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이 행복해지는 도시: From Smart to Smile :-)
증강도시에 대한 몇가지 생각
Woontack Woo (禹雲澤), Ph.D.
KAIST ARRC & UVR Lab
Daejeon 34141, Korea
11/29. 2019 @ 2nd AR Vista Forum
왜 스마트 도시인가?
스마트 도시, 시민은 스마트하게 사는가?
플랫폼 도시, 시민은 봉인가?
증강도시, 시민은 행복한가?
EDC 증강도시 플랫폼, 어떻게 할 것인가?
몇가지 생각
2012-2018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스마트 도시?
다양한 개념 & 접근 (선진국 vs. 개도국)
도시 공간에 친환경 융합기술을 적용하여 도시기능을 효율
화하고 도시 문제를 해결하는 지속 가능한 도시
그런데 도시의 주체, 무엇을 원하는가?
시민: 스마트 시민
•삶의 질 향상: 안전, 편리, 행복
정부: 스마트 행정
•제도와 인프라 개선, 거버넌스 혁신
기업: 스마트 산업
•기술혁신, 운영 효율 확보로 산업 경쟁력 확보
방문객?
왜 스마트 도시인가?
2012-2018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스마트 도시, 다양한 접근
유럽은 시민이 주도!
•필요(Need) 서비스 먼저, 기술은 도시의 역사와 시민의 삶 지원!
•살고 싶은가? 매력적인 곳인가?
우리는 정부가 주도!
•기술 먼저, 혁신 성장의 플랫폼? 기술은 도시문제 해결?
•이동성, 효율성, 삶의 질, 성장, 지속 가능한 도시?
• 교통, 공해, 기후변화 대응: 탄소 배출 모니터링과 관리
• 공공자원의 효율적 관리와 운영: 교통, 에너지, 물, 방범, 방재, 빌딩, 도시
• 고품질의 시민 서비스: 교육, 놀이, 쇼핑
• 성장 그리고 지속 가능한 도시: 일자리, 방문객, 모빌리티
시민이 스마트 하게 살기?
스마트 도시, 시민은 스마트하게 사는가?
2012-2018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개방형 플랫폼
공통 플랫폼
•국제 표준기반 IoT 제어, 데이터 통신, Edge/Cloud 연동
응용 플랫폼
•응용 서비스 개발자 위한 UI: IoT 연동 제어, 서비스 관리, 등
플랫폼 도시의 장점
단일 플랫폼 확보로 IoT 간 호완성/공동 활용 증대
플랫폼기반 데이터/개발환경 공유로 개발 시간/비용 감소
Edge/Cloud 활용으로 운영 비용 절감
응용 서비스 호완성 확보
플랫폼 도시, 시민은 봉인가?
2012-2018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스마트 플랫폼 도시, 시민은 봉인가?
데이터, 정보의 자원, 스마트 도시의 기반!
•시민은 데이터 제공, 지속적 참여? 보상은?
스마트 도시는 편리, 안전, 행복을 제공하는가?
그런데, 협업의 인센티브?
•시민은 데이터 제공 -> 인센티브 서비스 활용
•정부는 인프라 제공 -> 도시 생태계 활성화
•기업은 서비스 제공 -> 데이터 확보
준비된 스마트 시민?
데이터는 미래 권력!
시민은 권력에 참여하여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나?
플랫폼 도시, 시민은 봉인가?
2012-2018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증강도시, 살고 싶은 매력적인 도시?
기술(Technology)과 시민(Talent) 그리고 포용(Tolerance)?
기술: 시민 참여형 개방형 플랫폼, 가능할까?
시민: 스마트 시민 의식과 참여
포용: 어떻게 할 것인가?
증강 시민, 어떻게 살 것인가?
몸, 마음, 사회적 관계 그리고 데이터
그런데 시민의 기술 literacy는?
증강현실, 도시 문제 해결과 정책 결정에 참여로!
증강 도시, 시민은 행복한가?
2012-2018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Concept
Busan Echo Delta Smart City
2012-2018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도시가 시민을 자유롭게 한다!
