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Tutorials
git init
git init
저장소 초기화
git init <directory>
디렉토리 생성과 동시에 저장소 초기화
git init --bare my-project.git
서버에 git 설치 시 쓰임
git clone
git clone <repo-url>
저장소 복사하기
git clone <repo-url> <directory>
폴더 생성 후 저장소 복사하기
git config
git config user.name | user.email <name|email>
<repo>/.git/config 에 저장
git config --global user.name | user.email <name|email>
~/.gitconfig 에 저장.
[alias]	
st = status	
co = checkout	
br = branch	
up = rebase	
ci = commit	
[core]	
editor = vim
그 밖에,	
!
alias.st <git command>	
core.editor <editor>
git add
git add <file>
파일 단위 추가
git add <directory>
폴더 단위 추가
working directory -> staging snapshot
git commit
git commit
git config에 지정된 editor 실행 후 커밋로그 작성.
git commit -m <message>
변경된 파일들(!Unstaged)을 확정하고 커밋로그 작성.
git status
git status
Working Directory, Staged, Unstaged 상태의 파일들을 구분해서 표시.
git log
git log
변경사항이 확정된 내용들을 확인.
--oneline, --stat, -p, --graph 등등
환경변수들을 이용해 다양한 방법으로 커밋로그를 확인.
git checkout
git checkout master
master 브랜치로 이동
git checkout <commit ex:a1e8fb5>
16진수 7자리로 구성된 HEAD로 이동
git revert
git revert <commit | HEAD>
기존 변경사항 확정내용을 취소하고, 다시 새롭게 변경사항 확정.
git reset
git reset <HEAD^,HEAD~2 등등>
기존 변경사항 확정내용을 취소하고, 다시 새롭게 변경사항 확정.
git reset
git reset <HEAD^,HEAD~2 등등>
HEAD^ : 최근 변경내역 취소	
HEAD~2 : 최근 변경내역 2개 취소
git clean
git clean
Untracking 상태의 파일을 삭제하는 것을 담당.
git clean -n
삭제하면 어떤 파일에 영향을 받는지 확인.
git clean -f
Untracking 상태의 파일을 삭제.
git branch
git branch <branch-name>
브랜치 생성
git branch -d <branch>
브랜치 삭제
git checkout -b <new-branch-name)
브랜치 삭제
git branch
현재 브랜치 확인
git merge
git merge <branch-name>
브랜치 병합
Rewriting Git History
git commit --amend
최신 커밋로그 메세지 수정
git rebase -i
불특정 다수의 변경내역을 한개로 병합.
git reflog
지금까지 작업했던 목록들을 확인.	
리셋하기전에 많이 사용.
git remote - 1
git remote
현재 리모트 저장소 상태 확인. "origin"
git remote -v
리모트 저장소 목록 확인.	
목록을 통해서 다른 사람이 기여한 내용을 쉽게 확인 가능.
git remote add <name> <url>
리모트 저장소 추가.	
<url>을 저장소를 <name>으로 지정하면, 리모트 저장소에 목록에 저장.
git remote - 2
git remote rename <old-name> <new-name>
리모트 저장소의 이름 수정.
git remote rm <name>
저장소 삭제.
git fetch
git fetch <remote-name>
리모트 저장소에 있는 데이터들을 로컬로 가져옴.	
언제든지 머지 가능.
git fetch <remote-name> <branch>
데이터들을 로컬 브랜치로 가져옴.
git pull
git pull <remote-name> <branch>
fetch 와는 달리 remote 저장소의 데이터를 가져와서 브랜치 머지.
git push
git push <remote> <branch>
저장소와 브랜치에 데이터 내용을 푸시합니다.
git push <remote> --force|-f
강제로 푸시합니다.
감사합니다. :)

More Related Content

PDF
Git 기본개념과 사용법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PPTX
git, 이해부터 활용까지
PDF
11. git basic
PDF
[기초] GIT 교육 자료
PDF
Git branch stregagy & case study
PPTX
Advanced git
PDF
Git - Level 2
PDF
git-basic-commands
Git 기본개념과 사용법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git, 이해부터 활용까지
11. git basic
[기초] GIT 교육 자료
Git branch stregagy & case study
Advanced git
Git - Level 2
git-basic-commands

What's hot (20)

PPTX
오픈소스 공헌을 위한 필수 지식
PDF
svn 능력자를 위한 git 개념 가이드
PDF
Git 입문자를 위한 가이드
PPTX
Git의 개념과 사용
PPTX
PDF
[NDC16] Effective Git
PDF
Git 코드랩 스터디 2
PPTX
Git 분산버전관리 시스템(1)
PPTX
이클립스로 GIT 사용하기
PDF
버전관리시스템 종류와 소개
PPTX
Git 사용 가이드
PDF
Git 더하기 GitHub(구름IDE 환경)
PDF
버전관리를 들어본적 없는 사람들을 위한 DVCS - Git
PDF
Git 더하기 GitHub(Git클라이언트 활용) / Getting started with git+github
PDF
Git Tutorial
PDF
140109 팀프로젝트 협업툴
PDF
Github 사용법
PDF
Git 강별
PDF
Git는 머꼬? GitHub는 또 머지?
PDF
Git 사용법 공유 + Unity3D with git
오픈소스 공헌을 위한 필수 지식
svn 능력자를 위한 git 개념 가이드
Git 입문자를 위한 가이드
Git의 개념과 사용
[NDC16] Effective Git
Git 코드랩 스터디 2
Git 분산버전관리 시스템(1)
이클립스로 GIT 사용하기
버전관리시스템 종류와 소개
Git 사용 가이드
Git 더하기 GitHub(구름IDE 환경)
버전관리를 들어본적 없는 사람들을 위한 DVCS - Git
Git 더하기 GitHub(Git클라이언트 활용) / Getting started with git+github
Git Tutorial
140109 팀프로젝트 협업툴
Github 사용법
Git 강별
Git는 머꼬? GitHub는 또 머지?
Git 사용법 공유 + Unity3D with git
Ad

