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쿠버네티스 설치
vagrant v2
요약
 v1 차이점
▪ 컨테이너 런타임 변경
▪ 기존: docker
▪ 변경: containerd
▪ 설정파일 생성 스크립트 추가
▪ ansible playbook role 컴퍼넌트 통합
 언제 사용하면 될까?
▪ 테스트 목적으로 갑자기 새로운 쿠버네티스 환경이 필요한 경우!
▪ kubespray에 익숙하다면 kubespray 적극 권장
▪ 비용이 충분하다면 EKS 등 Manged 쿠버네티스 서비스 사용 추천 ㅜ.ㅜ
 설치구조
▪ vagrant로 인프라 구성
▪ ansible server
▪ control-plane
▪ worker
▪ 각 virtualbox는 centos7 운영체제 사용
▪ ansible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설치와 구성 자동화
▪ CNI: calico
▪ helm3 설치
▪ CRI는 containerd ① vagrant up
Virtualbox
ansible server
control-plane
worker1
worker2
worker ...
② ansible
playbook
kubernetes
cluster
설치
 준비
▪ 외부통신이 되는 환경
▪ vagrant 설치
▪ virtualbox 설치
▪ python3.6 이상
▪ 충분한 CPU와 메모리
▪ 권장 메모리: 32GB
▪ 권장 CPU: 4core 이상
 설정파일 생성
▪ 2가지 설정파일을 생성하는 스크립트 실행
▪ virtualbox 정보: IP, CPU, Memory, hostname 등
▪ ansible 인벤토리 파일
▪ 프로젝트 다운로드
▪ 파이썬 가상환경 설치와 파이썬 패키지 설치
# git clone https://github.com/choisungwook/vagrant_kubernetes.git
# cd vagrant_kubernetes/config
# virtualenv -m venv
# venvScriptActive
# pip install -r equirements.txt
 설정파일 생성
▪ 스크립트 실행
--bootstrapIP: ansible 서버IP
--controlPlanesIPS: controlplane 노드 IP
--workerIPS: worker 노드 IP
# python generate_config.py --bootstrapIP="192.168.25.220" --
controlPlaneIPS="192.168.25.221" --workerIPS="192.168.25.223,192.168.25.224"
▪ 파일생성 확인
▪ 프로젝트 root/config.yml
▪ 프로젝트 root/ansible_workspace/add_hosts.yaml
 쿠버네티스 설치
▪ vagrant 실행
# vagrant up
※ 약 10분 ~20분 소요(컴퓨터 사양에 따라 상이)
※ 쿠버네티스 설치(최신 버전)와 클러스터 구성
※ CNI는 calico 최신버전
※ CRI는 containered를 사용하고 CLI는 crictl사용
 쿠버네티스 설치
▪ 쿠버네티스 설치와 클러스터 상태 확인
# ssh vagrant@[control-plane IP]
# sudo su
# kubectl get no ; 모든 노드 Ready 확인
# kubectl get po -A ; 모든 pod running상태 확인
# helm ; helm 설치 확인
운영
 쿠버네티스 운영
▪ 테스트 목적이라면 vagrant 명령어로 제어하는 것보다 직접 virtualbox로 직접 제어하는 것이 편리
▪ 원하는 virtualbox을 복수선택하고 오른쪽버튼 클릭 후 상태 제어
①
②
① 일시정지
② 정지
 쿠버네티스 운영
▪ virtualbox를 일시중지하고 다시 시작하는 것보다 완전히 끄고 다시 시작하는 것을 권장
▪ 원인은 못밝혔으나(아마도 시간동기화?) 일시정지하고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 실행하면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동작 X
▪ virtualbox를 group으로 묶어서 관리하는 것을 추천
참고자료
 참고자료
▪ flaticon
▪ https://www.flaticon.com/authors/phatplus
▪ https://www.flaticon.com/authors/freepik
▪ hashicorp icon kit: https://www.hashicorp.com/brand
▪ virtualbox icon: https://en.wikipedia.org/wiki/VirtualBox#/media/File:Virtualbox_logo.png

