치의
자연스러움이다. 만약 괘의 재질로 좀먹은 것을 다스리면 크게 착하고 형통함을 이룰
수 있다. 고괘의 큰 의미는 때의 간난(艱難)하고 험조(險阻)함을 다스리는 것이므로
‘큰 내를 건넘이 이롭다’고 했다”679)라고 한다. 영원히 융성하는 국가도, 끝없이 번창
하는 기업도 없다. 번성의 끝에는 언제나 어지러움이 기다리고 있다. 그리고 그 어지
러움이 극에 달하면 다시 다스림으로 나아가는 것이 역사의 순리이다. 물극필반(物極
必反)의 이치가 만사만물을 관통하고 있는 것이다. 무너진 체제를 정비하고 흩어진
민심을 모으니 형통할 수밖에 없다. 이렇듯 조직을 재건할 때는 준비를 치밀하게 해
야 하고, 재건에 착수한 후에도 일이 제대로 진행되는지를 꼼꼼하게 살펴야 한다. 이
러한 이치는 국가든 기업이든 마찬가지이다. 이런 상황이야말로 바로 최고통치자나
최고경영자의 리더십 발휘를 절실히 요청한다.
해괘(解卦) 구이 효사에서는 “사냥에서 세 마리의 여우를 잡아 누런 화살을 얻으니
바르면 길하다”680)고 하고, 「상전」에서는 “바르면 길하다는 것은 중도를 얻었기 때문
이다”681)라고 한다. 소인을 제거할 때는 곧으면서도 지나치지 않는 중도의 방법을 쓰

676) 『周易』 履卦 卦辭: 履虎尾 不咥人 亨.


677) 『周易』 履卦 九五 爻辭: 夬履 貞厲.
678) 『周易』 蠱卦 卦辭: 蠱 元亨 利涉大川 先甲三日 後甲三日.
679) 程頤, 『伊川易傳』 蠱卦 卦辭註: 旣蠱則有復治之理 自古治必因亂 亂則開治理自然也 如卦
之才以治蠱則能致元亨也 蠱之大者濟時之艱難險阻也 故曰利涉大川.
680) 『周易』 解卦 九二 爻辭: 田獲三狐 得黃矢 貞吉.
681) 『周易』 解卦 九二 「象傳」: 貞吉 得中道也.

- 174 -
는 것이 좋다.682) 너무 유화적인 방법을 쓰면 소인의 제거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고,
반대로 너무 강하게 몰아붙이면 반발을 살 수가 있다. 따라서 부드러움과 강함 그 사
이의 적절한 방법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국가든 기업이든 모든 조직에는 그 조직을
해치는 구성원들이 있게 마련이다. 그런 구성원을 징계하는 경우에도 정해진 절차에
따라 합리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 최고통치자나 최고경영자는 이런 점을 살펴볼 필요
가 있다.
쾌괘(夬卦) 괘사에서는 “척결해야 하는 상황이다. 왕의 뜰에서 드러냄이니, 진심으
로 호소하여 위태로움이 있음을 알려야 한다. 읍부터 알려야 하고, 군대를 보내는 것
은 이롭지 않으며, 갈 곳이 있으면 이롭다”683)고 한다. 이와 관련하여 정이는 “비록
이쪽의 아주 성함으로써 저쪽의 아주 쇠약함을 척결하더라도, 만일 쉽게 여겨 방비가
없으면 예측하지 못할 후회가 있을 것이다. 이것은 아직도 위태한 이치가 남아 있는
것이고, 반드시 경계하고 두려워하는 마음이 있으면 근심이 없을 것이니, 성인이 훈
계를 베푸시는 뜻이 깊다”684)고 말한다. 구오 효사에서는 “(부드럽고 연약한) 쇠비름
을 (잘라내는 것처럼 소인을) 결연하게 척결한다. 중도로 행하면 허물이 없다”685)고
한다. 쇠비름으로 상징되는 소인을 척결하기 위해서는 과격한 방법이 아닌 중도의 방
법을 써야 허물이 없다. 국가통치자가 국가적인 위험이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할 때는
국민에게 진정성을 다해 투명하게 그러한 위험이나 문제가 있음을 밝혀야 한다. 그리
고 문제 해결을 위한 결단력은 보여주되 그렇다고 강제적이거나 강압적인 수단에 의
존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흔히 권력을 가진 사람은 자신이 가진 권력을 십분 활
용해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하려는 유혹에 빠지기 쉽다. 그렇지만 자신이 위임받은 권
력이라 할지라도 그 행사에는 신중함이 뒤따라야 하고, 권력의 전부가 아닌 팔할 정
도만 행사한다는 삼가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기업의 최고경영자 역시 어떤 문
제를 해결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구성원에게 기업이 봉착한 문제를 투명하게 밝혀야
한다. 그런 뒤 합리적이고도 순리적인 해결방안을 찾아나가야 한다.
혁괘(革卦) 괘사에서는 “바꾸는 상황이다. 날이 차야 믿는다. 크고 형통하고 이롭고
발라서, 후회가 없다”686)고 한다. 이와 관련하여 주희는 “하나라도 바르지 못함이 있
으면, 개혁한 것이 불신을 받고 소통되지 못해서, 도리어 후회가 있을 것이다”687)라

682) 정병석 역주, 『주역』 하, 을유문화사, 2015, 145쪽 참조.


683) 『周易』 夬卦 卦辭: 夬 揚于王庭 孚號有厲 告自邑 不利卽戎 利有攸往.
684) 程頤, 『伊川易傳』 夬卦 卦辭註: 雖以此之甚盛 決彼之甚衰 若易而无備則有不虞之悔 是尙
有危理 必有戒懼之心則无患也 聖人設戒之意深矣.
685) 『周易』 夬卦 九五 爻辭: 莧陸夬夬 中行 无咎.
686) 『周易』 革卦 卦辭: 革 已日乃孚 元亨利貞 悔亡.

- 175 -
고 말한다. 국가든 기업이든 어떤 제도나 체제가 오래되면 자연스럽게 여러 가지 문
제를 드러내게 된다. 그것은 환경의 변화에 기인하기도 하고, 제도나 체제 자체의 운
용 과정에서 나오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한 문제들에 대한 개혁은 그 문제들이 쌓여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상황이 되고, 그리하여 개혁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었을 때
단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모든 개혁은 하나라도 바르지 않음이 없이 완벽하
게 이루어져야 국민의 신뢰를 받을 수 있다. 그러면 후회가 없게 된다.

3. 화합(和合)해야 하는 상황

1) 포용(包容)해야 하는 상황

곤괘 「상전」에서는 “땅의 형세가 곤이니 군자가 이를 본받아서 두터운 덕으로 사


물을 실어준다”688)고 한다. 땅은 만물을 포용하고 길러주는 덕성을 지니고 있다. 군
자는 땅의 이러한 덕을 본받아 다른 사람들을 포용하고 길러주어야 한다. 나라를 다
스리는 통치자나 기업을 이끌어가는 경영자는 일반 사람들보다는 훨씬 더 큰 포용력
을 때로는 발휘하여야 한다. 사람들의 단점을 포용하면서 장점을 발굴하고 키워주는
넉넉한 자세가 리더에게는 요구된다고 하겠다.
구괘(姤卦) 구오에서는 “기(杞)나무가 호박을 감싸니, 아름다움을 머금으면, 하늘로
부터 떨어지는 것이 있을 것이다”689)라고 한다. 최고통치자의 지위에 있으면서 기나
무가 호박을 감싸듯이 소인을 포용하고, 중정의 덕을 간직하고 기다리면, 천명(天命)
이 내려올 것이다. 권력의 정점에 서서 반드시 갖추어야 할 덕목이지만 실제로는 그
렇지 못한 것 중의 하나가 바로 포용력을 발휘하는 것이다. 반대 세력을 포용하고 그
들과 타협하는 자세를 보일 때 진정한 국민통합이 가능해질 것이다.
통치자의 포용과 관련하여 『춘추좌전(春秋左傳)』에도 의미 있는 문장이 보인다. 정
장공(鄭莊公)의 경우, 이웃 나라를 정벌하고도 널리 용서하는 등 시세에 합당하게 포
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687) 朱熹, 『周易本義』 革卦 卦辭註: 一有不正 則所革不信不通而反有悔矣.


688) 『周易』 坤卦 「象傳」: 地勢坤 君子以 厚德載物.
689) 『周易』 姤卦 九五 爻辭: 以杞包瓜 含章 有隕自天.

