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여! 스터디를 하자!
        이창희(@cagetu)
    Kasastudy 2012.11.08
오늘 주제는

• 개발자들이 처해 있는 (게임 산업의)상황들
  이나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들을 “스터
 디 모임”이라는 주제로 이야기 해봅시다!
개발자의 미래!
• 폭풍 격변의 시기!

• 개발자는 정체성의
  혼란!
http://www.slideshare.net/hypersix/ss-15043607
격변의 시기
• 변화의 속도는 LTE!
• 다양한 방향의 새로운 기술들
   • 멀티 플랫폼, 클라우드, CUDA, DirectX11, WebGL,
     HTML5, Window8, Android, iOS, OpenGLES, …
• 더 좋은 도구들
   • 유니티 엔진, 언리얼 엔진
• 새로운 시대의 게임에 대한 고민
   • 소셜 게임, 애니팡, 캔디팡, 드래곤 플라이트 등~
게임 관점 이슈
• 모바일/웹 게임이 성장하면서, 기존의 PC 게
  임과는 다른 형태(?)의 게임들이 주목!
 – PC 온라인 게임 개발자들이 모바일 게임을 보고
   혼란스러워 하고 있다!
• 본질적으로 이런 환경에서 “게임을 어떻게 만
  들 것인가?”에 대한 고민
   • 모바일 vs PC 온라인
   • PC 온라인 + 모바일 + 웹
   • 모바일 / 웹
게임 관점 이슈
• 현재 환경에서 “게임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
  “유저들에게 어떤 재미를 줄 것인가?”와 같은
  고민을 지속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
• 변화의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계속 지켜보면
  서 “게임의 변화”를 관찰해야만 한다.
   • 유저들의 게임스타일의 변화…
   • 시간을 들여서 게임을 하기 보다는 남는 시간에 게임을
     하는… (유저들이 너무 바빠요…)
   • 게임에 영향을 주는 외부 요인!
http://www.slideshare.net/devcatpublications/ndc2011-8147850?from=ss_embed
기술적 이슈
• 프로그래밍이 쉬워졌어요!
 – “OpenGL 과 다이렉트 X의 공부가 필요할까요?
 – “C++을 공부해야 할까요?”
• 웃프게도 쉽지만 어려워졌습니다!
 – 이런 변화하는 환경에서 필요한 기술들이 너무나 많다.
 – “새로운 기술들”

• 예전에는 개발자 혼자서 게임에 필요한 대부분의 기술
  적인 구현이 가능했지만, 지금은 너무나 전문적이고 다
  양한 이슈들이 많아서, 혼자서 처리하기란 쉽지 않다.
큐레이션 (정보 과잉의 시대)
• 기술적, 게임적 고민들에 대한 단편적인 정
  보들은 많이 나와있지만, 사실 내가 원하는
  정보들이 과연 있는가?
• 결국, 중요한 것은 잘 정제된 살아있는 정보
  가 필요한 것!
그렇다면…
•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에 익혀야 하는 기술
  도 많고, 해봐야 하는 게임도 많고, 알아야
  할 것도 많다. 하지만, 이 많은 것을 혼자서
  다 할 수는 없어!!!! 나는 정보가 필요하
 다고!!!! 같이 이야기를 나눌 사람이 필
 요해!!!
같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사람
• 나와 함께 게임 혹은 게임 개발에 대해서 항상
  같이 이야기를 나누고 고민해줄 수 있는 사람
  이 있습니까?
 –“게임 개발자 스터디 모임”

• 꽤 많은 “게임 개발자 스터디 모임” 존재
   • Kasastudy, devRookie, ShaderStudy, 아꿈사, 게임코디
     스터디 등…
버클리 음대 총장이 말하는 싸이
의 성공요인!_백지연의 피플
INSIDE 272화




