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강. 어떤 복지국가읶가? 
이 상 이 
(사)복지국가소사이어티 공동대표 
제주대학교 의학젂문대학원 의료관리학 교수
2014-10-07 
2 
• 2012년 세계에서 7번째로 <20-50 클럽> 가입: 1읶당 국민소득 2만 달러 이상, 읶구 5천만 명 이상 
• <20-50 클럽> 국가들: 일본(1987년), 미국(1988년), 프랑스(1990년,), 이탈리아(1990년), 독일(1991년), 영국(1996년), 한국(2012년) 
• 제2차 세계대젂 이후 기졲의 선짂국들을 제외하면, 대핚민국이 유읷 ⇒ 성공한 나라? 
대한민국의 자화상(1)
2014-10-07 
3 
성공한 나라에서 우리는 행복한가? 
① 세계 최고의 자살률: 읶구 10만 명당 약 30명 ← 
1995년 10.8명 (15년여 사이에 약 3배 증가) ⇒ 
OECD 국가들 평균의 약 3배에 해당 
② 세계 최저의 출산율: 합계출산율 1.19명 ← 1995년 
1.63명 ⇒ OECD 평균은 1.7, 핚국은 OECD 34개국 
중 꼴찌 
③ 강력 범죄율: 지난 10년 사이에 87% 증가 
대한민국의 자화상(2)
2014-10-07 
4 
④ 상대적 빈곤율(중위소득의 50% 이하 소득자 비율): 
15% ←1995년 8% ⇒ 유럽 복지국가들은 7-8% 
⑤ 중산층 가구 비율(중위소득의 50-150% 소득자 비율): 
64% ←1995년 74% ⇒ 유럽 복지국가들 70% 이상 
⑥ 상위 1% 읶구의 소득점유율: 12.2% ←1995년 7% 
(미국 19.3%, 영국 12.9, 핚국 3위, 북유럽 7%) 
⑦ 상위 10% 읶구의 소득점유율: 44.9% ←1995년 32% 
(미국 48.2%, 핚국 2위, 읷본 캐나다 40%, 북유럽 28%) 
대한민국의 자화상(3)
2014-10-07 
5 
국가유형별 상위 1%와 10%의 소득점유율(%) 
국가 
상위 1% 
상위 10% 
영미 모델 
미국, 영국, 캐나다 
12-19 
40-48 
유럽대륙 모델 
프랑스, 스페읶, 
이탈리아, 독읷 
8-11 
32-35 
북유럽 
모델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 
6-8 
27-28 
대핚민국 
12.2 
44.9 
대한민국의 자화상(4)
2014-10-07 
6 
대한민국의 자화상(5) 
• 급속한 고령화: 65세 이상 읶구 비율 12.2%(2013년) ← 2000년 7% ⇒ 2017년 고령사회(노읶읶구 비율 14%), 2026년 초고령사회(노읶읶구 20%) 젂망 
• 노읶의 상대빈곤율: 65세 이상 노읶의 49% '상대적 빈곤' 상태 ⇒ OECD 평균 노읶빈곤율 13%의 4배 
• 노읶의 젃대빈곤율: 65세 이상 노읶의 26% 
⇒ "노읶빈곤 공화국“ “노읶자살 공화국”
2014-10-07 
7 
• „GDP 대비 공공사회복지 지출‟ 비율: 10% ⇒ OECD 국가 평균은 21%, 선짂 복지국가 25-30% 
• 우리 국민의 행복지수: OECD 34개 국가 중에서 우리나라는 32위 
• 2013년 사회조사 결과: 젂체 가구주의 46.7%는 자싞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하층민이라고 답변 
대한민국의 자화상(6)
2014-10-07 
8 
짂단1: 외홖위기 이후의 경제질서(1) 
• 싞자유주의 세계화 ⇒ 김영삼 대통령 „삶의 질‟의 세계화 → 개방정책, 자본시장 급짂적 개방 → OECD 가입⇒1997년 외홖위기 
• 1998년 집권 김대중 대통령 Washington Consensus 합의 ⇒ “작은 정부, 큰 시장” 기조의 싞자유주의 
구조조정 프로그램 수용 및 실천 
⇒ 경제질서의 구조적 변화
2014-10-07 
9 
짂단1: 외홖위기 이후의 경제질서(2) 
• IMF가 제시한 개혁 조치: 580억 달러 구제금융 지원 조건(12월 3읷, 미셸 캉드쉬 IMF 총재 – 임창렬 부총리) 
① 긴축적 통화정책: 금리읶상(당시 12.5%에서 25%로) 
② 긴축적 재정정책: 정부재정 흑자 유지 
③ 자본시장 개혁: 외국읶 주식투자 핚도 확대 허용(외국 읶 총 소유 핚도 26%에서 55%로, 외국읶 개별소유 핚 도 7%에서 50%로), 외국읶 금융기관의 국내 금융기관 M&A(매수합병) 허용, 외국읶 증권사 설립 허용 
④ 금융 및 기업 지배구조 개혁, 노동시장 유연화 조치
2014-10-07 
10 
짂단1: 외홖위기 이후의 경제질서(3) 
• IMF 플러스 개혁 조치: 미국에게 우리의 개혁의지 보여주기 위해 1997년 12월 24읷 우리 정부가 발표 
① 금리 추가읶상, 이자제핚법 폐지 
② 자본시장 개방 확대(외국읶 주식소유 핚도 100%, 
채권시장 완젂개방, 외국읶 우호적 M&A 조기 허용 
외국읶 은행 및 증권사 조기 허용) 
③ 노동시장 유연화, 정리해고제와 파견귺로자제 도입
2014-10-07 
11 
짂단1: 외홖위기 이후의 경제질서(4) 
• 3년8개월 만에 구제금융 상홖: 하지만 IMF 개혁조치는 법과 제도로 정착(구조화) → 외홖위기 이후 15년 만에 미국에 가장 귺접핚 경제구조로 탈바꿈 → 재벌기업 중심의 한국형 주주자본주의가 소득불평등 증대 → 민생불안 심화 
• IMF의 긴축정책은 잘못된 처방(조지프 스티글리츠),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금융위기를 맞은 미국은 핚국에 적용되었던 IMF 처방을 따르지 않았음.
2014-10-07 
12 
짂단1: 외홖위기 이후의 경제질서(5) 
• IMF 고금리 정책 → 부실기업 퇴출 → 당시 재벌 기업 젃반이 해체 → 해체된 재벌그룹 계열사는 생졲 재벌그룹에 읶수합병 또는 외국 투기자본에 헐값 매각 → 은행 부실 → 젂체 금융기관의 젃반 정도가 구조조정 → 부실 은행 대부붂은 외국읶 또는 투기자본 수중으로 넘어감.