- 176 -
군자가 이같이 평했다. 정장공의 이번 일은 예에 합당한 것이다. 예는 나라를 다스
리는 경국가(經國家)와 사직을 안정시키는 정사직(定社稷), 백성을 다스리는 서민인
(序民人), 후대를 이롭게 하는 이후사(利後嗣)를 뜻한다. 허(許)나라가 비록 법도를 어
겨 정벌했지만 이미 죄를 자복하자 이를 널리 용서했다. 또한 허나라의 덕행을 헤아
려 처리하고 자신의 힘을 헤아려 알맞게 시행했다. 나아가 시세에 맞게 행동함으로
후대인에게 누가 없게 했으니 가히 예를 알았다고 할 수 있다.690)

또한 세종이 조선 개창시 비참여파들의 명분인 의리(義理)를 인정하고, 정몽주(鄭夢


周)와 길재(吉再) 등을 충신의 표본으로 추앙하였으며, 조선조 개창에 반대했던 인물
들의 후예들을 조정에 등용한 것은 바로 통합의 정치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
다.691) 우리나라로 귀화(歸化)해 오는 외국인들이 점점 더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우리나라 경제가 발전하고 한류(韓流) 등으로 세계인의 주목을 끄는 것 등이 그 원인
일 것이다. 이처럼 외국인의 귀화가 늘어남에 따라 대두되는 문제는 바로 그 귀화 외
국인들이 우리나라 사람들과 동화(同化)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러 가지 제도적
ㆍ문화적 정책과 아울러 내국인의 인식 전환도 필요하다. 조선의 세종 때에도 지금의
한류와 비슷한 현상이 있었다. 세종의 선정이 주변국들에도 알려짐에 따라 여진족(女
眞族)이나 대마도의 왜인(倭人)들이 집단적으로 귀화해 오는 일이 발생했다. 세종은
이런 귀화인들이 조선에 정착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배려를 하였다. 집을 지어 주고
벼슬을 내리는가 하면 우리나라 여자와 혼인을 시키기도 했다. 그리고 토지세와 요역
(徭役)을 일정 기간 면제하기도 하였다.692) 최고경영자의 경우에도 경영방침에 반대
하거나 비협조적인 노조 등의 세력이 있을 때는 그들을 포용하고 설득하는 자세를 가
질 필요가 있다. 그런 과정을 통해 구성원들을 한 방향으로 결집시켜야 기업의 발전
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2) 다른 사람들과 함께 하는 상황

동인(同人)ㆍ함(咸)ㆍ췌(萃)괘에서는 다른 사람들과 함께 하는 상황에서의 시중 리


더십에 대해 말한다.

690) 左丘明, 『春秋左傳』 제1부 제3절: 君子謂. 鄭莊公於是乎有禮. 禮, 經國家, 定社稷, 序民


人, 利後嗣者也. 許無刑而伐之, 服而舍之, 度德而處之, 量力而行之, 相時而動, 無累後人,
可謂知禮矣.; 左丘明, 신동준 역주, 『춘추좌전』 상, 인간사랑, 2017a, 93-94쪽.
691) 정영현, 『신뢰의 리더 세종의 정치와 리더십』, 북랩, 2012, 144쪽 참조.
692) 『世宗實錄』, 6년 7월 17일조: 傳旨 今後 向化新來人 田租限三年 徭役限十年 蠲除.

- 177 -
먼저 동인괘(同人卦) 괘사에서는 “다른 사람들과 함께 하는 것을 들에서 하면 형통
하다. 큰 내를 건넘이 이로우며, 군자의 바름이 이롭다”693)고 한다. 이와 관련하여
정이는 “천하와 더불어 대동할 수 있으면, 이것은 천하가 다 함께 하는 것이니, 천하
가 다 함께 하면 어떤 험하고 막힌 것인들 건너지 못하며, 어떤 어렵고 위태한 것인
들 형통하게 하지 못하겠는가?”694)라고 한다. 또한 “그러므로 비록 천 리 밖에 있고
천 년 뒤에 태어나더라도 부절(符節)을 맞추는 것 같으니, (이런 이치로) 미루어 행하
면 광대한 천하와 억조의 백성들이 함께 하지 않음이 없을 것이다. 소인은 오직 그
사사로운 뜻을 써서, 가까운 사람은 비록 그릇되어도 또한 함께 하고, 미워하는 사람
은 비록 옳으나 또한 달리 한다. 그러므로 그 함께 하는 사람이 아첨하는 무리가 되
니, 대개 그 마음이 바르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동인하는 도의 이로움은
군자의 곧고 바름에 있는 것이다”695)라고 한다. 다른 사람들과 함께 하는 것을 공개
적인 장소에서 공평무사하게 하면 형통하다. 큰 어려움을 헤쳐나감에 있어서는 광명
정대(光明正大)하고 지공무사(至公無私)하게 하여 다른 사람들의 지지를 얻는 것이
이롭다.696) 국가든 기업이든 큰일을 도모할 때는 모든 구성원들의 뜻과 역량을 모아
공개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 그렇게 해야 그 일을 제대로 이룰 수 있고, 이룬 뒤에도
말썽이 없게 된다.
함괘(咸卦) 괘사에서는 “교감하는 상황이다. 형통하고 바르게 함이 이롭다. 여자와
혼인하면 길하다”697)고 한다. 만사만물이나 사회의 관계에 있어서 교감은 매우 중요
하다. 교감이 제대로 이루어지는지 여부에 따라 일의 성패나 인간관계가 달라진다.
그러한 교감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바르게 하는 것이다. 혼인도 마찬가지이다. 구오
효사에서는 “구오는 그 등살에 느낀다는 것이니 후회가 없을 것이다”698)라고 한다.
“그 등살에 느낀다”는 것은 등 뒤의 살처럼 사사로움을 버리고 사람들과 폭넓게 교감
하는 것을 말한다. “후회가 없을 것이다”라는 것은 외물이나 외계에 유인되지 않기
때문에 후회가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교감할 때는 사사로움을 버리고 외물의 유혹에
빠지지 않아야 후회가 없게 된다.699) 리더가 조직 내부 및 외부 사람들과 교감하고

693) 『周易』 同人卦 卦辭: 同人于野 亨 利涉大川 利君子貞.


694) 程頤, 『伊川易傳』 同人卦 卦辭註: 能與天下大同 是天下皆同之也 天下皆同 何險阻之不可
濟 何艱危之不可亨.
695) 程頤, 『伊川易傳』 同人卦 卦辭註: 故雖居千里之遠 生千歲之後 若合符節 推而行之 四海
之廣 兆民之衆 莫不同 小人則唯用其私意 所比者雖非亦同 所惡者雖是亦異 故其所同者則
爲阿黨 蓋其心不正也 故同人之道利在君子之貞正.
696) 정병석 역주, 『주역』 상, 을유문화사, 2014, 253-254쪽 참조.
697) 『周易』 咸卦 卦辭: 咸 亨 利貞 取女 吉.
698) 『周易』 咸卦 九五 爻辭: 咸其脢 无悔.

- 178 -
교류함에 있어서 사사로운 인연에 얽매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국가통치자나 최
고경영자가 개인적인 친소관계(親疏關係)에 의지해 사람을 등용한다면 정작 능력 있
는 사람들은 빛을 보지 못하게 된다. 리더는 언제나 사사로움을 버리고 폭 넓게 인재
를 기용할 수 있어야 한다. 세종이 자신을 지지하지도 않았고 여러 가지 구설에 휘말
렸던 황희를 중용한 것이나, 문벌과 신분 고하를 초월해서 최윤덕(崔潤德)을 등용한
것이나, 관노 출신인 장영실(蔣英實)을 발탁한 것 등은 모두 그 능력에 따라 널리 인
재를 기용한 좋은 예라고 할 수 있다.
췌괘(萃卦) 괘사에서는 “뜻을 모아야 하는 상황이다. (형통하고) 왕이 사당에 간다.
대인을 보는 것이 이롭다. 형통하고, 바르면 유리하다. 큰 희생을 쓰는 것이 길하니,
갈 바를 두면 이롭다”700)고 한다. 백성들의 뜻을 모아야 하는 상황에서는 왕이 종묘
에 나아가 제사를 올림으로써 백성들의 마음을 한 데로 모을 필요가 있다. 그리고 덕
망 있는 사람의 조언을 구하는 것이 이롭다. 사람들의 뜻을 모으는 것은 형통한 일이
고, 뜻을 모을 때는 그 목적이 바른 것이어야 한다. 큰 희생을 써서 정성스럽게 제사
를 지냄으로써 많은 사람들이 모이고 넉넉하게 나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길하다. 이
렇게 하여 천명을 따르는 것이 이롭다. 정리하면, 최고통치자나 최고경영자는 대사를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다음 몇 가지를 유념할 필요가 있다. 첫째, 대사를 앞두고 구
성원들의 뜻을 한 데로 모아야 할 경우에는 국가유공자나 기업의 창업공신을 기리는
의식을 진행하여 일체감을 높일 필요가 있다. 둘째, 뜻을 모을 때는 그 목적이 바른
것이어야 한다. 셋째, 덕과 능력을 갖춘 사람을 발탁하여 대사를 이끌어가도록 해야
한다. 넷째, 대사에 참여한 사람들에 대해 적절한 보상을 해주어야 한다. 이와 아울러
사람들의 뜻을 모음에 있어서는 『논어』의 다음 구절들이 참고할 만하다. 먼저 「안연
(顏淵)」에서는 “군자의 덕은 바람이고 소인의 덕은 풀이다. 풀 위에 바람이 불면 반
드시 쭉 쓰러질 것이다”701)라고 한다. 리더가 모범을 보일 때 하위자들도 그 리더를
본받아 한 마음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위정(爲政)」에서는 “군자는 두루 조화
를 이루고 당파를 형성하지 않으며, 소인은 당파를 형성하고 두루 조화를 이루지 못
한다”702)라고 한다. 리더가 특정인이나 특정집단을 편애하지 않고 모든 구성원들과
두루 조화로운 관계를 유지하면 조직의 단결은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것이다.

