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증강현실연구센터소개
센터장 : 문화기술대학원 우운택
발 표 순 서발 표 순 서
2
설립 배경설립 배경
목표 및 핵심 연구내용
추진전략 및 방법
운영방안
설립 추진배경
모바일, 웨어러블, 사물인터넷 (IoT),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의 ICT 기술과 시공간을 확장하는 AR/VR 기술을 결합
한 시공간혁명을 통해 고부가가치의 신시장 창출
가상-증강현실 분야 전망
 국내외에서 AR/VR 시장이 확대 (120B$) 및 기업 투자 증가
 2017년 시행 예정인 국가전략 프로젝트의 후보로 선정
3
“교육, 문화, 게임 등 다양한 콘텐츠 접목 신산업 창출”
설립 추진배경
SWOT of AR/VR in Korea
4
SWOT
STRENGTH
ICT Infra (5G, IoT,
Smart phone, etc.)
Global companies
(Samsung, LG, KT, SKT,
Naver, Kakao, etc.)
Quality of Content & ND
WEAKNESS
Ill-prepared: few experts
Core Technologies
Weak CPND eco-system
(e.g., SW platform)
Loose collaboration
OPPORTUNITIES
Big global investment
Reasonable HW/SW price
Growing potential market
증강현실 공동연구센터 ARRC
Global Open Research Initiative
 Industries support ‘open R&D
for CPND eco-system’
 KAIST educates 100 experts for 5 years
 ARRC provides open R&D opportunities
for AR experts
THREATS
Too high expectation
HW-driven: few proven
acceptance
Social appearance
센터 비전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주도할 증강현실 연구선도
육체적, 지적, 사회적 능력 확장을 위한 증강휴먼 연구선도
5
AR & AH
Eco-system
Device:
wearable
Network:
internet of
everything
Open Platform
Content:
in-situ mashup
Service:
context-aware
o2o
UX-driven:
User
participation
센터 목표 (2020)
선도기업 AR/VR 연구센터 수준의 핵심 역량 확보 및 강화
7
3대
미션
글로벌
AR/VR R&D
허브센터
AR/VR
공동플랫폼
원천기술 및
특허
AR/VR
생태계
활성화
핵심 연구내용
저작, 체험, 서비스 플랫폼 연구 중점
8
Teacher in a distance
핵심 연구내용
응용
9
핵심 연구내용
저작 플랫폼
실내외 3차원 지도기반 AR/VR 스토리 저작
AR/VR 스토리 저작을 위한 직관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AR/VR 객체 오감 모델링, 속성/이벤트, 지능적 반응 저작
10
핵심 연구내용
체험 플랫폼
HMD 환경의 자기시점 양손기반 상호작용 및 협업
원격 협업 지원 사용자 아바타 매핑
실시간 정보/콘텐츠 증강 및 지능 인터페이스
11
핵심 연구내용
서비스 플랫폼
IoT-LBS 연계 맥락인지 소셜 증강현실 서비스 지원
다중 사용자간의 AR-VR 정보/체험 공유 지원
메타데이터 기반의 재활용 가능한 AR/VR 콘텐츠 DB 관리
12
추진전략 및 방법
13
추진전략 및 방법
14
운영 및 자문위원회 중심의 핵심기술 육성 및 중장기
R&D 로드맵 작성
운영
기획
위원회
산학연
자문단
국내외
전문가
운영방향에 대한
의사결정
핵심기술별 중장기
R&D 로드맵 및 기획 자문
핵심 기술별
핵심 R&D 과제 선정
및 육성전략 도출
조직도
15
참여연구실
16
대외 협력체계
17
USC ICT
Columbia Univ.
GATECH
CMU
Graz Univ.
Univ. S. Australia
ICL
Tokyo Univ.
Keio Univ.
…
센터 운영방안
18
AR/VR
생태계 위한
공동 플랫폼
구축
• 전임연구원과 방문연구원 중심 연구센터 운영
• KAIST 핵심 연구실 참여 (CT, CS, EE, ID, KSE, HS)
• 국내외 전문가 및 참여기업 책임 임원의 운영위원회 참여
국내외 R&D
핵심인력 유치
• 박사급 핵심 R&D 인력 초빙
• 국내 참여기업의 방문 연구원 및 해외 우수 연구원 초빙
• 석‧박사과정 대학원생(KAIST 장학생) 양성
글로벌
AR/VR R&D
허브센터
• 격주 AR Seminar Series
• 국내외 AR/VR전문가 중심의 AR/VR Tech 포럼 매월 운영
• 국내외 AR/VR전문가 초청 국제 심포지움 연간 개최
AR/VR
공동 플랫폼
원천기술 및
핵심특허 확보
• 국내외 특허 출원 및 등록으로 핵심특허 선점
• 센터 특허 풀 우선 활용 지원
파트너쉽 제도
19
20
감사합니다!