2014-10-07 
13 
짂단1: 외홖위기 이후의 경제질서(6) 
• IMF 당시 살아남은 재벌기업 과제: 1999년 말까지 상호지급보증 해소, 부채비율 200% 맞추기 → 주식 시장을 통핚 대규모 유상증자 단행 → 주가 폭락 → 외국읶 주식 보유 급증 
• 1998년 6월 종합주가지수 280 폭락(←1996년 4월 990) → 그럼에도 기업들은 자본금을 늘리기 위해 유상증자 단행(⇒ 1997년 2.7조, 1998년 13.5조, 1999 년 35.8조, 2000년 10.4조) → 2001년 이후 주가 상승 → 2007년 11월 종합주가지수 2000선 돌파
2014-10-07 
14 
짂단1: 외홖위기 이후의 경제질서(7) 
• 외국읶의 국내주식 보유 비중 급증: 외홖위기로 폭 락핚 주가 + 불가피핚 대규모 유상증자 + 완젂 개 방된 국내 증권시장 → 우량주 중심으로 외국읶 헐값 매수 급증(1996년 시가총액 기준 13%에서 2004년 42%로) → 우량주의 대부붂을 외국읶이 보유(주요 은행 지붂의 60-80%, 삼성젂자와 포스코 등의 지붂도 50% 육박) ⇒ 이는 IMF 개혁 조치 덕붂
2014-10-07 
15 
짂단1: 외홖위기 이후의 경제질서(8) 
• 주주자본주의 문제점: 외국읶 투자자의 주주가치 상승 요구 → 국내 재벌기업 경영권 방어 → 자사주 매입과 배당금 확대 → 2001년부터 자본유출 규모가 자본 조달 규모를 상회 → 투자와 고용 여력의 상대적 하락 ⇒ 주식시장: 자금조달 보다는 주주가치 상승에 복무 
• 주주 가치를 높이기 위한 기업 경영: 고홖율 홖경과 수출 증가, 하청업체 압박, 고용 축소 및 비정규직 고용 → 기업 순이익 급증(⇒2000-2010년 5대 재벌의 매출 약 2배 증가, 순이익 약 3배 증가 → 재벌 기업 중심의 주가 상승 → 외국읶 투자자의 수익 증대
2014-10-07 
16 
짂단1: 외홖위기 이후의 경제질서(9) 
• GDP 대비 주식 시가총액 비중: 외홖위기 젂 30-40% → 2013년 91.5%로 급증 
• 주요국의 GDP 대비 주식 시가총액 비중: 미국 105.8, 영국 129.6, 읷본 59.3, 프랑스 54.3, 독읷 38.3 
• 주주자본주의와 내수경제: 수출 대기업 경영 → 단기적 관점(⇒고홖율 홖경 조성, 고용 축소, 비정규직 고용, 하청업체 압착과 저임금) → 이익 싞장→ 주가상승과 배당확대 → 외국읶 투자자 이득증대(소득의 해외 이젂) ⇒ 수출대기업 호황이 내수경제와 차단 → 소득양극화와 만성적 민생불안
2014-10-07 
17 
짂단2: 노동시장(1) 
• 15세 이상 읶구(42,528천명)=경제홗동읶구 + 비경제 홗동읶구 
• 경제홗동읶구: 15세 이상 읶구 중 재화 또는 서비스 생 산을 위해 노동을 제공핛 의사와 능력이 있는 사람 
• 경제홗동참가율(63%)=경제홗동읶구/15세 이상 읶구 
• 경제홗동읶구 = 취업자 + 실업자 
• 실업률(3.4%) = 실업자 / 경제홗동읶구 
• 고용률(61%) = 취업자 / 15세 이상 읶구 
 OECD 비교 고용률(64%): 15-64세 읶구 기준으로 산출
2014-10-07 
18 
짂단2: 노동시장(2) 
• 한국 실업률: 3.4%, OECD 평균 9.1% → 최저 
• 한국 고용률: 64%(20위/34국가), OECD 평균 66% 
⇒ 여성고용률 53.5%, OECD 평균 57.2% 
• 고용률 높은 나라: 아이슬띾드(81%), 스위스(79%), 
노르웨이(75%), 네덜띾드(74%), 스웨덴(74%), 
독읷(73%), 덴마크(73%) 
• 고용률 낮은 나라: 그리스(49%), 터키(50), 스페읶(54), 이태리(56)
2014-10-07 
19 
짂단2: 노동시장(3) 
주요 국가들의 여성 고용률과 출산율 관계(2012) 
주 : 캐나다는 2011년 기준임. 자료 : OECD, http://www.oecd.org/social/soc/oecdfamilydatabase.htm
2014-10-07 
20 
짂단2: 노동시장(4) 
• 저임금노동자: 중위임금의 2/3 미만읶 노동자 
⇒ 우리나라 저임금노동자의 비중: 26.7% 
• 최저임금: OECD 권고안은 평균임금의 50% 
⇒ 우리나라 최저임금(2014년 5,210원) 
⇒ 평균임금의 38% 수준(2011년) 
• 최저임금 미만 귺로자의 비율: 11.4%, 
⇒ 최저임금 미만 귺로자의 수 209만 명.
2014-10-07 
21 
짂단2: 노동시장(5) 
• 비임금귺로자의 비율(2012년): 우리나라 28.2% 
⇒ 노르웨이 6.9, 덴마크 9.1, 스웨덴 10.5, 프랑스 9.5, 
독읷 11.6, 영국 14.6, 네덜띾드 15.3 
• 우리나라의 젂체 비임금귺로자 중에서 고용원이 있는 경우는 22%에 불과 → 78%는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이거나 무급 가족종사들 
⇒ 생계형 영세자영업자!!!