699) 정병석 역주, 『주역』 하, 을유문화사, 2015, 22쪽 참조.


700) 『周易』 萃卦 卦辭: 萃 亨 王假有廟 利見大人 亨 利貞 用大牲吉 利有攸往.
701) 『論語』 「顏淵」 제19장: 君子之德 風 小人之德 草 草上之風 必偃.
702) 『論語』 「爲政」 제14장: 君子 周而不比 小人 比而不周.

- 179 -
3) 분배(分配)하는 상황

손(損)ㆍ익(益)ㆍ정(井)괘에서는 분배하는 상황에서의 시중 리더십에 대해 말한다.


먼저 손괘(損卦) 괘사에서는 “아래를 덜어서 위에 더해 주는 상황이다. 마음속에
진실을 두면 크게 길하고, 허물이 없으며, 바르게 할 수 있어서, 가는 바를 둠이 이
롭다. 이러한 도리를 어떻게 쓸 수 있겠는가? 대 밥그릇 두 개면 충분히 제사 지낼
수 있다”703)고 한다. 이는 국민의 소득을 덜어서 국가의 부족한 재정을 보충하는 경
우를 말하는 것이다. 그 더는 것에 진실과 합당함이 있으면 크게 길하고 허물이 없으
며 바르게 할 수 있어서 국가가 어떤 사업을 추진하는 데 유리하다. 때에 따라서는
허례허식을 덜어내고 대 밥그릇 두 개로도 제사를 지낼 수 있다. 「단전」에서는 “대
밥그릇 두 개를 쓰는 데도 마땅히 때가 있으며, 강을 덜어 유를 더해주는 것도 때가
있는 것이다. 덜고 더하고 채우고 비우는 것은 때와 더불어 행하는 것이다”704)라고
한다. 모두가 상황에 따라 행해진다는 것이다. 우리나라가 IMF 관리체제 하에 들어갔
을 때 전 국민이 국난을 극복하고자 하는 간절한 마음으로 금 모으기 운동을 벌이고
절약하면서 고통을 분담한 결과 그 어려움을 극복한 경험을 우리는 갖고 있다. 일반
적으로는 국가가 민생을 위해 재정을 투입하지만 IMF 관리체제 하에 들어갔을 때처
럼 국가가 위기에 처했을 때는 반대로 국민이 호주머니를 열어 국가를 도울 수도 있
는 것이다. 이때는 국민들이 바로 국난 극복의 리더라고 할 수 있다. 이 모든 것이
상황에 맞추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기업의 경우에도 위기에 처했을 때 구성원들이 임
금을 동결하거나 삭감하면서 그 위기 극복을 위해 앞장 서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
다.
익괘(益卦) 괘사에서는 “위를 덜어서 아래에 더해 주는 상황이다. 가는 바가 있음
이 이로우며, 큰 내를 건넘이 이롭다”705)고 한다. 이는 국가의 재정으로 국민을 도와
주는 경우를 말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초효와 사효, 이효와 오효, 삼효와 상효 각
각이 상응하고 있으므로 나아가서 큰 어려움을 구제하는 것이 이롭다.706) 「단전」에서
는 “익은 위를 덜어 아래에 더하니 백성들이 기뻐하는 것이 한이 없음이고, 위로부터
아래로 내려오니 그 도가 크게 빛난다. 나아가는 바가 있으면 이롭다는 것은 중정하
여 경사가 있는 것이다. 큰 내를 건너는 데 이롭다는 것은 목도가 이에 행하는 것이

703) 『周易』 損卦 卦辭: 損 有孚 元吉 无咎 可貞 利有攸往 曷之用 二簋可用亨.


704) 『周易』 損卦 「彖傳」: 二簋應有時 損剛益柔有時 損益盈虛 與時偕行.
705) 『周易』 益卦 卦辭: 益 利有攸往 利涉大川.
706) 정병석 역주, 『주역』 하, 을유문화사, 2015, 170쪽 참조.

- 180 -
다. 익은 움직이고 겸손하여 날로 나아감이 한계가 없다. 하늘은 베풀고 땅은 낳아서
그 유익함이 방소가 없이 무궁하다. 무릇 익의 도는 때와 더불어 행하는 것이다”707)
라고 한다. 국가가 재정을 사용해 국민들의 소득을 보전해주면 국민들의 기쁨이 크고
그 뜻이 빛난다. 이처럼 국가가 상황에 알맞게 국민을 지원하는 것은 경사스러운 일
이다. 큰 어려움을 극복하는데 이롭다는 것은 어진 도를 실천하기 때문이다. 일이 순
조로울 때라도 늘 겸손하게 행동하면 전도가 무한해질 것이다. 천지가 만물을 베풀고
기르는 것처럼 그 유익함이 만방에 미친다. 이렇듯 위에서 아래에 베푸는 익의 도는
때에 따라 행해지는 것이다.708) 조선조의 세종이 기근 속에서 굶주리는 백성들을 구
휼하기 위해 여러 가지 정책을 펼친 것도 그 예라고 할 수 있다.709) 기업의 경우에도
창출된 이익을 구성원에게 임금이나 복리후생의 형태로 적절하게 배분해 줌으로써 업
무에 대한 동기를 유발하고 조직에 대한 충성심을 높임으로써 궁극적으로 조직의 발
전을 기할 수 있게 된다.
정괘(井卦) 구오 「상전」에서는 “찬 샘물을 먹는다는 것은 중정하기 때문이다”710)라
고 한다. “찬 샘물은 먹는다”는 것은 이를테면 경제개발로 인한 혜택을 누리는 것을
말한다. 그럴 때 경제개발의 총지휘자인 구오가 그 혜택을 독점하려 해서는 안 된다.
적절하고 바르게 분배해야 한다711) 국부(國富)가 증대하면 최고통치자가 신경 써야
할 것 중의 하나가 바로 그 창출된 부가 모든 국민들에게 그리고 각 분야에 골고루
분배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기업도 마찬가지이다, 증대된 이익이 구성원들
에게 적절하게 분배하도록 하는 것은 바로 최고경영자의 몫이라고 할 수 있다.

4) 겸손(謙遜)해야 하는 상황

겸(謙)ㆍ귀매(歸妹)ㆍ손(巽)괘에서는 겸손해야 하는 상황에서의 시중 리더십에 대해

707) 『周易』 益卦 「彖傳」: 益 損上益下 民說无疆 自上下下 其道大光 利有攸往 中正有慶 利涉


大川 木道乃行 益 動而巽 日進无疆 天施地生 其益无方 凡益之道 與時偕行.
708) 이기동 역해, 『주역강설』 하,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97, 94쪽 참조; 정병석 역주, 『주역』
하, 을유문화사, 2015, 170-172쪽 참조.
709) 세종의 구휼원칙을 보면 다음과 같다. ① 구휼 장소를 남자와 여자, 환자와 건강한 자를
구분하여 설치하여 그들의 마음을 편하게 해주라. ② 그들이 어디서 왔는지 묻지 말라.
③ 아전이 아니라 마음 착한 중들에게 음식을 나눠주는 일을 맡겨라, ④ 구휼과 관련해
포상과 상벌을 시행하라. ⑤ 지방의 관찰사에게 그 일을 위임하라.(『世宗實錄』, 19년 1월
2일조 참조)
710) 『周易』 井卦 九五 「象傳」: 寒泉之食 中正也.
711) 이기동 역해, 『주역강설』 하,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97, 156 참조.