Concept: Platform City
Busan EDC
2012-2018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지속적 혁신이 가능한
미래 도시 플랫폼
Value
Busan EDC
2012-2018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정의의 진화
증강현실 Augmented Reality (Azuma, 1998)
•To register interactive 3D virtual objects into a 3D real environment in
real time
증강공간 Augmented Space (L. Manovich, 2002)
•The physical space overlaid with dynamically changing information,
multimedia in form and localized for each user
Augmented Urban Spaces (A. Aurigi, 2008)
•To co-develop integrated urban planning practices
through XR (VR/AR/MR) technologies
• To improve stakeholder participation
• To link long-term visions with short-term actions
• To plan (solve) challenges in the Augmented Urban
•Places, Connections, Situations and Augmentation
증강도시
2012-2018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증강도시 Augmented City (Woo 2019)
IoT, 5G, 데이터플랫폼, AI, 디지털트윈 등 ICT 기술의 유기
적 연동을 통해 도시의 통합적 모니터링, 효율적 관리, 예측/
검증 시뮬레이션 등을 하며, AR/VR 플랫폼을
통해 시민참여로 도시문제를
관리/해결하는 스마트 도시
핵심 요소
•현실과 가상의 유기적 연동
•관심/맥락 객체/장소 중심 3D 증강
•현실-가상 양방향 상호작용과 협력
•그리고 참여형 문제 해결 도시
디지털트윈기반 증강 도시
2012-2018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증강도시
센싱
(Sentient)
오픈소스
지능
(Intellige
nce)
생산
(Producti
ve)
창의
(Creative)재생
(Recyclic
al)
탄력
(Resilien
t)
유동
(Fluid)
그물망
(Reticula
r)
전략
(Strategi
c)
M. Carta (2016)
우리가 사는 세상을 IoT/E, AI, VR/AR로 증강하면,
정보/지식/경험: Strolling is the new scrolling!
시공간의 한계를 초월한 소통과 협력
그래서, 도시/시민/사회 능력의 확장
디지털트윈기반 증강 도시
2012-2018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Social Media Services
Life: Home
Healthcare, wellness
Work: Office
Collaboration
Play: Public Places
Entertainment
Management
Energy/Water/Air/Mobility
Digital Twin
Physical World
데이터 층위 및 해석
Partial
•A small # of data sources,
e.g., temperature, pressure,
device state
Clone
•All meaningful & measurable
data sources from an asset
Augmented
•Data from the connected
asset with derivative data,
correlated data from
federated sources, and/or
intelligence data from
analytics and algorithms.
디지털트윈기반 증강 도시
2012-2018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취합
분석
가시화
통찰정보
운영
센싱
전달
Data (환경,
사용자, 제품,
장비, 설비, 인
프라, 프로세서
등)
Analytics
(관제, 계획,
검증, 운영 등)
City (시설,
로봇, 사람 등)
IoT (센서, 시
민 등)
증강도시 플랫폼
기본 인프라: IoT, 5G, DP, AI, DT, SC, VR/AR
역할: To Monitor, Plan, Simulate, Verify, Operate
디지털트윈기반 증강 도시 플랫폼
2012-2018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Data Platform
Sensing
(5W1H)
Digital Twin
Modeling
(2D/3D)
VR/AR Platform
Context-aware
Augmentation
(2D/3D)
Citizen, Communities, City, Infrastructure, Environment
Active Participation
(Citizen Science)
XR over 5G, 활용?
5G Edge Cloud will augment on-device processing
디지털트윈기반 증강 도시 플랫폼
2012-2018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5G
• -> tracking
data
• <-
retrieved/
rendered
data
Edge Cloud
• Partial
rendering
• analysis
• retrieving
Cloud
• Less
latency
sensitive
content
Power-efficient,
latency insensitive
on-device rendering
and tracking
Round-Trip Delay (or RTT) of 5G for VR/AR
• Handheld VR/AR: ~200ms
• Head-mounted VR (CG,AI, HCI): ~ 50ms (SKT?)
• Wearable AR (CV, CG, AI, HCI): ~ 10ms (KT?)