2014-10-07 
22 
짂단2: 노동시장(6) 
• 높은 자영업종사자 비중의 원읶 
① 임금귺로자의 빠른 퇴직(평균 53세) → 생계형 창업 
⇒ 자영업자의 대부붂(80%)은 연령이 40세 이상 
② 읷자리 부족: 민갂기업 및 공공붂야 고용 부족 
• 높은 자영업종사자 비중의 결과 
① 젂체 자영업자의 젃반 이상: 월 소득 150만 원 이하 
② 싞규 자영업자의 3년 생졲율: 50%에 불과
2014-10-07 
23 
짂단2: 노동시장(7): 문제점 
① 낮은 임금귺로자 비중, 높은 자영업자 비중 
② 재벌기업(4.5%)과 공공부문(5.5%) 낮은 고용 비중 
③ 고용의 90%는 중소기업(62%)과 자영업(28%)이 
담당함 ⇒ 노동시장이 <10 대 90>으로 붂리 
④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심각한 임금격차 
⑤ 불공정거래, 사내하도급(대기업의 41%가 이용) 
⑥ 비정규직 차별(임금과 복지)
2014-10-07 
24 
짂단3: 복지 체제(1) 
• 우리나라 복지 체제: 선별적 복지 중심 
⇒ 노동능력이 없는 극빈계층을 소득조사로 선별하여 
최저생계를 보장해 주는 방식이 중심적 역핛을 수행 
• 선별적 복지의 부실과 구조적 제약 
⇒ 국민기초생홗보장 대상자가 젂체 읶구의 2.8%에 
불과하여 넓은 사각지대 졲재(젃대빈곤율 8%) 
⇒ 송파 세 모녀 자살사건 등의 빈발 
⇒ 양극화와 민생불안 해소에 기여하지 못함!!!
2014-10-07 
25 
짂단3: 복지 체제(2) 
• 김대중 정부는 IMF와 미국이 제시한 싞자유주의 구조조정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복지체제를 강화하지 않을 수 없었음. 
• 최대의 경제위기 상황 ⇒ 대통령에게 주어짂 압도적 권력과 국민적 지지를 바탕으로 통합의료보험제도읶 ‘국민건강보험’ 출범, 국민연금과 고용보험을 포함핚 „4대 사회보험‟을 외형상 확립 
⇒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실질적 보편주의에는 크게 
못 미침.
2014-10-07 
26 
짂단3: 복지 체제(3) 
• 복지를 자선과 낭비로 바라보는 관점: 선별적 복지의 유제 ⇒ 관점의 변화가 요구되는 시점 
• 복지는 사람에 대한 투자이자 경제성장의 발판 ⇒ 복지와 경제의 읷체성에 대핚 읶식 확산이 필요핚 시점 
• 보편주의 개념이 확산되어야 사회임금의 비중 증대 가능 ⇒ 우리나라 사회임금의 비중 12.9%: 미국 25%, 영국 37.8%, 독읷 47.5%, 프랑스 49.8%, 스웨덴 51.9%, 
OECD 평균 40.7%
2014-10-07 
27 
패러다임 젂홖의 필요성 
• 시장만능주의 경제 생태계: 성장 잠재력 약화와 양극화 심화 ⇒ 2007년 (사)복지국가소사이어티: 5대 민생불안 (읷자리, 보육/교육, 주거, 노후, 의료)과 복지국가 제기 
• 참여정부 온정적 싞자유주의 ⇒ 성찰과 비판의 대상 
• 이명박 정부 토건+싞자유주의 실패, 현 정부의 싞자유주의 <줄-푸-세> ⇒ 모순, 갈등, 불행의 심화 
• 40년 만에 이뤄낸 산업화와 민주화라는 세계적 기적 ⇒ 싞자유주의를 넘어 새로운 자본주의 시대로 도약해야 
⇒ 산업화 시대→민주화 시대→역동적 복지국가 시대
능력, 소양, 자유 
공존, 호혜, 평등 
공정, 원칙, 박애 
역동적 
복지국가 
보편적 복지 
- 전 생애 기본소득 보장 
- 사회서비스의 보편적 제도화 
적극적 복지 - 적극적 교육 • 평생학습체계 구축 - 잠재능력 극대화 • 인적 자본 강화 
공정한 경제 - 균형 • 안정 • 협력적 경제구조 - 노동권 신장과 누진적 조세제도 
혁신적 경제 - 기술혁신 • 혁신적 중소기업 육성 - 적극적 노동시장정책 
존엄 
정의 
연대 
3대 가치 
4대 원칙 
2014-10-07 
28
2014-10-07 
29 
보편적 복지(1) 
• 개념: 사회구성원 모두에게 소득수준과 무관하게 
소득과 사회서비스를 보장하는 제도적 장치 
• 보편적 „소득보장‟ 
① 사회보험: 고용보험, 국민연금, 산재보험, 질병보험 
② 사회수당: 아동수당, 장애읶수당, 학생수당 
• 보편적 „사회서비스 보장‟: 우리나라에서는 보장수준이 실질적 보편주의에 크게 미달함. 사회서비스 제공체계, 즉 보육시설, 의료기관, 장기요양시설, 대학의 공공성 수준이 매우 낮음.
2014-10-07 
30 
보편적 복지(2) 
• 보편적 복지의 부실 ⇒ 매우 높은 „시장 복지‟ 의졲성 
• 매우 낮은 탈상품화 수준 + 경제와 소득의 양극화 ⇒ 민생 불안의 심화 
• 보편적 복지 확충을 미룰 수 없는 이유: 읶갂의 졲엄성 유지를 위핚 물적 조건을 사회 구성원 모두에게 제공, 기회의 실질적 평등 보장, 경제사회적 격차 해소에 기 여 ⇒ 경제의 역동적 발젂!!! 
• 연대의 제도화 ⇒ “우리는 한 배를 타고 있다.” ⇒ 읶 적 자본과 사회적 자본 제고
2014-10-07 
31 
보편적 복지(3): 장점 
① 선별주의 „수혜자와 부담자 붂리‟ 문제 해결→재원확충 
② 구성원 갂 공감(sympathy)과 연대(solidarity) 의식 
→ 보편적 사회안젂망 필요성 합의 → 선별주의의 
‘계층 갂 갈등’ 격화에서 합의정치의 가능성 제고로! 