More Related Content

PDF
모두의 쿠버네티스 (Kubernetes for everyone)
PPTX
[넥슨] kubernetes 소개 (2018)
PPTX
[2019.04] 쿠버네티스 기반 하이퍼레저 패브릭 네트워크 구축하기
PDF
[OpenInfra Days Korea 2018] K8s workshop: with containers & K8s on OpenStack ...
PPTX
Openstack zun,virtual kubelet
PDF
Kubernetes
PDF
Rancher Simple User Guide
PDF
Kubernetes에서 Windows Application 호스팅하기
모두의 쿠버네티스 (Kubernetes for everyone)
[넥슨] kubernetes 소개 (2018)
[2019.04] 쿠버네티스 기반 하이퍼레저 패브릭 네트워크 구축하기
[OpenInfra Days Korea 2018] K8s workshop: with containers & K8s on OpenStack ...
Openstack zun,virtual kubelet
Kubernetes
Rancher Simple User Guide
Kubernetes에서 Windows Application 호스팅하기

What's hot (20)

PDF
[네이버클라우드플랫폼 온라인 교육 시리즈] 네이버클라우드플랫폼 쿠버네티스 소개(정낙수 클라우드 솔루션 아키텍트)
PPTX
쿠버네티스의 이해 #2
PPTX
클라우드 서비스운영 플랫폼 가루다 Open cloudengine_패스트캣_cto 송상욱
PPTX
쿠버네티스 ( Kubernetes ) 소개 자료
PDF
[OpenInfra Days Korea 2018] Day 2 - E5: Mesos to Kubernetes, Cloud Native 서비스...
PDF
클라우드의 대세 쿠버네티스란 무엇인가?(윤성훈 클라우드 솔루션 아키텍트) - Webinar
PDF
Devfair kubernetes 101
PPTX
An overview of kubernetes & (very) simple live demo
PDF
[네이버클라우드플랫폼 온라인 교육 시리즈] 네이버클라우드플랫폼 CLI 소개 및 활용
PDF
Mesos + Marathon + Docker
PPT
Kubernetes
PDF
Prometheus in openstack-helm
PPTX
Final 07.컨테이너 환경에서 모니터링 이슈와 해결 방안
PDF
[221] docker orchestration
PPTX
[NDC17] Kubernetes로 개발서버 간단히 찍어내기
PDF
제2회 난공불락 오픈소스 인프라 세미나 Kubernetes
PDF
카카오에서의 Trove 운영사례
PPTX
GitLab과 Kubernetes를 통한 CI/CD 구축
PPTX
쿠버네티스의 이해 #1
PPTX
Source To URL Without Dockerfile
[네이버클라우드플랫폼 온라인 교육 시리즈] 네이버클라우드플랫폼 쿠버네티스 소개(정낙수 클라우드 솔루션 아키텍트)
쿠버네티스의 이해 #2
클라우드 서비스운영 플랫폼 가루다 Open cloudengine_패스트캣_cto 송상욱
쿠버네티스 ( Kubernetes ) 소개 자료
[OpenInfra Days Korea 2018] Day 2 - E5: Mesos to Kubernetes, Cloud Native 서비스...
클라우드의 대세 쿠버네티스란 무엇인가?(윤성훈 클라우드 솔루션 아키텍트) - Webinar
Devfair kubernetes 101
An overview of kubernetes & (very) simple live demo
[네이버클라우드플랫폼 온라인 교육 시리즈] 네이버클라우드플랫폼 CLI 소개 및 활용
Mesos + Marathon + Docker
Kubernetes
Prometheus in openstack-helm
Final 07.컨테이너 환경에서 모니터링 이슈와 해결 방안
[221] docker orchestration
[NDC17] Kubernetes로 개발서버 간단히 찍어내기
제2회 난공불락 오픈소스 인프라 세미나 Kubernetes
카카오에서의 Trove 운영사례
GitLab과 Kubernetes를 통한 CI/CD 구축
쿠버네티스의 이해 #1
Source To URL Without Dockerfile
Ad

Similar to cbhoilab vagrant와 ansible 쿠버네티스 설치 v2 (20)