AR Platform
증강도시 전체 개념도 (DT with Digital Thread)
디지털트윈기반 증강 도시 플랫폼
2012-2018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Sensing &
Monitoring
Analysis &
Simulation
Planning
Design &
Development
Test &
Verification
Management
& Services
Multimodal User Interface
Data
Human
Sensor
IoT sensor
(Things,
People,
Processes)
DB
Data
Human
Sensor
IoT sensor
(Things,
People,
Processes)
DB
Digital Twin
Authoring
Planning
AR ServicesAR Services
Life
Work
Play
Geo info
Data
Data
Platform
Geo Data
Storage
Information
Wise Geo-AR
Context
Awareness
NUI
Management
USER
Information
Authentication
Open
DB/
Server
AR
Server
Visualization
Verification
Operation
Simulation
MonitoringAggregation
Analysis
Simulation
Visualization
Management
2D/3D
Rendering
City
Management
I/O
Authentication User Profile
D-SLAM4AR
Robot
In-situ
Authoring
Digital Twin
디지털트윈기반 증강 도시 플랫폼
2012-2018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Digital Twin
데이터/정보 관리
수집/처리/저장
사용자 행동
실시간
Geo데이터
(IoT/IoE)
정보
(DB, D/AI
Platform)
3D 기반 해석
관재/분석/예측
3D 가시화
계획/검증/학습
서비스 관리
(Management)
일상/일/놀이/도
시관리/로봇
사
용
자
서비스
플랫폼
일상
일
놀이
도시관리
로봇
해석모형
3D Model
A sensor-enabled model of matching
things/systems/space, people or processes
VR/AR Platform
디지털트윈기반 증강 도시 플랫폼
2012-2018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VR/AR Platform
Localization
D-SLAM4AR
NUI
Management
Intelligent 2D/3D
Rendering
정보/서비스
증강 관리
(Wise Geo-AR
Management)
사
용
자
VR/AR
서비스
플랫폼
일상
일
놀이
로봇
도시관리
사용자
입력/
피드백
Context-
awareness
실시간
Geo데이터
(IoT/IoE)
정보 (DB,
DP, DT)
Camera
Sensors
In-Situ
Authoring
VR/AR Platform
D-SLAM4Localization: 사용자 위치와 관심 (객체) 인식/추적
Intelligent Rendering: 지능적 정보 시각화 및 증강
Context Awareness: 사용자, 환경,
컴퓨팅 등 맥락인지
NUI Management: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지털트윈기반 증강 도시 플랫폼
2012-2018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Authoring
AR Services
Life
Work
Play
AR Platform
Information
Open
DB
AR
Server
City
Management
Robot
Multimodal User Interface
Geo info
USER
Wise Geo-AR
Context
Awareness
NUI
Management
2D/3D
Rendering
D-SLAM4AR
AR Authoring
시민의 참여, 증강 도시 만들 수 있을까요?
모바일 앱과 디지털트윈기반 시민의 능동적 참여
디지털트윈기반 진행 프로세스
모바일 앱으로 실생활에서 스스로 문제 발굴
디지털트윈과 인공지능으로 문제 모니터링과 가시화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협력하여 해결 방안 시뮬레이션
다양한 방법론 검증
참여로 정책 반영
공동 해결
디지털트윈기반 증강 도시
2012-2018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시민 참여형 증강 도시
시민이 직접 사회문제를 발굴하고, 디지털 트윈을 통해 다양
한 주체들(시민, 전문가, 디자이너, 기업 등)이 참여하여
virtual verification을 마친 후, real world에 결과를 반영
방법: Incentive Orchestration
Gamification affordance: DT 플랫폼의 virtual citizen에게
•DT에서 장소/콘텐츠에 대한 접근권 제공(badge, level)
•DT에서 사용 가능한 재화 제공(points)
Additional incentive: DT에서 획득한 자원 ARP를 통해 활용
•증강현실 콘텐츠에 대한 접근권 제공(information/content)
•증강현실에서 사용 가능한 토큰 제공
디지털트윈기반 증강 도시
2012-2018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A-EDC 추진시 고려사항
EDC 완공 이전에 증강도시 서비스 검증 위한 테스트베드 조
기 구축 및 서비스 검증
개방형 증강플랫폼 및 핵심 서비스
•지리정보기반 관련 정보/지식의 증강
•사용자의 인지/경험 증강
•로봇 등 서비스 연동 및 증강
데이터/ 증강콘텐츠 표현 표준화
및 산업 생태계 조성
시민참여형 도시문제 해결 모형 및
인센티브 시스템 디자인/구현/검증
디지털트윈기반 증강 도시
2012-2018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Smart Citizen
스마트시티: 시민의 문제
•진화하는 도시 시민은 수동적 수용자
•다양한 정보/서비스의 홍수
•시민간 소통의 부재
해법
•시민 참여형 스마트 시티
•시민 중심의 정보 풀링
•VR/AR기반의 사회적 소통 및 연대
기술
•3차원 지도기반 정보/경험 공유
•개인화 에이전트 기반 정보 소비
•경험공유 및 소통지원 소셜 플랫폼
디지털트윈기반 증강 도시
2012-2018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사람 기술
Usable
Useful
Efficient
Induced
Enervation
Artificial
Unintelligence
Intended
Inconvenience
증강도시 응용
IoT, 5G, Digital Twin, AI, AR/VR 연동
증강도시 서비스: LWPM
디지털트윈기반 증강 도시
2012-2018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Management
관리: 환경, 교
통, 안전, 행정
Life 삶:
의료/복지, 에
듀테인먼트,
에너지
Work 일:
작업, 교육/훈
련, 협력
Play 놀이:
관광, 전시, 공
연, 스포츠, 쇼
핑, 산책
What Should We Do?