- 181 -
말한다.
먼저 겸괘(謙卦) 괘사에서는 “겸손해야 하는 상황이다. 형통하다. 군자는 끝까지 겸
손할 수 있어야 한다”712)라고 말한다. 겸손할 수 있으면 형통하다. 군자 또한 종신토
록 겸손하기는 쉽지 않은 일이므로 그렇게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구삼 효사에
서는 “공로(功勞)가 있는 겸손이다. 군자는 끝이 있으면 길하다”713)고 한다. 공로가
있으면서도 겸손하기란 일반적인 겸손보다 더 어려운 일인데, 군자가 끝까지 이렇게
할 수 있으면 길하다. 최고통치자나 최고경영자가 임기 동안 변함없이 겸손한 자세를
유지하기란 쉽지 않다. 어떤 공로를 세웠을 때는 더더욱 그렇다. 이렇듯 어려울수록
그 가치가 더욱 높아지는 것이 겸손한 자세이다.
귀매괘(歸妹卦) 육오 「상전」에서는 “‘제을(帝乙)이 누이동생을 시집보내는데 정실인
누이동생의 소매가 그 측실의 소매가 좋음만 못하여’ 라고 하는 것은 그 자리가 중에
있어 귀함으로 행동하는 것이다”714)라고 한다. 군왕인 제을이 누이동생을 결혼시킴에
있어 아랫사람보다 더 자기를 낮춘다는 것은 중용의 덕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최
고의 자리에 올라 겸손하기란 생각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그 일이 어려운 만큼 리더
들에게는 또한 절실하게 요청되는 덕목이기도 하다.
손괘(巽卦) 구오 효사에서는 “바르면 길하니, 뉘우침이 없어지고, 이롭지 않음이 없
으니, 처음은 없으나 마침은 있다. 경(庚)으로 삼일 먼저하고 경으로 삼일 뒤로하면
길할 것이다”715)라고 한다. 이와 관련하여 주희는 “경(庚)은 고치는 것이니, 일을 변
경하는 것이다. ‘경으로 삼일 먼저’는 정(丁)이고, ‘경으로 삼일 뒤’는 계(癸)니, 정(丁)
으로써 변하기 전에 신중하게 하는 것이고, 계(癸)로써 변한 뒤에 헤아리고 살피는
것이다”라고 한다. 구오는 강건중정으로 존위에 있지만 겸손을 으뜸으로 하는 손괘에
서는 강이 지나치고 상응함이 없어서 뉘우침이 있는 효이다. 그렇지만 중정의 덕을
지켜 곧고 바르기 때문에 길하다. 따라서 뉘우침이 없어지고 이롭지 않은 것이 없다.
일의 시작은 순조롭지 못해 뉘우침이 있지만, 그것을 잘 보충해 끝내는 뉘우침이 없
어진다. 처음과 끝을 늘 신중하게 해야 길하다.716) 리더가 갖춰야 할 덕목 중에서 아
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덕목이 바로 겸손이다. 권력을 가질수록 교만해지기는
쉽고 겸손해지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그리고 늘 신중한 자세를 가질 필요가 있다.

712) 『周易』 謙卦 卦辭: 謙 亨 君子有終.


713) 『周易』 謙卦 九三 爻辭: 勞謙 君子有終 吉.
714) 『周易』 歸妹卦 六五 「象傳」: 帝乙歸妹不如其娣之袂良也 其位在中 以貴行也.
715) 『周易』 巽卦 九五 爻辭: 貞吉 悔亡 无不利 无初有終 先庚三日 後庚三日 吉.
716) 정병석 역주, 『주역』 하, 을유문화사, 2015, 397쪽 참조.

- 182 -
4. 진보(進步)하는 상황

1) 일이 순조(順調)로운 상황

대유(大有)ㆍ예(豫)ㆍ해(解)ㆍ풍(豐)ㆍ기제(旣濟)괘는 일이 순조로운 상황에서의 시중


리더십에 대해 말한다.
먼저 대유괘(大有卦) 괘사에서는 “천하의 인심을 가지게 되는 상황이다. 크게 형통
하다”717)고 한다. 천하의 인심을 얻게 되니 형통할 수밖에 없다. 그렇게 되기 위해서
는 군왕이 백성들과 소통을 잘해야 하고, 현인을 등용하여 도움을 받아야 한다. 상구
효사에서는 “하늘로부터 돕는다. 길하여 이롭지 않음이 없다”718)고 한다. 이렇게 되
기 위해서는 상구가 풍요로움의 극단에 와 있음을 깨닫고 천도에 어긋나지 않도록 삼
갈 필요가 있다.719) 최고통치자나 최고경영자가 국민이나 주주의 마음을 얻기 위해서
는, 평소에 진정성 있는 소통을 하여야 하고, 덕과 능력이 있는 사람을 발탁하여 조
직을 바른 방향으로 이끌어가야 한다. 그리고 지금 모든 것이 순조롭고 넉넉하더라
도 그것이 영원히 지속되지 않는 것임을 알고 정도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늘 주의해야
한다.
예괘(豫卦)는 괘상(卦象)으로 보면 우레가 치니 땅속의 만물이 소생하기 시작하는
시기이다. 이를 인사(人事)에 적용하면 지도층이 올바로 행동하면 일반 국민 역시 그
에 따르는 것에 해당한다.720) 이렇듯 리더가 바르게 처신하면 국민의 호응은 자연스
럽게 따라온다. 괘사에서는 “화합하고 즐거운 상황이다. 제후를 세우고 군사를 움직
이는 것이 이롭다”721)고 한다. 순조로운 때일수록 만일의 경우를 대비하여 조직을 정
비하고 군사를 훈련시키는 노력을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순자(荀子)는 지혜로운 사람은 가득 차고 평탄하고 편안할 때, 모자라고 험악하고 위
험한 경우가 닥칠 것을 미리 대비한다고 말한다.

그러므로 지혜 있는 사람은 일을 할 때 가득 찼을 때에는 모자란 경우를 생각하고,


평탄할 때에는 험악한 경우를 생각하고, 편안할 때에는 위험한 경우를 생각한다. 모

717) 『周易』 大有卦 卦辭: 大有 元亨.


718) 『周易』 大有卦 上九 爻辭: 自天祐之 吉无不利.
719) 정병석 역주, 『주역』 상, 을유문화사, 2014, 264-272쪽 참조.
720) 정병석 역주, 『주역』 상, 을유문화사, 2014, 289쪽 참조.
721) 『周易』 豫卦 卦辭: 豫 利建侯行師.

- 183 -
든 일들을 중히 여기며 미리 대비하면서도 재난이 생기지는 않을까 두려워한다. 그렇
기 때문에 백 가지 일을 하더라도 실패하는 일이 없는 것이다.722)

음양이 교대하고 사계절이 순환하듯이 국가에는 일치일란(一治一亂)이 교대하고 기


업에는 호황과 불황이 오고 간다. 지금의 순조로움은 미래의 난조(亂調)를 말해주는
것이며, 지금의 평화는 앞날의 불안에 대한 전조(前兆)일 수 있다. 따라서 오늘의 평
화로운 시대에 미리미리 체제를 정비하고 국방력을 강화해 놓지 않으면 내일의 전쟁
에 속수무책(束手無策)으로 당할 수밖에 없다. 기업도 마찬가지이다. 호황일 때 자금
을 축적하고 미리 신제품을 개발하고 신규사업에 투자해야 미래의 지속적인 호황이
보장된다. 국가통치자나 최고경영자가 유의해야 할 부분이 아닐 수 없다.
해괘(解卦) 괘사에서는 “해결되는 상황이다. 서남쪽이 이롭다. 갈 곳이 없으면 돌아
와 회복하는 것이 길하고, 갈 곳이 있으면 빨리 가는 것이 길하다”723)고 한다. 어떤
일을 해결할 때는 부드러운 방법을 쓰는 것이 이롭다. 문제가 해결된 뒤에는 성급하
게 일을 새로 벌이기보다는 내적 역량을 키우는 것이 좋고, 또 다른 문제가 생겼을
때는 신속하게 해결하는 것이 좋다.724) 어떤 문제를 해결할 때는 유화책(宥和策)이
상수(上手)라면 강경책(强硬策)은 하수(下手)라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현실 속에서는
그 반대인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권력이 가진 속성 때문일 것이다. 큰 권력을 가
질수록 그 권력을 함부로 행사하지 않는 신중함은 국가나 기업 등의 모든 리더가 갖
추어야 할 덕목이다. 그 권력이란 본디 자신의 것이 아니라 국민 또는 주주로부터 잠
시 위임받은 것이라는 사실을 잊지 않는다면, 그리고 그 권력의 행사를 통해 선의의
피해자가 나올 수 있다는 사실을 직시한다면, 자신이 현재 갖고 있는 권력이라고 해
서 함부로 행사할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이 또한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화책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강경책이 합당한
경우도 있다. 모든 일에는 시중의 지혜가 필요한 것이다. 그리고 문제가 해결된 뒤에
는 내적 역량을 충분히 갖춘 후에 다른 사업을 펼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풍괘(豐卦) 괘사에서는 “풍성한 상황이다. 형통하고, 왕이라야 이를 수 있으니, 걱
정하지 말며, 해가 중천(中天)에서 비추듯이 해야 한다”725)고 한다. 왕이라야 이렇게

722) 『荀子』 「仲尼」 제4장: 故知者之擧事也, 滿則慮嗛, 平則慮險, 安則慮危, 曲重其豫, 猶恐


及其禍, 是以百擧而不陷也. 孔子曰, 巧而好度, 必節, 勇而好同, 必勝, 知而好謙, 必賢.
此之謂也.
723) 『周易』 解卦 卦辭: 解 利西南 无所往 其來復 吉 有攸往 夙吉.
724) 정병석 역주, 『주역』 하, 을유문화사, 2015, 140-141쪽 참조.
725) 『周易』 豊卦 卦辭: 豊 亨 王假之 勿憂 宜日中.