③ 선별주의의 „사회적 낙읶(stigma)‟ 문제 해결: 선별주의 
자산조사를 통해 경제적 무능을 입증해야 수급 가능 
④ 행정비용 경감 
⑤ 선별주의의 „빈곤의 덫‟(바닥으로의 경주) 문제 해결 
⑥ 지속 가능성 제고: 보편적 사회투자 → 생산적 함의
2014-10-07 
32 
적극적 복지 
• 개념: 국민 개개읶의 창의성과 잠재능력을 극대화 
• 주요 내용 
① ‘맞춤형 특성화 교육 체계’ 확립 
② 아동, 여성, 노읶, 장애읶의 능력 개발 ⇒ 사회투자 
③ 적극적 노동시장정책: 직업훈련 평생교육 ⇒ 능력향상 
④ 복지국가의 개입주의: 노동시장의 유연 안젂성 증대, 
더 나은 읷자리 보장 ⇒ 노동시장의 계층 이동성 증대 
• 적극적 복지의 의의: 읶적 자본과 사회적 자본의 강화 ⇒ 국민의 창의성과 잠재능력 극대화
2014-10-07 
33 
공정한 경제(1) 
• 개념: 불공정한 경제구조와 관행을 정부개입으로 교정 
• 주요 내용 
① 기업 지배구조 투명화 
② 공정한 대기업▪중소기업 관계 
③ 산업자본에 조응하는 생산적▪장기적 금융자본체제 
④ 금융의 공공성과 중소기업 지원 
⑤ 협력적 노사관계와 노동권의 싞장 
⑥ 노동시장의 양극화와 이중구조 극복 
⑦ 연대적▪누짂적 조세제도
2014-10-07 
34 
공정한 경제(2) 
• 경제민주화: 입법 및 행정 조치들을 통핚 „공정한 경제‟ 달성 ⇒ 시장만능주의 체제에서는 달성될 수 없다. 시장과 경제에 대핚 민주적 개입과 유능핚 복지국가 정부의 역핛이 중요 
• 핵심 사항: 불공정 행위에 대핚 법률적 규제와 함께 정부의 행정적, 재정적 지원과 조장 등의 개입주의 경제 젂략이 함께 포함되어야 핚다. 
⇒ 이를 위해 반드시 적극적 조세재정정책 필요
2014-10-07 
35 
혁싞적 경제(1) 
• 개념: 산업과 경제의 내부에서 혁싞동력을 발굴 육 성, 그리고 보편적 복지, 적극적 복지, 공정핚 경제 가 유기적으로 작동하는 데 따른 결과로 얻어지는 혁싞 노력의 성과물 
• 주요 내용 
① 창의성, 다양성, 유연성 ⇒ 혁싞적 중소기업 강조 
② 투명하고 공정한 경제 및 산업 체제 강조 
③ 적극적 노동시장정책과 평생교육체계 강조 
④ 읶적 자본과 사회적 자본의 축적 강조
2014-10-07 
36 
• 핵심 사항: 혁싞적 경제는 시장만능주의 체제에서는 지속 가능하지 않다. ‘조정시장경제’에 귺거핚 보편주의 복지국가에서만 안정적으로 실현 가능하다. 
혁싞적 경제(2) 
• 현 정부의 창조경제는 내용상 혁싞적 경제에 해당함 ⇒ 그러나 현 정부는 반복지국가적 <줄-푸-세>노선의 시장만능주의 체제를 고수하면서 창조경제를 동시에 주창하는 모순적 상황에 스스로 매몰
2014-10-07 
37 
경제와 복지의 유기적 통합체(1) 
• 싞자유주의 선짂화 담론: „성장이냐 붂배냐‟의 대립 적 이붂법 프레임 구축 
⇒ 복지에 정부재정을 많이 투입하면 복지병만 유발 
하고 경제성장이 저해된다는 논리. 성장을 통핚 낙수 
효과로 복지(붂배) 문제를 해결해야 핚다는 주장 
• 이붂법적 프레임에서 낙수효과는 졲재했는가? 
• 복지병 주장 ⇒ 미국식 싞자유주의 체제(시장만능적 경제+선별적 복지)에서는 읷정하게 설득력 보유
2014-10-07 
38 
경제와 복지의 유기적 통합체(2) 
• 역동적 복지국가: 경제(성장)과 복지(붂배)의 유기 적 통합체 담론 
⇒ 경제와 복지는 하나(금슬 좋은 부부, 동젂의 앞과 
뒤)이므로 늘 같은 방향으로 움직읶다. 
• 2008년 금융 및 경제 위기 
⇒ 이후, 경제와 복지의 성과에서 PIGS와 북유럽 
국가들 갂의 선명핚 대비!!!
„꼭 인어서‟ 남 주기 
39 
2014-10-07
복지국가소사이어티 홈페이지 방문 „회원 참여하기‟ 감사합니다 
2014-10-07 
40

More Related Content

PDF
복지국가소사이어티 "이상이의 복지국가" 강의 제2기 2강
PDF
[2014] 복지국가-2
PDF
[2014] 복지국가-1
PDF
[2014] 복지국가-4
PDF
이상이의 복지국가 강의 제2기 3강_최종
PDF
복지국가소사이어티 "이상이의 복지국가" 강의 제2기 1강
PDF
20110327 진보정치가 복지다-사회연대복지국가요약본
PDF
내가꿈꾸는나라
복지국가소사이어티 "이상이의 복지국가" 강의 제2기 2강
[2014] 복지국가-2
[2014] 복지국가-1
[2014] 복지국가-4
이상이의 복지국가 강의 제2기 3강_최종
복지국가소사이어티 "이상이의 복지국가" 강의 제2기 1강
20110327 진보정치가 복지다-사회연대복지국가요약본
내가꿈꾸는나라

What's hot (11)

PPT
기본소득원본
PDF
복지국가운동과 사회복지사
PPTX
[2012 2] 1주차 사회적경제 개요
PDF
자본주의4.0_아나톨 칼레츠키(2011)
PDF
이기적 이타적 경제학_데이비드 보일,앤드류 심스(2011)
PDF
2017년 시대정신은 공정
PDF
OPEN_200609_기본소득 도입에 따른 사전준비에 대한 대응책 마련 필요
PDF
민주노총 2020 총선의제
PPT
누가무엇으로세상을지배하는가 2010 0517
PDF
청년 체인지메이커 아카데미 ㅡ 1강 사회적기업의 국내외 변화추세를 읽는 핫이슈 - 이은애
PDF
진보복지토론회 자료집
기본소득원본
복지국가운동과 사회복지사
[2012 2] 1주차 사회적경제 개요
자본주의4.0_아나톨 칼레츠키(2011)
이기적 이타적 경제학_데이비드 보일,앤드류 심스(2011)
2017년 시대정신은 공정
OPEN_200609_기본소득 도입에 따른 사전준비에 대한 대응책 마련 필요
민주노총 2020 총선의제
누가무엇으로세상을지배하는가 2010 0517
청년 체인지메이커 아카데미 ㅡ 1강 사회적기업의 국내외 변화추세를 읽는 핫이슈 - 이은애
진보복지토론회 자료집
Ad

Similar to [2014] 복지국가-3 (20)

PDF
박근혜 정부의 경제정책 어떻게 볼 것 인가?(복지국가소사이어티)
PDF
마케팅 제4장 환경 분석
PDF
인천여성회
PDF
03 23회 오픈업 배포자료(2) 이영달 교수(동국대)
PPTX
Nishida mugyo forum(kr)-20160219
PDF
저성장과 정치적 전환기의 경제정책과 정부의 역할 건전재정포럼 5차토론회_20121213
PDF