Deploy or Die? XR or Extinct!
"Do you want to sell sugared water
for the rest of your life?
Or do you want to come with me and
change the world?“
- Steve Jobs
2012-2019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More Information
Woontack Woo, Ph.D.
•wwoo@kaist.ac.kr
•http://uvr.kaist.ac.kr
•http://arrc.kaist.ac.kr
Supported by
KAIST, ㈜ PostMedia, ㈜ VirNect, ㈜AST
과기정통부 IITP/NRF, 문화부 KOCCA, K-Water
Related Events
3rd AR Vista Forum, Jan. 2020
“The future is already here. It is just not uniformly distributed”
by William Gibson (SF writer)
Welcome to A-City in UVR Era!
2012-2019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More Related Content

PDF
스마트 시대의 Ict 동향 및 신사업기회
PPTX
스마트 시티 동향과 기술
PDF
서울 버스 디지털 노선도 기획에서 UI, UX, UT
PDF
0. Smart public media reference m&amp;m networks vol1
PDF
사용자 경험 기반 실감 미디어 제품 평가체계 활용
PDF
사물지능이란? (Connect 9월호)
PDF
전남. 광주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활성화 보고서_2019
PDF
사물지능 혁명 - 명사의 시대에서 동사의 시대로
스마트 시대의 Ict 동향 및 신사업기회
스마트 시티 동향과 기술
서울 버스 디지털 노선도 기획에서 UI, UX, UT
0. Smart public media reference m&amp;m networks vol1
사용자 경험 기반 실감 미디어 제품 평가체계 활용
사물지능이란? (Connect 9월호)
전남. 광주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활성화 보고서_2019
사물지능 혁명 - 명사의 시대에서 동사의 시대로

What's hot (20)

PDF
사물지능혁명 1장 명사에서 동사로
PDF
빅데이터와 사용자체험 융합
PDF
차세대 모바일 발전동향 김선영 20130620
PDF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스마트 시티 서비스 2018
PDF
공공 미디어 서비스 모델 개발 및 산업 동향
PDF
[2014년 3월 25일] mining minds 빅 데이터, 욕망을 읽다
PDF
2020 디지털 사이니지 전망과 기대
PDF
디지털 사이니지 사업 전략 및 생태계-2016
PDF
인공지능(AI) 플랫폼 시대의 무한 경쟁이 주는 의미
PDF
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
PDF
[2013년 6월 25일] it 총아 자동차 산업전망
PDF
2. Smart Media M&M Networks vol1
PDF
인공지능 발전이 가져올 2030년의 삶
PDF
IoT 기반 디지털 사이니지 서비스와 스마트 광고 효과 측정 -2014
PDF
Future of IoT 20171129 rapa suny kim
PDF
스마트시티에서의 디지털사이니지의 역할과 유망서비스 탐색 _2020
PDF
2018_ 디지털 사이니지 트랜드 소개
PDF
2012디자이너가주목해야할테크동향
PDF
디지털트윈 기술 동향과 전망 - 국토연구원 월간국토 4월호 기고
PDF
Kaist ctar20210701
사물지능혁명 1장 명사에서 동사로
빅데이터와 사용자체험 융합
차세대 모바일 발전동향 김선영 20130620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스마트 시티 서비스 2018
공공 미디어 서비스 모델 개발 및 산업 동향
[2014년 3월 25일] mining minds 빅 데이터, 욕망을 읽다
2020 디지털 사이니지 전망과 기대
디지털 사이니지 사업 전략 및 생태계-2016
인공지능(AI) 플랫폼 시대의 무한 경쟁이 주는 의미
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
[2013년 6월 25일] it 총아 자동차 산업전망
2. Smart Media M&M Networks vol1
인공지능 발전이 가져올 2030년의 삶
IoT 기반 디지털 사이니지 서비스와 스마트 광고 효과 측정 -2014
Future of IoT 20171129 rapa suny kim
스마트시티에서의 디지털사이니지의 역할과 유망서비스 탐색 _2020
2018_ 디지털 사이니지 트랜드 소개
2012디자이너가주목해야할테크동향
디지털트윈 기술 동향과 전망 - 국토연구원 월간국토 4월호 기고
Kaist ctar20210701
Ad

Similar to Some Thoughts on Augmented City 2019 (20)

PDF
GS1 Tutorial (Korean) by Daeyoung Kim, Auto-ID Labs, KAIST
PDF
모바일 앱(App) 디자인과 모바일 시장변화의 이해
PPTX
스마트시티 프레임웍과 기술분류체계
PDF
Smart city and cloud - World Smart City Expo(NBP CTO Kieun Park)
PPTX
스마트 시티의 빅데이터 분석론 - 최준영
PDF
스마트 구로 홍보관 _ MnM case study book vol1
PPTX
스마티 시티에서의 빅데이터 기술 활용 Big data technologies overview in smart cities
PDF
Kaist arrc 20160901
PDF
Haklae talk-daegu-2016
PDF
사물인터넷, 이제는 서비스다!