    • http://tvcast.naver.com/v/24668
잠깐 카사스터디에 대해서…

KASA STUDY 이야기
kasastudy 변천사
• 카사스터디 발표자료 모음을 볼까요?
  • 초기) 그래픽스에 대한 이슈
    – DirectX9와 셰이더를 이용한 기법 및 최적화
    – 렌더러에 대한 고민
  • 중기) 개발 방법론 및 그래픽스 이외 이슈
    –   애자일, 프로세스…
    –   게임 개발에 대한 고민들
    –   게임 엔진에 대한 이슈
    –   고급 셰이더 기술에 대한 이슈
  • 현재) 너무나 다양한 주제들
    – 렌더링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고, 모바일, 유니티 등에 대한
      주제가 많아짐
    – 게임 개발에 대한 이야기가 더 많아짐
Kasastudy 과도기
• 시대의 변화
   • 카사가 렌더링 관련된 엄청 어려운 것만 한다는 소문이
     극에 달하고 (이건 여전히… -_-).
   • 시대적 흐름이 그래픽스에서 게임 전반으로 넘어가면서,
     스터디 방향성에 대한 혼란! 참여율의 저하로 이어짐.
     (여전히 남아 있는 그래픽스에 대한 부담감)
• 변화
   • 그래픽스 중심에서 게임 개발 전반의 다양한 주제로 방
     향성을 전환시도 (KASA -> kasastudy)
       – 새로운 이야기를 해줄 수 있는 팀원들 영입과 게임 회사에서
         일어나는 이야기들을 중심으로 주제들이 다양해졌음
   • 발표에 대한 부담도 많이 줄어들고, 참여율도 더 좋아짐
Kasastudy 최근 내용들
• 최근에 다루는 내용들
   • 모바일 개발, HTML5, 클라우드 서버등의 주제와 유니티 엔진,
     개발 툴, 개발 환경에 대한 이야기도 많아지고 있음.
   • 게임엔진 개발, 렌더링 관련 이슈 등과 같이 코어한 주제는 많
     이 줄어들고 있음
   • 또, 게임을 바라보는 시선도 예전에는 “어떻게 하면 콘솔과 게
     임을 온라인에서 만들 수 있을까?”에서 이제는 모바일 기기를
     중심으로 많이 바뀐 듯
• 결국 우리가 하는 이야기들이 현재 게임업계의 흐
  름이고, 가까운 미래의 게임업계의 변화!
 – 내가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Kasastudy 는
• 내가 하고 싶은 일을 더 잘 할 수 있도록 하
  게 해주고 싶다.
   • 게임을 만들어 가는 사람들이 모여서 재미를 나누
     고 동기부여가 되는~
   • 내가 하고 싶은 일을 더 잘 할 수 있도록, 내가 하고
     싶은 일에 대해서 심화할 수 있고, 다른 일(분야)에
     대해서의 경험을 나누어 받을 수 있는 장소
   • 현재를 같이 나누고 내일을 같이 준비하자!
마치면서…
• 스터디 모임이 개발자에게는 굉장히 큰 자산
  이 됩니다!
• 점점 더 변화의 속도는 빠르고, 개발자가 알아
  야 할 내용은 많아집니다.
 – 이제는 “융합과 협업” 시대!
• 스터디 모임에 나가는 것을 망설이는 분들에
  게…
 – “스터디 모임은 항상 열려 있습니다. 개
   발자들이 닫혀 있을 뿐입니다.”

More Related Content

PPTX
아빠 개발자로 살아남기
PPT
개발자로 사는 길!!! 20141114
PDF
Cloud developer evolution
PDF
Fedevtalk 15 jds
PDF
(독서광) 기획자의 글쓰기
PDF
정글에서 살아남기 - 아마존 개발자
PPTX
[RAPA/C++] 1. 수업 내용 및 진행 방법
PPTX
기술 명세서
아빠 개발자로 살아남기
개발자로 사는 길!!! 20141114
Cloud developer evolution
Fedevtalk 15 jds
(독서광) 기획자의 글쓰기
정글에서 살아남기 - 아마존 개발자
[RAPA/C++] 1. 수업 내용 및 진행 방법
기술 명세서

What's hot (20)

