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found this document useful (0 votes)
309 views43 pages

OM 기말기출정리 - 0613수정 - 240329 - 135720

한양대 om 기말고사 기출

Uploaded by

ted5410
Copyright
© © All Rights Reserved
We take content rights seriously. If you suspect this is your content, claim it here.
Available Formats
Download as PDF, TXT or read online on Scribd
0% found this document useful (0 votes)
309 views43 pages

OM 기말기출정리 - 0613수정 - 240329 - 135720

한양대 om 기말고사 기출

Uploaded by

ted5410
Copyright
© © All Rights Reserved
We take content rights seriously. If you suspect this is your content, claim it here.
Available Formats
Download as PDF, TXT or read online on Scribd
You are on page 1/ 43

OM 기말기출정리

#오엑스,빈칸

<설비배치>

<수요예측>

1. 증가하는 추세(trend)가 있는 자료에 대해 단순이동평균법을 이용하여 수요예측을 할 겨우 실제치보다 작은


값을 예측하는 경향이 있다.

2. Simple moving average 에서는 parameter 인 m 값이 클수록 simple exponential smoothing 방법(trend 와
seasonality 를 고려하지 않음)에서는 smoothing constraint 인 α 값이 작을 수록 평활효과를 크게 한다.

3. 감소하는 추세의 시계열 자료에 대해 simple moving average 를 이용하여 수요예측을 할 경우 실제치보다
작은 값을 예측하는 경향이 있다.

X : FCT 19p. 오른쪽 상단 박스 아래 “When there is a trend overesti

mate parameters with a decreasing trend”

4. Arithmetic average method is good in smoothing random effects, but not good in trend.

5. 일반적으로 aggregate forecast 가 detailed forecast 보다 정확하다.

6. Causal forecasting 에서 수요는 independent variable 에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dependent
variable 들에 대응한다.

X : FCT 10p. 수요=종속변수,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독립변수.

7. In general, simple moving average is appropriate when there is random variation, while double moving average
is appropriate when there are trend, random variation, and seasonality.

X : Forecasting 19p double 에 대한 언급은 있지만 빠진 내용임. Seasonality 를 반영할 수 없어서 틀린 문장

8. In the exponential smoothing trend, large smoothing constant α results in higher weight to recent demands.

9. The executive option obtains forecasts complied from the people estimates of future demands made
periodically by members of a company’s sales force rather than precise mathematical models.

X : Forecasting 8p salesforce estimates (판매원 추정)에 대한 설명이다.


10. Causal forecasting, which is appropriate for mid-term and short-term forecasting, predicts a future parameter
as a function of other parameters.

X : Forecasting 7p 필기: causal forecasting 은 중장기 계획, time-series forecasting 은 중단기 계획에 적합함

11. 예측 오류를 측정하는 방법들 중 cumulative sum of forecast error(CFE)는 주로 bias 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12. In the sales force estimates, forecasting is done from summarizing the opinions, experience, and technical
knowledge of one more managers

X : Sales force estimates(판매원 추정)이 아니라 Executive opinion 의 설명이다.

*13. In simple linear regression based causal forecasting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illustrates how
much of the total variation in the dependent variable is explained by the independent variable.

O ( 이거 dependent, independent 순서 조심)

14. Demand forecasting provides basic data for various (decision making) of enterprises and aid in determining
what resources are needed and (scheduling) existing resources.

-------------18

*15. 예측 오류를 측정하는 방법들 중 cumulative sum of forecast error(CFE)는 음의 값을 가질 수 있다.

16. Among qualitative forecasting methods, (Historical analogy) forecasts based on the data for similar previous
products.

17. Double moving average 수식으로 설명?

*18. Among qualitative forecasting methods, market research is a systematic method to determine external
consumer interest in a service or product by creating and testing hypotheses through data-gathering surveys.

<총괄계획>

1. In the basic aggregate planning model, changing the right hand side of nonbinding constraint does not affect
the optimal solution.

2. 변화하는 수요에 대처하는 기본전략에는 미숙련작업이나 일상적인 일에 적합한 추종전략(chase strategy)과


숙련작업이나 복잡한 일에 적합한 평준화전략(level strategy)이 있고, 양쪽을 혼합 적용한 혼합전략(mixed
strategy)이 있다.

O. (+ 외주전략까지 알아둬야함)

3. Basic aggregate planning 모형에서 binding constraint 의 우변항을 증가시키면 목적함수 값이 해당 binding
constraint 의 쌍대변수(dual variable) 값에 해당하는 shadow price 만큼 항상 증가한다.
X : AP 26p times the size of increase 만큼 증가하므로

4. Reactive alternatives (in aggregate planning) construct aggregate plans by actions that can be taken to cope
with demands, such as complementary products or services, creative pricing, etc.

X : AP 9p 뒷부분 예시가 aggressive alternative 에 관한 설명

5. In aggregate planning, aggressive alternatives, such as complementary products or services, creative pricing,
etc., are the actions that attempt to modify demand and consequently, resource requirements.

6. In aggregate planning (reactive) alternatives are the actions that can be taken to cope with (demand)
requirements, while (aggressive) alternatives, which include complementary products or services, creative (pricing),
are the actions that attempt to modify (demand).

7. In aggregate planning, aggressive alternatives, such as complementary products or services, creative pricing,
workforce adjustment, subcontractors, etc.. are the actions that attempt to modify demand and consequently,
resources requirements.

X : 예시가 맞지 않음. workforce adjustment, subcontractors 는 reactive alternatives 이다.

<MRP>

1. MRP 의 기본적인 output 으로는 firm planned order, change notices, exception report 가 있다.

X : firm planned order 대신 planned order release

2. MRP 의 item master file 은 BOM(bill of material), lot sizing rule, planning lead time 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3. MRP2 framework 에서 resource planning, master production scheduling, material requirement planning 은
중기계획(intermediate)에 해당한다.

X : resource planning 은 장기계획에 포함됨

5. MRP II 에서 job release 는 MRP 의 planned order release 를 scheduled receipt 으로 변경하는 것을 의미한다.

6. MRP 의 system nervousness 를 줄이기 위한 frozen zone 은 MRP calculation 이후에 시행한다.

X : MRP calculation 전에 시행한다.

7. Adjusted scheduled receipts in MRP are recorded in the exception report.

X,
8. The basic idea of part period balancing is to balance inventory holding cost and setup cost while satisfying the
Wagner-Whitin property.

9. In the MRP II hierarchy, demand management performs the process of converting the long-term aggregate
forecast to a detailed forecast while tracking individual customer orders.

O.

10. Material requirement planning evolved from the recognition of the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aggregate demand and part from the final product. However, MRP has several problems, three of the most serve
were (a) capacity infeasibility of MRP schedule; (b) Long planned lead times; and (c) system nervousness.

11. Beyond simply addressing deficiencies of MRP, MRP2 also brought together other functions to make a truly
integrated manufacturing management system, the additional functions subsumed by MRP2 included demand
management, forecasting, capacity planning, master production scheduling, rough cut capacity planning, capacity
requirement planning, dispatching, and input/output control.