PDF
사물 인터넷을 넘어 지능형 사물 인터넷 시대로!_강지나 클라우드 솔루션 아키텍트
PDF
[CES 2019 리뷰] 'Eureka Park’를 중심으로 본 기술 스타트업 트렌드 / 네이버 D2SF 양상환 리더
PDF
07 모바일 보안 대응전략 및 구축 사례
PDF
대화형지도 Carto를 활용한 데이터 분석 및 통찰력
PPTX
Research Works of Jonghoon seo
PDF
2018 it trend
PPTX
Smart City
KEY
스마트 서울,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
PDF
스마트공공서비스 상호호환규격수립
PDF
다이렉트 본딩 기반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 조사_2016 Bonding digital signage biz research
GS1 Tutorial (Korean) by Daeyoung Kim, Auto-ID Labs, KAIST
모바일 앱(App) 디자인과 모바일 시장변화의 이해
스마트시티 프레임웍과 기술분류체계
Smart city and cloud - World Smart City Expo(NBP CTO Kieun Park)
스마트 시티의 빅데이터 분석론 - 최준영
스마트 구로 홍보관 _ MnM case study book vol1
스마티 시티에서의 빅데이터 기술 활용 Big data technologies overview in smart cities
Kaist arrc 20160901
Haklae talk-daegu-2016
사물인터넷, 이제는 서비스다!
사물 인터넷을 넘어 지능형 사물 인터넷 시대로!_강지나 클라우드 솔루션 아키텍트
[CES 2019 리뷰] 'Eureka Park’를 중심으로 본 기술 스타트업 트렌드 / 네이버 D2SF 양상환 리더
07 모바일 보안 대응전략 및 구축 사례
대화형지도 Carto를 활용한 데이터 분석 및 통찰력
Research Works of Jonghoon seo
2018 it trend
Smart City
스마트 서울,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
스마트공공서비스 상호호환규격수립
다이렉트 본딩 기반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 조사_2016 Bonding digital signage biz research
Ad

More from Woontack Woo (20)

PDF
KAIST_CTAR20230322.pdf
PDF
Metaverse_SGAsia2022.pdf
PDF
Metaverse2021 woo
PDF
Uvr lab intro_gsct2021
PDF
Kaist gsct20210701
PDF
XR@CES2021
PDF
Augmented Human: AR 4.0 Beyond Time and Space
PDF
A museum gsct2020_f
PDF
KAIST CT-AR Program 2020
PDF
From AR to Augmented {City and Citizen}
PDF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설립타당성 및 운영방안
PDF
Augmented Human 2018
PDF
Augmented Human 2018
PDF
170119 metadata representation_v2s
PDF
VR AR 미래전략 2016
PDF
Metadata representation for outdoor AR services
PDF
CT Strategy and Planning 2015
PDF
Introduction to UVR Lab 2.0
PDF
Future of Augmented Reality: Augmented Human in Ubiquitous VR era
PPT
KAIST UVR Lab 2013
KAIST_CTAR20230322.pdf
Metaverse_SGAsia2022.pdf
Metaverse2021 woo
Uvr lab intro_gsct2021
Kaist gsct20210701
XR@CES2021
Augmented Human: AR 4.0 Beyond Time and Space
A museum gsct2020_f
KAIST CT-AR Program 2020
From AR to Augmented {City and Citizen}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설립타당성 및 운영방안
Augmented Human 2018
Augmented Human 2018
170119 metadata representation_v2s
VR AR 미래전략 2016