Kaist arrc 20160901

  • 1.
  • 2.
    발 표 순서발 표 순 서 2 설립 배경설립 배경 목표 및 핵심 연구내용 추진전략 및 방법 운영방안
  • 3.
    설립 추진배경 모바일, 웨어러블,사물인터넷 (IoT),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의 ICT 기술과 시공간을 확장하는 AR/VR 기술을 결합 한 시공간혁명을 통해 고부가가치의 신시장 창출 가상-증강현실 분야 전망  국내외에서 AR/VR 시장이 확대 (120B$) 및 기업 투자 증가  2017년 시행 예정인 국가전략 프로젝트의 후보로 선정 3 “교육, 문화, 게임 등 다양한 콘텐츠 접목 신산업 창출”
  • 4.
    설립 추진배경 SWOT ofAR/VR in Korea 4 SWOT STRENGTH ICT Infra (5G, IoT, Smart phone, etc.) Global companies (Samsung, LG, KT, SKT, Naver, Kakao, etc.) Quality of Content & ND WEAKNESS Ill-prepared: few experts Core Technologies Weak CPND eco-system (e.g., SW platform) Loose collaboration OPPORTUNITIES Big global investment Reasonable HW/SW price Growing potential market 증강현실 공동연구센터 ARRC Global Open Research Initiative  Industries support ‘open R&D for CPND eco-system’  KAIST educates 100 experts for 5 years  ARRC provides open R&D opportunities for AR experts THREATS Too high expectation HW-driven: few proven acceptance Social appearance
  • 5.
    센터 비전 4차 산업혁명시대를 주도할 증강현실 연구선도 육체적, 지적, 사회적 능력 확장을 위한 증강휴먼 연구선도 5 AR & AH Eco-system Device: wearable Network: internet of everything Open Platform Content: in-situ mashup Service: context-aware o2o UX-driven: User participation
  • 6.
    센터 목표 (2020) 선도기업AR/VR 연구센터 수준의 핵심 역량 확보 및 강화 7 3대 미션 글로벌 AR/VR R&D 허브센터 AR/VR 공동플랫폼 원천기술 및 특허 AR/VR 생태계 활성화
  • 7.
    핵심 연구내용 저작, 체험,서비스 플랫폼 연구 중점 8 Teacher in a distance
  • 8.
  • 9.
    핵심 연구내용 저작 플랫폼 실내외3차원 지도기반 AR/VR 스토리 저작 AR/VR 스토리 저작을 위한 직관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AR/VR 객체 오감 모델링, 속성/이벤트, 지능적 반응 저작 10
  • 10.
    핵심 연구내용 체험 플랫폼 HMD환경의 자기시점 양손기반 상호작용 및 협업 원격 협업 지원 사용자 아바타 매핑 실시간 정보/콘텐츠 증강 및 지능 인터페이스 11
  • 11.
    핵심 연구내용 서비스 플랫폼 IoT-LBS연계 맥락인지 소셜 증강현실 서비스 지원 다중 사용자간의 AR-VR 정보/체험 공유 지원 메타데이터 기반의 재활용 가능한 AR/VR 콘텐츠 DB 관리 12
  • 12.
  • 13.
    추진전략 및 방법 14 운영및 자문위원회 중심의 핵심기술 육성 및 중장기 R&D 로드맵 작성 운영 기획 위원회 산학연 자문단 국내외 전문가 운영방향에 대한 의사결정 핵심기술별 중장기 R&D 로드맵 및 기획 자문 핵심 기술별 핵심 R&D 과제 선정 및 육성전략 도출
  • 14.
  • 15.
  • 16.
    대외 협력체계 17 USC ICT ColumbiaUniv. GATECH CMU Graz Univ. Univ. S. Australia ICL Tokyo Univ. Keio Univ. …
  • 17.
    센터 운영방안 18 AR/VR 생태계 위한 공동플랫폼 구축 • 전임연구원과 방문연구원 중심 연구센터 운영 • KAIST 핵심 연구실 참여 (CT, CS, EE, ID, KSE, HS) • 국내외 전문가 및 참여기업 책임 임원의 운영위원회 참여 국내외 R&D 핵심인력 유치 • 박사급 핵심 R&D 인력 초빙 • 국내 참여기업의 방문 연구원 및 해외 우수 연구원 초빙 • 석‧박사과정 대학원생(KAIST 장학생) 양성 글로벌 AR/VR R&D 허브센터 • 격주 AR Seminar Series • 국내외 AR/VR전문가 중심의 AR/VR Tech 포럼 매월 운영 • 국내외 AR/VR전문가 초청 국제 심포지움 연간 개최 AR/VR 공동 플랫폼 원천기술 및 핵심특허 확보 • 국내외 특허 출원 및 등록으로 핵심특허 선점 • 센터 특허 풀 우선 활용 지원
  • 18.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