12. MRP2 에서 capacity requirement planning 은 bill of resource 를 이용하여 master production schedule 의
feasibility 를 검토하는 기법으로 모든 공정에 대한 load profile 정보를 준다.

X : Rough-cut capacity planning 에 대한 설명

13. MRP2 에서 job release 는 MRP 입장에서 scheduled receipt 을 planned order release 로 변경하는 것을
의미한다.

X : Planned order release 를 scheduled receipt 로 변경함.

14. MRP 에서 change notice 란 계획단계, exception report 란 실행단계에서의 output 이다.

15. Firm planned order 란 MRP 에 의해 생성된 planned order receipt 의 일부분을 고정시켜 생산계획의 빈번한
변화를 피하고자 하는 방법을 말한다.

X : planned order receipt 아니고 planned order release 임

16. A scheduled receipt in MRP is a planned order release that has actually been released.

17. A firm planned order in MRP is planned order release that is held fixed. That is, it will be released regardless
of changes in the system.

18. Adjusted scheduled receipts in MRP are recorded in the change notices.
O

19. The basic idea of part period balancing is to balance setup and inventory holding costs while satisfying the
zero Inventory property.

20. In MRP, ( Change notices ) are modifications of existing jobs, such as changes in due dates or priorites.
Moving a due date earlier is called ( Expediting ) while making a due date later is known as ( Deferring ).

21. In the MRPⅡ hierarchy, an important output of ( Resource planning ) is projected available capacity over the
long-term planning horizon.

24. 종속수요(dependent demand)는 일반적으로 불확실하며 수요예측을 통해 추정을 한다.

X : MRP 4p independent 에 대한 설명이다

25. MPR 에서 lot sizing rule 적용 시 완제품의 경우 lot-for-lot 방법을 하위 부품의 경우 fixed order period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system nervousness 줄일 수 있다.

26. In MRP ll, rough-cut capacity planning is used of a few critical resources to ensure the feasibility of MRP-
generated production plans.

X : MRP-generated production plans 가 아니라 master production schedule 이 들어가야한다.

*27. 제품구조에 기반을 둔 재고의 분류에서 완제품을 독립수요하고 하며 일반적으로 보충(replenishment)의


개념을 완제품의 생산에 필요한 원자재, 부품, 부분조합물 등을 종속수요하고 하며 일반적으로
소요(requirement)의 개념이 적용된다.

O (완제품, 독립, 보충 /// 부품, 종속, 소요)

29. In the MRPll hierarchy, demand management is the process of converting the long-term aggregate( forecast )
to a detailed ( forecast ) while tracking individual ( customer orders ).

-------------18

*30. In the MRP procedure, lot sizing is the step that calculates planned order receipts using net requirements.

(아마 o)

*31. In MRP ll, rough-cut capacity planning is a quick capacity check of a few critical resources to ensure the
feasibility of MRP

(X- MRP 가 아니고 MPS: Master production schedule 이다. )

<TPS>

1. Push production control system 은 customer due dates 에 직접적으로 대응하며 pull production control
systems 은 생산시스템의 변화에 직접적으로 대응한다.

O
2. JIT 에서 external setup 은 기계가 정지했을 때 발생하는 setup task 를 의미하며 반면 internal setup 은 기계가
가동 중에 수행할 수 있는 setup task 를 말한다.

4. Toyota system 은 setup 을 줄이기 위하여 internal setup 을 external setup 으로 변경하도록 유도한다.

5. Autonomation in Toyota production system, which implies quality first and output second, has the meaning
that workers automatically detect problems.

6. Order release are scheduled in pull production control systems, while they are authorized in push production
control systems.

X : TPS 8p. pull->authorzed, push->scheduled

7. Toyota production system has some key insights that can be described as follows; (a) the production
environment itself is a control; (b) controlling WIP is important; (c) Quality can come first; (d) continual
improvement is a condition for survival and so on.

8. Toyota production System 의 핵심개념인 Autonomation 은 Production Quantity Control 과 관련이 있다.

X : Quality Assurance 와 관련 있음. Production Quantity Contol 은 Just In Time.

9. Order releases are authorized in pull production systems, while they are scheduled in push production systems.

10. Toyota production system tries to eliminate unnecessary inventories and decrease inventory turnover using
the concept of just in time production.

X : Increase inventory turnover 임.

11. Toyota production system tries to eliminate unnecessary inventories and increase inventory turnover using the
concept of just-in-time production.

O TPS 8p capital turnover 가 증가한다고는 되어 있지만 재고회전률이 명확한 명시가 없어서 애매,, 맞는 것
같기는 하다

13. Order releases are ( authorized ) in pull production control systems, while they are ( scheduled ) in push
production systems.

<일정계획>

1. Two machine flow shop 에서 makespan 을 최소화하는 문제에서는 permutation schedule 이 nonpermutation
schedule 보다 우수하다.
X

2. In the basic single machine scheduling, maximum lateness is minimized by SPT sequencing

X : Earliest due date(EDD) sequencing.

3. Johnson’s problem (two machine flow shop scheduling with makespan measure)에서는 permutation
schedule 들 중 하나가 항상 최적해이다.

4. The basic parallel machine scheduling problem that minimizes mean flow time can be regarded a type of the
binpacking problem.

X : OS 21p. minimizes mean flow time -> minimizes makespan

5. 일정계획을 위한 dispatching rule 중 CR(critical ratio)의 경우 그 값이 0 보다 작으면 이미 늦은 작업을


의미한다.

6. In the basic single machine scheduling problem, the maximum tardiness is minimized by the EDD(earliest due
date) rule.

7. Scheduling 문제의 주요한 평가기준인 makespan, mean flow time, mean tardiness, mean earliness 는 임의의
job 의 completion time 이 증가하면 그 값이 증가한다.

X : Cj 증가하면 Lj 는 늘어나지만 mean earliness 는 max{0, -Lj}이기 때문에 max 가 0

Makespan 만 물어보면?

8. In basic single machine scheduling, the total flow time can be minimized by the SPT (shortest processing time)
sequencing.

O (total waiting time, WIP 도 됨)

9. In the basic parallel machine scheduling problem, the LPT (longest processing time) algorithm gives the
minimum makespan.

10. Job shop scheduling 을 위한 CDS(Campbell, Dudek, and Smith) algorithm 은 Johnson's rule 을 기반으로 하는
heuristic 이다.

11. Scheduling 문제의 주요한 평가기준인 makespan, mean flow time, mean tardiness 는 임의의 job 의
completion time 이 증가하면 그 값이 항상 같거나 증가한다.

O
12. For the basic parallel machine scheduling that minimizes the total flow time, the SPT (shortest processing
time) rule gives the optimal schedules.

13. Gantt progress chart displays the loads on resources and the non-production time.

X : Gantt progress chart 가 아니라 Gantt workstation chart 임.

14. In the scheduling problems, tardiness is defined as the amount of time by which the completion time of job
exceed its due date.

X : Lateness 의 설명이다.