Similar to Git tutorials (20)

PDF
Git을 조금 더 알아보자!
PDF
Git: A Motivating Introduction
PPTX
PPTX
Git 기본
PPTX
Git lecture2
PPTX
Git basic2 chaos
PDF
소스트리(SourceTree)로 배우는 Git 사용법
PPT
Git from google techtalks by Randal
PDF
Git Tutorial
PDF
해커스 가이드 투 깃
PPTX
Git lecture1
PDF
[T아카데미] 비개발자를 위한 Git과 Github Page 블로그 만들기
PDF
[17.02.09] Github introduction (Korean Version)
PDF
About git
PPTX
Git 기본 가이드
PPTX
Git command
PPTX
오픈소스GIS 개발 일반 강의자료
PPTX
PDF
git-workflow
Git을 조금 더 알아보자!
Git: A Motivating Introduction
Git 기본
Git lecture2
Git basic2 chaos
소스트리(SourceTree)로 배우는 Git 사용법
Git from google techtalks by Randal
Git Tutorial
해커스 가이드 투 깃
Git lecture1
[T아카데미] 비개발자를 위한 Git과 Github Page 블로그 만들기
[17.02.09] Github introduction (Korean Version)
About git
Git 기본 가이드
Git command
오픈소스GIS 개발 일반 강의자료
git-workflow
Ad

Git tutorials

  • 2. git init git init 저장소 초기화 git init <directory> 디렉토리 생성과 동시에 저장소 초기화 git init --bare my-project.git 서버에 git 설치 시 쓰임
  • 3. git clone git clone <repo-url> 저장소 복사하기 git clone <repo-url> <directory> 폴더 생성 후 저장소 복사하기
  • 4. git config git config user.name | user.email <name|email> <repo>/.git/config 에 저장 git config --global user.name | user.email <name|email> ~/.gitconfig 에 저장. [alias] st = status co = checkout br = branch up = rebase ci = commit [core] editor = vim 그 밖에, ! alias.st <git command> core.editor <editor>
  • 5. git add git add <file> 파일 단위 추가 git add <directory> 폴더 단위 추가 working directory -> staging snapshot
  • 6. git commit git commit git config에 지정된 editor 실행 후 커밋로그 작성. git commit -m <message> 변경된 파일들(!Unstaged)을 확정하고 커밋로그 작성.
  • 7. git status git status Working Directory, Staged, Unstaged 상태의 파일들을 구분해서 표시.
  • 8. git log git log 변경사항이 확정된 내용들을 확인. --oneline, --stat, -p, --graph 등등 환경변수들을 이용해 다양한 방법으로 커밋로그를 확인.
  • 9. git checkout git checkout master master 브랜치로 이동 git checkout <commit ex:a1e8fb5> 16진수 7자리로 구성된 HEAD로 이동
  • 10. git revert git revert <commit | HEAD> 기존 변경사항 확정내용을 취소하고, 다시 새롭게 변경사항 확정.
  • 11. git reset git reset <HEAD^,HEAD~2 등등> 기존 변경사항 확정내용을 취소하고, 다시 새롭게 변경사항 확정.
  • 12. git reset git reset <HEAD^,HEAD~2 등등> HEAD^ : 최근 변경내역 취소 HEAD~2 : 최근 변경내역 2개 취소
  • 13. git clean git clean Untracking 상태의 파일을 삭제하는 것을 담당. git clean -n 삭제하면 어떤 파일에 영향을 받는지 확인. git clean -f Untracking 상태의 파일을 삭제.
  • 14. git branch git branch <branch-name> 브랜치 생성 git branch -d <branch> 브랜치 삭제 git checkout -b <new-branch-name) 브랜치 삭제 git branch 현재 브랜치 확인
  • 15. git merge git merge <branch-name> 브랜치 병합
  • 16. Rewriting Git History git commit --amend 최신 커밋로그 메세지 수정 git rebase -i 불특정 다수의 변경내역을 한개로 병합. git reflog 지금까지 작업했던 목록들을 확인. 리셋하기전에 많이 사용.
  • 17. git remote - 1 git remote 현재 리모트 저장소 상태 확인. "origin" git remote -v 리모트 저장소 목록 확인. 목록을 통해서 다른 사람이 기여한 내용을 쉽게 확인 가능. git remote add <name> <url> 리모트 저장소 추가. <url>을 저장소를 <name>으로 지정하면, 리모트 저장소에 목록에 저장.
  • 18. git remote - 2 git remote rename <old-name> <new-name> 리모트 저장소의 이름 수정. git remote rm <name> 저장소 삭제.
  • 19. git fetch git fetch <remote-name> 리모트 저장소에 있는 데이터들을 로컬로 가져옴. 언제든지 머지 가능. git fetch <remote-name> <branch> 데이터들을 로컬 브랜치로 가져옴.
  • 20. git pull git pull <remote-name> <branch> fetch 와는 달리 remote 저장소의 데이터를 가져와서 브랜치 머지.
  • 21. git push git push <remote> <branch> 저장소와 브랜치에 데이터 내용을 푸시합니다. git push <remote> --force|-f 강제로 푸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