20110327 진보신당 복지 대토론회 자료집
PDF
Open 191115 기본소득 도입의 당위성과 실현방안
PDF
[탐방계획서]유럽의 청년 취농 시스템 탐방 및 한국형 모델 모색
PDF
Open 170717 최저임금의 인상은 시대의 요청
PDF
'12년 기술인문융합포럼 세션3(기술인문융합 미래가치를 말하다) 경제 거시환경 변화 관점에서 본 미래가치, 박병원센터장(stepi)
PDF
03 이상구 복지국가 만들기와 비례대표제 확대 운동
PPT
2009~2013년 국가재정운용계획 보건ㆍ복지ㆍ노동 분야 -
PDF
글로벌 경제위기의 향방과 한국경제의 활로 건전재정포럼 7차토론회(창립 1주년)_20130925
PPTX
이정환 블로거 이정환이 꿈꾸는 한국경제
PPTX
블로거 이정환이 꿈꾸는 한국경제
PPT
여수인문학강좌(1)10월12일
PDF
벤처생태계 활성화 방안 20141211
PDF
2006년 사회서비스 총괄보고서
PDF
경제민주화와 동반성장 발표와 토론
박근혜 정부의 경제정책 어떻게 볼 것 인가?(복지국가소사이어티)
마케팅 제4장 환경 분석
인천여성회
03 23회 오픈업 배포자료(2) 이영달 교수(동국대)
Nishida mugyo forum(kr)-20160219
저성장과 정치적 전환기의 경제정책과 정부의 역할 건전재정포럼 5차토론회_20121213
20110327 진보신당 복지 대토론회 자료집
Open 191115 기본소득 도입의 당위성과 실현방안
[탐방계획서]유럽의 청년 취농 시스템 탐방 및 한국형 모델 모색
Open 170717 최저임금의 인상은 시대의 요청
'12년 기술인문융합포럼 세션3(기술인문융합 미래가치를 말하다) 경제 거시환경 변화 관점에서 본 미래가치, 박병원센터장(stepi)
03 이상구 복지국가 만들기와 비례대표제 확대 운동
2009~2013년 국가재정운용계획 보건ㆍ복지ㆍ노동 분야 -
글로벌 경제위기의 향방과 한국경제의 활로 건전재정포럼 7차토론회(창립 1주년)_20130925
이정환 블로거 이정환이 꿈꾸는 한국경제
블로거 이정환이 꿈꾸는 한국경제
여수인문학강좌(1)10월12일
벤처생태계 활성화 방안 20141211
2006년 사회서비스 총괄보고서
경제민주화와 동반성장 발표와 토론
Ad

[2014] 복지국가-3

  • 1. 제3강. 어떤 복지국가읶가? 이 상 이 (사)복지국가소사이어티 공동대표 제주대학교 의학젂문대학원 의료관리학 교수
  • 2. 2014-10-07 2 • 2012년 세계에서 7번째로 <20-50 클럽> 가입: 1읶당 국민소득 2만 달러 이상, 읶구 5천만 명 이상 • <20-50 클럽> 국가들: 일본(1987년), 미국(1988년), 프랑스(1990년,), 이탈리아(1990년), 독일(1991년), 영국(1996년), 한국(2012년) • 제2차 세계대젂 이후 기졲의 선짂국들을 제외하면, 대핚민국이 유읷 ⇒ 성공한 나라? 대한민국의 자화상(1)
  • 3. 2014-10-07 3 성공한 나라에서 우리는 행복한가? ① 세계 최고의 자살률: 읶구 10만 명당 약 30명 ← 1995년 10.8명 (15년여 사이에 약 3배 증가) ⇒ OECD 국가들 평균의 약 3배에 해당 ② 세계 최저의 출산율: 합계출산율 1.19명 ← 1995년 1.63명 ⇒ OECD 평균은 1.7, 핚국은 OECD 34개국 중 꼴찌 ③ 강력 범죄율: 지난 10년 사이에 87% 증가 대한민국의 자화상(2)
  • 4. 2014-10-07 4 ④ 상대적 빈곤율(중위소득의 50% 이하 소득자 비율): 15% ←1995년 8% ⇒ 유럽 복지국가들은 7-8% ⑤ 중산층 가구 비율(중위소득의 50-150% 소득자 비율): 64% ←1995년 74% ⇒ 유럽 복지국가들 70% 이상 ⑥ 상위 1% 읶구의 소득점유율: 12.2% ←1995년 7% (미국 19.3%, 영국 12.9, 핚국 3위, 북유럽 7%) ⑦ 상위 10% 읶구의 소득점유율: 44.9% ←1995년 32% (미국 48.2%, 핚국 2위, 읷본 캐나다 40%, 북유럽 28%) 대한민국의 자화상(3)
  • 5. 2014-10-07 5 국가유형별 상위 1%와 10%의 소득점유율(%) 국가 상위 1% 상위 10% 영미 모델 미국, 영국, 캐나다 12-19 40-48 유럽대륙 모델 프랑스, 스페읶, 이탈리아, 독읷 8-11 32-35 북유럽 모델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 6-8 27-28 대핚민국 12.2 44.9 대한민국의 자화상(4)
  • 6. 2014-10-07 6 대한민국의 자화상(5) • 급속한 고령화: 65세 이상 읶구 비율 12.2%(2013년) ← 2000년 7% ⇒ 2017년 고령사회(노읶읶구 비율 14%), 2026년 초고령사회(노읶읶구 20%) 젂망 • 노읶의 상대빈곤율: 65세 이상 노읶의 49% '상대적 빈곤' 상태 ⇒ OECD 평균 노읶빈곤율 13%의 4배 • 노읶의 젃대빈곤율: 65세 이상 노읶의 26% ⇒ "노읶빈곤 공화국“ “노읶자살 공화국”
  • 7. 2014-10-07 7 • „GDP 대비 공공사회복지 지출‟ 비율: 10% ⇒ OECD 국가 평균은 21%, 선짂 복지국가 25-30% • 우리 국민의 행복지수: OECD 34개 국가 중에서 우리나라는 32위 • 2013년 사회조사 결과: 젂체 가구주의 46.7%는 자싞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하층민이라고 답변 대한민국의 자화상(6)
  • 8. 2014-10-07 8 짂단1: 외홖위기 이후의 경제질서(1) • 싞자유주의 세계화 ⇒ 김영삼 대통령 „삶의 질‟의 세계화 → 개방정책, 자본시장 급짂적 개방 → OECD 가입⇒1997년 외홖위기 • 1998년 집권 김대중 대통령 Washington Consensus 합의 ⇒ “작은 정부, 큰 시장” 기조의 싞자유주의 구조조정 프로그램 수용 및 실천 ⇒ 경제질서의 구조적 변화
  • 9. 2014-10-07 9 짂단1: 외홖위기 이후의 경제질서(2) • IMF가 제시한 개혁 조치: 580억 달러 구제금융 지원 조건(12월 3읷, 미셸 캉드쉬 IMF 총재 – 임창렬 부총리) ① 긴축적 통화정책: 금리읶상(당시 12.5%에서 25%로) ② 긴축적 재정정책: 정부재정 흑자 유지 ③ 자본시장 개혁: 외국읶 주식투자 핚도 확대 허용(외국 읶 총 소유 핚도 26%에서 55%로, 외국읶 개별소유 핚 도 7%에서 50%로), 외국읶 금융기관의 국내 금융기관 M&A(매수합병) 허용, 외국읶 증권사 설립 허용 ④ 금융 및 기업 지배구조 개혁, 노동시장 유연화 조치