15. In the basic single machine scheduling problem, The mean flow time is minimized by the (STP(Shortest
processing time) sequencing and the maximum job lateness is minimized by (EDD(Earliest due date)) sequencing.

16. In scheduling theory, ( Lateness ) is defined as the amount of time by which the completion time of a job
exceeds its due date.

*17. In the basic single machine scheduling problem, the total lateness is minimized by the shortest processing
time sequencing and the maximum tardiness is minimized by the earliest due date sequencing.

Total flow time, mean lateness = SPT (shortest processing time)

Maximum lateness/tardiness = EDD (earliest due date)

Makespan = LPT (longest process time)

*18. PMBOK 의 project integration management process 중 프로젝트 착수 프로세스에서 프로젝트 업무의 전체
범위를 설정하고 목표를 설정함과 동시에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일련의 활동을 정의한 프로젝트 관리계획
수립한다.

X : 프로젝트 계획수립 프로세스이다.

Initiating(착수) : 정의, 통합관리 프로세스

Planning(계획수립) : 목표, 프로젝트관리계획 수립

Executing(실행) : 작업종료, 인력 및 자원 조정

Controlling(감시 및 통제) : 문제식별,시정조치, 관찰 통제

Closing(종료 및 평가) : 종결, 결과 평가

<재고관리>

1. 일반적으로 continuous review 모형은 order quantity 가 일정하고 order cycle 이 변화하며 periodic review
모형에 비해 낮은 수준의 안전재고(safety stock)를 가진다.
O

2. EOQ 모형의 적용방법인 power of 2 는 주문량을 2𝑛 에 맞추어 결정하는 방식이다.

3. Backstock 모형에서 optimal fill rate 은 backorder cost 에 대해서는 감소 함수이고 inventory holding cost 에
대해서는 증가함수이다.

X : IM 43p. backorder cost 에서 증가함수, inventory holding cost 에서 감소함수.

*4. (Q, r) 모형에서 inventory holding cost 가 증가하면 주문량 Q 와 재주문점 r 값이 감소한다.

5. 경제적 주문량(economic order quantity)모형의 key insights 에서 가장 대표적인 항목은 “작업준비 비용이나
수요가 증가하면 최적 주문량은 증가분의 제곱근만큼 감소하는 반면 재고 유지비용이 증가하면 최적 주문량은
증가분의 제곱근만큼 증가한다”이다

X : 반대임.

*6. EOQ 를 확장한 모형들 중 backorder 를 고려한 EOQ with backorder 모형에서 backorder cost 가 0 에
수렴한다면 모든 item 을 backorder 로 두는 것이 최적이 된다. (단, inventory holding cost 는 양의 값을 가짐)

이는 재고비용이 계속해서 감소하는 음수 값을 가지기 때문이다.

O? 재고비용이 계속해서 감소하는 음수 값을 가지는게 무슨 말이죠…

7. Base stock model 에서 on hand inventory 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며 이를 base stock 이라고 부르며, (Q,
r)모형(EOQ 와 base stock 모형으로 근사)에서 Inventory holding cost 가 감소하면 optimal order quantity 는
증가하나, reorder point r 은 감소한다.

X :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은 inventory position

8. Continuous review 모형은 ordering quantity 가 일정하고 ordering cycle 이 변화하며 같은 상황에서 periodic
review 모형에 비해 일반적으로 높은 수준의 안전재고(safety stock)를 가진다.

X : 낮은 safety stock

9. Backorder 를 고려한 EOQ 모형은 Backorder 를 고려하지 않는 EOQ 모형에 비해 주문량은 감소한다. (단,
backorder 비용이 양수이며 다른 자료는 동일)

O..?

10. EPQ(economic production quantity)모형에서 주문간격은 fixed setup (ordering) cost 에 비례하나 inventory
holding cost 에는 반비례한다.

11. Newsboy 모형에서 단위당 overage cost 가 단위당 shortage cost 보다 클 경우 수요의 표준편차가 커질수록
주문량이 감소하게 된다. (단, 수요는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한다.)

O: 𝑄∗ = 𝑢 + 𝑧 ⋅ 𝜎 인데 overage 가 shortage 보다 크면 z 가 음수임


12. EOQ 모형에서 backorder 를 고려하면 EOQ 모형에 비해 주문량은 증가하지만 평균재고는 감소된다.
(backorder 비용이 양수이며 다른 자료 값은 동일)

X : 주문량 감소함

13. EPQ 모형에서 주문 간격은 fixed setup(ordering )cost 에 반비례하나 inventory holding cost 에는 비례한다.

X : 반대임

15. EOQ 모형에서 주문빈도(ordering fresequency)는 fixed setup(ordering)cost 에 비례한다.

X : 반비례한다.

16. In the base stock system, we monitor inventory continuously and place a replenishment order every time the
( on-hand inventory ) drops to the reorder point

#설명

<설비배치>

Ranked positional weight methods for assembly line balancing 절차

<수요예측>

1. Forecasting 방법의 분류

크게는 정성적 방법(qualitative method)과 정량적 방법(quantitative method)을 나뉘고 정량적 방법은 인과형
모형(causal forecasting)과 시계열 분석법(time-series forecasting) 으로 나뉜다.

2. Laws of forecasting(3 가지)

Forecasts are always wrong

Detailed forecasts are worse than aggregate forecasts

The further into the future, the less reliable the forecast will be.

3. Multiplicative seasonality factor in Winters method

𝑁
c(i)=A(i)/∑𝑖=1(𝐴(𝑡)/𝑁)

4. Time-series forecasting – basic structure 및 기법 (trend 및 seasonality 고려를 명시할 것)

- Basic structure :
- 기법 :

1) Last period demand : trend 만고려 /Arithmetic average : random 만 고려

2) Moving average : random 만 고려

3) Exponential smoothing : without trend(random 만 고려)/ with trend(random, trend 고려)

4) Winters method : random, trend, seasonality 모두고려

5. factors affecting demand (2 가지 이상)

6. Tracking signal

예측기법이 실제수요변화를 정확히 예측하고 있는지 나타내는 지표, 예측오차가 관리상태를 벗어나는지 관리도
𝑡
𝐶𝐹𝐸𝑡 ∑𝑡=1(𝐴(𝑖)−𝑓(𝑖))
상에 추적. → TS(t) = =
𝑀𝐴𝐷𝑡 𝑀𝐴𝐷𝑡

7. Causal forecasting : 기본 아이디어와 접근방법

기본 아이디어 : Explain the behavior of an uncertain future demand in terms of other observable or predictable
parameters.

접근방법 : Estimation of function f(Y=f(X1,X2,….,Xn)

Y: demand(dependent variable) X: parameters(independent variables) ,

Regression analysis ( Simple (n=1) and Multiple(n>1), Linear and Nonlinear

8. Forecasting method: historical analogy


역사적 유추법 Forecasts based on the data for similar previous products.