PDF
[제3회 스포카콘] Kubernetes in Spoqa
PPTX
[ Pycon Korea 2017 ] Infrastructure as Code를위한 Ansible 활용
PDF
Ansible - Introduction
PDF
쿠버네티스 Part 1 - Pod, Deployment, Service
PPTX
Hadoopcluster install in_centos_virtualbox
PDF
K8s in action02
PDF
[Ansible] Solution Guide V0.4_20181204.pdf
DOCX
F5 container ingress_service_in_kuernetes_with_calico_cni_by_duck_in_korea
PDF
[오픈소스컨설팅]쿠버네티스를 활용한 개발환경 구축
PDF
Virtual Development Environment Setting
PDF
20141029 하둡2.5와 hive설치 및 예제
PPTX
[오픈소스컨설팅]Ansible overview
PDF
Kubernetes in action
PDF
Kubernetes on Premise Practical Guide
PDF
[1A7]Ansible의이해와활용
PDF
Kubernetes on Premise
PDF
IAC on OpenStack(feat.ansible)
PDF
가상머신 환경에서 리눅스 및 큐브리드 설치 가이드 20150714
PPTX
02.실전! 시스템 관리자를 위한 Ansible
PDF
[NDC18] 만들고 붓고 부수고 - 〈야생의 땅: 듀랑고〉 서버 관리 배포 이야기
[제3회 스포카콘] Kubernetes in Spoqa
[ Pycon Korea 2017 ] Infrastructure as Code를위한 Ansible 활용
Ansible - Introduction
쿠버네티스 Part 1 - Pod, Deployment, Service
Hadoopcluster install in_centos_virtualbox
K8s in action02
[Ansible] Solution Guide V0.4_20181204.pdf
F5 container ingress_service_in_kuernetes_with_calico_cni_by_duck_in_korea
[오픈소스컨설팅]쿠버네티스를 활용한 개발환경 구축
Virtual Development Environment Setting
20141029 하둡2.5와 hive설치 및 예제
[오픈소스컨설팅]Ansible overview
Kubernetes in action
Kubernetes on Premise Practical Guide
[1A7]Ansible의이해와활용
Kubernetes on Premise
IAC on OpenStack(feat.ansible)
가상머신 환경에서 리눅스 및 큐브리드 설치 가이드 20150714
02.실전! 시스템 관리자를 위한 Ansible
[NDC18] 만들고 붓고 부수고 - 〈야생의 땅: 듀랑고〉 서버 관리 배포 이야기
Ad

More from choi sungwook (20)

PDF
테라폼스터디5주차 1편
PDF
컨테이너와 도커 이해
PDF
kustomize 빠르게 시작하기
PDF
entrypoint 오버라이딩
PDF
젠킨스 컨셉
PDF
System Manager를 이용한 EC2 원격쉘 접속
PDF
aws profile관리
PDF
nginx 입문 공부자료
PDF
nginx 504 timeout오류 해결
PDF
AWS 다른계정 리소스 사용방법
PDF
docker build cache
PDF
Dockerfile과 도커 이미지 레이어 관계
PDF
도커 이미지 레이어 구조
PDF
helm 입문
PDF
Prometheus 원리와 예제
PDF
쿠버네티스 멀티 클러스터 관리
PDF
EC2 기타비용
PDF
스프링부트 JPA와 mariadb 도커 컨테이너 연동
PDF
윈도우에서 도커 설치
PDF
onpremise환경에서 kubespray설치
테라폼스터디5주차 1편
컨테이너와 도커 이해
kustomize 빠르게 시작하기
entrypoint 오버라이딩
젠킨스 컨셉
System Manager를 이용한 EC2 원격쉘 접속
aws profile관리
nginx 입문 공부자료
nginx 504 timeout오류 해결
AWS 다른계정 리소스 사용방법
docker build cache
Dockerfile과 도커 이미지 레이어 관계
도커 이미지 레이어 구조
helm 입문
Prometheus 원리와 예제
쿠버네티스 멀티 클러스터 관리
EC2 기타비용
스프링부트 JPA와 mariadb 도커 컨테이너 연동
윈도우에서 도커 설치
onpremise환경에서 kubespray설치