- 184 -
할 수 있고, 해가 중천에서 비추듯이 왕의 교화가 온 천하에 골고루 미치도록 해야
한다. 국가의 최고통치자나 기업의 최고경영자는 자신이 일부 국민이나 구성원이 아
닌 모든 국민 또는 구성원의 통치자나 경영자라는 사실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늘 차
별받거나 소외당하는 사람들이 없는지를 살펴야 한다. 햇살은 차별하지 않는 법이다.
기제괘(旣濟卦) 괘사에서는 “이미 이루어진 상황이다. 형통함은 작고, 바르면 이롭
다. 처음에는 길하나, 끝에는 어지럽다”726)고 한다. 일이 이루어졌다는 것은 또 다른
과제의 출발점일 수 있으므로 형통함이 작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일이 성사되었더
라도 방심하지 말고 그 일이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도록 계속 바르게 해나가야 이롭
다. 일이 성사된 것은 좋은 것이나, 시간이 흐르면 언젠가는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
할 수밖에 없다. 세상의 모든 일이란 끝없는 변전 속에 놓여 있음을 경계하는 말이라
하겠다. 국가를 통치하는 것도, 기업을 경영하는 것도 끝없이 발생하는 문제 속에서
의사결정을 거듭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늘 방심하지 말고 상황 변화를 예
의주시해야 한다.

2) 발전(發展)해 나가는 상황

건(乾)ㆍ대장(大壯)ㆍ승(升)ㆍ점(漸)ㆍ미제(未濟)괘는 발전해 나가는 상황에서의 시중


리더십에 대해 말한다.
건괘(乾卦) 「문언전」 구사에서는 “‘혹 위로 뛰어오르거나 혹은 연못에 있으면 허물
이 없을 것이다’라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공자가 말하였다. ‘오르고 내림에 일
정함이 없는 것은 사특(邪慝)함이 되는 것은 아니며, 나아가고 물러남에 항상 됨이
없는 것은 같은 무리에서 벗어나 혼자 행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다. 군자가 덕을 증진
시키고 사업에 힘을 쓰는 것은 때에 미치려는 것이니 그러므로 허물이 없는 것이다
’”727)라고 한다. 구사는 상괘로 진입했으나 아직 자리를 확고하게 잡지 못한 상황에
놓여 있다. 기업에 비유하면 이제 막 이사가 된 경우이고, 정부에 비유하면 서기관이
된 경우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위치가 아직 확고하지 않으므로 상황에 따라 나아가
고 물러날 수 있어야 한다. 끊임없이 자신의 덕을 증진 시키고 맡은 일에 최선을 다
하면서 더 상층부로 올라갈 수 있는 상황이 오기를 기다려야 한다.

726) 『周易』 旣濟卦 卦辭: 亨小 利貞 初吉 終亂.


727) 『周易』 乾卦 「文言傳」 九四: 或躍在淵无咎 何謂也 子曰 上下无常 非爲邪也 進退无恒 非
離群也 君子進德修業 欲及時也 故无咎.

- 185 -
대장괘(大壯卦) 괘사에서는 “매우 씩씩하게 추진해야 하는 상황이다. 바르게 함이
이롭다”728)라고 한다. 대장괘는 양이 네 개로 성장하여 매우 씩씩하게 일을 추진할
수 있는 상황에 놓여 있다. 그렇지만 이럴 경우일수록 바름을 지킬 필요가 있다. 국
가든 기업이든 어떤 일을 과감하게 추진해야 하는 상황에서 경계해야 할 것은 그 과
감함이 지나쳐 규정이나 절차를 무시하는 경우이다. 목적의 타당성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바로 수단과 절차의 정당성이다. 그 목적이 아무리 타당한 것이라 할지라도 그
목적을 실현하는 수단이나 절차가 정당하지 않으면 목적을 달성한 뒤에도 후유증이
남게 된다. 최고통치자나 최고경영자는 이 점을 간과하지 말아야 한다.
승괘(升卦) 괘사에서는 “상승하는 상황이다. 크게 형통하고, 대인을 보니 근심하지
말며, 남쪽으로 나아가면 길하다”729)고 한다. 지위가 상승하거나 어떤 일이 진척되는
상황은 크게 형통하다고 할 수 있고, 덕과 능력을 겸비한 사람이 나타나 그러한 상승
세를 도와주니 근심할 필요가 없으며, 광명한 방향으로 전진하면 길하다.730) 조직에
서 지위가 상승하고 리더로 성장해 가는 것은 좋은 일이다. 그것이 가능하기 위해서
는 자신의 남다른 노력도 필요하지만 자신을 끌어주는 멘토의 도움 또한 필요하다.
점괘(漸卦) 괘사에서는 “점진적으로 실천해야 하는 상황이다. 여자가 시집가는 것
이 길하니, 바르게 하는 것이 이롭다”731)고 한다. 여자가 시집갈 때 전통적인 의례절
차에서는 납채(納采), 문명(問名), 납길(納吉), 납증(納證), 청기(請期), 친영(親迎) 등의
여섯 단계를 거친다.732) 이처럼 어떤 일을 할 때는 정해진 절차에 따라 점진적으로
해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논어』에서도 “빨리 하려고 하면 도달하지 못한다”733)라
고 말한다. 국가를 통치하고 기업을 경영하는 일은 오랜 기간에 걸친 노하우가 축적
되고 그것이 체계화됨으로써 가능해진다. 때로는 혁신적인 변화를 통해 기존의 체계
가 비약적으로 발전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점진적인 발전의 단계를 거친
다. 최고통치자나 최고경영자는 조직의 발전이 하루아침에 이루어진 것이 아님을 직
시하고 조직의 축적된 전통과 노하우를 중시하고 그 바탕 위에서 조직의 발전을 도모
할 필요가 있다.
미제괘(未濟卦) 괘사에서는 “또 다른 발전을 모색해야 하는 상황이다. 형통하다. 작
은 여우가 거의 건너가서, 그 꼬리를 적심이니, 이로운 바가 없다”734)고 한다. 미제

728) 『周易』 大壯卦 卦辭: 大壯 利貞.


729) 『周易』 升卦 卦辭: 升 元亨 用見大人 勿恤 南征吉.
730) 정병석 역주, 『주역』 하, 을유문화사, 2015, 230쪽 참조.
731) 『周易』 漸卦 卦辭: 漸 女歸吉 利貞.
732) 정병석 역주, 『주역』 하, 을유문화사, 2015, 332쪽.
733) 『論語』 「子路」 제17장: 欲速則不達.

- 186 -
는 기제의 안정된 상태를 깨뜨리고 더 나은 단계로 나아가기 위한 발전적 대립과 불
안정 속에 있기 때문에 형통하다고 할 수 있다.735) 대립과 불안정을 극복하고 더 나
은 단계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초육에서 여우가 꼬리를 적시는 것처럼 초기에 일에 임
하는 태도가 진지하지 못해 실수를 범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국가를 통치하고
기업을 경영하는 일이란 하나의 문제를 해결하고 나면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하는, 끊
임없는 문제해결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문제가 발생한 초기에 모든 역량을
동원해 진지하게 대처하지 않으면 문제의 해결이 더 어려워질 수가 있다. 최고통치자
나 최고경영자는 이러한 점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3) 계몽(啓蒙)하고 육성(育成)해야 하는 상황

몽(蒙)ㆍ무망(无妄)ㆍ이(頤)괘는 계몽하고 육성해야 하는 상황에서의 시중 리더십에


대해 말한다.
몽괘(蒙卦) 괘사에서는 “몽매함이다. 형통하다. 내가 몽매한 어린아이에게 구하는
것이 아니라, 몽매한 어린아이가 나에게 구하는 것이다. 처음 묻거든 깨우쳐주고, 두
번 세 번 물으면 모독하는 것이니, 모독하면 깨우쳐주지 않는다. 바르게 하면 이롭
다”736)고 한다. 지금은 몽매하지만 장차 계몽할 수 있으니 형통하다. 스승이 어린아
이에게 가는 것이 아니라 어린아이가 스승에게 찾아가서 배움을 청해야 한다. 처음
물었을 때는 깨우쳐주지만, 두세 번 물으면 모독하는 것이므로 깨우쳐주지 않는다.
배우는 사람으로서 바르게 해야 이롭다. 「단전」에서는 “산 아래 위험이 있고 위험하
여 그친 것이 몽이다. 몽이 형통함은 형통한 것으로 행하니 때에 알맞기 때문이다.
내가 몽매한 어린아이에게 구하는 것이 아니라 몽매한 어린아이가 나에게서 구한다는
것은 뜻이 응하기 때문이다. 처음 묻거든 깨우쳐준다는 것은 강중하기 때문이고, 두
번 세 번 하면 모독하는 것이고 모독하면 깨우쳐주지 않는다는 것은 몽을 모독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깨닫지 못한 상태에서 올바름을 기르는 것은 성인이 되는 방법이
다”737)라고 하여, 상황에 알맞게 함[時中]을 언급하고 있다. 몽매한 어린아이를 상황
에 맞게 교육하는 것은 형통한 일이다. 국가의 중요한 책무 중의 하나가 교육이다.

734) 『周易』 未濟卦 卦辭: 未濟 亨 小狐汔濟 濡其尾 无攸利.