9. salesforce estimate forecasting method 방법 및 단점 2 가지

미래 수요량을 수학적 모델보다는 회사 판매원들에 의해 추정함,

단점: individual biases of the salesperson, 실적을 위해 목표를 낮게 잡음

10. additive seasonality, multiplicative seasonality 의미 및 비교

Additive : 계절 변동치가 일정, multiplicative : 추세치에 대해 계절 변동치가 비례적으로 달라짐, multiplicative 가


더 좋음 200 에서의 20, 100 에서의 20 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총괄계획>

1. Aggregate planning 을 하는 이유

자재 수급 계약 체결을 위해 공급자와 논의하기 위해서, 외주 계약을 체결하기 위해서, 마케팅에 활용하기


위해서

2. Transportation model for aggregate planning basic idea

가정: 단일제품, 일정한 인력수준

목적함수: 총 비용을 최소화하는 목적함수

제약조건: capacity 와 demand requirement

결정변수: 정규근무생산량/ 초과근무 생산량/ 재고와 부재고의 양/외주량

3. Aggregate planning 을 위한 transportation model – basic idea 및 formulation

총괄계획 41 페이지 알아두기..,,,,,

4. Chase and level strategies in aggregate planning 의미 및 장단점

Chase :

수요의 증감에 따라 생산량을 변경하는 전략

고용수준 변경과 근무를 조정하여 생산능력 변경함

재고와 납기지연 비용을 최소화

고용수준 또는 생산율 변경 비용 발생

Level :

생산 수준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전략

미리 생산하여 비축한 재고나 납기지연으로 수요를 충족함

재고유지, 납기지연 재고고갈 비용이 발생

고용수준, 생산율 변경 비용 없음
5. Linear programming approach for aggregate planning: shadow price 의 의미

Increasing(decreasing) the right hand side of a binding constraint will increase(decrease) the objective by an
amount equal to the shadow price times the size of increase(decrease), provided that the increase(decrease) is
smaller than the allowable increase(decrease).

<MRP>

1. Pegging in MRP

계획하는 사람(planner)이 주어진 POR 을 만드는 수요의 원인을 파악할 때 사용하는 기법

3. independent demand 와 dependent demand 의 차이점(2 가지 이상)

independent demand 는 inventory model 을 이용하고 dependent demand 는 MRP 를 이용한다. 또한


independent demand 는 forecasting 을 통해 추정하지만, dependent demand 는 independent demand 로부터
계산하여 추정한다.

4. MRP 에서 system nervousness – 의미 및 감소방안 두 가지 이상

의미 : small change in master production schedule results in a large change in planned order releases

감소방안 : proper use of lot sizing, frozen zone(=time fence), Firm planned order

5. Bottom-up replanning in MRP

TroubleShooting 의 한 종류로 planned over release 를 역추적으로 찾는 pegging 에 기반한 계획 수정 방법이다.

6. MRP II (manufacturing resource planning) framework 을 그림으로 설명하시오. (구성요소에 대한 간단한 설명


및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화살표로 정확하게 그릴 것.)

- resource planning : capacity requirements over long-term

- long-term forecast : forecast for part families

- demand management : Converting the long-term aggregate forecast to a detailed forecast while tracking
individual customer orders
- Rough-cut capacity planning : Quick capacity check of a few critical resources to ensure the feasibility of master
production schedule

- capacity requirement planning : Detailed capacity check on MRP generated production plan

- Job release : Converts planned order releases to scheduled receipts

- Job scheduling : Allocation of resources over time to perform a collection of tasks

- Input/Output control : Keep lead times

7. MRP 의 basic procedure 에 대해 간략히 설명

Netting : net requirement 를 결정하는 것.

Lot sizing : netted demand 를 적절한 lot size 로 나누어 작업을 구상하는 것.

Time phasing : 작업의 시작시간을 결정하는 것.

BOM explosion : 다음 레벨에서 필요한 요구 사항 생성

8. MRP 와 MRP2 의 기본 아이디어 및 차이점을 설명

MPR 는 Material Requirement Planning 으로 제품 생산에 소요되는 자재나 부품이 필요한 수량과 시기를
결정하는 것이고, MRP2 는 Manufacturing Resource Planning 으로 전체 제조에 대한 통합적인 계획이다.

9. ATP(available to promise) inventory : 정의 및 계산방법

ATP 는 특정 날짜에 제공하기로 약속할 수 있는 양으로 MPS 가 일어나지 않을 때는 초기재고 + MPS – 다음


MPS 가 일어나기 전까지의 고객 주문의 합, MPS 가 일어날 때는 MPS – 다음 MPS 가 일어나기 전까지의 고객
주문의 합으로 계산한다.

10. Frozen zone(in MRP): 정의 및 적용이유

정의 : Initial number of periods in the MPS in which changes are not permitted (before MRP calculations)

적용이유 : 시스템 안정도를 높이기 위해

11. Part period balancing


12. Problems of MRP (3 가지)

Updating frequency, Firm planned order, Troubleshooting

14. Rolling horizon

Horizon 을 이동시키며 갱신시킨 data 를 이용하여 더 현실적이다.

계획수립 후 일정기간동안 fix 했다가 기간을 추가하며 수정해서 다시 fix. 최신 경향 잘 반영한다.

15. Scheduled receipts in MRP 정의 및 발생 이유

Planned order release that has actually been released, Scheduled receipts 를 통해 project on hand 값을 계산하여
Net requirement 를 계산할 수 있음.

16. BOM explosion 설명

다음 단계에 필요한 구성품의 Gross requirements 를 생성한다, Push 방식,

전제조건 : Bill of materials

Troubleshooting 과정에서 BOM explosion 에서 거꾸로 흘러가며 분석

17. Troulbe shooting 종류

Pegging: 주어진 POR -> source of demand 볼 수 있도록 함

Bottome-up re-planning : on time 에 도달 못하는 상황 발생한 경우(impossible 한경우) pegging 기반으로 계획


수정

<TPS>

1. Detailed goals of JIT


Eliminate unnecessary inventories -> Diminish inventory carrying cost -> Increase capital turnover(문제에는
5 가지 이상이지만 프린트에는 이게 끝..)

2. Production smoothing in JIT

최종 조립 라인에서의 생산의 변동을 최소화하기 위한 생산 계획

3. Basic concepts for setup reduction (in Just-in-Time production)

Why : smooth production cannot be done without reducing setup times.

Approach : 내부 준비작업과 외부 준비작업을 분류하고 가능한 많은 내부 준비작업을 외부준비 작업으로 바꾸고,


adjustment process 를 제거함으로써 setup 이 자체적으로 제거되게 하는 것

4. Toyota production system 에서 setup time 을 줄이는 이유

Production smoothing 을 위해 lot size 를 줄여 lead time 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5. Toyota production system 에서 production quantity control – 의미 및 하부 구성요소 6 가지

의미 : 비용 절감을 목표로 하는 것.