PDF
Software engineer가 되기 위한 여정
PDF
200819 NAVER TECH CONCERT 09_Case.xcodeproj - 좋은 동료로 거듭나기 위한 노하우
PDF
200819 NAVER TECH CONCERT 02_안드로이드의 '안'자도 몰랐던 나는 어떻게 안드로이드 개발자가 되었을까?
PDF
[데브루키 언리얼 스터디] 스터디 안내 OT
PDF
(독서광) 프로그래머의 뇌
PDF
이승재, 일정대로 출시하기 왜 & 어떻게: 개발자를 위한 제작진행개론, NDC2017
PDF
My Way, Your Way
PDF
(독서광) 실용주의 프로그래머 20주년 기념판
PDF
(책 소개) 한 권으로 읽는 컴퓨터 구조와 프로그래밍
PDF
(책 소개) 레거시 코드 활용 전략
PDF
200820 NAVER TECH CONCERT 13_네이버에서 오픈 소스 개발을 통해 성장하는 방법
PDF
홍성우, 게임 프로그래머는 어떻게 가르치나요?, NDC2018
PPT
[1216 박민근] 게임회사취업및이직에관한조언
PPTX
[페차쿠차] 신입 게임 개발자 상식사전
PPTX
[0611 박민근] 신입 게임 개발자가 알아야 할 것들
PDF
훌륭한 프로그래머 되는 법
PDF
[제1회 시나브로 그룹 오프라인 밋업] 개발자의 자존감
PDF
[취업특강] IT분야에서 행복하게 일하기 - SW 개발자를 중심으로
PPTX
[0319 박민근] 게임 개발자는 왜 공부해야만 하는가
PPTX
[IGC 2017] 넥슨코리아 심재근 - 시스템 기획자에 대한 기본 지식과 준비과정
Software engineer가 되기 위한 여정
200819 NAVER TECH CONCERT 09_Case.xcodeproj - 좋은 동료로 거듭나기 위한 노하우
200819 NAVER TECH CONCERT 02_안드로이드의 '안'자도 몰랐던 나는 어떻게 안드로이드 개발자가 되었을까?
[데브루키 언리얼 스터디] 스터디 안내 OT
(독서광) 프로그래머의 뇌
이승재, 일정대로 출시하기 왜 & 어떻게: 개발자를 위한 제작진행개론, NDC2017
My Way, Your Way
(독서광) 실용주의 프로그래머 20주년 기념판
(책 소개) 한 권으로 읽는 컴퓨터 구조와 프로그래밍
(책 소개) 레거시 코드 활용 전략
200820 NAVER TECH CONCERT 13_네이버에서 오픈 소스 개발을 통해 성장하는 방법
홍성우, 게임 프로그래머는 어떻게 가르치나요?, NDC2018
[1216 박민근] 게임회사취업및이직에관한조언
[페차쿠차] 신입 게임 개발자 상식사전
[0611 박민근] 신입 게임 개발자가 알아야 할 것들
훌륭한 프로그래머 되는 법
[제1회 시나브로 그룹 오프라인 밋업] 개발자의 자존감
[취업특강] IT분야에서 행복하게 일하기 - SW 개발자를 중심으로
[0319 박민근] 게임 개발자는 왜 공부해야만 하는가
[IGC 2017] 넥슨코리아 심재근 - 시스템 기획자에 대한 기본 지식과 준비과정
Ad

Viewers also liked (16)