Metadata representation for outdoor AR services
CT Strategy and Planning 2015
Introduction to UVR Lab 2.0
Future of Augmented Reality: Augmented Human in Ubiquitous VR era
KAIST UVR Lab 2013

Some Thoughts on Augmented City 2019

  • 1. 시민이 행복해지는 도시: From Smart to Smile :-) 증강도시에 대한 몇가지 생각 Woontack Woo (禹雲澤), Ph.D. KAIST ARRC & UVR Lab Daejeon 34141, Korea 11/29. 2019 @ 2nd AR Vista Forum
  • 2. 왜 스마트 도시인가? 스마트 도시, 시민은 스마트하게 사는가? 플랫폼 도시, 시민은 봉인가? 증강도시, 시민은 행복한가? EDC 증강도시 플랫폼, 어떻게 할 것인가? 몇가지 생각 2012-2018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 3. 스마트 도시? 다양한 개념 & 접근 (선진국 vs. 개도국) 도시 공간에 친환경 융합기술을 적용하여 도시기능을 효율 화하고 도시 문제를 해결하는 지속 가능한 도시 그런데 도시의 주체, 무엇을 원하는가? 시민: 스마트 시민 •삶의 질 향상: 안전, 편리, 행복 정부: 스마트 행정 •제도와 인프라 개선, 거버넌스 혁신 기업: 스마트 산업 •기술혁신, 운영 효율 확보로 산업 경쟁력 확보 방문객? 왜 스마트 도시인가? 2012-2018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 4. 스마트 도시, 다양한 접근 유럽은 시민이 주도! •필요(Need) 서비스 먼저, 기술은 도시의 역사와 시민의 삶 지원! •살고 싶은가? 매력적인 곳인가? 우리는 정부가 주도! •기술 먼저, 혁신 성장의 플랫폼? 기술은 도시문제 해결? •이동성, 효율성, 삶의 질, 성장, 지속 가능한 도시? • 교통, 공해, 기후변화 대응: 탄소 배출 모니터링과 관리 • 공공자원의 효율적 관리와 운영: 교통, 에너지, 물, 방범, 방재, 빌딩, 도시 • 고품질의 시민 서비스: 교육, 놀이, 쇼핑 • 성장 그리고 지속 가능한 도시: 일자리, 방문객, 모빌리티 시민이 스마트 하게 살기? 스마트 도시, 시민은 스마트하게 사는가? 2012-2018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 5. 개방형 플랫폼 공통 플랫폼 •국제 표준기반 IoT 제어, 데이터 통신, Edge/Cloud 연동 응용 플랫폼 •응용 서비스 개발자 위한 UI: IoT 연동 제어, 서비스 관리, 등 플랫폼 도시의 장점 단일 플랫폼 확보로 IoT 간 호완성/공동 활용 증대 플랫폼기반 데이터/개발환경 공유로 개발 시간/비용 감소 Edge/Cloud 활용으로 운영 비용 절감 응용 서비스 호완성 확보 플랫폼 도시, 시민은 봉인가? 2012-2018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 6. 스마트 플랫폼 도시, 시민은 봉인가? 데이터, 정보의 자원, 스마트 도시의 기반! •시민은 데이터 제공, 지속적 참여? 보상은? 스마트 도시는 편리, 안전, 행복을 제공하는가? 그런데, 협업의 인센티브? •시민은 데이터 제공 -> 인센티브 서비스 활용 •정부는 인프라 제공 -> 도시 생태계 활성화 •기업은 서비스 제공 -> 데이터 확보 준비된 스마트 시민? 데이터는 미래 권력! 시민은 권력에 참여하여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나? 플랫폼 도시, 시민은 봉인가? 2012-2018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 7. 증강도시, 살고 싶은 매력적인 도시? 기술(Technology)과 시민(Talent) 그리고 포용(Tolerance)? 기술: 시민 참여형 개방형 플랫폼, 가능할까? 시민: 스마트 시민 의식과 참여 포용: 어떻게 할 것인가? 증강 시민, 어떻게 살 것인가? 몸, 마음, 사회적 관계 그리고 데이터 그런데 시민의 기술 literacy는? 증강현실, 도시 문제 해결과 정책 결정에 참여로! 증강 도시, 시민은 행복한가? 2012-2018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 8. Concept Busan Echo Delta Smart City 2012-2018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도시가 시민을 자유롭게 한다!