하부 구성요소 :

JIT production : produce the necessary units in the necessary quantities at the necessary time

Kanban system : The information system to implement pull production control system

Production smoothing : production planning to minimize the fluctuation of production in the final assembly line

Reduction of lead time : In a perfect JIT, a downstream workstation requests parts and they are provided
immediately

Small lot size : batching law

Setup time reduction : setup time 과 lot size 는 비례한다

6. Toyota production system 에서 production smoothing 을 위한 선결조건 (3 가지)

Reduction of lead time : In a perfect JIT, a downstream workstation requests parts and they are provided
immediately

Small lot size : batching law

Setup time reduction : setup time 과 lot size 는 비례한다

7. One-kanban system – mechanism

(1) Production Kanban authorizes start of work

(2) Completed part with Kanban enters outbound stock point

(3) When stock is removed, place production Kanban in hold box.


8. Toyota production system 은 Kanban system 으로 대변되기도 한다. Kanban system 의 기본 아이디어 및
운용을 위해 필요한 요소(제대로 작동하기 위한 필요조건)를 설명(3 가지 이상)

Kanban 은 공장의 모든 공정에서 필요한 제품을 필요한 시간에 필요한 양만큼만 생산할 수 있도록 조화적으로
통제하기 위한 정보 시스템이다.

필요한 요소로는 Production Smoothing, Reduction of lead time, Small lot size, Setup time reduction 이 있다.

9. TPS 에서 Quality assurance 를 위한 두 가지 활동을 설명하시오.

Autonomation : 자동화와 오류방지 기능을 갖춘 시스템.

Preventive Maintenance : 기계 고장의 빈도와 시간을 줄인다.

10. TPS 에서 기본적인 교훈(lessons) 세 가지 이상 및 약점(weakness) 두 가지 이상을 설명하시오

교훈 : 생산환경 자체가 하나의 컨트롤이다, 운영 세부사항은 전략적으로 중요하다, WIP 제어는 중요하다,
유연성은 자산이다. 품질이 우선일 수 있다.

약점 : 변동성과 불확실성이 있는 시스템에서는 좋지 않음, 신제품 출시가 잦은 시스템에서는 좋지 않음, 부담을


하청업체에 떠넘긴다.

11. Lean production

Lowering inventory level -> 숨겨진 문제들 드러남(setup, quality, delivery) ->해결

12. Implementation 표 빈칸문제

13. JIT 하기 위한 5 가지

Kanban System(pull) <- production Smoothing <- reduction of lead time (Heijunka) <- small lot size (batching
law) <-setup time reduction (inveontory theory)

14. Jidoka, Heijunka, Kaizen

Jidoka - autonomation, 스스로 품질 관리 // Heijunka – 생산평활, 변동성 최소화, LT 감소 //


Kaizen – 지속적인 개선, 소집단으로 문제를 계속 해결(QC control)

<일정계획>

1. Jackson’s algorithm

extension of Johnson’s algorithm (for two-machine flow shop)


2. Job shop scheduling 에서 feasibility condition (2 가지)

- operation precedence : all operations of a job can be placed on one time axis in precedence order and without
overlap

- resource constraint : no two jobs can occupy the same machine simultaneously

3. Hodgson (Moore) algorithm for basic single machine scheduling

Tardy job 의 수를 줄이기 위한 알고리즘으로, 우선 모든 job 들을 due-date 가 빠른 순으로 정렬한다. 이후


처음으로 늦는 job 이 발생할 때 그 전 job 들 중에서 가장 긴 시간이 소요되는 job 을 제거한 다. 모든 job 들이
due-date 를 만족할 때까지 반복한 후, 제거된 job 들은 맨 뒤에 배치한다.

4. single machine scheduling 의 가정사항에 대해 설명하고 (3 가지 이상), single machine scheduling 과 대비하여
parallel machine scheduling 에서 추가된 가정사항을 설명(1 가지)

기본가정

Zero ready time : 기다리는 시간 없이 바로 작업

Sequence independent setup times : 독립적인 셋업시간

Deterministic job descriptors : 결정론적

No preemption : 중간에 작업이 중단되지 않음

추가된 가정

Identical parallel machines : 동일한 장비들

5. Earliness and tardiness 정의

𝑇𝑗 = 𝑚𝑎𝑥{0, 𝐿𝑗 }, 𝐸𝑗 = 𝑚𝑎𝑥{0, −𝐿𝑗 },


6. NEH algorithm

m-machine flow shop for permutation schedule

①기계에서 processing time 이 작은 순서대로 job 들을 배열한다.

②처음 2 개의 job 을 선택하여 makespan 을 최소화하도록 schedule 한다.

③3 번째부터 마지막 job 까지는 가능한 k 번째 job 을 포함시켜 makespan 을 최소화한다.

7. Critical ratio (CR)규칙

min[(𝑑1 − 𝑡) /𝑟𝑗 ]

8. total slack 정의 및 의미

Total completion 지연 없이 activity 가 지연될 수 있는 최대시간,

TS=LS-ES=LF-EF

9. Heuristic optimal

Requirement 가장 적은 pair 놔두고(Off) 나머지 모두 -1, requirement 모두 만족할 때까지, 특정 employee 가


scheduling 될 때까지 반복한다. /// Heuristic Algorithm

Slack = Capacity – Requirement 0 인게 optimal ///workforce scheduling

CDS, NEH, Meta-heuristics

<재고관리>

1. Protection period in (R, T) model (periodic review inventory control policy)

Tracks the remaining inventory of an item periodically with fixed order interval system.

2. 재고(inventory)를 유지하는 이유(3 가지 이상)

원자재 재고는 대량주문으로 할인을 받을 수 있고 변동성 측면에서 공급 오류나 부족에 대응할 수 있으며,
재공재고는 연속적인 과정에서 분리 가능하고, 완성품 재고는 예측 오류나 수요 변동성에 대응 가능함.

4. (R, T) model : 방법 및 결정변수를 그림으로 설명


방법 : 간격 T 는 일정하고 주문량은 주문시기의 재고 수준과 목표 재고 수준의 차이임.

결정변수 : R, T

5. EOQ 모형 : 기본가정을 그림으로 설명

6. Fixed order quantity /fixed order interval 모형 : 주문간격/주문량, 안전재고 수준 및 관리의 용이성 측면에서
비교

Fixed order quantity 는 주문량은 일정하지만 주문간격이 다르다. 안전재고 수준이 낮고 관리도 어렵다.

Fixed order interval 은 주문간격이 일정하지만 주문량이 다르다. 안전재고 수준이 높고 관리가 쉽다.

+)그림으로 설명

#단독문제, 계산

<설비배치>

<수요예측>
1. 어느 제품의 과거자료가 다음과 같을 때 아래 물음에 답하시오.

월 1 2 3 4 5 6
수요(A(t)) 10 12 12 11 15 14
1) Simple moving average 에 의해 4, 5, 6 월의 수요를 예측하시오. (단,m=3)

2) Exponential smoothing 에 의해 2, 3, 4, 5, 6 월의 수요를 예측하시오. (단 α=0.3, F(0)=10)

3) 위의 두 방법 중 어느 것이 좋은가를 MAD(Mean absolute deviation)을 기준으로 평가하시오.

2. 어느 제품의 과거 실제 수요가 다음과 같을 때 아래 물음에 답하시오.