PPTX
[9xD] 개발자, 스터디로 성장하기
PDF
프로그래머로 사는 법 Chapter.19 지금 알고 있는걸 그때도 알았더라면
PDF
Swift Study #2
PPT
ELD12: Badge Design
PPTX
Bs webgl소모임002
PPTX
Bs webgl소모임001 uniform버전
PDF
[1A3]지금까지 상상한 표현의 한계를 넘자 WebGL
PDF
The Power of WebGL - Hackeando sua GPU com JavaScript
PDF
쉽게 풀어보는 WebGL
PPTX
DevOps
PPT
WebGL: GPU acceleration for the open web
PDF
블로그 주도 개발
PDF
스타트업에서 기술책임자로 살아가기
PPTX
WebGL: The Next Generation
PDF
Node-express 채팅 서버 개발기
PDF
How to Become a Thought Leader in Your Niche
[9xD] 개발자, 스터디로 성장하기
프로그래머로 사는 법 Chapter.19 지금 알고 있는걸 그때도 알았더라면
Swift Study #2
ELD12: Badge Design
Bs webgl소모임002
Bs webgl소모임001 uniform버전
[1A3]지금까지 상상한 표현의 한계를 넘자 WebGL
The Power of WebGL - Hackeando sua GPU com JavaScript
쉽게 풀어보는 WebGL
DevOps
WebGL: GPU acceleration for the open web
블로그 주도 개발
스타트업에서 기술책임자로 살아가기
WebGL: The Next Generation
Node-express 채팅 서버 개발기
How to Become a Thought Leader in Your Niche
Ad

Similar to 개발자여! 스터디를 하자! (20)

PDF
GDC2012 트렌드 리뷰
PPTX
[KGC2011_박민근] 신입 게임 개발자가 알아야 할 것들
PDF
[Dev rookie] 어디로 가야 하나요(13.10.05)
PDF
Unite2019 _ 학교에서 배우는 게임개발이란
PDF
스마트폰 게임을 데스크톱과 게임기로 1부
PPTX
Gamificated game developing
PPTX
Game engine 2011
PPTX
이호민
PDF
Ndc2010 김주복, v3. 마비노기2아키텍처리뷰
PPTX
인디 게임 개발자 스터디 1회 오픈 세미나 안내
PPT
오토데스트세미나 스케일폼적용사례 김효영
PDF
NHN NEXT 게임 전공 소개
PDF
스마트폰 세상의 Cross paltform과 4 screen
PDF
게임 엔진 아키텍쳐_1장 요약 by 알콜코더(초중급 게임 개발자 스터디 데브루키)
PPTX
취미로 엔진 만들기
PDF
151003 원화하던 쪼랩의 UI 전직기
PPTX
Game Play System
PPTX
[Dev rookie] 무엇을 하고 있습니까(13.05.11)
PDF
NHN NEXT 2014년도 게임트랙 소개
PDF
Unity3D Developer Network Study Chapter.2
GDC2012 트렌드 리뷰
[KGC2011_박민근] 신입 게임 개발자가 알아야 할 것들
[Dev rookie] 어디로 가야 하나요(13.10.05)
Unite2019 _ 학교에서 배우는 게임개발이란
스마트폰 게임을 데스크톱과 게임기로 1부
Gamificated game developing
Game engine 2011
이호민
Ndc2010 김주복, v3. 마비노기2아키텍처리뷰
인디 게임 개발자 스터디 1회 오픈 세미나 안내
오토데스트세미나 스케일폼적용사례 김효영
NHN NEXT 게임 전공 소개
스마트폰 세상의 Cross paltform과 4 screen
게임 엔진 아키텍쳐_1장 요약 by 알콜코더(초중급 게임 개발자 스터디 데브루키)
취미로 엔진 만들기
151003 원화하던 쪼랩의 UI 전직기
Game Play System
[Dev rookie] 무엇을 하고 있습니까(13.05.11)
NHN NEXT 2014년도 게임트랙 소개
Unity3D Developer Network Study Chapter.2

More from changehee lee (20)