cbhoilab vagrant와 ansible 쿠버네티스 설치 v2

  • 3.  v1 차이점 ▪ 컨테이너 런타임 변경 ▪ 기존: docker ▪ 변경: containerd ▪ 설정파일 생성 스크립트 추가 ▪ ansible playbook role 컴퍼넌트 통합
  • 4.  언제 사용하면 될까? ▪ 테스트 목적으로 갑자기 새로운 쿠버네티스 환경이 필요한 경우! ▪ kubespray에 익숙하다면 kubespray 적극 권장 ▪ 비용이 충분하다면 EKS 등 Manged 쿠버네티스 서비스 사용 추천 ㅜ.ㅜ
  • 5.  설치구조 ▪ vagrant로 인프라 구성 ▪ ansible server ▪ control-plane ▪ worker ▪ 각 virtualbox는 centos7 운영체제 사용 ▪ ansible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설치와 구성 자동화 ▪ CNI: calico ▪ helm3 설치 ▪ CRI는 containerd ① vagrant up Virtualbox ansible server control-plane worker1 worker2 worker ... ② ansible playbook kubernetes cluster
  • 7.  준비 ▪ 외부통신이 되는 환경 ▪ vagrant 설치 ▪ virtualbox 설치 ▪ python3.6 이상 ▪ 충분한 CPU와 메모리 ▪ 권장 메모리: 32GB ▪ 권장 CPU: 4core 이상
  • 8.  설정파일 생성 ▪ 2가지 설정파일을 생성하는 스크립트 실행 ▪ virtualbox 정보: IP, CPU, Memory, hostname 등 ▪ ansible 인벤토리 파일 ▪ 프로젝트 다운로드 ▪ 파이썬 가상환경 설치와 파이썬 패키지 설치 # git clone https://github.com/choisungwook/vagrant_kubernetes.git # cd vagrant_kubernetes/config # virtualenv -m venv # venvScriptActive # pip install -r equirements.txt
  • 9.  설정파일 생성 ▪ 스크립트 실행 --bootstrapIP: ansible 서버IP --controlPlanesIPS: controlplane 노드 IP --workerIPS: worker 노드 IP # python generate_config.py --bootstrapIP="192.168.25.220" -- controlPlaneIPS="192.168.25.221" --workerIPS="192.168.25.223,192.168.25.224" ▪ 파일생성 확인 ▪ 프로젝트 root/config.yml ▪ 프로젝트 root/ansible_workspace/add_hosts.yaml
  • 10.  쿠버네티스 설치 ▪ vagrant 실행 # vagrant up ※ 약 10분 ~20분 소요(컴퓨터 사양에 따라 상이) ※ 쿠버네티스 설치(최신 버전)와 클러스터 구성 ※ CNI는 calico 최신버전 ※ CRI는 containered를 사용하고 CLI는 crictl사용
  • 11.  쿠버네티스 설치 ▪ 쿠버네티스 설치와 클러스터 상태 확인 # ssh vagrant@[control-plane IP] # sudo su # kubectl get no ; 모든 노드 Ready 확인 # kubectl get po -A ; 모든 pod running상태 확인 # helm ; helm 설치 확인
  • 13.  쿠버네티스 운영 ▪ 테스트 목적이라면 vagrant 명령어로 제어하는 것보다 직접 virtualbox로 직접 제어하는 것이 편리 ▪ 원하는 virtualbox을 복수선택하고 오른쪽버튼 클릭 후 상태 제어 ① ② ① 일시정지 ② 정지
  • 14.  쿠버네티스 운영 ▪ virtualbox를 일시중지하고 다시 시작하는 것보다 완전히 끄고 다시 시작하는 것을 권장 ▪ 원인은 못밝혔으나(아마도 시간동기화?) 일시정지하고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 실행하면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동작 X ▪ virtualbox를 group으로 묶어서 관리하는 것을 추천
  • 16.  참고자료 ▪ flaticon ▪ https://www.flaticon.com/authors/phatplus ▪ https://www.flaticon.com/authors/freepik ▪ hashicorp icon kit: https://www.hashicorp.com/brand ▪ virtualbox icon: https://en.wikipedia.org/wiki/VirtualBox#/media/File:Virtualbox_logo.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