기간 실제수요 기간 실제수요
1 98 6 120
2 125 7 105
3 110 8 110
4 115 9 105
5 130 10 112
1) 세 기간 단순 이동 평균법(n=3)에 의해 기간 4 에서 10 까지 수요예측치를 구하시오.
2) (5 점) 가장 최근 기간부터 세 기간에 거슬러 올라가며 0.5, 0.3, 0.2 의 가중치를 부여하는 경우 기간 4 에서
10 까지 수요예측치를 구하시오.

3) 위의 두 방법 중 어느 것이 좋은 가를 MAD(Mean Absolute Deviation)을 기준으로 평가하시오.

가중치를 부여한 경우가 더 좋다.

3. 수요예측을 위한 시계열 기법(time series) 중 하나인 Winters method 를 아래의 기호를 이용하여 설명하시오.

A(t) = demand of period t (historical data)

F(t) = smoothed estimate of period t

T(t) = smoothed trend of period t

C(t) = smoothed seasonality factor of period t

4. 수요예측을 위한 시계열 기법의 기본구조(basic structure)를 설명하시오.


5. 수요가 감소하는 추세에 있는 어떤 제품에 대한 실제수요가 아래의 표와 같을 때 아래 물음에 답하시오.

월 1 2 3
수요 890000 800000 825000
1) 추세(trend)를 고려한 exponential smoothing 방법으로 2, 3, 4 월의 수요를 예측하시오. (단, smoothing
constant α 와 β 는 각각 0.1 과 0.2 로 F(0) = 900000, T(0) = -50000 으로 둘 것.) Forecasting 23~25p

2) 4 월의 실제수요가 760025 일 때 1, 2, 3, 4 월의 예측치와 실제 수요 전체에 대한 BIAS 와 MAD (mean


absolute deviation)을 구하시오.
6. 수요가 점차로 감소하는 추세에 있는 어떤 제품에 대한 실제 수요가 아래의 표와 같을 때 답하시오.

월 1 2 3
수요 400 350 325
1) 추세를 고려한 exponential smoothing 방법으로 2,3,4,월의 수요를 예측하시오. (α=0.1, β=0.2, F(0)=A(1),
T(0)=0)

2) 4 월의 실제 수요가 260 일 때 1,2,3,4 월의 예측치에 대한 MAPE 를 구하고 결과를 설명하시오.

<총괄계획>

1. A 회사는 다양한 종류의 페인트를 생산한다. 총괄단위로 표현된 페인트의 현재 재고는 25 만 갤런이며
기말재고를 30 만 갤런으로 유지하려고 한다. 정규시간 생산 시 단위원가는 $1 이고, 잔업 시 단위원가는
$1.5 이며, 하청 시는 $1.9 이다. 재고유지비는 한 분기 동안 갤런당 $0.3 이다. 그리고, 분기별 잔업에 의한 최대
생산능력은 정규생산능력의 20%이며 하청업자는 분기 당 최대 20 만 갤런을 생산할 수 있다. 올해 분기별
수요예측치와 정규 생산능력이 아래의 표와 같을 때 최적의 생산계획을 구하기 위한 수송표(transportation
table)을 작성하시오. 단, 부재고(backorder)는 허용되지 않는다. Aggregate p.41

1 분기 2 분기 3 분기 4 분기
수요 300 850 1500 350
정규생산능력 450 450 750 450
(단위는 1000 갤런)
2. Multiple product type 과 Multiple Resource 를 고려하는 Aggregate Planning 모형인 Product Mix Planning 에
대하여 아래 물음에 답하시오.

1) 아래의 문제설명(기호)를 바탕으로 선형계획 모형을 수립하시오. (r: product type, j: resource type, t: period)

결정변수: Production quantity (Xit), Selling quantity (Sit), Inventory level(It)

목적함수: Maximizing profit(=revenue(rj)—inventory holding cost(hi))

제약조건: Limitation of sales amount (dit=maximum demand, dit=minimum sales0

Capacity constraints (aij=resource required, cjt=capacity), inventory balances 등

2) Utilization Matching, Backorders, Overtime 및 Yield Loss 의 반영방법을 설명하시오. (식을 쓰시오.)
3. 어느 회사의 향후 3 개월간 총괄제품단위에 대한 수요예측치와 생산능력은 아래와 같다. 현재의 재고량은
100 단위이며, 3 월말에 요구되는 재고수준은 200 단위이다. Regular time 의 단위당 생산비는 100 원, overtime 의
단위당 생산비는 150 원, inventory holding cost 는 월간

단위당 10 원이다. Backlogging 을 허용하지 않는다고 가정할 때, 아래 물음에 답하시오.

1) 이 문제를 선형계획모형으로 표현하시오.(단, 다음의 기호를 이용할 것. Xit=production quantity in regular


time at period t, X2t=production quantity in overtime at period t, It=inventory at the end of period t)

2) 이 문제를 수송표(Transportation tableau)로 표현하시오.

4. 아래와 같은 생산능력 및 비용구조를 가진 기업이 총괄계획을 수립하고자 한다. 월별 수요는 반드시


충족시켜야 하며 하청 및 재고부족은 고려하지 않는다. 정규임금은 정규생산능력의 가동률에 관계없이
지급된다고 가정하며 1 월초 재고와 6 월말 재고는 없는 것으로 한다. 아래의 물음에 답하시오.

월간 정규생산능력 = 500 단위, 월간 잔업생산능력 = 200 단위, 단위당 잔업비용 = 10 만원,

단위당 월간 재고유지비용 = 4 만원
월 1 2 3 4 5 6
수요 300 400 500 600 500 600
1) 생산량의 변동을 통해 수요에 대응하며 무재고 정책을 채택할 경우 월별 생산량(정규 및 잔업구분)과
추가비용(잔업비용)을 계산하시오.

2) 재고를 통해 수요에 대응하며 무 잔업 정책을 채택할 경우 월별 생산량과 추가 재고유지비용을 계산하시오.

3) 추가비용(잔업비용과 재고유지비용)을 최소화하는 선형계획 모형을 수립하시오.


6. Backorder 를 허용하는 총괄계획에 대한 수송모형을 수식으로 설명하시오. 단 𝑦𝑖𝑗𝑘 =number of units produced
by production source i in period j to meet the demand in period k.
<MRP>

1. 다음 10 주 동안 어느 제품의 수요예측치(Forecasts)는 30, 20, 35, 50, 25, 25, 0, 40, 0, 50 단위이며 현재의
보유재고(initial inventory)는 80 단위이다. 주문정책은 fixed order quantity 로 100 단위로 고정되어 있으며 lead
time 은 2 주이다. 그리고 예약된 고객주문(customer orders)은 1 주부터 각각 22, 30, 15, 9, 0, 0, 5, 3, 7, 0
단위이다. (단, 이 제품의 각 기간 소요량은 수요예측치와 고객주문량 중 큰 값으로 한다.)

1) 이 제품의 다음 10 주 동안 master production schedule 을 수립하시오.