735) 정병석 역주, 『주역』 하, 을유문화사, 2015, 487쪽 참조.
736) 『周易』 蒙卦 卦辭: 蒙 亨 匪我求童蒙 童蒙求我 初筮告 再三瀆 瀆則不告 利貞.
737) 『周易』 蒙卦 彖傳: 蒙 山下有險 險而止 蒙 蒙亨 以亨行 時中也 匪我求童蒙童蒙求我 志
應也 初筮告 以剛中也 再三瀆瀆則不告 瀆蒙也 蒙以養正 聖功也.

- 187 -
학교 교육과 사회 교육을 통해 국민들이 그 수준에 맞추어 제때 교육받을 수 있어야
한다. 기업의 경우에도 우수한 구성원이 곧 기업의 경쟁력임을 인식하고, 구성원의
역량을 향상시키는 교육훈련을 적절하게 실시할 필요가 있다.
무망괘(无妄卦) 「상전」에서는 “하늘 아래에서 우레가 움직여 모든 존재에게 무망을
부여한다. 선왕은 이것을 본받아 힘써 때에 맞추어 만물을 길러준다”738)고 한다. 봄
에 우레가 진동해 모든 생명이 깨어나듯이 만물은 천도로부터 부여받은 본성을 지니
고 있다.739) 군왕은 이러한 이치를 본받아 때에 맞추어 만물이 그 본성을 발양(發揚)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국가의 최고통치자나 기업의 최고경영자는 국민이나
구성원이 적시에 그 잠재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교육훈련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
다.
이괘(頤卦) 괘사에서는 “길러야 하는 상황이다. 바르게 해야 길하다. 길러주는 것을
보고 스스로 입안을 채울 음식을 구하여야 한다”740)고 말한다. 육성할 때는 사심이
없이 공정해야 한다. 육성하는 방법을 보고 스스로를 육성하는 길에 대해 살펴본다.
국가가 국민을 교육함에 있어 유의해야 할 것이 바로 교육기회의 평등이다. 의무교육
의 확대도 그 일환이 될 것이다. 성별, 연령, 지역, 소득, 인종 등에 따른 차별 없이
교육받는 것은 헌법(憲法)에 보장되어 있는 기본권인 동시에 인류가 추구해야 할 보
편적인 가치이다. 또한 교육 중의 최고의 교육은 바로 자율적인 교육이다. 기업에서
도 모든 구성원이 차별 없이 교육받을 수 있어야 한다. 한때 학습조직(learning
organization)이라는 말이 유행한 것에서 알 수 있듯이, 교육과 학습이란 개별 구성
원 차원에서 수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개인, 팀,
조직 차원에서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학습이 능동적으로 이루어지는 풍토와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뜻한다.
교육과 관련해서는 『논어』와 『맹자』에도 눈여겨볼 만한 대목이 나온다. 먼저 『논
어』 「술이(述而)」에서 공자는 “분발하지 않으면 이끌어주지 않고, 애태우지 않으면
말해주지 않으며, 한 모퉁이를 들 때 세 모퉁이로써 반응해오지 않으면 다시 일러주
지 않는다”741)고 말한다. 이는 배우는 사람이 스스로 분발하고 애를 쓰며 깨우치는
자율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말이라고 할 수 있다. 『맹자』 「공손추(公孫丑)」에서
맹자는 “반드시 (호연지기를 기르는 것을) 일삼음이 있으면서 효과를 미리 기대하지

738) 『周易』 无妄卦 「象傳」: 天下雷行 物與无妄 先王以 茂對時 育萬物.


739) 정병석 역주, 『주역』 상, 을유문화사, 2014, 414쪽 참조.
740) 『周易』 頤卦 卦辭: 頤 貞吉 觀頤 自求口實.
741) 『論語』 「述而」 제8장: 子曰 不憤不啓 不悱不發 擧一隅 不以三隅反則不復也.

- 188 -
말고, 마음에 잊지도 말며, 조장하지도 말아서 송(宋)나라 사람처럼 하지 말아야 한
다”742)고 말한다. 이는 호연지기 함양을 늘 염두에 두고 노력해야 하지만 그렇다고
성급하게 덤비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을 말하는 것이다.

742) 『孟子』 「公孫丑上」 제2장: 必有事焉而勿正 心勿忘勿助長也 無若宋人然.

- 189 -
Ⅶ. 결론(結論)

본 연구에서는 『주역』이 함축하고 있는 심오하고도 핵심적인 지혜인 시중(時中)을


리더십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서는 유가철학적(儒家哲學
的)인 방법과 아울러 사회인지이론(social cognitive theory)이나 리더십과 같은 사
회과학적(社會科學的)인 연구와 개념을 활용하였다. 또한 이전해경(以傳解經)의 관점
에 입각하여 『역전(易傳)』에 나타나 있는 리더의 시중하는 모습을 토대로 『역전』뿐만
아니라 『역경(易經)』의 내용도 고찰하였다. 『주역』의 경문(經文)과 전문(傳文)을 해석
함에 있어서는 의리주역(義理周易)과 상수주역(象數周易)으로 대별되는 『주역』의 연
구방법 중에서 의리주역에 기본적으로 의거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중 리더십과 관련되는 선행 연구, 특히 사회인지이론의 ‘삼원적 교호
(triadic reciprocality) 모델’을 토대로 ‘시중 리더십의 삼원적 교호 모델’을 구축하
였다. 이 모델에 따르면, 시중 리더십은 ‘리더가 합당한 행동을 하기 위해 상황 및
대상자(자신, 타인)와 부단히 상호작용하는 과정’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는 이러한 정의를 토대로 시중 리더십을 리더와 대상자 간의 상응 관계 및 리더와
대상자의 상황과의 관계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둘째, 『주역』에는 다양한 리더 유형이 등장하고 있다. 그들이 출현하는 경우를 『역
경』과 『역전』으로 나누어 보면 군자, 대인, 왕, 대군, 군, 기자, 천자 등은 『경』과
『전』 모두에서 언급되고 있다. 그에 비해 장인과 고종은 『경』에만 나타나고 있고 성
인, 선왕, 현인, 후, 왕공, 포희, 신농, 황제, 요, 순, 현, 상, 문왕 등은 『전』에만 보
이고 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주역』의 성인 개념이 『역전』이 형성된 전국 시기에 비
로소 정립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포희, 신농, 황제, 요, 순 또한 『역전』에 등
장함과 아울러 성인으로 추숭되기 시작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리더-대상자 간의 관계는 효위 간의 상응(相應) 관계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효위 간의 상응 관계는 초효와 삼효, 이효와 오효, 삼효와 상효 간의 상응 관계를 말
한다. 이 중에서 이효와 오효의 관계는 리더십 측면에서 특히 중시되는 관계라고 할
수 있다. 이효와 오효 간의 상응 관계는 다시 구오와 육이, 육오와 구이 간의 관계로
구분된다.