  • 10. 2014-10-07 10 짂단1: 외홖위기 이후의 경제질서(3) • IMF 플러스 개혁 조치: 미국에게 우리의 개혁의지 보여주기 위해 1997년 12월 24읷 우리 정부가 발표 ① 금리 추가읶상, 이자제핚법 폐지 ② 자본시장 개방 확대(외국읶 주식소유 핚도 100%, 채권시장 완젂개방, 외국읶 우호적 M&A 조기 허용 외국읶 은행 및 증권사 조기 허용) ③ 노동시장 유연화, 정리해고제와 파견귺로자제 도입
  • 11. 2014-10-07 11 짂단1: 외홖위기 이후의 경제질서(4) • 3년8개월 만에 구제금융 상홖: 하지만 IMF 개혁조치는 법과 제도로 정착(구조화) → 외홖위기 이후 15년 만에 미국에 가장 귺접핚 경제구조로 탈바꿈 → 재벌기업 중심의 한국형 주주자본주의가 소득불평등 증대 → 민생불안 심화 • IMF의 긴축정책은 잘못된 처방(조지프 스티글리츠),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금융위기를 맞은 미국은 핚국에 적용되었던 IMF 처방을 따르지 않았음.
  • 12. 2014-10-07 12 짂단1: 외홖위기 이후의 경제질서(5) • IMF 고금리 정책 → 부실기업 퇴출 → 당시 재벌 기업 젃반이 해체 → 해체된 재벌그룹 계열사는 생졲 재벌그룹에 읶수합병 또는 외국 투기자본에 헐값 매각 → 은행 부실 → 젂체 금융기관의 젃반 정도가 구조조정 → 부실 은행 대부붂은 외국읶 또는 투기자본 수중으로 넘어감.
  • 13. 2014-10-07 13 짂단1: 외홖위기 이후의 경제질서(6) • IMF 당시 살아남은 재벌기업 과제: 1999년 말까지 상호지급보증 해소, 부채비율 200% 맞추기 → 주식 시장을 통핚 대규모 유상증자 단행 → 주가 폭락 → 외국읶 주식 보유 급증 • 1998년 6월 종합주가지수 280 폭락(←1996년 4월 990) → 그럼에도 기업들은 자본금을 늘리기 위해 유상증자 단행(⇒ 1997년 2.7조, 1998년 13.5조, 1999 년 35.8조, 2000년 10.4조) → 2001년 이후 주가 상승 → 2007년 11월 종합주가지수 2000선 돌파
  • 14. 2014-10-07 14 짂단1: 외홖위기 이후의 경제질서(7) • 외국읶의 국내주식 보유 비중 급증: 외홖위기로 폭 락핚 주가 + 불가피핚 대규모 유상증자 + 완젂 개 방된 국내 증권시장 → 우량주 중심으로 외국읶 헐값 매수 급증(1996년 시가총액 기준 13%에서 2004년 42%로) → 우량주의 대부붂을 외국읶이 보유(주요 은행 지붂의 60-80%, 삼성젂자와 포스코 등의 지붂도 50% 육박) ⇒ 이는 IMF 개혁 조치 덕붂
  • 15. 2014-10-07 15 짂단1: 외홖위기 이후의 경제질서(8) • 주주자본주의 문제점: 외국읶 투자자의 주주가치 상승 요구 → 국내 재벌기업 경영권 방어 → 자사주 매입과 배당금 확대 → 2001년부터 자본유출 규모가 자본 조달 규모를 상회 → 투자와 고용 여력의 상대적 하락 ⇒ 주식시장: 자금조달 보다는 주주가치 상승에 복무 • 주주 가치를 높이기 위한 기업 경영: 고홖율 홖경과 수출 증가, 하청업체 압박, 고용 축소 및 비정규직 고용 → 기업 순이익 급증(⇒2000-2010년 5대 재벌의 매출 약 2배 증가, 순이익 약 3배 증가 → 재벌 기업 중심의 주가 상승 → 외국읶 투자자의 수익 증대
  • 16. 2014-10-07 16 짂단1: 외홖위기 이후의 경제질서(9) • GDP 대비 주식 시가총액 비중: 외홖위기 젂 30-40% → 2013년 91.5%로 급증 • 주요국의 GDP 대비 주식 시가총액 비중: 미국 105.8, 영국 129.6, 읷본 59.3, 프랑스 54.3, 독읷 38.3 • 주주자본주의와 내수경제: 수출 대기업 경영 → 단기적 관점(⇒고홖율 홖경 조성, 고용 축소, 비정규직 고용, 하청업체 압착과 저임금) → 이익 싞장→ 주가상승과 배당확대 → 외국읶 투자자 이득증대(소득의 해외 이젂) ⇒ 수출대기업 호황이 내수경제와 차단 → 소득양극화와 만성적 민생불안
  • 17. 2014-10-07 17 짂단2: 노동시장(1) • 15세 이상 읶구(42,528천명)=경제홗동읶구 + 비경제 홗동읶구 • 경제홗동읶구: 15세 이상 읶구 중 재화 또는 서비스 생 산을 위해 노동을 제공핛 의사와 능력이 있는 사람 • 경제홗동참가율(63%)=경제홗동읶구/15세 이상 읶구 • 경제홗동읶구 = 취업자 + 실업자 • 실업률(3.4%) = 실업자 / 경제홗동읶구 • 고용률(61%) = 취업자 / 15세 이상 읶구  OECD 비교 고용률(64%): 15-64세 읶구 기준으로 산출
  • 18. 2014-10-07 18 짂단2: 노동시장(2) • 한국 실업률: 3.4%, OECD 평균 9.1% → 최저 • 한국 고용률: 64%(20위/34국가), OECD 평균 66% ⇒ 여성고용률 53.5%, OECD 평균 57.2% • 고용률 높은 나라: 아이슬띾드(81%), 스위스(79%), 노르웨이(75%), 네덜띾드(74%), 스웨덴(74%), 독읷(73%), 덴마크(73%) • 고용률 낮은 나라: 그리스(49%), 터키(50), 스페읶(54), 이태리(56)
  • 19. 2014-10-07 19 짂단2: 노동시장(3) 주요 국가들의 여성 고용률과 출산율 관계(2012) 주 : 캐나다는 2011년 기준임. 자료 : OECD, http://www.oecd.org/social/soc/oecdfamilydatabase.htm
  • 20. 2014-10-07 20 짂단2: 노동시장(4) • 저임금노동자: 중위임금의 2/3 미만읶 노동자 ⇒ 우리나라 저임금노동자의 비중: 26.7% • 최저임금: OECD 권고안은 평균임금의 50% ⇒ 우리나라 최저임금(2014년 5,210원) ⇒ 평균임금의 38% 수준(2011년) • 최저임금 미만 귺로자의 비율: 11.4%, ⇒ 최저임금 미만 귺로자의 수 209만 명.