  • 9. Concept: Platform City Busan EDC 2012-2018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지속적 혁신이 가능한 미래 도시 플랫폼
  • 10. Value Busan EDC 2012-2018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 11. 정의의 진화 증강현실 Augmented Reality (Azuma, 1998) •To register interactive 3D virtual objects into a 3D real environment in real time 증강공간 Augmented Space (L. Manovich, 2002) •The physical space overlaid with dynamically changing information, multimedia in form and localized for each user Augmented Urban Spaces (A. Aurigi, 2008) •To co-develop integrated urban planning practices through XR (VR/AR/MR) technologies • To improve stakeholder participation • To link long-term visions with short-term actions • To plan (solve) challenges in the Augmented Urban •Places, Connections, Situations and Augmentation 증강도시 2012-2018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 12. 증강도시 Augmented City (Woo 2019) IoT, 5G, 데이터플랫폼, AI, 디지털트윈 등 ICT 기술의 유기 적 연동을 통해 도시의 통합적 모니터링, 효율적 관리, 예측/ 검증 시뮬레이션 등을 하며, AR/VR 플랫폼을 통해 시민참여로 도시문제를 관리/해결하는 스마트 도시 핵심 요소 •현실과 가상의 유기적 연동 •관심/맥락 객체/장소 중심 3D 증강 •현실-가상 양방향 상호작용과 협력 •그리고 참여형 문제 해결 도시 디지털트윈기반 증강 도시 2012-2018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증강도시 센싱 (Sentient) 오픈소스 지능 (Intellige nce) 생산 (Producti ve) 창의 (Creative)재생 (Recyclic al) 탄력 (Resilien t) 유동 (Fluid) 그물망 (Reticula r) 전략 (Strategi c) M. Carta (2016)
  • 13. 우리가 사는 세상을 IoT/E, AI, VR/AR로 증강하면, 정보/지식/경험: Strolling is the new scrolling! 시공간의 한계를 초월한 소통과 협력 그래서, 도시/시민/사회 능력의 확장 디지털트윈기반 증강 도시 2012-2018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Social Media Services Life: Home Healthcare, wellness Work: Office Collaboration Play: Public Places Entertainment Management Energy/Water/Air/Mobility Digital Twin Physical World
  • 14. 데이터 층위 및 해석 Partial •A small # of data sources, e.g., temperature, pressure, device state Clone •All meaningful & measurable data sources from an asset Augmented •Data from the connected asset with derivative data, correlated data from federated sources, and/or intelligence data from analytics and algorithms. 디지털트윈기반 증강 도시 2012-2018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취합 분석 가시화 통찰정보 운영 센싱 전달 Data (환경, 사용자, 제품, 장비, 설비, 인 프라, 프로세서 등) Analytics (관제, 계획, 검증, 운영 등) City (시설, 로봇, 사람 등) IoT (센서, 시 민 등)
  • 15. 증강도시 플랫폼 기본 인프라: IoT, 5G, DP, AI, DT, SC, VR/AR 역할: To Monitor, Plan, Simulate, Verify, Operate 디지털트윈기반 증강 도시 플랫폼 2012-2018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Data Platform Sensing (5W1H) Digital Twin Modeling (2D/3D) VR/AR Platform Context-aware Augmentation (2D/3D) Citizen, Communities, City, Infrastructure, Environment Active Participation (Citizen Science)
  • 16. XR over 5G, 활용? 5G Edge Cloud will augment on-device processing 디지털트윈기반 증강 도시 플랫폼 2012-2018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5G • -> tracking data • <- retrieved/ rendered data Edge Cloud • Partial rendering • analysis • retrieving Cloud • Less latency sensitive content Power-efficient, latency insensitive on-device rendering and tracking Round-Trip Delay (or RTT) of 5G for VR/AR • Handheld VR/AR: ~200ms • Head-mounted VR (CG,AI, HCI): ~ 50ms (SKT?) • Wearable AR (CV, CG, AI, HCI): ~ 10ms (KT?)
  • 17. AR Platform 증강도시 전체 개념도 (DT with Digital Thread) 디지털트윈기반 증강 도시 플랫폼 2012-2018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Sensing & Monitoring Analysis & Simulation Planning Design & Development Test & Verification Management & Services Multimodal User Interface Data Human Sensor IoT sensor (Things, People, Processes) DB Data Human Sensor IoT sensor (Things, People, Processes) DB Digital Twin Authoring Planning AR ServicesAR Services Life Work Play Geo info Data Data Platform Geo Data Storage Information Wise Geo-AR Context Awareness NUI Management USER Information Authentication Open DB/ Server AR Server Visualization Verification Operation Simulation MonitoringAggregation Analysis Simulation Visualization Management 2D/3D Rendering City Management I/O Authentication User Profile D-SLAM4AR Robot In-situ Authoring