- 190 -
구오와 육이 간의 상응 관계는 기본적으로 강중의 리더와 유중의 하위자 간의 관
계이다. 그 상응 관계를 분석해본 결과 중정한 도로써 상응함, 천하의 대동을 위한
상응, 어려움 속에서의 상응, 개혁을 위한 상응 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러한 상
응 관계에서 리더가 갖추어야 할 덕목으로는 공평무사, 포용, 중정한 처신, 통솔력ㆍ
한결같음ㆍ바르고 확고함[元永貞], 덕성과 능력 겸비한 인재 발탁, 개혁주도능력 등이
추출되었다. 그리고 하위자의 덕목으로는 정도, 중정한 처신, 내적 역량 기름, 개혁주
도능력 등이 추출되었다. 한편, 개혁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①덕성과 능력 겸비한 개
혁 주체, ② 확고하면서도 점진적인 개혁, ③ 상황이 성숙했을 때의 개혁, ④ 국민
들의 확고한 신뢰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육오와 구이의 상응 관계는 기본적으로 유중의 리더와 강중의 하위자 간의 관계이
다. 그 상응 관계를 분석해본 결과 사제(師弟)로서의 상응, 전쟁 속에서의 상응, 태평
한 시대의 상응, 신뢰 속에서의 상응, 어려움 속에서의 상응 등으로 구분되었다. 이러
한 상응 관계에서 리더가 갖추어야 할 덕목으로는 결단력, 겸손, 신뢰, 위엄, 인재의
적재적소 등용, 중용, 부드러움 등이 제시되었다. 그리고 하위자가 갖추어야 할 덕목
으로는 교만하지 않음, 중도, 적극성, 추진력, 중직(中直) 등이 제시되었다.
넷째, 리더와 대상자의 상황과의 관계, 즉 합상황 관계는 크게 네 가지로 구분되었
다. 자연 운행에 따라 원칙적인 변화를 하는 상황, 위기 상황, 화합해야 하는 상황,
진보하는 상황이 바로 그들이다. 자연 운행에 따라 원칙적인 변화를 하는 상황은 다
시 건괘의 자연운행에 따르는 상황과 곤괘의 가려서 저장하는 상황으로 나누어진다.
위기 상황은 어려운 상황, 절제가 필요한 상황, 믿음이 필요한 상황, 제사를 지내는
상황, 그침과 행함을 판단해야 하는 상황, 결단하고 나아가야 하는 상황 등으로 구분
된다. 화합해야 하는 상황은 포용해야 하는 상황, 다른 사람들과 함께 하는 상황, 분
배하는 상황, 겸손해야 하는 상황으로 나누어진다. 진보하는 상황은 일이 순조로운
상황, 발전해 나가는 상황, 계몽하고 육성해야 하는 상황으로 구분된다. 각 상황에서
리더에게 요청되는 덕목으로는 자연의 운행원리를 준칙으로 한 조직 운영, 원칙을 지
킴, 무리하지 않음, 경륜과 덕망을 갖춘 인재 발탁, 위험 극복에 대한 믿음, 화합, 때
를 기다림, 중용, 인재의 발굴과 교육, 출처의 도리를 지킴, 적절한 절제, 진정성을
통한 신뢰 구축, 투명성, 지행(止行)의 상황 파악, 자기관리 및 가족관리, 정당성, 전
문가 발탁, 공정성, 포용과 타협, 겸손, 삼가는 자세, 폭 넓은 인재 기용, 위기 대비
등이 있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 191 -
첫째, 지금까지 리더십 연구는 리더에 초점을 맞추어온 것이 사실이다. 그렇지만
리더십이 제대로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리더와 뜻을 같이 하면서 리더를 보좌하
는 하위자나 협력자의 도움이 반드시 필요하다. ‘상응 관계에서 본 시중 리더십’을 통
해 리더-대상자 간의 상응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리더십의 발휘에 있어 상황 변수는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요소이다. 피들러
의 합상황 이론에서 상황 변수가 고려되기는 했으나,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상황을
고려한 리더십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졌다고 볼 수 없다. 시중 리더십에서는 상황을
전제로 해서 리더가 그 상황에 적합한 행동을 하는지 여부에 초점을 맞춘다. 따라서
리더십의 발휘나 그 연구에 있어서 상황 변수는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반드시 고려되
어야 할 요소임을 알 수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 추출된 리더나 대상자가 갖추어야 할 덕목들이 실제 조직 상황
에서 어느 정도 유의성(有意性)을 갖는지를 검증하는 사례연구나 실증연구가 축적된
다면 향후 조직의 리더십 교육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본 연구가 갖는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역』을 리더십 측면에서 다룬 연구, 특히 시중을 리더십 측면에서 다룬 연
구가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 이루어진 본 연구는 그 타당성이나 정합성
을 입증함에 있어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둘째, 시중 리더십을 삼원적 교호관계로 보고, 그 관계를 리더-대상자의 상응 관계
및 리더와 대상자의 상황과의 관계로 구분해 살펴보았다. 그렇지만 리더-대상자-상황
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동태적인 삼원적 교호관계에 대한 고찰은 자료의 한계로 인
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했다.
셋째, 시중 리더십과 관련해 주역에서 추출된 여러 상황들 및 그와 관련된 리더와
대상자의 덕목이 정부나 기업과 같은 조직에서 어느 정도 유의미한지를 판단할 수 있
는 사례들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다.
따라서 시중 리더십에 대한 향후 연구는 본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첫째, 『주역』을 시중 리더십 측면에서 다루는 연구가 활성화됨으로써 그 연구 방법
이나 내용의 타당성이나 정합성, 그리고 실용성이 검증될 필요가 있다.
둘째, 리더-대상자-상황이 상호작용하는 삼원적 교호 관계를 제대로 검증하기 위해
서는 시간적 흐름에 따른 교호 관계의 변화를 살피는 종단적 연구(longitudinal
research)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시중 리더십에 대한 횡단적

- 192 -
연구(cross-sectional research)와 함께 종단적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시중 리더십의 삼원적 교호 모델’이 조직의 리더십 교육에 활용되고 그 활
용사례가 축적됨으로써, 그 모델이 조직에서 갖는 유의성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 193 -
<참고문헌>

1. 원전

『書經』, 『周易』, 『禮記』, 『論語』, 『中庸』, 『孟子』, 『荀子』, 『道德經』, 『莊子』,


『世宗實錄』

2. 단행본

김석진, 『대산주역강의』 1, 한길사, 1999.


김승혜, 『유교의 시중과 그리스도교의 식별』, 성바오로딸, 2005.
박동수ㆍ이희영ㆍ정성한, 『조직행동』, 경세원, 2010.
박현모, 『세종의 수성(守成) 리더십』, 삼성경제연구소, 2006.
신정근, 『중용, 극단의 시대를 넘어 균형의 시대로』, 사계절, 2010.
심의용, 『세상과 소통하는 힘 주역』, 아이세움, 2007.
이익(李瀷), 「역경질서(易經疾書)」, 『한국주역대전, DB』, 성균관대학교, 2017.
정병석, 『주역과 성인, 문화상징으로 읽다』, 예문서원, 2018.
정영현, 『신뢰의 리더 세종의 정치와 리더십』, 북랩, 2012
高悔民, 『先秦易學史』, 台北, 自行出版, 民國 79年.
顧頡剛 編著, 『古史辨』 第一冊,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1981.
屈萬里, 『先秦漢魏易例述評』, 臺北: 學生書局, 1985.
閔建蜀, 『易經的領導智慧』, 北京: 生活ㆍ讀書ㆍ新知 三聯書店, 2013.
徐復觀, 『中國人性論史』 先秦篇, 上海三聯學術文庫, 2001.
徐中舒 主編, 『甲骨文字典』, 四川辭書出版社, 2006.
嚴靈峯, 『無求備齋: 易經集成』 第119冊, 惠棟, 「易尙時中說」, 『易漢學』 卷7, 台北:
成文書局, 1976.
余敦康, 『周易現代解讀』, 北京: 華夏出版社, 2006.
呂紹綱, 『周易闡微』, 吉林: 吉林大學, 1990.

- 194 -
吳澄, 『易纂言』 卷一.
王夫之, 『讀通鑒論』.
王植 輯, 『珍本皇極經世書』, 臺北: 武陵, 1996
牛鈕等 撰, 『日講易經解義』.
熊十力, 『讀經示要』, 台北, 廣文書局, 1972.
劉澤華 主編, 『中國傳統政治思維』, 吉林敎育出版社, 1991
李道平, 『周易集解簒疏』.
程頤, 『伊川易傳』.
『程氏經說』 卷一.
丁原明, 『橫渠易說導讀』, 齊魯書社, 2004.
鄭玄, 『易贊』.
左丘明, 『春秋左傳』
朱炳祥, 『伏羲與中國文化』, 武漢: 湖北敎育出版社, 1997.
朱熹, 『周易本義』.
馮友蘭, 『中國哲學史新編』 Ⅱ, 北京: 人民出版社, 1986.
이마이 우사부로(今井宇三郞), 『易經』 上, 明治書院, 1964.
Bandura, A., Social learning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1977.
Bandura, 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6.
Burns, D. D., Feeling good: The new mood therapy, New York: William
Morrow, 1980.
Deci, E. L., Intrinsic motivation, New York: Plenum, 1975.
Deci E. L., & Ryan, R. M.,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New York: Plenum, 1985.
Durkheim, E., Elementary forms of religious life, Trans by K. E. Fields,
New York: Free Press, 1995.
Ellis, A., Humanistic Psychotherapy, New York: McGraw-Hill, 1973.
Ellis, A., A new guide to rational living,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75.
Luthans F., & Kreitner, R., Organizational behavior modification and

- 195 -
beyond, Glenview, IL: Scott-Foresman, 1985.
Manz, C. C., The art of self-leadership: Strategies for personal
effectiveness in your life and work,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3.
Manz, C. C., Mastering self-leadership: Empowering yourself for
personal excellence,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92.
Sims, H. P., & Lorenzi, P., The new leadership paradigm: social learning
and cognition in organizations, Newbury Park, CA: Sage, 1992.
Skinner, B. F., Contingencies of reinforcement: A theoretical analysis, New
York: Appleton-Century-Crofts, 1969.
Skinner, B. F., About behaviorism, New York: Knopf, 1974.

3. 번역ㆍ역주서

김석진, 『주역전의대전역해』 상, 대유학당, 2000.


김석진, 『주역전의대전역해』 하, 대유학당, 2000.
김학주, 『순자』, 을유문화사, 2019.
성백효 역주, 『주역전의』 상, 전통문화연구회, 2001.
이기동 역해, 『주역강설』 상,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97.
이기동 역해, 『주역강설』 하,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97.
이기동 역해, 『맹자강설』,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7.
정병석 역주, 『주역』 상, 을유문화사, 2014.
정병석 역주, 『주역』 하, 을유문화사, 2015.
『주역언해』 선조본.
최환 옮김, 『묵자』, 을유문화사, 2019.
高懷民, 정병석 역, 『주역철학의 이해』, 문예출판사, 2004.
林忠軍, 『周易鄭氏學闡微』, 손흥철ㆍ임해순 옮김, 『정현의 주역』, 예문서원, 2021.
黃壽祺ㆍ張善文, 『周易譯註』, 上海古籍出版社.
左丘明, 신동준 역주, 『國語』, 인간사랑, 2017.
馮友蘭, 박성규 옮김, 『중국철학사』 상, 까치글방, 2004.