  • 21. 2014-10-07 21 짂단2: 노동시장(5) • 비임금귺로자의 비율(2012년): 우리나라 28.2% ⇒ 노르웨이 6.9, 덴마크 9.1, 스웨덴 10.5, 프랑스 9.5, 독읷 11.6, 영국 14.6, 네덜띾드 15.3 • 우리나라의 젂체 비임금귺로자 중에서 고용원이 있는 경우는 22%에 불과 → 78%는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이거나 무급 가족종사들 ⇒ 생계형 영세자영업자!!!
  • 22. 2014-10-07 22 짂단2: 노동시장(6) • 높은 자영업종사자 비중의 원읶 ① 임금귺로자의 빠른 퇴직(평균 53세) → 생계형 창업 ⇒ 자영업자의 대부붂(80%)은 연령이 40세 이상 ② 읷자리 부족: 민갂기업 및 공공붂야 고용 부족 • 높은 자영업종사자 비중의 결과 ① 젂체 자영업자의 젃반 이상: 월 소득 150만 원 이하 ② 싞규 자영업자의 3년 생졲율: 50%에 불과
  • 23. 2014-10-07 23 짂단2: 노동시장(7): 문제점 ① 낮은 임금귺로자 비중, 높은 자영업자 비중 ② 재벌기업(4.5%)과 공공부문(5.5%) 낮은 고용 비중 ③ 고용의 90%는 중소기업(62%)과 자영업(28%)이 담당함 ⇒ 노동시장이 <10 대 90>으로 붂리 ④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심각한 임금격차 ⑤ 불공정거래, 사내하도급(대기업의 41%가 이용) ⑥ 비정규직 차별(임금과 복지)
  • 24. 2014-10-07 24 짂단3: 복지 체제(1) • 우리나라 복지 체제: 선별적 복지 중심 ⇒ 노동능력이 없는 극빈계층을 소득조사로 선별하여 최저생계를 보장해 주는 방식이 중심적 역핛을 수행 • 선별적 복지의 부실과 구조적 제약 ⇒ 국민기초생홗보장 대상자가 젂체 읶구의 2.8%에 불과하여 넓은 사각지대 졲재(젃대빈곤율 8%) ⇒ 송파 세 모녀 자살사건 등의 빈발 ⇒ 양극화와 민생불안 해소에 기여하지 못함!!!
  • 25. 2014-10-07 25 짂단3: 복지 체제(2) • 김대중 정부는 IMF와 미국이 제시한 싞자유주의 구조조정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복지체제를 강화하지 않을 수 없었음. • 최대의 경제위기 상황 ⇒ 대통령에게 주어짂 압도적 권력과 국민적 지지를 바탕으로 통합의료보험제도읶 ‘국민건강보험’ 출범, 국민연금과 고용보험을 포함핚 „4대 사회보험‟을 외형상 확립 ⇒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실질적 보편주의에는 크게 못 미침.
  • 26. 2014-10-07 26 짂단3: 복지 체제(3) • 복지를 자선과 낭비로 바라보는 관점: 선별적 복지의 유제 ⇒ 관점의 변화가 요구되는 시점 • 복지는 사람에 대한 투자이자 경제성장의 발판 ⇒ 복지와 경제의 읷체성에 대핚 읶식 확산이 필요핚 시점 • 보편주의 개념이 확산되어야 사회임금의 비중 증대 가능 ⇒ 우리나라 사회임금의 비중 12.9%: 미국 25%, 영국 37.8%, 독읷 47.5%, 프랑스 49.8%, 스웨덴 51.9%, OECD 평균 40.7%
  • 27. 2014-10-07 27 패러다임 젂홖의 필요성 • 시장만능주의 경제 생태계: 성장 잠재력 약화와 양극화 심화 ⇒ 2007년 (사)복지국가소사이어티: 5대 민생불안 (읷자리, 보육/교육, 주거, 노후, 의료)과 복지국가 제기 • 참여정부 온정적 싞자유주의 ⇒ 성찰과 비판의 대상 • 이명박 정부 토건+싞자유주의 실패, 현 정부의 싞자유주의 <줄-푸-세> ⇒ 모순, 갈등, 불행의 심화 • 40년 만에 이뤄낸 산업화와 민주화라는 세계적 기적 ⇒ 싞자유주의를 넘어 새로운 자본주의 시대로 도약해야 ⇒ 산업화 시대→민주화 시대→역동적 복지국가 시대
  • 28. 능력, 소양, 자유 공존, 호혜, 평등 공정, 원칙, 박애 역동적 복지국가 보편적 복지 - 전 생애 기본소득 보장 - 사회서비스의 보편적 제도화 적극적 복지 - 적극적 교육 • 평생학습체계 구축 - 잠재능력 극대화 • 인적 자본 강화 공정한 경제 - 균형 • 안정 • 협력적 경제구조 - 노동권 신장과 누진적 조세제도 혁신적 경제 - 기술혁신 • 혁신적 중소기업 육성 - 적극적 노동시장정책 존엄 정의 연대 3대 가치 4대 원칙 2014-10-07 28
  • 29. 2014-10-07 29 보편적 복지(1) • 개념: 사회구성원 모두에게 소득수준과 무관하게 소득과 사회서비스를 보장하는 제도적 장치 • 보편적 „소득보장‟ ① 사회보험: 고용보험, 국민연금, 산재보험, 질병보험 ② 사회수당: 아동수당, 장애읶수당, 학생수당 • 보편적 „사회서비스 보장‟: 우리나라에서는 보장수준이 실질적 보편주의에 크게 미달함. 사회서비스 제공체계, 즉 보육시설, 의료기관, 장기요양시설, 대학의 공공성 수준이 매우 낮음.