2) 해당 기간별 ATP(available-to-promise)를 계산하시오.


2. Material requirement planning 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기본적인 입력자료를 설명하시오.(3 가지 이상 자료이름과 설명을 포함할 것)

Item master file: 부품/ 제품의 묘사와 BOM 데이터, Lot sizing rule(LSR), Planning lead time(PLT) 등을
포함한다.

Master production schedule(MPS): 독립수요를 가지는 제품들에 대한 수요량과 납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

On-hand inventory: 어떤 부품의 재고를 얼마나 가지고 있고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

Scheduled receipts(예정입고): 이미 발주된 재고 중 해당 계획 기간에 입고되는 재고

2) 기본절차(procedure)를 설명하시오.(단, 다음의기호를 이용할 것.Dt=gross requirement for period t,


St=scheduled receipt in period t, It=project on-hand inventory at the end of period t, Nt=net requirement for
period t)

Netting: 순 소요량을 결정한다, Nt=max{0, Dt-It-St}

Lot sizing : Job 을 구성하기 위해 순 소요량을 적절한 lot size 로 분배한다.

Time phasing : 각 작업의 납기에서 lead time 만큼 당겨온 시점으로 작업의 시작 시점을 결정한다.

BOM explosion : 제품의 하위 항목들에 대하여 Dt 를 결정한다.

3. 다음 5 주 동안 어느 제품의 수요 예측치는 30, 20, 35, 50, 25 단위이며 현재의 보유재고(initial inventory)는
40 단위이다. Lot sizing 은 fixed quantity 50 단위로 고정되어 있으며 lead time 은 1 주이다. 예약된 고객주문이
1 주부터 각각 22, 30, 15, 9, 0 단위일 때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단, 각 기간 소요량은 수요예측치와 고객주문량
중 큰 값으로 한다.)

1) 다음 5 주 동안의 master production schedule 을 수립하고 각 기간 말 재고를 구하시오.

Lot size = 50 Week


Initial
inventory = 1 2 3 4 5
40
Forecasts 30 20 35 50 25
Customer
22 30 15 9 0
orders
Ending
10 30 45 45 20
inventory
MPS 0 50 50 50 0
MPS(after
50 50 50 0 0
offsetting)
2) 각 기간의 ATP (available-to-promise) inventory 를 계산하시오.

ATP inventory 18 20 35 41 45
4. product A 는 item B 1 단위와 item C 2 단위로 구성된다. MPS 에 의해 product A 는 4 주에 200 단위 5 주에
250 단위가 소요되며 (다른 주의 소요량은 0) item A, B, C 의 initial on-hand inventory 는 100, 150, 80 개, lead
time 은 각각 1,2,1 주이다. 모든 item 에 대하여 scheduled receipt 은 없으며 lot sizing 은 lot for lot 규칙을
사용한다고 할 때 아래 물음에 답하시오.(풀이과정)

1) 자재소요계획(MRP)을 수립하시오.
2) Product A 와 Item C 의 lead time 이 1 주씩 늘어날 경우 자재소요계획(MRP)이 어떻게 바뀌는지 보이고
발생하는 문제점을 설명하시오.

문제점 : item C 의 발주시기 정할 수 없음.


5. 아래의 자료에 대하여 Wagner-Whitin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최적 lot size 를 구하시오. (단, 풀이과정을 모두
써야 하며 답만 쓰는 경우 0 점 처리함.)

Time Period
1 2 3
Demand (Dt) 60 100 140
Setup cost (At) 150 240 160
Production cost (ct) 7 7 8
Inventory holding cost (ht) 1 1 1

Period 1 : 160

Period 3 : 140

2012-6 년도 ver.

Time Period
1 2 3 4
Demand (Dt) 60 100 140 200
Setup cost (At) 150 240 160 160
Production cost (ct) 7 7 8 7
Inventory holding cost (ht) 1 1 1 2

<TPS>

1. Two Kanban system 이 어떻게 운용되는지 그림으로 설명하시오.


2. Toyota production system 원활한 Kanban system 운영을 위해 production smoothing reduction of lead time,
small lot size 및 setup time reduction 이 필요한 이유를 차례대로 설명

setup time 줄면 lot size 줄고 lot size 줄면 lead time 줄고 lead time 줄면 production smoothing.

<일정계획>

1. 어떤 공정에서 5 개의 job 이 현재 시점 150 개 대기 중이다. 각 job 의 processing time, due date, remaining
operation 및 remaining work 이 아래와 같을 때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Processing Reminding Remaing


Job Due date
time operation work
1 10 162 10 9
2 7 150 9 6
3 15 152 1 1
4 4 170 8 18
5 8 154 5 8
1) STR/OP (stack time remaining per operation) 및 CR(critical ratio) 규칙 하에 job 순서를 결정하시오.

2) 앞에서 구한 job 순서 하에 mean flow time 을 계산하시오.(각 규칙 별로 계산할 것)

2. 아래의 자료와 같은 single machine scheduling 문제에 대하여 납기지연 작업 수(number of tardy jobs)를
최소화하는 작업순서를 구하시오.(풀이절차를 반드시 쓸 것, 답만 쓰면 0 점 처리함)

작업 1 2 3 4 5

가공시간 1 5 3 9 7

납기 2 7 8 13 11
Opration scheduling p.19 예제 똑같은 문제
2. 아래의 basic single machine scheduling 문제에 대하여 Mean lateness 및 maximum lateness 를 최소화하는
작업순서를 구하시오.

Job A B C D E

Processing time 1 5 3 9 7

Due date 2 7 8 13 11

Minimizing mean lateness : processing time 이 짧은 순 = ACBED

Minimizing maximum lateness : 납기일순 = ABCED

3. Job shop scheduling 에서 아래 기호를 이용하여 makespan 을 최소화하는 문제를 정수계획 모형으로
formulation 하시오.

= start time of operation j of job i (j= 1, 2, ...,Ji)

= 1 if operation j' of job i' precedes operation j of job I on machine k, and 0 otherwise

= processing time of operation j of I


4. Basic single machine scheduling 문제에 대하여 아래 물음에 답하시오.

1) 기본가정 4 가지를 설명하고 왜 이 가정하에 pure sequencing 문제가 되는지 설명하시오.

기본가정

Zero ready time : 기다리는 시간 없이 바로 작업

Sequence independent setup times : 독립적인 셋업시간

Deterministic job descriptors : 결정론적

No preemption : 중간에 작업이 중단되지 않음

Total number of distinct solutions = n!이기 때문에 pure sequencing problem 이 된다.

2) Mean lateness 는 SPT(shortest processing time) 작업 순서에 의해 최소가 됨을 증명하시오.

5. 일정계획 이론에 대하여 아래 물음에 답하시오.

1) Basic single machine scheduling 문제의 mean flow time, mean lateness 및 maximum tardiness 를
최소화하는 작업순서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시오.