  • 18. Digital Twin 디지털트윈기반 증강 도시 플랫폼 2012-2018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Digital Twin 데이터/정보 관리 수집/처리/저장 사용자 행동 실시간 Geo데이터 (IoT/IoE) 정보 (DB, D/AI Platform) 3D 기반 해석 관재/분석/예측 3D 가시화 계획/검증/학습 서비스 관리 (Management) 일상/일/놀이/도 시관리/로봇 사 용 자 서비스 플랫폼 일상 일 놀이 도시관리 로봇 해석모형 3D Model A sensor-enabled model of matching things/systems/space, people or processes
  • 19. VR/AR Platform 디지털트윈기반 증강 도시 플랫폼 2012-2018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VR/AR Platform Localization D-SLAM4AR NUI Management Intelligent 2D/3D Rendering 정보/서비스 증강 관리 (Wise Geo-AR Management) 사 용 자 VR/AR 서비스 플랫폼 일상 일 놀이 로봇 도시관리 사용자 입력/ 피드백 Context- awareness 실시간 Geo데이터 (IoT/IoE) 정보 (DB, DP, DT) Camera Sensors In-Situ Authoring
  • 20. VR/AR Platform D-SLAM4Localization: 사용자 위치와 관심 (객체) 인식/추적 Intelligent Rendering: 지능적 정보 시각화 및 증강 Context Awareness: 사용자, 환경, 컴퓨팅 등 맥락인지 NUI Management: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지털트윈기반 증강 도시 플랫폼 2012-2018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Authoring AR Services Life Work Play AR Platform Information Open DB AR Server City Management Robot Multimodal User Interface Geo info USER Wise Geo-AR Context Awareness NUI Management 2D/3D Rendering D-SLAM4AR AR Authoring
  • 21. 시민의 참여, 증강 도시 만들 수 있을까요? 모바일 앱과 디지털트윈기반 시민의 능동적 참여 디지털트윈기반 진행 프로세스 모바일 앱으로 실생활에서 스스로 문제 발굴 디지털트윈과 인공지능으로 문제 모니터링과 가시화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협력하여 해결 방안 시뮬레이션 다양한 방법론 검증 참여로 정책 반영 공동 해결 디지털트윈기반 증강 도시 2012-2018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 22. 시민 참여형 증강 도시 시민이 직접 사회문제를 발굴하고, 디지털 트윈을 통해 다양 한 주체들(시민, 전문가, 디자이너, 기업 등)이 참여하여 virtual verification을 마친 후, real world에 결과를 반영 방법: Incentive Orchestration Gamification affordance: DT 플랫폼의 virtual citizen에게 •DT에서 장소/콘텐츠에 대한 접근권 제공(badge, level) •DT에서 사용 가능한 재화 제공(points) Additional incentive: DT에서 획득한 자원 ARP를 통해 활용 •증강현실 콘텐츠에 대한 접근권 제공(information/content) •증강현실에서 사용 가능한 토큰 제공 디지털트윈기반 증강 도시 2012-2018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 23. A-EDC 추진시 고려사항 EDC 완공 이전에 증강도시 서비스 검증 위한 테스트베드 조 기 구축 및 서비스 검증 개방형 증강플랫폼 및 핵심 서비스 •지리정보기반 관련 정보/지식의 증강 •사용자의 인지/경험 증강 •로봇 등 서비스 연동 및 증강 데이터/ 증강콘텐츠 표현 표준화 및 산업 생태계 조성 시민참여형 도시문제 해결 모형 및 인센티브 시스템 디자인/구현/검증 디지털트윈기반 증강 도시 2012-2018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 24. Smart Citizen 스마트시티: 시민의 문제 •진화하는 도시 시민은 수동적 수용자 •다양한 정보/서비스의 홍수 •시민간 소통의 부재 해법 •시민 참여형 스마트 시티 •시민 중심의 정보 풀링 •VR/AR기반의 사회적 소통 및 연대 기술 •3차원 지도기반 정보/경험 공유 •개인화 에이전트 기반 정보 소비 •경험공유 및 소통지원 소셜 플랫폼 디지털트윈기반 증강 도시 2012-2018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사람 기술 Usable Useful Efficient Induced Enervation Artificial Unintelligence Intended Inconvenience
  • 25. 증강도시 응용 IoT, 5G, Digital Twin, AI, AR/VR 연동 증강도시 서비스: LWPM 디지털트윈기반 증강 도시 2012-2018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Management 관리: 환경, 교 통, 안전, 행정 Life 삶: 의료/복지, 에 듀테인먼트, 에너지 Work 일: 작업, 교육/훈 련, 협력 Play 놀이: 관광, 전시, 공 연, 스포츠, 쇼 핑, 산책
  • 26. What Should We Do? Deploy or Die? XR or Extinct! "Do you want to sell sugared water for the rest of your life? Or do you want to come with me and change the world?“ - Steve Jobs 2012-2019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 27. More Information Woontack Woo, Ph.D. •[email protected] •http://uvr.kaist.ac.kr •http://arrc.kaist.ac.kr Supported by KAIST, ㈜ PostMedia, ㈜ VirNect, ㈜AST 과기정통부 IITP/NRF, 문화부 KOCCA, K-Water Related Events 3rd AR Vista Forum, Jan. 2020 “The future is already here. It is just not uniformly distributed” by William Gibson (SF writer) Welcome to A-City in UVR Era! 2012-2019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