PDF
Visual shock vol.2
PDF
Shader compilation
PDF
Gdc 14 bringing unreal engine 4 to open_gl
PDF
Smedberg niklas bringing_aaa_graphics
PDF
Fortugno nick design_and_monetization
PDF
카툰 렌더링
PDF
[Kgc2013] 모바일 엔진 개발기
PPTX
Paper games 2013
PPTX
모바일 엔진 개발기
PPTX
Wecanmakeengine
PDF
Mobile crossplatformchallenges siggraph
PDF
개발 과정 최적화 하기 내부툴로 더욱 강력한 개발하기 Stephen kennedy _(11시40분_103호)
PDF
[Kgc2012] deferred forward 이창희
PPT
Light prepass
PPTX
Windows to reality getting the most out of direct3 d 10 graphics in your games
PDF
Basic ofreflectance kor
PDF
C++11(최지웅)
PDF
Valve handbook low_res
PDF
Ndc12 이창희 render_pipeline
Visual shock vol.2
Shader compilation
Gdc 14 bringing unreal engine 4 to open_gl
Smedberg niklas bringing_aaa_graphics
Fortugno nick design_and_monetization
카툰 렌더링
[Kgc2013] 모바일 엔진 개발기
Paper games 2013
모바일 엔진 개발기
Wecanmakeengine
Mobile crossplatformchallenges siggraph
개발 과정 최적화 하기 내부툴로 더욱 강력한 개발하기 Stephen kennedy _(11시40분_103호)
[Kgc2012] deferred forward 이창희
Light prepass
Windows to reality getting the most out of direct3 d 10 graphics in your games
Basic ofreflectance kor
C++11(최지웅)
Valve handbook low_res
Ndc12 이창희 render_pipeline

개발자여! 스터디를 하자!