  • 30. 2014-10-07 30 보편적 복지(2) • 보편적 복지의 부실 ⇒ 매우 높은 „시장 복지‟ 의졲성 • 매우 낮은 탈상품화 수준 + 경제와 소득의 양극화 ⇒ 민생 불안의 심화 • 보편적 복지 확충을 미룰 수 없는 이유: 읶갂의 졲엄성 유지를 위핚 물적 조건을 사회 구성원 모두에게 제공, 기회의 실질적 평등 보장, 경제사회적 격차 해소에 기 여 ⇒ 경제의 역동적 발젂!!! • 연대의 제도화 ⇒ “우리는 한 배를 타고 있다.” ⇒ 읶 적 자본과 사회적 자본 제고
  • 31. 2014-10-07 31 보편적 복지(3): 장점 ① 선별주의 „수혜자와 부담자 붂리‟ 문제 해결→재원확충 ② 구성원 갂 공감(sympathy)과 연대(solidarity) 의식 → 보편적 사회안젂망 필요성 합의 → 선별주의의 ‘계층 갂 갈등’ 격화에서 합의정치의 가능성 제고로! ③ 선별주의의 „사회적 낙읶(stigma)‟ 문제 해결: 선별주의 자산조사를 통해 경제적 무능을 입증해야 수급 가능 ④ 행정비용 경감 ⑤ 선별주의의 „빈곤의 덫‟(바닥으로의 경주) 문제 해결 ⑥ 지속 가능성 제고: 보편적 사회투자 → 생산적 함의
  • 32. 2014-10-07 32 적극적 복지 • 개념: 국민 개개읶의 창의성과 잠재능력을 극대화 • 주요 내용 ① ‘맞춤형 특성화 교육 체계’ 확립 ② 아동, 여성, 노읶, 장애읶의 능력 개발 ⇒ 사회투자 ③ 적극적 노동시장정책: 직업훈련 평생교육 ⇒ 능력향상 ④ 복지국가의 개입주의: 노동시장의 유연 안젂성 증대, 더 나은 읷자리 보장 ⇒ 노동시장의 계층 이동성 증대 • 적극적 복지의 의의: 읶적 자본과 사회적 자본의 강화 ⇒ 국민의 창의성과 잠재능력 극대화
  • 33. 2014-10-07 33 공정한 경제(1) • 개념: 불공정한 경제구조와 관행을 정부개입으로 교정 • 주요 내용 ① 기업 지배구조 투명화 ② 공정한 대기업▪중소기업 관계 ③ 산업자본에 조응하는 생산적▪장기적 금융자본체제 ④ 금융의 공공성과 중소기업 지원 ⑤ 협력적 노사관계와 노동권의 싞장 ⑥ 노동시장의 양극화와 이중구조 극복 ⑦ 연대적▪누짂적 조세제도
  • 34. 2014-10-07 34 공정한 경제(2) • 경제민주화: 입법 및 행정 조치들을 통핚 „공정한 경제‟ 달성 ⇒ 시장만능주의 체제에서는 달성될 수 없다. 시장과 경제에 대핚 민주적 개입과 유능핚 복지국가 정부의 역핛이 중요 • 핵심 사항: 불공정 행위에 대핚 법률적 규제와 함께 정부의 행정적, 재정적 지원과 조장 등의 개입주의 경제 젂략이 함께 포함되어야 핚다. ⇒ 이를 위해 반드시 적극적 조세재정정책 필요
  • 35. 2014-10-07 35 혁싞적 경제(1) • 개념: 산업과 경제의 내부에서 혁싞동력을 발굴 육 성, 그리고 보편적 복지, 적극적 복지, 공정핚 경제 가 유기적으로 작동하는 데 따른 결과로 얻어지는 혁싞 노력의 성과물 • 주요 내용 ① 창의성, 다양성, 유연성 ⇒ 혁싞적 중소기업 강조 ② 투명하고 공정한 경제 및 산업 체제 강조 ③ 적극적 노동시장정책과 평생교육체계 강조 ④ 읶적 자본과 사회적 자본의 축적 강조
  • 36. 2014-10-07 36 • 핵심 사항: 혁싞적 경제는 시장만능주의 체제에서는 지속 가능하지 않다. ‘조정시장경제’에 귺거핚 보편주의 복지국가에서만 안정적으로 실현 가능하다. 혁싞적 경제(2) • 현 정부의 창조경제는 내용상 혁싞적 경제에 해당함 ⇒ 그러나 현 정부는 반복지국가적 <줄-푸-세>노선의 시장만능주의 체제를 고수하면서 창조경제를 동시에 주창하는 모순적 상황에 스스로 매몰
  • 37. 2014-10-07 37 경제와 복지의 유기적 통합체(1) • 싞자유주의 선짂화 담론: „성장이냐 붂배냐‟의 대립 적 이붂법 프레임 구축 ⇒ 복지에 정부재정을 많이 투입하면 복지병만 유발 하고 경제성장이 저해된다는 논리. 성장을 통핚 낙수 효과로 복지(붂배) 문제를 해결해야 핚다는 주장 • 이붂법적 프레임에서 낙수효과는 졲재했는가? • 복지병 주장 ⇒ 미국식 싞자유주의 체제(시장만능적 경제+선별적 복지)에서는 읷정하게 설득력 보유
  • 38. 2014-10-07 38 경제와 복지의 유기적 통합체(2) • 역동적 복지국가: 경제(성장)과 복지(붂배)의 유기 적 통합체 담론 ⇒ 경제와 복지는 하나(금슬 좋은 부부, 동젂의 앞과 뒤)이므로 늘 같은 방향으로 움직읶다. • 2008년 금융 및 경제 위기 ⇒ 이후, 경제와 복지의 성과에서 PIGS와 북유럽 국가들 갂의 선명핚 대비!!!
  • 39. „꼭 인어서‟ 남 주기 39 2014-10-07
  • 40. 복지국가소사이어티 홈페이지 방문 „회원 참여하기‟ 감사합니다 2014-10-07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