1. mean flow time : Shortest processing time(SPT) sequencing

2. mean lateness : SPT sequencing

3. maximum tardiness : earliest due date (EDD) sequencing


2)Parallel machine scheduling 문제에서 mean flow time 을 최소화하는 일정계획을 구하는 절차를 설명하시오.
(단, basic single machine scheduling 문제에 대한 앞의 4 가지 가정사항이 만족함.)

3) Two-machine flow shop 문제에서 makespan 을 최소화하는 Johnson algorithm 및 Gantt chat 를 그리는
방법을 설명하시오.

1) 작업시간 가장 작은 job 을 찾는다

2) 만약 machine 1 에 있다면 first available position, 2 에 있다면 last available position 에 위치시킨다.

3) 남은 작업을 두고 모든 작업이 채워질 때까지 1-2 과정을 반복한다

- Johnson algorithm :

- Gantt chat 그리는 법 : 구체적으로 뭐라고 말해야될지 모르겠음

6. 아래와 같은 routing 과 processing time 을 job shop 에서 SPT(shortest processing time)규칙을 이용하여 일정계획을
Gantt chart 로 작성하고 makespan 과 mean flow time 을 계산하시요. (단, 괄호 안의 숫자는 processing time 을 나타냄)

JOB1 : machine 1 (4) -> machine 2 (3) -> machine 3 (2)

JOB2 : machine 2 (1) -> machine 1 (4) -> machine 3 (4)

JOB3 : machine 3 (3) -> machine 2 (2) -> machine 1 (3)

JOB4 : machine 2 (3) -> machine 3 (3) -> machine 1 (1)


<재고관리>

1. EPQ (economic production quantity)모형에 대하여 아래 물음에 답하시오.

1) 모형에 대한 그림 및 기본 가정사항들을 설명하시오.

그림 :

가정사항 :

2) 총비용함수 (setup, production and inventory holding costs)을 유도하고 EPQ 를 구하시오. 그리고
production rate 이 무한대가 될 경우 EOQ 모형이 됨을 보이시오. (단, D=demand rate, P=production rate,
A=setup cost, c=unit production cost, h=inventory holding cost)
2. Base stock 모형에 대하여 아래 물음에 답하시오.

1) Base stock 의 의미를 설명하시오. (정확하지 않음요…)

: inventory + backorder costs 를 최소화하는 reorder point 를 구해 base stock level In terms of inventory
position 을 구하는 것

2) Service level 을 이용하여 base Stock 수준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시오.

3) 총 비용함수 (inventory holding cost 와 backorder cost 의 합)을 유도하고 이를 최소화하는 base Stock
수준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시오.

유도식 :
최소화 방법 :

3. Inventory management 에서 아래의 물음에 답하시오.

1) 기본가정을 모두 설명하고 purchase cost, fixed ordering cost 및 inventory holding cost 로 구성되는 연간
총비용을 유도하고 경제적 주문량(EOQ)을 유도하시오. (단, D= 연간 수요량, A=ordering cost($), c= unit
purchase cos($/unit), h= inventory holding cost($/unit⦁year)로 두며 유도과정을 모두 쓸 것

기본가정 :

Product can be analyzed individually, There are no constraints on the size of each lot, Instantaneous production,
The demand rate is constant with certainty, Lead time is constant and known with certainty, Shortages are not
allowed.

유도 :
4. Stochastic inventory models 에서 single period model 을 Newsboy problem 을 이용하여 설명하고 가정사항,
결정변수, 목적함수를 설명하시오.

과잉재고와 부족재고 간의 위험을 절충할 수 있는 최적의 주문량을 결정하는 것으로 신문 판매업자가 직면한
상황과 유사하다.

가정 :

Products separable (single product type)

Planning done for a single period (neglect future periods)

Random demand with known probability distribution

Deliveries made in advance of demand.

No constraint on the amount of purchase

Linear costs of shortage and leftover

결정변수 :

Order quantity

목적함수 :

Minimizing the sum of underage (shortage) and overage (leftover) costs

𝑄 ∞
Minimize Y(Q) = 𝐶0 ∫0 (𝑄 − 𝑥 )𝑔(𝑥 ) 𝑑𝑥 + 𝐶𝑠 ∫𝑄 (𝑥 − 𝑄 )𝑔(𝑥 ) 𝑑𝑥
5. 어떤 신문팔이 소년은 매일 신문을 부당 100 원에 구입하여 300 원에 판매하고 있으며 팔지 못한 신문은 부당
50 원을 받고 폐지 상에 넘긴다. 하루 동안의 신문 판매량이 평균이 100 인 지수분포를 따를 때 얼마의 신문을
주문하는 것이 가장 경제적인지 Newsboy 모형을 이용하여 구하시오. (단, 지수분포는 f(x)= , x>=0)

하핫 담주에 풀어보겠슴다

6. (Q , r)모형에서 service level 을 이용하여 reorder point r 을 결정하는 방법

7. fill rate (service level)

𝑆(𝑟) = 1 − 𝑃(𝑥 ≥ 𝑟 + 1) = 𝑃(𝑥 ≤ 𝑟 + 1) = 𝐺(𝑟 + 1)


𝑟+1−𝐺
𝑆(𝑟) = 𝐺(𝑟+1) = 𝜙 ( )
𝜎

너는 어디니?

1. 어느 회사는 단일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이 제품의 다음달 수요는 200 개 이고 현재 재고는 없다고 한다. 제품
단위당 표준 준비시간은 0.5 시간이며 단위당 표준작업시간은 3 시간이다. 200 개의 제품은 10 개의 batch 로
나뉘어 생산되며 batch 당 표준준비시간은 4 시간이다. 조직의 효율성은 100%, 작업자의 효율성은 95% 그리고
기계의 효율성은 90%라고 한다. 이 회사는 다음달 중 22 일 작업하며 1 일 작업시간은 8 시간이다. 다음달 수요를
충족시키려면 몇 대의 기계가 필요한지 계산하시오.

2. 어느 회사의 향후 6 개월간 어느 제품군의 월별 수요예측치는 6600, 5900, 4800, 5400, 5800 단위이며 가능한
정규 작업일수는 22, 19, 22, 20, 22, 20 이다. 1 월 초 현재 이 회사는 500 단위의 재고를 가지고 있으며 6 월 말에
요구되는 재고수준도 500 단위이다. 회사 정책 상 안전재고를 유지하지 않으며 잔업이 금지되어 있어 1 일
작업시간은 항상 8 시간이고 현재의 고용인력은 35 명이다. 생산율은 작업일 1 일 당 평균 소요량 수준으로
일정하게 유지하고 고용수준도 여기에 맞추어 일정하게 유지하며 수요변동은 재고와 추후납품(backorder)로
대응하는 전략이다. 월별 생산 소요량 및 총 비용을 구하시오. (단, 재고비용 = 50 원/단위*월, 추후납품 비용 =
100 원/단위*월, 채용비용 = 30000 원/인, 해고비용 = 50000 원/인. 정규임금 = 100 원/시간, 단위당 소요작업시간
= 1 시간/단위)
ㅁ풀이문제 하나 다름

ㅁ Aggregate planning ppt 40 페이지는 봐야함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