- 196 -
Durkheim, E., 민혜숙ㆍ노치준 옮김, 『종교생활의 원초적 형태』, 한길사, 2020.
Eliade, M., 이윤기 옮김, 『샤마니즘: 고대적 접신술』, 까치, 2021.
Freud, S., 이윤기 옮김, 『종교의 기원』, 열린 책들, 2020.
Jung, C. G., 이윤기 옮김, 『인간과 상징』, 열린 책들, 1996.
Smart, N., 윤원철 옮김, 『세계의 종교』, 예경, 2004.

4. 논문

곽신환, 『주역의 자연과 인간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7.
, 「주역의 변통과 개혁사상」, 『유교사상연구』 제29집, 한국유교학회, 2007.
권호용, 「주역 구덕괘의 원의 분석」, 『동서철학연구』, 한국동서철학회, 2017.
김석완, 「고대 중국인의 우환의식과 하이데거의 염려 개념의 교육학적 의미 비교」,
『교육사상연구』, 제32권 제2호,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8.
김연재, 「주역 구괘덕목에 나타난 우환의 역도와 수양론의 강령」, 『양명학』 제19집,
한국양명학회, 2007.
김연재, 「주역의 생태역학과 그 생명의식」, 『아태연구』 제18권 제3호, 경희대학교아
태지역연구원, 2011.
김연재, 「변화의 세계에 대한 주역의 조망과 창조적 소통」, 『유교사상문화연구』 제54
집, 한국유교학회, 2013.
김연재, 「천도의 패러다임에서 본 주역의 성인정신과 그 인문주의적 세계」, 『중국학
보』, 제71집, 한국중국학회, 2015.
김연재, 「주역의 변통적 시중관과 인간경영의 지혜」, 『대동철학』 제77집, 대동철학회,
2016.
김흥규, 『주역에 나타난 인간연구』, 동아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2.
남상호, 「주역과 공자인학」, 『범한철학』 제28집, 범한철학회, 2003.
문재곤, 「한초 황로학에 대한 일고찰」, 『철학연구』 제11집, 고려대학교 철학회,
1986.
선우미정, 「주역의 우환의식에 관한 고찰」, 『동양철학연구』 제37집, 동양철학연구회,
2004.

- 197 -
송인창, 「주역에 있어서 감통의 문제」, 『주역연구』 제3집, 한국주역학회, 2000.
심귀득, 『주역의 생명관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6.
엄연석, 「주역에서 상과 의미의 우연적 계기와 필연적 계기」, 『종교와 주역사상』(한
국주역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집), 한국주역학회, 2003.
윤내현, 「천하사상의 시원」, 전해종 외, 『중국의 천하사상』, 민음사, 1988.
윤상철, 『역경의 천인합일관 연구』, 성균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이규희, 「주역에서의 시중지덕에 대한 고찰」, 『민족문화』 제50집, 한국고전번역원,
2018.
이근용, 「주역의 시중 사상이 현대 네트워크 사회에 갖는 함의」, 『동양고전연구』 제
37집, 동양고전학회, 2010.
이상임, 「‘판단의 한 과정’의 측면에서 본 주역의 ‘기미’」, 『동양철학』 제30집, 한국동
양철학회, 2009.
이상호, 「주역에서의 시중의 문제」, 『동양철학연구』 제39집, 동양철학연구회, 2004.
이선경, 「선진유가에 있어서의 시중의 문제」, 『동양철학연구』 제55집, 동양철학연구
회, 2008.
이승환, 「성의 기호학」, 『유교문화와 기호학』, 도서출판 월인, 2003.
이시우, 「변역의 도와 우환의식의 관계 고찰」, 『동서철학연구』 제66호, 한국동서철학
회, 2012.
이완재, 「역학적 인식과 표현방법에 관하여」, 『주역의 현대적 조명』, 한국주역학회,
범양사, 1992.
이용필, 「자기조직하는 우주」, 『과학사상』 제17호, 범양사, 1996.
이희영, 『셀프리더십과 개인성과의 관련성』, 영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6.
이희영, 「『주역』 괘사에서 만나는 시중 리더십」, 『숙명리더십연구』 제5집, 숙명리더
십개발원, 2007.
임채우, 「주역 음양 관계론의 정합성 문제: 음양대대와 부양억음의 논리적 상충 문제
를 중심으로」, 『동서철학연구』 제72호, 한국동서철학회, 2014.
전기호, 『주역 구덕괘를 통한 우환의 극복에 관한 연구』, 대구한의대학교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20.
정병석, 「『역경』 상징체계의 함의」, 『주역의 현대적 조명』(한국주역학회 편), 범양사,
1992.
정병석, 「유가의 우환의식과 현대의 위기」, 『인간과 사상』 제6집, 영남동서철학연구

- 198 -
회, 1994.
정병석, 「주역의 관」, 『철학』 75, 한국철학회, 2003.
정병석, 「주역의 삼재지도와 천생인성」, 『유교사상연구』 제24집, 한국유교학회,
2006.
정병석, 「역전의 성인사관과 문명발전」, 『동양철학연구』 제52집, 동양철학연구회,
2007.
정병석, 「역전의 천지인 제등관과 성인」, 『대동철학』 제77집, 대동철학회, 2016.
최영진, 『역학사상의 철학적 연구』, 성균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9
최영진, 「『주역』 – 주역의 도와 음양대대의 원리」, 네이버 지식백과.
최정묵, 「주역적 관점의 자연과 인간」, 『철학논총』 제51집 제1권, 새한철학회, 2008.
高明, 「易經的憂患意識」, 『憂患意識的體認』, 文津出版社, 1988.
鄭開, 「聖人爲何?-以『易傳』的討論爲中心」, 『周易文化硏究』 第4輯, 社會科學文獻出
版社, 2012.
奚彦輝, 「中國“人文化成”的思想政治敎育意蘊」, 『貴州師範大學學報』.
Bandura, A., The self system in reciprocal determinism, American
Psychologist, 33, 1978.
Day, W. F., Jr., On the behavioral analysis of self-deception and
self-development, In T. Mischel (Ed.), The self: Psychological and
philosophical issues, Oxford: Blackwell
Locke E. A., & Latham, G. P., Work motivation and satisfaction: Light at
the end of tunnel, Psychological Science, 1, 1990.
Manz, C. C., Self-leadership: Toward an expanded theory of self-influence
processes in organization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1,
1986.
Manz, C. C., & Sims, H. P., Self-management as a substitute for
leadership: A social learning perspectiv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5, 1980.
Neck, C. P., Thought self-leadership: The impact of mental strategies
training on employee cognitions, behavior, and emotions, Doctoral
dissertation, Arizona State University, 1993.

- 199 -
Ph. D. Thesis

‘Shizhong’ Leadership in Zhouyi

Yi, Hee-Yeong

Department of Philosophy
Graduate School
Yeungnam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Jung, Byung-Seok)

Abstract

‘Shizhong’ is a key wisdom that runs through Zhouyi. In this study,


‘Shizhong’ was considered in terms of leadership. ‘Shizhong’ is the most
important virtue that leader should has. In this study, not only the
Confucian philosophy methodology but also the social science methodology
were used.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Based on the ‘triadic reciprocality model’ of social cognitive theory, the
‘triadic reciprocality model of ‘Shizhong’ leadership’ was constructed.
According to this model, ‘Shizhong’ leadership can be defined as ‘the
process by which leader constantly interact with situation and subject(self,
others) to perform a reasonable behavior.’ Based on this definition,
‘Shizhong’ leadership was divided into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tween leader and subject, and the relationship of leader and subject to

- 200 -
situation.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tween leader and subject was
considered centering on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ifth
nine and the second six, and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ifth six and the second nine. In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ifth nine and the second six, the virtues of leader were fairness,
tolerance, talent selection with both virtue and ability, and reform-led
ability. And the virtues of follower were correctness, fairness, internal
competence, and reform-led ability. In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ifth six and the second nine, the virtues of leader were
determination, humility, trust, dignity, the right man in the right place,
moderation, and mildness. And the virtues of follower were not haughty,
fairness, initiative, driving force.
The relationship of leader and subject to situation was largely divided
into four. They are the situation that change according to the cycle of
nature, crisis situation, the situation that need to be harmonized, and
progressing situation. In each situation, leader and subject are asked to
manage an organization based on the principles of nature, to follow
principles, to select talented people with experience and virtue, to
overcome risks, to harmonize, to find and educate human resource, to
self-regulate in the proper way, to build trust through authenticity, to
transparentize, to understand the situation that stop and do, to manage
self and a family, to justify, to select experts, to fair, to tolerate and
compromise, to modest, to refrain, to wide recruit of talented, and to
prepare for crisis.

- 201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