  • 1. 개발자여! 스터디를 하자! 이창희(@cagetu) Kasastudy 2012.11.08
  • 2. 오늘 주제는 • 개발자들이 처해 있는 (게임 산업의)상황들 이나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들을 “스터 디 모임”이라는 주제로 이야기 해봅시다!
  • 3. 개발자의 미래! • 폭풍 격변의 시기! • 개발자는 정체성의 혼란!
  • 5. 격변의 시기 • 변화의 속도는 LTE! • 다양한 방향의 새로운 기술들 • 멀티 플랫폼, 클라우드, CUDA, DirectX11, WebGL, HTML5, Window8, Android, iOS, OpenGLES, … • 더 좋은 도구들 • 유니티 엔진, 언리얼 엔진 • 새로운 시대의 게임에 대한 고민 • 소셜 게임, 애니팡, 캔디팡, 드래곤 플라이트 등~
  • 6. 게임 관점 이슈 • 모바일/웹 게임이 성장하면서, 기존의 PC 게 임과는 다른 형태(?)의 게임들이 주목! – PC 온라인 게임 개발자들이 모바일 게임을 보고 혼란스러워 하고 있다! • 본질적으로 이런 환경에서 “게임을 어떻게 만 들 것인가?”에 대한 고민 • 모바일 vs PC 온라인 • PC 온라인 + 모바일 + 웹 • 모바일 / 웹
  • 7. 게임 관점 이슈 • 현재 환경에서 “게임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 “유저들에게 어떤 재미를 줄 것인가?”와 같은 고민을 지속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 • 변화의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계속 지켜보면 서 “게임의 변화”를 관찰해야만 한다. • 유저들의 게임스타일의 변화… • 시간을 들여서 게임을 하기 보다는 남는 시간에 게임을 하는… (유저들이 너무 바빠요…) • 게임에 영향을 주는 외부 요인!
  • 9. 기술적 이슈 • 프로그래밍이 쉬워졌어요! – “OpenGL 과 다이렉트 X의 공부가 필요할까요? – “C++을 공부해야 할까요?” • 웃프게도 쉽지만 어려워졌습니다! – 이런 변화하는 환경에서 필요한 기술들이 너무나 많다. – “새로운 기술들” • 예전에는 개발자 혼자서 게임에 필요한 대부분의 기술 적인 구현이 가능했지만, 지금은 너무나 전문적이고 다 양한 이슈들이 많아서, 혼자서 처리하기란 쉽지 않다.
  • 10. 큐레이션 (정보 과잉의 시대) • 기술적, 게임적 고민들에 대한 단편적인 정 보들은 많이 나와있지만, 사실 내가 원하는 정보들이 과연 있는가? • 결국, 중요한 것은 잘 정제된 살아있는 정보 가 필요한 것!
  • 11. 그렇다면… •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에 익혀야 하는 기술 도 많고, 해봐야 하는 게임도 많고, 알아야 할 것도 많다. 하지만, 이 많은 것을 혼자서 다 할 수는 없어!!!! 나는 정보가 필요하 다고!!!! 같이 이야기를 나눌 사람이 필 요해!!!
  • 12. 같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사람 • 나와 함께 게임 혹은 게임 개발에 대해서 항상 같이 이야기를 나누고 고민해줄 수 있는 사람 이 있습니까? –“게임 개발자 스터디 모임” • 꽤 많은 “게임 개발자 스터디 모임” 존재 • Kasastudy, devRookie, ShaderStudy, 아꿈사, 게임코디 스터디 등…
  • 13. 버클리 음대 총장이 말하는 싸이 의 성공요인!_백지연의 피플 INSIDE 272화 • http://tvcast.naver.com/v/24668
  • 15. kasastudy 변천사 • 카사스터디 발표자료 모음을 볼까요? • 초기) 그래픽스에 대한 이슈 – DirectX9와 셰이더를 이용한 기법 및 최적화 – 렌더러에 대한 고민 • 중기) 개발 방법론 및 그래픽스 이외 이슈 – 애자일, 프로세스… – 게임 개발에 대한 고민들 – 게임 엔진에 대한 이슈 – 고급 셰이더 기술에 대한 이슈 • 현재) 너무나 다양한 주제들 – 렌더링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고, 모바일, 유니티 등에 대한 주제가 많아짐 – 게임 개발에 대한 이야기가 더 많아짐
  • 16. Kasastudy 과도기 • 시대의 변화 • 카사가 렌더링 관련된 엄청 어려운 것만 한다는 소문이 극에 달하고 (이건 여전히… -_-). • 시대적 흐름이 그래픽스에서 게임 전반으로 넘어가면서, 스터디 방향성에 대한 혼란! 참여율의 저하로 이어짐. (여전히 남아 있는 그래픽스에 대한 부담감) • 변화 • 그래픽스 중심에서 게임 개발 전반의 다양한 주제로 방 향성을 전환시도 (KASA -> kasastudy) – 새로운 이야기를 해줄 수 있는 팀원들 영입과 게임 회사에서 일어나는 이야기들을 중심으로 주제들이 다양해졌음 • 발표에 대한 부담도 많이 줄어들고, 참여율도 더 좋아짐
  • 17. Kasastudy 최근 내용들 • 최근에 다루는 내용들 • 모바일 개발, HTML5, 클라우드 서버등의 주제와 유니티 엔진, 개발 툴, 개발 환경에 대한 이야기도 많아지고 있음. • 게임엔진 개발, 렌더링 관련 이슈 등과 같이 코어한 주제는 많 이 줄어들고 있음 • 또, 게임을 바라보는 시선도 예전에는 “어떻게 하면 콘솔과 게 임을 온라인에서 만들 수 있을까?”에서 이제는 모바일 기기를 중심으로 많이 바뀐 듯 • 결국 우리가 하는 이야기들이 현재 게임업계의 흐 름이고, 가까운 미래의 게임업계의 변화! – 내가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 18. Kasastudy 는 • 내가 하고 싶은 일을 더 잘 할 수 있도록 하 게 해주고 싶다. • 게임을 만들어 가는 사람들이 모여서 재미를 나누 고 동기부여가 되는~ • 내가 하고 싶은 일을 더 잘 할 수 있도록, 내가 하고 싶은 일에 대해서 심화할 수 있고, 다른 일(분야)에 대해서의 경험을 나누어 받을 수 있는 장소 • 현재를 같이 나누고 내일을 같이 준비하자!
  • 19. 마치면서… • 스터디 모임이 개발자에게는 굉장히 큰 자산 이 됩니다! • 점점 더 변화의 속도는 빠르고, 개발자가 알아 야 할 내용은 많아집니다. – 이제는 “융합과 협업” 시대! • 스터디 모임에 나가는 것을 망설이는 분들에 게… – “스터디 모임은 항상 열려 있습니다. 개 발자들이 닫혀 있을 뿐입니다.”